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622A - 땅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땅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622A
KR20200062622A KR1020180148230A KR20180148230A KR20200062622A KR 20200062622 A KR20200062622 A KR 20200062622A KR 1020180148230 A KR1020180148230 A KR 1020180148230A KR 20180148230 A KR20180148230 A KR 20180148230A KR 20200062622 A KR20200062622 A KR 2020006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rops
frame
crop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607B1 (ko
Inventor
하종우
하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Priority to KR102018014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2Rollers with smooth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0Digging machines with potato-picking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취부에서 굴취된 흙과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털어낼때 작물 줄기나 멀칭 필름이 엉키거나 끼이지 않도록 하고, 이송부가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굴취된 작물의 후방 이송시 흙털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방에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110)와 동력전달축(120)이 구비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두둑에 심긴 작물을 흙과 함께 굴취하는 굴취부(200)와; 상기 굴취부(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굴취된 작물과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와; 상기 이송부(300)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굴취된 두둑의 흙을 평탄하게 다짐으로써 후방으로 이송된 작물이 평탄하게 다져진 두둑 위에 낙하되어 수거하기 편리하도록 한 다짐 롤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땅속작물 수확기{Underground crop harvester}
본 발명은 마늘을 비롯해서 감자, 고구마, 도라지 등의 각종 땅속작물을 수확하는데 사용되는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굴취된 작물의 후방이송시 경사진 이송부에서 앞으로 굴러내려오지 않도록 하여 원활히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흙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확된 작물이 지면에 떨어질 때 미리 지면을 평탄하게 롤러로 다져 수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재배장소에 따라서 밭마늘과 논마늘로 구분되는데, 논마늘은 마늘 수확 후 이모작을 통해 벼농사를 한 번 더 할 수 있어 농가소득의 증대가 가능하고, 가물 때에도 밭에 비해 수로가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필요할 때 물을 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밭마늘에 비해 논마늘의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여타 작물과 마찬가지로 농촌의 인력부족으로 인해 종자(종구)를 기계적으로 파종하고 수확 또한 기계적으로 가능하도록 파종 및 수확기술이 개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마늘을 비롯하여 각종 땅속작물을 트랙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수확하기 위한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마늘 수확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의 마늘 수확기와, 특허문헌 2의 마늘 수확기 및 특허문헌 3의 땅속작물 수확기, 특허문헌 4의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 수확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마늘 수확시에는 굴취된 흙과 마늘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마늘에 달라붙은 흙을 털어서 분리한 후 이를 지면에 낙하시키거나 컨테이너 등에 수거하게 되는데,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흙을 털면서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인 컨베이어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굴취날 후방에 교호동작하는 요동축이 배치되어 굴취날에 의해 굴취된 흙과 마늘을 털어서 분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굴취날 후방에 드럼형 회전이송부를 복수개 연쇄적으로 설치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허문헌 4의 경우에도 특허문헌 1과 유사한 체인 컨베이어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밭마늘과 논마늘은 재배되는 흙의 상태가 다르고 수확시의 기후, 특히 강우량에 따라 흙의 수분함량에 의한 점도가 판이하므로 기존의 밭마늘을 수확하기 위하여 개발된 마늘 수확기를 사용할 경우 흙털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그대로 후방으로 이송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수확된 마늘의 수거시 흙을 다시 털어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수거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4에 개시된 체인 컨베이어식에서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체인 컨베이어 내측에 흙덩이나 돌이 유입되어 기계적인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많은 단점이 있고,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요동축 방식에서는 덩어리진 상태가 제대로 깨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드럼형 회전이송방식은 이송 과정에서 흙을 털어주기 위한 진동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흙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에 있어서는 굴취날로 굴취된 울퉁불퉁한 흙 위에 수확된 작물을 그대로 낙하시키게 되므로 굴취된 작물을 수거하는 작업시 작물이 굴취된 울퉁불퉁한 흙 사이에 들어가 있어서 작업자가 이를 손으로 수거하는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수확된 작물이 그대로 흙 위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져 수확량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53996호(2004.06.09.) 한국등록실용 제20-0458957호(2012.02.22.) 한국등록실용 제20-0468882호(2013.08.30.)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5028호(2017.04.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을 비롯해서 고구마, 감자, 삼채, 도라지, 더덕 등 각종 땅속작물의 수확시 굴취날로 굴취된 작물의 후방이송시 경사진 이송부에서 앞으로 굴러내려오지 않도록 하여 원활히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흙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송과정에서 작물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며, 굴취되어 흙과 분리된 작물이 지면에 떨어질 때 미리 지면을 평탄하게 하여 작물수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굴취깊이의 조절을 작물이 심겨진 두둑면을 기준으로 하여 수확기의 견인시 트랙터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최적의 깊이로 굴취가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땅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와 동력전달축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두둑에 심긴 작물을 흙과 함께 굴취하는 굴취부; 상기 굴취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굴취된 작물과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땅속작물 수확기로,
상기 굴취부는 굴취날과 이 굴취날 후방에 배치된 요동바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복수의 성형 회전체가 축에 끼워져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이 프레임의 후방 상부를 향하여 연쇄적으로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굴취부에서 굴취된 흙과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털고, 흙이 털린 작물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부의 후단 하부에는 굴취된 두둑의 흙을 평탄하게 다지기 위한 다짐 롤러가 더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성형 회전체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핑거가 형성되되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작물의 줄기나 끈 또는 멀칭 필름이 핑거에 걸려서 엉키지 않고 후방으로 원활히 이송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이송부는 고정된 1차 이송부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2차 이송부로 구성되어 밭(흙)의 상태에 따라서 2차 이송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이송과정 중의 흙털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다짐 롤러는 두둑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이송부의 후단에는 이송부로 이송되온 작물을 다짐 롤러로 다져진 흙 위로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 슈트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다짐 롤러는 프레임의 후방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 전방에 설치된 굴취부의 굴취 깊이 및 상기 다짐 롤러가 놓인 두둑면을 기준으로 해서 굴취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기에, 상기 이송부에는 굴취된 작물의 후방이송시 경사진 이송부에서 앞으로 굴러내려오지 않도록 누름수단을 더 구비하여 굴취부에서 굴취된 흙과 작물이 누름수단과 성형 회전체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후방으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이송부가 성형(星形)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굴취된 흙과 땅속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흙을 털어내도록 구성되어 있어 성형 회전체의 핑거가 흙과 접촉하면서 덩어리진 흙을 잘게 부수게 되므로 기존의 체인 컨베이어 방식이나 드럼형 회전축 방식에 비해 효과적인 흙털기가 가능하고,이송부는 2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후방의 2차 이송부를 밭(흙)의 상태에 따라서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이송과정에서의 흙털기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다짐 롤러가 굴취된 두둑의 흙을 평탄하게 다진 후 그 위에 작물이 낙하되므로 작물의 수거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짐 롤러는 프레임의 후방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굴취부의 굴취 깊이와 각도를 작물이 심겨진 두둑면을 기준으로 해서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견인부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이송부에 구비된 누름수단에 의해 굴취된 작물의 후방이송시 경사진 이송부에서 앞으로 굴러내려오지 않고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송되게 되므로 땅속작물의 굴취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의 성형 회전체 사시도,
도 4는 성형 회전체의 정면도,
도 5는 성형 회전체가 축에 결합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로 마늘을 수확하는 상태를 보인 배면부 사시도로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5에는 이송부를 구성하는 성형 회전체의 구조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가 마늘을 수확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땅속작물 중 마늘을 대표적으로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1)는 전방에 트랙터(도시 안 됨)에 연결되는 3점식 견인부(110)와 동력전달축(120)이 구비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두둑에 심긴 작물을 흙과 함께 굴취하는 굴취부(200)와; 상기 굴취부(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굴취된 작물과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와; 상기 이송부(300)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굴취된 두둑의 흙을 평탄하게 다지기 위한 다짐 롤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견인부(110)와 동력전달축(120)의 구성은 견인식 땅속작물 수확기(굴취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 부호 126은 동력전달축이고, 부호 127과 128 및 129는 각각 기어 박스(122)에서 상기 동력전달축(126)으로, 동력전달축(126)에서 이송부(30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 후방 하부에 설치된 다짐 롤러(400)는 조절핸들(41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100) 전방 하부에 설치된 굴취부(100)의 굴취 깊이와 각도를 작물이 심겨진 두둑면을 기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0) 전방 하부의 굴취부(200) 양측에는 밭 두둑 양측을 가르는 수직 날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다짐 롤러(400)에는 롤러의 표면에 달라 붙은 흙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420)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굴취부(200)는 통상적인 보습날 형태로 이루어진 굴취날(210)과, 이 굴취날(210) 후방에 배치된 요동바(2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굴취날(210)에서 두둑의 흙과 마늘을 굴취하게 되면 굴취날(210) 후방에 위치한 요동바(220)가 상하로 요동하면서 굴취된 마늘과 함께 크게 덩어리진 흙덩이를 털어주면서 이송부(300) 쪽으로 흙과 마늘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요동바(220)는 동력전달축(120)이 연결된 기어박스(122)의 출력축(124)에 편심 연결된 로드(222)에 의해 요동하게 되어 상기 굴취날(210)에서 굴취된 흙덩어리와 마늘을 부수면서 이송부(300)로 넘겨주게 된다.
상기 이송부(300)는 복수의 성형 회전체(310)가 하나의 축(320)에 끼워져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축(320)이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를 향하여 연쇄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연쇄적으로 체인(340)으로 연결되어 있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굴취부(200)에서 굴취된 흙과 마늘(도시 생략됨)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성형 회전체(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핑거(312)가 축부(314)를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일종의 불가사리(starfish)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핑거(312)는 성형 회전체(3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약 15~20°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위와 좌우로 인접하는 성형 회전체 사이를 지나가는 마늘과 흙덩이에 포함되어 있는 마늘 줄기나 끈 또는 멀칭 필름 조각 등이 상기 핑거(312)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이송되다가 핑거에 걸리지 않고 타고 넘어가게 됨으로써 핑거에 마늘 줄기나 끈 또는 멀칭 필름 등이 걸려 엉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 회전체(310)는 적어도 핑거 부분이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재로 제작되어 마늘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이송부(300a)의 성형 회전체(310)는 단단한 재질로, 2차 이송부(300b)의 성형 회전체(310)는 1차 이송부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여 핑거의 마모를 줄이고, 이송과정에서 작물의 손상 특히,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작물의 경우에는 체인 이송방식의 경우 표면 손상이 크지만, 본 발명의 성형 회전체에 의한 이송방식에서는 작물의 표면손상을 최소화하여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300)는 하측의 1차 이송부(300a)와 상측의 2차 이송부(300b)로 이루어져 있고, 2차 이송부(300b)는 1차 이송부(300a)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조절되거나 이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턴 버클(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마늘이 심겨진 흙의 점도 등에 따라서 2차 이송부(300b)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후방으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흙과 마늘이 분리되도록 털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1차 이송부(300a)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2차 이송부(300b)는 프레임(100) 후방에 힌지결합된 보조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2차 이송부(300b)의 기울기 조절은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된 턴버클(150)의 신축 조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도를 완만하게 조절할 경우에는 흙털기를 그다지 많이 해주지 않아도 되는 상황, 예를 들면, 밭마늘이나 점도가 낮은 논에 심긴 마늘을 수확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2차 이송부(300b)의 각도를 1차 이송부(300a)와 동일하게 조절할 경우에는 굴취 후 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흙털기를 많이 해주어야 하는 논마늘이나 점도가 높은 밭에 심긴 마늘을 수확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이 2차 이송부(300b)의 각도 조절은 작업자가 수확하는 밭이나 논의 흙상태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300)의 상측에는 누름수단(350)이 설치되어 굴취된 흙과 작물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누름수단(350)은 적정한 두께의 PVC필름이나 아스테이지와 같은 질기고 투명한 연질 시트(352)와 상기 연질 시트(352)를 눌러주기 위한 탄성바(354))로 이루어지고, 이 탄성바(354)와 연질 시트(352)의 선단은 프레임(100)에 힌지고정되어 있어 굴취된 흙과 작물이 이송되게 되면 연질 시트(352)가 자체의 무게에 의해 지긋이 흙과 작물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후방으로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연질 시트(352)는 흙과 작물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서 상방으로 들리는 정도가 탄성바(354)의 무게와 탄성에 의해 스스로 조절되므로 적당한 누름력에 의해 흙과 작물의 후방 이송을 원활하게 해주게 되고,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된 이송부(300)에서 흙과 작물이 전방으로 흘러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짐 롤러(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의 폭보다 좁은 폭(대략 두둑의 절반 폭)으로 이루어지고, 이송부(300)의 후단 즉, 보조 프레임(130)의 후단 양측에는 이송부(300)에서 후방 상부로 이송되어 온 작물을 다짐 롤러(400)로 다져진 흙 위로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 슈트(360)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수확된 작물이 가운데 부분으로 모여지도록 함으로써 수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짐 롤러(400)의 폭을 두둑의 폭보다 작게 형성한 또 다른 이유는 다짐 롤러(400)의 폭을 두둑의 폭과 같게 넓게 제작할 경우 다짐 롤러(400)의 전방에 굴취된 흙이 정체되면서 흙을 안아서 끌고 진행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트랙터의 견인부하가 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1)는 다수의 성형 회전체(310)로 이루어진 이송부(300)가 기존의 체인 컨베이어 방식이나 드럼형 회전축 방식에 비해 효과적인 흙털기가 가능하면서도 작물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성형 회전체(310)의 핑거(312)는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어 이물질이 걸리지 않으므로 엉킴이 방지되며, 이송부(300)는 2단 구조 즉, 프레임(100) 하부의 1차 이송부(300a)와 보조 프레임(130) 하부의 2차 이송부(300b)로 이루어져 있어서 후방의 2차 이송부(300b)를 밭(흙)의 상태에 따라서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거나 불필요시 떼어냄으로써 이송과정에서의 흙털기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다짐 롤러(400)가 굴취된 두둑의 흙을 평탄하게 다진 후 그 위에 작물이 낙하되므로 작물의 수거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짐 롤러(400)는 프레임(보조 프레임)의 후방에서 조절핸들(410)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00) 전방 하부의 굴취부(200) 굴취 깊이와 각도를 작물이 심겨진 두둑면을 기준으로 해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작물의 굴취깊이를 최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도 트랙터의 견인부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송부(300)에 구비된 누름수단(350)에 의해 굴취된 작물의 후방이송시 후방 상부로 경사진 이송부(300)에서 앞으로 굴러내려오지 않고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송되게 되므로 땅속작물의 굴취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땅속작물 수확기
100 : 프레임
110 : 견인부
120 : 동력전달축
122 : 기어박스
124 : 출력축
126 : 동력전달축
127,128,129 : 체인
130 : 보조 프레임
140 : 수직 날부
150 : 턴 버클
200 : 굴취부
210 : 굴취날
220 : 요동바
222 : 로드
300 : 이송부
300a : 1차 이송부
300b : 2차 이송부
310 : 성형 회전체
312 : 핑거
313,315 : 요철결합부
314 : 축부
316 : 축 구멍
320 : 축
340 : 체인
350 : 누름수단
352 : 연질시트
354 : 탄성바
360 : 안내 슈트
400 : 다짐 롤러
410 : 조절핸들
420 : 스크레이퍼

Claims (5)

  1. 전방에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110)와 동력전달축(120)이 구비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두둑에 심긴 작물을 흙과 함께 굴취하는 굴취부(200); 상기 굴취부(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굴취된 작물과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굴취부(200)는 굴취날(210)과 이 굴취날(210) 후방에 배치된 회전날(220)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300)는 복수의 성형 회전체(310)가 축(320)에 끼워져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320)이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를 향하여 연쇄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굴취부(200)에서 굴취된 흙과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털고, 흙이 털린 작물은 지면으로 낙하되되 상기 이송부(300)의 후단 하부에는 굴취된 두둑의 흙을 평탄하게 다지기 위한 다짐 롤러(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짐 롤러(400)는 두둑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300)의 후단에는 이송부(300)로 이송되온 작물을 다짐 롤러(400)로 다져진 흙 위로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 슈트(3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다짐 롤러(400)는 프레임(100)의 후방에서 조절핸들(410)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에는 굴취된 작물의 후방이송시 경사진 이송부에서 앞으로 굴러내려오지 않도록 누름수단(3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350)은 연질 시트(352)와 상기 연질 시트(352)를 눌러주기 위한 탄성바(354)로 이루어지고, 탄성바(354)와 연질 시트(352)의 선단은 프레임(100)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KR1020180148230A 2018-11-27 2018-11-27 땅속작물 수확기 KR10213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30A KR102136607B1 (ko) 2018-11-27 2018-11-27 땅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30A KR102136607B1 (ko) 2018-11-27 2018-11-27 땅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22A true KR20200062622A (ko) 2020-06-04
KR102136607B1 KR102136607B1 (ko) 2020-07-22

Family

ID=7108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30A KR102136607B1 (ko) 2018-11-27 2018-11-27 땅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6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62B1 (ko) * 2020-10-30 2021-07-29 박민규 뿌리 작물 수확 장치
KR20220033253A (ko) * 2020-09-09 2022-03-16 이학남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KR20220054991A (ko) * 2020-10-26 2022-05-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작물 수확기
KR102474439B1 (ko) * 2022-02-25 2022-12-05 노정현 로터리식 제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958B1 (ko) * 2021-01-25 2021-06-22 주식회사 불스 마늘 수확장치
KR20230155159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821A1 (en) * 1999-09-02 2001-03-08 Richard Pearson Limited Separating device
KR200353996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마늘 수확기
JP2004283045A (ja) * 2003-03-20 2004-10-1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KR100818251B1 (ko) * 2007-08-21 2008-04-03 엠테크영농조합법인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20090109412A (ko) * 2008-04-15 2009-10-20 서광일 근채류 수확 장치
JP4706084B2 (ja) * 2006-02-08 2011-06-22 田中工機株式会社 農作物掘取機
KR200458957Y1 (ko) 2010-03-02 2012-03-21 이권재 마늘 수확기
KR200468882Y1 (ko) 2011-07-29 2013-09-06 이재용 땅속작물 수확기
KR20170045028A (ko) 2015-10-16 2017-04-26 노술해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821A1 (en) * 1999-09-02 2001-03-08 Richard Pearson Limited Separating device
JP2004283045A (ja) * 2003-03-20 2004-10-1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KR200353996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마늘 수확기
JP4706084B2 (ja) * 2006-02-08 2011-06-22 田中工機株式会社 農作物掘取機
KR100818251B1 (ko) * 2007-08-21 2008-04-03 엠테크영농조합법인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20090109412A (ko) * 2008-04-15 2009-10-20 서광일 근채류 수확 장치
KR200458957Y1 (ko) 2010-03-02 2012-03-21 이권재 마늘 수확기
KR200468882Y1 (ko) 2011-07-29 2013-09-06 이재용 땅속작물 수확기
KR20170045028A (ko) 2015-10-16 2017-04-26 노술해 흙털이 기능을 하는 컨베이어가 장착된 구근수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253A (ko) * 2020-09-09 2022-03-16 이학남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KR20220054991A (ko) * 2020-10-26 2022-05-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작물 수확기
KR102283662B1 (ko) * 2020-10-30 2021-07-29 박민규 뿌리 작물 수확 장치
KR102474439B1 (ko) * 2022-02-25 2022-12-05 노정현 로터리식 제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607B1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607B1 (ko) 땅속작물 수확기
CN104641781B (zh) 一种生姜清理定量装箱与秸秆粉碎压块联合收获机
CN103314698B (zh) 分级式薯类联合收获机
JP6034230B2 (ja) ねぎ掘り起し収穫機
KR102183647B1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CN107615924A (zh) 农膜卷收机
CN113196933A (zh) 集杀秧、挖掘、分离、收集为一体的马铃薯收获机及收获方法
CN105794386A (zh) 自走式马铃薯联合收获机
CN204539930U (zh) 一种生姜清洗定量装箱与秸秆粉碎压块联合收获机
KR100857586B1 (ko) 경운기 부착식 고랑 및 두둑 조성장치
KR100927540B1 (ko) 농작물 수확장치
KR102283662B1 (ko) 뿌리 작물 수확 장치
KR20200065238A (ko)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100194999B1 (ko) 괴경 작물 수확기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RU185154U1 (ru) Картофелекопатель
CN109964559A (zh) 残膜捡拾回收装置
KR102201118B1 (ko) 수확기용 평탄장치
CN110637587B (zh) 一种川芎收获机
RU195156U1 (ru) Картофелекопатель
CN210537459U (zh) 一种适用于不规则山地的小型马铃薯收获装置
CN207783467U (zh) 农膜卷收机
KR101938782B1 (ko) 땅속작물 수확기
KR100227195B1 (ko) 괴경작물 수확기
CN2351923Y (zh) 花生挖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