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382B1 -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382B1
KR102531382B1 KR1020200117544A KR20200117544A KR102531382B1 KR 102531382 B1 KR102531382 B1 KR 102531382B1 KR 1020200117544 A KR1020200117544 A KR 1020200117544A KR 20200117544 A KR20200117544 A KR 20200117544A KR 102531382 B1 KR102531382 B1 KR 102531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rolling body
transverse bar
support
w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603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20011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3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5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spring tools, i.e. resiliently- or flexibly-attached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논에서 경작하는 벼 등의 작물 사이에 생겨나는 잡초 즉, 피를 지면속으로 매몰시켜 김매기를 하기 위한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력 또는 무동력의 견인기에 결합되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에 횡방향으로 횡바가 축결합되어 좌우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하회전부; 상기 횡바에 일정간격마다 바퀴형태의 구름체가 설치되고, 상기 구름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누름편이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the weed of the paddy field}
본 발명은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논에서 경작하는 벼 등의 작물 사이에 생겨나는 잡초 즉, 피를 지면속으로 매몰시켜 김매기를 하기 위한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벼등의 작물이 식재된 무논에서는 작물의 생육과 함께 잡초들이 함께 생장하게 되고, 이러한 잡초에 의해 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게 되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김매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기존에는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김매기를 하였지만, 최근에는 기계화된 잡초제거 장치를 사용하게 되며, 그 일예로서, 공개특허 제10-2017-0074589호(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잡초를 파헤쳐 제거하는 제초날이 구비되고, 후방으로는 제거된 잡초를 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제초날과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함으로 인해서 비용이 증가되고, 제조날이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잡초를 파헤치는 구조로서, 자칫 작물의 뿌리까지 파헤치게 되어 작물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7-0074589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물 사이에 자라는 잡초를 눌러서 지면으로 매몰시킴으로써 작물이 파헤치지 않도록 하고, 잡초의 매몰시 작물의 뿌리를 눌러서 스트레스를 부여함으로써 작물의 수확량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는,
동력 또는 무동력의 견인기에 결합되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에 횡방향으로 횡바가 축결합되어 좌우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하회전부;
상기 횡바에 일정간격마다 바퀴형태의 구름체가 설치되고, 상기 구름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누름편이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와 횡바는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횡바의 상하방향 회전이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잡초를 지면으로 매몰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작물의 뿌리를 눌러서 수확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렬로 식재된 작물의 사이에 자라나는 잡초만을 매몰시킴으로써 작물과 그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 또한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견인기에 의해 견인되는 힘에 의해 구름체가 굴러서 잡초를 매몰시키게 되므로, 동력이 필요하지 않아 그 구조가 매우 단순화 됨으로써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장착되기 위한 견인기의 한 예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측면 구조도.
도4은 구름체에 의해 잡초가 눌려져서 매몰되는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누름편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장착되기 위한 견인기의 한 예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측면 구조도이다.
도4은 구름체에 의해 잡초가 눌려져서 매몰되는 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5는 누름편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무논의 잡초 제거장치는 견인기(10)의 후방에 설치된 장착부(11)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하여 들어올려거나 하강하여 경작지의 지면에 접촉된다.
도면에서는 견인기(10)의 한 예로 이앙기를 도시하였지만, 승용 관리기, 트랙터 등의 동력 견인기 또는 무동력의 견인기에 장착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견인부(100), 상하회전부(200), 누름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견인부(1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뻗은 바 형태로서, 그 전방에 형성된 축지부(110)가 상기 견인기(10)의 장착부(11)에 축지되어 상측으로 회전하거나 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견인기(10)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의 신장과 압축에 의해 축지부(110)를 중심으로 견인부(100)의 후방부위가 상측과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견인부(100)의 후방에는 상하회전부(200)가 장착되는데, 상기 상하회전부(200)는 견인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축지지홀더(210)에 축설되어 이를 중심으로 좌우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횡바(230)의 중심부위에는 후방으로 축(231)이 구비되어 그 축(231)이 상기 축지지홀더(210)에 이탈이 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축설됨으로써 좌우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횡바(230)가 탄성을 가지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축(231)을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각각 탄성체(240,250)의 하측이 고정되고, 상기 견인부(100)의 후방부위에는 상측으로 입설된 상하지지바(220)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240,250)의 상측이 고정된다.
상기 탄성체(240,250)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상기 횡바(230)가 회전한 후에는 탄성지지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탄성체(240,250)는 서로 동일한 인장력을 가지고, 상하지지바(220)와 횡바(230)를 연결하여야 한다.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상기 횡바(230)에는 일정간격마다 누름부(300)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누름부(300)의 간격은 무논에 식재된 작물 사이의 간격들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장착된다.
즉, 누름부(300) 사이에 작물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작물과 작물 사이에 자라난 잡초를 누름부(300)가 눌러서 지면으로 매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부(300)는 상기 횡바(230)에 지지암(320)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바퀴 형태의 구름체(330)가 축설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구름체(300)는 견인기(10)의 진행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장착되며, 구름체(330)의 외주면 즉 링 형태로 된 림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일정간격마다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편(3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림은 복수의 스포크에 의해 지지암(320)의 타측에 연결됨으로써 구름체(330)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암(320)은 횡바(2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횡바(230)의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누름편(331)은 잡초를 찍어서 눌러 지면으로 눌러서 매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림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그 양측은 림의 양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때 누름편(331)의 양측이 지지암(320)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지지암(320)은 구름체(330)를 양측에서 축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암(320)의 한쪽 방향을 개방시키고, 다른 쪽 방향에서만 구름체(330)를 축설시킴으로써 개방된 측방향으로 누름편(331)이 지지암(320)보다 더 돌출되더라도 지지암(320)과 누름편(331)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는 무논에 식재된 작물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는데, 만약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에 그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누름편(331)을 구름체(330)에 설치하고, 그 구름체(330)를 지지암(320)에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누름편(331)의 좌우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지지암(320)의 개방된 부위로 누름편(331)의 일측부위가 노출됨으로써 지지암(320)과 누름편(331)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복수의 구름체(330)는 작물(M)과 작물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견인기(10)의 견인에 의해 구름이동하면서 누름편(331)이 잡초(P)를 찍어 눌러서 지면으로 매몰시키게 된다.
잡초(P)를 매몰시키는 과정 중에 누름편(331)이 작물(M)의 뿌리부위를 눌러줌으로써 작물(M)에 스트레스를 부여함으로써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300)의 지지암(320)은 횡바(23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횡바(230)에는 일정간격마다 브라켓(310)이 장착되고, 그 브라켓(310)에는 한 쌍의 지지편(311,31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지지편(311,312) 사이에 지지암(320)의 일측이 회전축(313)에 의해 축결된다.
또한, 상기 횡바(230)와 지지암(320) 사이에는 탄성체(340)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암(320)을 탄성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탄성체(340)는 인장스프링으로 되어서 구름체(330)가 그 인장력에 의해 잡초(P)를 강한 힘으로써 눌러서 지면으로 매몰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체(340)가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암(320)에는 수평방향으로 바 형태의 고정부(321)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데, 그 양측부위가 지지암(32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위 양측으로 탄성체(340)의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340)의 타측은 브라켓(3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체(34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구름체(330)가 지면을 타고 넘으면서 구름이동하게 되어 이동이 원할하게 됨과 아울러 잡초(P)를 눌러서 매몰시킬 수 있는 적당량의 인장력을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구름체(330)가 구름이동하는 도중에 돌이나 암석 등의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에도 장애물을 타고 넘어 회피한 후 다시 지면에 도달하여 인장력에 의해 계속 잡초(P)를 눌러서 매몰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는 횡바(230)가 좌우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즉 롤링하여 고르지 않은 지면을 부드럽게 타고 넘으면서 구름체(330)를 계속 구름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견인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횡바(230)가 좌우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견인하는 경우에는 고르지 않은 지면 즉 융기된 지면에 자칫 구름체(330)가 박히게 되어 견인부하가 매우 증가하므로, 이로 인해 구름체(330)가 파손될 수 있으나, 상하회전부(200)에 의해 지면을 타고 부드럽게 넘으면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서, 그만큼 견인부하가 저하되면서 구름체(330)의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암(320)이 탄성체(34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당겨질 때 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지지편(311,312)의 후방부위 또는 횡바(230)의 후방부위에 스토퍼(314)가 구비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314)에 의해 지지암(320)의 높이를 지지함으로써 탄성체(340)의 인장력과 지지암(320) 및 구름체(330)의 자중에 의해 구름체(330)가 지면에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누름편의 다른 구조를 보인 도로서, 도2에서는 구름체(330)의 외주면을 가로질러 직사각형로 된 누름편(331)이 설치된 구조이지만, 그 누름편(331)의 다른 형태로서는 'V'형태, 물결무늬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견인부 200 : 상하회전부
210 : 축지지홀더 220 : 상하지지바
230 : 횡바 240,250 : 탄성체
300 : 누름부 310 : 브라켓
311,312 : 지지편 314 : 스토퍼
320 : 지지암 321 : 고정부
330 : 구름체 331 : 누름편
340 : 탄성체 M : 작물
P : 잡초

Claims (6)

  1. 동력 또는 무동력의 견인기에 결합되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에 횡방향으로 횡바가 축결합되어 좌우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하회전부;
    무논에 식재된 작물 사이의 간격들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횡바에 바퀴형태의 구름체가 설치되고, 상기 구름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가로질러 설치된 누름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부;로 구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횡바에 지지암의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횡바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타측에 축설된 구름체;
    상기 구름체의 외측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구름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측은 상기 구름체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름체는 상기 지지암에 한쪽 방향으로만 축설되어 상기 누름편이 지지암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와 횡바는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횡바의 상하방향 회전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일측은 상기 횡바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횡바와 지지암에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에는 한 쌍의 지지편이 구비된 브라켓이 체결되고, 상기 지지편 사이에서 상기 지지암의 일측이 축지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횡바와 지지암 사이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지지암을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 또는 지지편에는 상기 지지암의 하측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KR1020200117544A 2020-09-14 2020-09-14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KR10253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44A KR102531382B1 (ko) 2020-09-14 2020-09-14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44A KR102531382B1 (ko) 2020-09-14 2020-09-14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603A KR20220035603A (ko) 2022-03-22
KR102531382B1 true KR102531382B1 (ko) 2023-05-12

Family

ID=8099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44A KR102531382B1 (ko) 2020-09-14 2020-09-14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3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411A (ja) * 1998-07-28 2000-02-15 Kubota Corp 水田除草機
KR200396450Y1 (ko) * 2005-05-18 2005-09-22 주식회사 죽암기계 승용형 조,주간 제초기
KR101341793B1 (ko) 2012-09-03 2013-12-17 한국과학기술원 제초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화 로봇
KR200488946Y1 (ko) 2019-01-16 2019-04-08 신정호 농업용 고랑 제초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479B1 (ko) * 2019-05-13 2021-07-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411A (ja) * 1998-07-28 2000-02-15 Kubota Corp 水田除草機
KR200396450Y1 (ko) * 2005-05-18 2005-09-22 주식회사 죽암기계 승용형 조,주간 제초기
KR101341793B1 (ko) 2012-09-03 2013-12-17 한국과학기술원 제초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화 로봇
KR200488946Y1 (ko) 2019-01-16 2019-04-08 신정호 농업용 고랑 제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603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128A (en) High speed row crop cultivator
US4702323A (en) Ridge tillage attachment for planters
CN101331821B (zh) 多功能除草松土机
JP2018183079A (ja) 防除作業車
US3923103A (en) Cultivator skimmer device
US4117889A (en) Apparatus for guiding row crop processing implements
KR102531382B1 (ko) 무논의 잡초 제거 장치
US20110278030A1 (en) Wee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8183077A (ja) 防除作業車
KR102471983B1 (ko)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CN213847482U (zh) 一种果蔬园地面松土装置
US4887372A (en) Shallow angle furrow refurbishing method and apparatus
CN201243443Y (zh) 多功能除草松土机
US4577697A (en) Sod cutting apparatus
US5762146A (en) Nursery plant digger
EP0342065B1 (fr) Machine de reprise de labour
CA1081526A (en) Rotary hoe stripping means
US5979567A (en) Front mounted mechanical row crop guidance system
JP7195529B2 (ja) 生育中の作物に用いる農作業機、生育中の作物に用いる培土器及び生育中の作物に用いる農作業機による土寄せ方法
US3084747A (en) Land clearing apparatus
US9451739B2 (en) Agricultural undercut implements and methods
US4177743A (en) Seedling transplanter
US9032648B2 (en) Ditch forming implement
US2718185A (en) Rotary cultivator shield
CN2107120U (zh) 铺膜播种联合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