KR200488946Y1 - 농업용 고랑 제초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고랑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46Y1
KR200488946Y1 KR2020190000238U KR20190000238U KR200488946Y1 KR 200488946 Y1 KR200488946 Y1 KR 200488946Y1 KR 2020190000238 U KR2020190000238 U KR 2020190000238U KR 20190000238 U KR20190000238 U KR 20190000238U KR 200488946 Y1 KR200488946 Y1 KR 200488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frame
cover
blade
p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호 filed Critical 신정호
Priority to KR2020190000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7/00Plough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e.g. means for putting manure under the soil, clod-crushers ; Means for breaking the subsoil
    • A01B17/004Clod-crush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농업용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트랙터연결부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흙이 소정 깊이로 뒤집어지도록 상기 트랙터연결부재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되는 땅파기부재, 상기 땅파기부재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보다 잘게 부수어 주도록 상기 땅파기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고르기부재, 상기 흙고르기부재에 의해 잘게 부숴진 흙이 이랑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흙고르기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복토부재, 상기 제1 복토부재에 의해 이랑으로 이동된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복토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복토부재;를 마련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고랑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낸 다음 흙을 보다 잘게 부수고, 이렇게 부숴진 흙을 이랑(또는 두둑)으로 1차적으로 올린 다음에 이랑으로 올려진 흙을 고르게 하여 줌으로써, 작물의 생육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이랑에서 자라는 풀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농업용 고랑 제초기{Agricultural Grate Mowers}
본 고안은 농업용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이랑 사이에 형성된 고랑에 있는 풀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작물이 심어진 이랑으로 흙을 복토시키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농사는 작물을 재배할 때 경작지의 땅을 돋우어 높낮이를 만들고 종자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는다.
이렇게 경작지에 줄을 맞춰 흙을 높게 올려서 두둑하게 올린 것을 이랑이라 하고 이랑과 이랑 사이를 고랑이라 하며, 이랑에 종자나 모종을 심게 된다.
농작물을 생육하기 위한 이랑식 밭에서 복토를 높게 쌓은 두둑(이랑)에는 농작물이 일렬로 심어지게 되고, 이랑 사이의 고랑은 사람이 오갈 수 있는 통행로이면서 필요 이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농작물을 경작 시 특히 고랑에는 불필요한 잡초들이 쉽게 자라게 되며, 이러한 잡초는 농작물에 비해 생육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이 차지할 땅과 공간을 점령하게 되고 영양분과 수분을 빼앗게 된다.
또 키가 큰 잡초는 일광을 차단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게 되고, 잡초가 우거진 곳은 병균과 벌레의 서식 및 번식처가 되어 이를 전파시키며, 지온을 저하시키고 통풍을 저해하게 되는 등 농작물의 생육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게 됨과 아울러 고랑의 본래 기능인 통행로와 배수로 기능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수시로 고랑에 대한 제초(김매기)작업을 해 주어야만 하며, 종래에는 농부들이 직접 호미와 같은 농기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잡초가 난 흙을 뒤집는 방식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노동력과 장시간이 소요되고, 힘든 작업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근래에는 농촌의 인력부족으로 더더욱 이러한 제초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덧붙여 통상적으로 이상과 같은 고랑에 대한 제초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그 양측 두둑에 대한 배토(培土, 흙덮기)작업도 겸하여 실시하게 된다.
배토작업은 고랑의 흙을 파서 두둑상으로 올려서 덮어주는 것으로, 장마시의 비 등으로 유실된 이랑(또는 두둑) 부분을 복원시켜 농작물의 뿌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흙을 농작물의 포기 밑에 모아주어 뿌리와 줄기를 고정시킴으로써 풍우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켜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제초작업을 통상의 예취기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실시하는 경우도 있으나, 예취기는 주로 잡초의 줄기부분을 절단하고 뿌리는 그대로 남겨두게 됨으로써 얼마 지나지 않아 잡초가 다시 살아나게 되므로 짧은 주기로 재차 제초작업을 반복적으로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잔류하는 뿌리에 의한 영양분과 수분의 손실도 계속되게 되는 등 완벽한 제초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토작업은 아예 별도로 해 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특히 노동력 투하가 심한 제초작업과 배토작업을 기계화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두둑 휴립 복토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두둑 휴립 복토기는 농기계와 연결프레임을 통해 링크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고정되어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수평 결합되어 농기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축, 두둑 형성을 위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배치된 쟁기날, 두둑의 흙을 파쇄하기 위해 상기 각 쟁기날의 양측에 배치되어 동조 회전하고, 제 1회전축과 연결된 체인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형로터리날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베어링에 수평 결합되고, 제1 회전축에 연결되는 체인(C)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2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 1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좌/우로 진동되어 두둑의 좌/우벽면을 다지는 제 1다짐판,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베어링에 수평 결합되고, 상기 제 2회전축에 연결되는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제 3회전축 및 상기 제 3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 2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하로 진동되어 두둑의 상면을 다지는 제 2다짐판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두둑형성용 배토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두둑형성용 배토기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동작에 의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한 쌍의 상하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두둑형성용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가압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가압 두둑형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두둑형성수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직교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된 두둑형성판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부재의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 지지대에 삽입되는 상기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제한하는 스프링 압축 제한수단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3281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43619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밭고랑을 소정 깊이로 같아 엎어진 상태에서 풀 등을 제거하는 제초 작업이 이루어지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밭고랑의 갈아 엎어진 흙을 잘게 부순 다음 이랑으로 흙의 복토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는 트랙터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트랙터연결부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흙이 소정 깊이로 뒤집어지도록 상기 트랙터연결부재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되는 땅파기부재, 상기 땅파기부재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보다 잘게 부수어 주도록 상기 땅파기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고르기부재, 상기 흙고르기부재에 의해 잘게 부숴진 흙이 이랑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흙고르기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복토부재, 상기 제1 복토부재에 의해 이랑으로 이동된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복토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복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땅파기부재는 상기 트랙터연결부재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고정프레임, 상기 수평고정프레임 이랑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고정브래킷,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내도록 상기 하부고정브래킷의 하측에 설치되는 쟁기부, 상기 하부고정브래킷의 후방에 상기 흙고르기부재의 설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흙고르기부재는 상기 땅파기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원통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땅파기부재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체부재는 중앙에 양측의 측판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원판, 상기 중앙원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중앙원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땅파기부재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도록 상기 중앙원판과 상기 측판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복토부재는 상기 흙고르기부재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상기 흙고르기부재와 동일한 폭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프레임, 상기 흙고르기부재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이 이랑의 일측으로 상승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복토부, 상기 제1 복토부와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흙고르기부재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이 이랑의 타측으로 상승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복토부, 상기 제1 복토부와 상기 제2 복토부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승강결합프레임, 상기 제1 복토부와 상기 제2 복토부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강결합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복토부 및 상기 제2 복토부는 상기 승강결합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고랑의 흙을 파내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 상기 흙고르기부재에 의해 잘게 부숴진 흙과 상기 중앙쟁기날에 의해 파낸 흙을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측면쟁기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복토부의 측면쟁기날과 상기 제2 복토부의 측면쟁기날은 흙을 이랑으로 모아주도록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복토부재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쟁기날의 양측에 소정 각도의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측면쟁기날, 상기 제1 측면쟁기날에 의해 상승된 흙이 고르게 골라지도록 상기 제1 측면쟁기날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 측면쟁기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에 의하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고랑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낸 다음 흙을 보다 잘게 부수고, 이렇게 부숴진 흙을 이랑(또는 두둑)으로 1차적으로 올린 다음에 이랑으로 올려진 흙을 고르게 하여 줌으로써, 작물의 생육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이랑에서 자라는 풀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에 의하면, 고랑의 흙을 퍼 올리면서 풀 등의 잡초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잡초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랑에 심어진 작물의 뿌리 부분에 흙을 북돋아주게 되어 작물의 생육환경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땅파기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복토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는 트랙터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트랙터연결부재(100),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흙이 소정 깊이로 뒤집어지도록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되는 땅파기부재(200), 상기 땅파기부재(20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보다 잘게 부수어 주도록 상기 땅파기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고르기부재(300),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숴진 흙이 이랑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복토부재(400), 상기 제1 복토부재(400)에 의해 이랑으로 이동된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복토부재(4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복토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고랑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낸 다음 흙을 보다 잘게 부수고, 이렇게 부숴진 흙을 이랑(또는 두둑)으로 1차적으로 올린 다음에 이랑으로 올려진 흙을 고르게 하여 줌으로써, 작물의 생육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이랑에서 자라는 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농업용 고랑 제초기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에 장착되도록 트랙터연결부재(100)가 설치되고,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의 하부에는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내는 땅파기부재(200)가 설치되며, 상기 땅파기부재(200)의 후방에는 흙을 잘게 부숴주는 흙고르기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후방에는 흙을 이랑으로 상승 이동시키는 제1 복토부재(400) 및 이랑으로 상승된 흙을 보다 고르게 골라주는 제2 복토부재(500)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땅파기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는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의 하부에는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낼 수 있도록 땅파기부재(200)가 설치되며, 상기 땅파기부재(200)는 수평고정프레임(211)에 설치되는 쟁기부(220)와 흙고르기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땅파기부재(200)는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고정프레임(211), 상기 수평고정프레임 이랑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고정브래킷(212),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내도록 상기 하부고정브래킷(212)의 하측에 설치되는 쟁기부(220), 상기 하부고정브래킷(212)의 후방에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설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땅파기부재(200)는 고랑을 소정 깊이로 흙을 파내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쟁기부(220) 및 승강부(230)가 설치되도록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수평고정프레임(211)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고정프레임의 하부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고정브래킷(212)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고정브래킷(212)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부고정브래킷(212)에 대응되는 상부고정프레임(213)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브래킷(212)의 하부 저면에는 고랑의 흙을 파내는 쟁기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쟁기부(220)의 후방에는 흙고르기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230)가 설치된다.
상기 쟁기부(22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쟁기프레임(221), 상기 수직쟁기프레임(221)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쟁기프레임(222), 상기 고정쟁기프레임(222)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223) 및 상기 중앙쟁기날(22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쟁기날(224)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쟁기프레임(221)은 하부고정브래킷(212)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쟁기프레임(221)의 하부에는 쟁기날(223, 22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쟁기프레임(222)이 설치된다.
아울러 고정쟁기프레임(222)의 전면에는 고랑을 일정 깊이로 파내는 중앙쟁기날(223)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쟁기날(223)의 양측에는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측면쟁기날(224)이 설치된다.
또한 승강부(230)는 쟁기부(22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는 흙고르기부재(3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부고정브래킷(212)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230)는 내부가 빈 중공프레임(231), 상기 중공프레임(231)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32), 상기 흙고르기부재(300)가 설치되도록 승강프레임(2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구멍(233) 및 상기 승강프레임(232)을 승강시키도록 중공프레임(23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손잡이(23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프레임(231)은 승강프레임(232)이 결합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232)은 승강손잡이(234)의 회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중공프레임(231)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복토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흙고르기부재와 제1 복토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고르기부재(300)는 상기 땅파기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원통체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310), 상기 땅파기부재(20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체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체부재(320)는 중앙에 양측의 측판(3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원판(321), 상기 중앙원판(3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중앙원판(3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322), 상기 땅파기부재(20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도록 상기 중앙원판(321)과 상기 측판(322)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봉(32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310)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310)에는 승강부(230)의 승강프레임(232)에 설치되도록 고정브래킷(311)이 설치되며, 수평프레임(310)에는 쟁기부(230)에 의해 고랑의 바닥면으로부터 파여져 뒤집어진 흙을 보다 잘게 부수는 원통체부재(3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310)에는 원통체부재(320)가 설치되도록 양측에 각각 다수의 고정구멍(312)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체부재(32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원판(321), 상기 중앙원판(3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322) 및 상기 중앙원판(321)과 측판(32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경사봉(324)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체부재(32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랙터 등에 의해 이동되면서 흙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원통체부재(320)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중앙원판(321)이 고정되고, 상기 중앙원판(32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한 쌍의 측판(322)이 설치된다. 상기 측판(322)은 중앙원판(321)의 직경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들 중앙원판(321)과 한 쌍의 측판(322)은 중앙고정봉(323)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중앙원판(321)과 측판(322)의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경사봉(324)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사봉(324)은 중앙원판(321)과 한 쌍의 측판(32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원통체부재(320)가 회전되면서 쟁기부(220)에 의해 뒤집어진 흙과 접촉되어 흙을 보다 잘게 부수게 된다.
즉, 상기 쟁기부(220)에 의해 파여진 흙은 크기를 갖는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므로, 이렇게 덩어리로 이루어진 흙과 접촉되면서 흙을 보다 잘게 부수게 된다.
한편 경사봉(324)의 회전에 의해 원통체부재(320)에는 흙을 고르게 골라줌과 함께 흙과 함께 들어올려진 풀 등이 내입되어 풀 등의 잡초가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측판(322)에는 각각 수평프레임(310)에 설치되도록 지지프레임(325)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25)에는 고정볼트(326)가 체결된다.
즉, 지지프레임(325)은 고정볼트(326)에 의해 수평프레임(310)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부재(320)는 지지프레임(3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후방에는 흙을 이랑으로 북돋아주는 제1 복토부재(400)와 제2 복토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복토부재(400)는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410),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와 동일한 폭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수평프레임(410)의 상면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프레임(420),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이 이랑의 일측으로 상승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복토부(430), 상기 제1 복토부(430)와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이 이랑의 타측으로 상승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복토부(440), 상기 제1 복토부(430)와 상기 제2 복토부(44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수평프레임(4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승강결합프레임(423), 상기 제1 복토부(430)와 상기 제2 복토부(44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강결합프레임(42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431)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310)의 후방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수평프레임(4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평프레임(410)의 상면에는 제1 복토부재(400)가 설치되도록 제2 수평프레임(420)이 설치된다.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수평프레임(310)에는 제1 고정브래킷(41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브래킷(411)에는 제1 수평프레임(410)이 고정된다.
아울러 수평프레임(310)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412)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412)의 양면에는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판(413)이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조절판(413)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높이조절구멍(414)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412)에도 높이조절구멍(414)에 대응되는 높이조절구멍(미도시)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 상기 제1 수평프레임(410)에는 소정 위치에 제2 고정브래킷(415)이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판(413)과 제2 고정브래킷(415) 사이에는 지지봉(416)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416)에는 소정 위치에 고정핀(417)이 설치되며, 높이조절판(413)과 고정핀(417) 사이에는 제1 수평프레임(41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18)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418)은 제1 수평프레임(410)이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 지지봉(416)에 의해 제1 수평프레임(410)을 쟁기부(220)와 동일한 높이 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며, 제1 수평프레임(410)이 들어올려진 경우에 제1 수평프레임(410)을 가압하여 설정된 높이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제1 수평프레임(410)의 상면에는 제1 수평프레임(4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2 수평프레임(4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수평프레임(420)은 제1 수평프레임(4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수평프레임(421), 상기 고정수평프레임(421)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수평프레임(422), 상기 이동수평프레임(422)의 양단에 설치되는 승강결합프레임(4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평프레임(421)은 제1 수평프레임(41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수평프레임(422)은 이랑의 간격에 따라 제1 복토부(430)와 제2 복토부(4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수평프레임(4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고정수평프레임(421)에는 이동수평프레임(422)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조정볼트(424)가 체결된다.
상기 이동수평프레임(423)의 일단에는 제1 복토부(430)가 설치되며, 이동수평프레임(423)의 타단에는 제2 복토부(440)가 설치된다.
이들 제1 복토부(430)와 제2 복토부(44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복토부(430)는 승강결합프레임(423)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프레임(431), 상기 수직프레임(431)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32), 상기 고정프레임(432)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433) 및 상기 중앙쟁기날(433)의 일측에 설치도는 측면쟁기날(4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복토부(430)는 제2 수평프레임(4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복토부(440)는 제2 수평프레임(420)의 타측에 설치되며, 이들 제1 복토부(430)의 측면쟁기날(434)과 제2 복토부(440)의 측면쟁기날(434)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는 고랑과 고랑 사이에 형성된 이랑의 양측에서 흙을 북돋아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측면쟁기날(434)은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을 이랑의 상측으로 퍼 올리게 된다.
상기 제1 수평프레임(410)의 선단에는 제2 복토부재(500)가 설치되도록 높이조절프레임(511)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복토부재(50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512), 상기 수직프레임(512)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13), 상기 고정프레임(513)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514),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쟁기날(514)의 양측에 소정 각도의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측면쟁기날(515), 상기 제1 측면쟁기날(515)에 의해 상승된 흙이 고르게 골라지도록 상기 제1 측면쟁기날(515)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 측면쟁기날(516)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복토부재(500)는 제1 복토부재(400)에 의해 이랑으로 올려진 흙을 골라주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 복토부재(500)에는 높이조절프레임(511)에 결합되도록 수직프레임(512)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512)의 하부에는 쟁기날(515, 516)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513)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3)의 전면에는 중앙쟁기날(514)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쟁기날(514)의 양측으로 각각 측면쟁기날(515, 516)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측면쟁기날(515)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제1 측면쟁기날(515)이 설치된다.
아울러 제1 측면쟁기날(515)의 배면에는 제1 측면쟁기날(515)의 외측으로 보다 길게 연장되는 제2 측면쟁기날(516)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측면쟁기날(516)은 제1 측면쟁기날(515)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2 측면쟁기날(516)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랑의 높이 또는 흙을 북돋우고자 하는 높이 등에 따라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고랑 제초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고랑의 흙을 이랑으로 북돋아 줄 뿐만 아니라 고랑 등에 풀 등의 잡초가 자란 경우 고랑 제초기를 이용하여 김 매는 작업과 함께 이랑으로 흙을 북돋아 주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트랙터(미도시)의 후방에 트랙터연결부재(100)를 연결 설치하고, 트랙터를 운행하게 된다.
이러한 트랙터에 의해 이동되는 땅파기부재(200)는 고랑에 있는 흙을 소정 깊이로 퍼 올리게 되고, 땅파기부재(200)의 쟁기부(220)에 의해 퍼 올려진 흙은 고랑의 양측에 형성된 이랑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쟁기부(220)에 의해 퍼 올려진 흙은 일부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땅파기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된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보다 잘게 부숴지게 된다.
즉,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원통체부재(320)는 흙과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상기 원통제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경사봉(324)이 흙을 보다 잘게 부수게 된다.
이와 같이 잘게 부숴진 흙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1 복토부(430)와 제2 복토부(440)에 의해 이랑의 상측으로 상승 이동되며, 흙은 상기 제2 복토부재(500)의 제1 측면쟁기날(515)에 의해 이랑의 상측으로 올려짐과 함께 1차적으로 흙을 고르게 된다.
이와 함께 제1 측면쟁기날(151)의 배면에 설치된 제2 측면쟁기날(516)은 흙을 보다 작물의 뿌리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재차 흙을 고르게 분포시키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트랙터연결부재 111: 고정프레임
112: 고정브래킷 200: 땅파기부재
211: 수평고정프레임 212: 하부고정브래킷
213: 상부고정프레임 220: 쟁기부
221: 수직쟁기프레임 222: 고정쟁기프레임
223: 중앙쟁기날 224: 측면쟁기날
230: 승강부 231: 중공프레임
232: 승강프레임 233: 고정구멍
234: 승강손잡이 300: 흙고르기부재
310: 수평프레임 311: 고정브래킷
312: 고정구멍 320: 원통체부재
321: 중앙원판 322: 측판
323: 중앙고정봉 324: 경사봉
325: 지지프레임 326: 고정볼트
400: 제1 복토부재 410: 제1 수평프레임
411: 제1 고정브래킷 412: 수직프레임
413: 높이조절판 414: 높이조정구멍
415: 제2 고정브래킷 416: 지지봉
417: 고정핀 418: 스프링
420: 제2 수평프레임 421: 고정수평프레임
422: 이동수평프레임 423: 승강결합프레임
424: 조정볼트 430: 제1 복토부
431: 수직프레임 432: 고정프레임
433: 중앙쟁기날 434: 측면쟁기날
440: 제2 복토부 500: 제2 복토부재
511: 높이조절프레임 512: 수직프레임
513: 고정프레임 514: 중앙쟁기날
515: 제1 측면쟁기날 516: 제2 측면쟁기날

Claims (6)

  1. 트랙터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트랙터연결부재(100);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흙이 소정 깊이로 뒤집어지도록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되는 땅파기부재(200);
    상기 땅파기부재(20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보다 잘게 부수어 주도록 상기 땅파기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흙고르기부재(300);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숴진 흙이 이랑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복토부재(400); 및
    상기 제1 복토부재(400)에 의해 이랑으로 이동된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복토부재(4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복토부재(500);
    를 포함하고,
    상기 흙고르기부재(300)는 상기 땅파기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원통체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310); 및
    상기 땅파기부재(20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체부재(320);
    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체부재(320)는 중앙에 양측의 측판(3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원판(321);
    상기 중앙원판(3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중앙원판(3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322); 및
    상기 땅파기부재(200)에 의해 뒤집어진 흙을 잘게 부수도록 상기 중앙원판(321)과 상기 측판(322)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봉(3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땅파기부재(200)는 상기 트랙터연결부재(100)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고정프레임(211);
    상기 수평고정프레임 이랑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고정브래킷(212);
    고랑을 소정 깊이로 파내도록 상기 하부고정브래킷(212)의 하측에 설치되는 쟁기부(220);
    상기 하부고정브래킷(212)의 후방에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설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토부재(400)는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410);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와 동일한 폭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수평프레임(410)의 상면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프레임(420);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이 이랑의 일측으로 상승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복토부(430);
    상기 제1 복토부(430)와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수어진 흙이 이랑의 타측으로 상승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복토부(440);
    상기 제1 복토부(430)와 상기 제2 복토부(44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수평프레임(4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승강결합프레임(423);
    상기 제1 복토부(430)와 상기 제2 복토부(44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강결합프레임(42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4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토부(430) 및 상기 제2 복토부(440)는 상기 승강결합프레임(423)에 승강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431);
    상기 수직프레임(431)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32);
    고랑의 흙을 파내도록 상기 고정프레임(432)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433);
    상기 흙고르기부재(300)에 의해 잘게 부숴진 흙과 상기 중앙쟁기날(433)에 의해 파낸 흙을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측면쟁기날(43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복토부(430)의 측면쟁기날(434)과 상기 제2 복토부(440)의 측면쟁기날(434)은 흙을 이랑으로 모아주도록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토부재(50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512);
    상기 수직프레임(512)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13);
    상기 고정프레임(513)의 전면에 설치되는 중앙쟁기날(514);
    흙이 이랑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쟁기날(514)의 양측에 소정 각도의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측면쟁기날(515);
    상기 제1 측면쟁기날(515)에 의해 상승된 흙이 고르게 골라지도록 상기 제1 측면쟁기날(515)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 측면쟁기날(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랑 제초기.
KR2020190000238U 2019-01-16 2019-01-16 농업용 고랑 제초기 KR200488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38U KR200488946Y1 (ko) 2019-01-16 2019-01-16 농업용 고랑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38U KR200488946Y1 (ko) 2019-01-16 2019-01-16 농업용 고랑 제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46Y1 true KR200488946Y1 (ko) 2019-04-08

Family

ID=6610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38U KR200488946Y1 (ko) 2019-01-16 2019-01-16 농업용 고랑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4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657A (ko) * 2019-05-13 2020-04-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00136117A (ko) * 2019-05-27 2020-12-07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196065B1 (ko) * 2020-03-24 2020-12-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20035603A (ko) * 2020-09-14 2022-03-22 박기혁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542A (ko) * 2009-01-23 2010-08-02 백남준 트랙터 부착형 휴립 복토 정지기
KR20150043619A (ko) 2013-10-12 2015-04-23 대호 (주) 두둑형성용 배토기
KR20150116201A (ko) * 2014-04-07 2015-10-15 김병규 트랙터용 두둑 형성 장치
KR20160032813A (ko) 2014-09-17 2016-03-25 명성테크 주식회사 두둑 휴립 복토기
KR20160041213A (ko) * 2014-10-07 2016-04-18 이재용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542A (ko) * 2009-01-23 2010-08-02 백남준 트랙터 부착형 휴립 복토 정지기
KR20150043619A (ko) 2013-10-12 2015-04-23 대호 (주) 두둑형성용 배토기
KR20150116201A (ko) * 2014-04-07 2015-10-15 김병규 트랙터용 두둑 형성 장치
KR20160032813A (ko) 2014-09-17 2016-03-25 명성테크 주식회사 두둑 휴립 복토기
KR20160041213A (ko) * 2014-10-07 2016-04-18 이재용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657A (ko) * 2019-05-13 2020-04-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WO2020231119A3 (ko) * 2019-05-13 2021-02-11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273479B1 (ko) * 2019-05-13 2021-07-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00136117A (ko) * 2019-05-27 2020-12-07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273483B1 (ko) * 2019-05-27 2021-07-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196065B1 (ko) * 2020-03-24 2020-12-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20035603A (ko) * 2020-09-14 2022-03-22 박기혁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KR102531382B1 (ko) 2020-09-14 2023-05-12 박기혁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946Y1 (ko) 농업용 고랑 제초기
US5285854A (en) Stalk and root embedding apparatus
US4187916A (en) Soil conditioning and seed bed preparing apparatus
US6431287B1 (en) Soil tiller assembly and method for tilling soil
CN102870537B (zh) 油菜移栽法及专用移栽机
US4524837A (en) Soil conditioning and bed preparation apparatus
KR101741125B1 (ko)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US4015667A (en) Cotton stalk and root shredder with re-bedder
CA1138700A (en) Method and implement for loosening the soil
US4267783A (en) Seed bed pr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361712A (en) Cultivating apparatus for leveling, cultivating, and resowing lawns or fields
US4588033A (en) Cotton root cutter and shredder
US4323126A (en) Ridge mulch tillage method and apparatus
CN209806370U (zh) 联合秸秆粉碎梳埋起垄机
US4577697A (en) Sod cutting apparatus
US4887372A (en) Shallow angle furrow refurbishing method and apparatus
CN215011420U (zh) 一种丘陵山地机械化除灌旋耕工作头
US5373904A (en) Cultivator blade
RU2514446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щелерез
US4660650A (en) Sod cutting apparatus
RU2644197C1 (ru) Грядоделатель
JP3856757B2 (ja) カルチべータ用ナイフ型除草装置
EP4302583A1 (en) Agricultural equipment
RU184890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RU220357U1 (ru) Лесной плу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