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412A - 근채류 수확 장치 - Google Patents
근채류 수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9412A KR20090109412A KR1020080034850A KR20080034850A KR20090109412A KR 20090109412 A KR20090109412 A KR 20090109412A KR 1020080034850 A KR1020080034850 A KR 1020080034850A KR 20080034850 A KR20080034850 A KR 20080034850A KR 20090109412 A KR20090109412 A KR 20090109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knife
- excavation
- frame
- ch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5/00—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운기에 부착되어 감자, 고구마 등과 같은 근채류(根菜類)를 수확하는 근채류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무손을 갖는 이송축의 회전에 의하여 감자와 흙이 복잡한 동선(動線)을 그리며 이송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감자와 흙의 분리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자로부터 흙이 용이하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잡초나 수분이 많은 재배지에서도 이중의 작업을 할 필요없이 알뜰하게 감자 등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무손의 탄성은 흙을 파쇄하는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이 많은 재배지에서도 수확 성능이 개선되며, 고무손의 부드러움에 의해 감자의 껍질이 벗겨지거나 깨지는 일을 최소화시킨다.
감자수확, 이송축, 요동암, 굴취칼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운기나 트랙터(이하, '경운기'라 한다)에 부착되어 감자, 고구마 등과 같은 근채류(根菜類)를 수확하는 근채류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자 등을 포함하는 근채류 수확장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봉이 체인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봉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흙을 거르고 감자만을 이송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동력 전달장치가 외부로 노출된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기 쉬우며, 장치가 크고 무거워 탈부착시 2인이 작업을 해야 하므로 수확 작업시 경로자 또는 부녀자들이 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봉과 체인으로 흙을 거르는 방식의 취약점은 체인의 구동부 위에 굵고 작은 돌들이 자주 끼이게 되어, 이를 제거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또한, 체인에 연결되는 봉과 봉사이의 일정한 간격이 커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근채류의 특성상 뒤로 이송이 되지 않고 흙과 함께 빠지는 것이 많아 알뜰하게 수확하기 곤란하다.
특히, 잡초가 많거나 수분이 많은 재배지에서는 흙이나 잡초가 감자와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므로, 사람의 손으로 호미 등을 이용하여 다시 수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러 조건을 갖는 재배지에서도 알뜰하게 수확을 할 수 있는 근채류 수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그와 같은 장치를 경운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에게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부위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운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이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측면프레임; 측면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며, 그 하단에 땅을 굴취하는 굴취칼이 형성된 굴취프레임; 및 굴취칼의 후방에 평행하게 정렬되며, 그 양단이 측면프레임에 지지되어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굴취칼에 의하여 올려진 감자와 흙을 분리하며 감자를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축을 포함하고, 각 이송축은 복수의 고무손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무손 단위체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근채류 수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부프레임은, 경운기에 핀에 의해 연결되는 핀 연결부; 그 양단이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파이프;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며, 입력축으로부터 기어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이송축 중 하나의 이송축에 전달시키는 전달축; 및 기어를 덮는 제1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전달축의 단부는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위에 이송축에 제1체인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스프로켓이 장착되고, 스프로켓 및 제1체인은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커버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전달축으로부터 제1체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이송축을 제외한 이송축들은 제2체인에 의하여 제1체인이 배치된 반대쪽 측면 프레임의 외측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2체인 및 제2체인이 걸려지는 이송축의 스프로켓들은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커버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입력축은 경운기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벨트 풀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굴취프레임은, 굴취칼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측면프레임에 그 양단이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굴취칼 지지봉; 굴취칼의 후방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굴취칼에 의하여 파여진 흙과 감자가 들어올려지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굴취칼 지지봉에 진동하는 토크를 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요동암; 및 상부프레임에 지지되며, 굴취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입력축의 단부에는 입력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축이 구비되어, 요동암의 단부가 편심축에 끼워져 진동하는 토크를 굴취칼 지지봉에 전달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복수의 가이드는 인접되는 이송축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무손 단위체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격된 상태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이송축은,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이송축; 및 제1이송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2 및 제3이송축을 포함하고, 인접되는 각 이송축에 장착되는 고무손 단위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격된 상태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각 이송축은 각진 단면을 갖는 중심축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무손 단위체들은 이송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중심홀이 마련되어, 중심축에 고무손 단위체의 중심홀이 하나씩 끼워져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굴취칼은 그 중심부위가 연직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근채류 수확장치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무손을 갖는 이송축의 회전에 의하여 감자와 흙이 복잡한 동선(動線)을 그리며 이송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감자와 흙의 분리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자로부터 흙이 용이하게 분리 될 뿐만 아니라, 잡초나 수분이 많은 재배지에서도 이중의 작업을 할 필요없이 알뜰하게 감자 등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무손의 탄성은 흙을 파쇄하는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이 많은 재배지에서도 수확 성능이 개선되며, 고무손의 부드러움에 의해 감자의 껍질이 벗겨지거나 깨지는 일을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감자와 흙의 이송 및 분리 방식은 몇 가지의 이송축의 배열로도 구현하는 것이므로 그만큼 장치의 길이가 짧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고, 혼자서도 탈부탁이 용이하고 경로자나 부녀자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가 덜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은 지지파이프 또는 제1 내지 제3커버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므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굴취프레임을 편심축에 연결된 요동암에 의하여 굴취칼을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므로 흙을 파쇄시키는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굴취칼은 그 중심부위가 연직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감자가 심어진 이랑의 구조에 맞게 최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또한 체인과 같이 회전하는 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로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지 않게 되어 작업의 연속성이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가 경운기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확장치(1)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100)에 의하여 견인되면서 경운기(100)로부터 동력을 얻어 재배지를 굴취하여 감자, 고구마 또는 우엉 등과 같은 근채류를 수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수확장치(1)는 경운기(1)에 견인되기 위한 핀연결부(13)와, 벨트(103)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풀리(21) 및 재배지를 굴취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수확장치(1)의 후미부에는 미륜(90)이 구비되어 있어, 미륜(90)에 의하여 수확장치(1)를 지지하며 경운기(100)에 의하여 견인되어 구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수확장치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확장치(1)는 전체적으로 상부프레임(10), 한 쌍의 좌우 측면프레임(40A,40B) 및 굴취된 재배지의 흙과 감자로부터 흙을 분리하고 감자만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축(50) 및 미륜(90)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프레임(10)은 도 1과 같은 경운기(100)에 견인될 수 있도록 하며, 경운기(1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이송축(50)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부프레임(10)은 견인되기 위해 경운기(100)에 핀으로 연결되는 핀연결부(13), 경운기(100)로부터 동력을 입력받는 입력축(22), 입력축(22)과 입력축(22)으로부터 기어(23,24)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축(50)에 전달하는 전달축(27) 및 그 양단이 측면프레임(40A,40B)에 지지되는 지지파이프(15)를 포함하고 있다.
핀연결부(13)는 기어(23,24)가 수용될 공간을 두고 형강을 맞대어 용접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기어(23,24)가 수용되는 부분은 상부프레임(10)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커버(14)에 의하여 가려진다.
지지파이프(1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핀연결부(13)에 대하여 수직 형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지지파이프(15)의 내부에는 입력축(22)에 의하여 전달받은 동력을 이송축(5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축(도 4의 27번 참조)이 배치된다.
지지파이프(15)가 지지되는 좌우 측면프레임(40A,40B)은 상부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프레임(40A,40B)의 사이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이송축(50)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송축(5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이송축(50A,50B,50C)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전달축(27)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은 제1이송축(50A)에 먼저 전달되고, 제2 및 제3이송축(50B,50C)은 제1이송축(50A)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도 2b와 같이, 전달축(27)과 제1이송축(50A)은 좌측면프레임(40A)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에 제1체인(55)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스프로켓(26,52)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제1체인(55) 및 스프로켓(26,52)은 좌측면프레임(40A)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커버(41)에 의하여 가려진다.
미륜(90)은 양 측면프레임(40A,40B)의 후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재배지에 대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수확장치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프레임(40A,40B)의 전방에는 재배지를 굴취하기 위한 굴취프레임(30)이 구비된다.
굴취프레임(30)의 하단에는 굴취칼(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굴취칼(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굴취칼(31)을 지지함과 아울러 측면프레임(40A,40B)에 대하여는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굴취칼 지지대(32)를 포함하고 있다.
굴취칼(31)의 후방에는 굴취된 재배지의 흙과 감자 등을 위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33)가 형성된다.
양 측면프레임(40A,40B)의 선단에는 굴취된 흙이 외측으로 흘러 나가지 않도록 흘러내림 방지판(4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제2 및 제3이송축(50B,50C)은 좌측면프레임(40A)의 외측에서 제1이송축(50A)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내지 제3이송축(50A,50B,50C)은 좌측면프레임(40A)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제3체인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스프로켓(51A,51B,51C)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좌측면프레임(40A)의 외측에서 동력을 전달받은 제1이송축(50A)은 우측면프레임(40B)의 외측에서 제2 및 제3이송축(50B,50C)에 동력을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제2체인(53) 및 스프로켓(51A,51B,51C)은 우측면프레임(40B)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커버(42)에 의하여 가려진다.
이와 같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23,24), 스프로켓(26,52,51A,51B,51C) 및 체인(55,53)은 제1 내지 제3커버(14,41,42)에 의하여 가 려질 뿐만 아니라, 전달축(27)이 지지파이프(15)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초나 돌 등이 끼어 고장이 유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줄인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확장치의 동력전달계통을 보인 배치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103)에 의하여 경운기(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입력축(22)은 기어(23,24)에 의하여 지지파이프(15)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달축(27)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전달축(27)의 끝단의 스프로켓(26,52)과 제1이송축(50A)의 스프로켓(26,52)은 제1체인(55)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력이 하방으로 전달된다. 제2이송축 및 제3이송축(50B,50C)은 제1체인(55)의 반대쪽에서 제2체인(53)에 의하여 제1이송축(50A)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회전된다.
입력축(22), 전달축(27) 및 이송축(50)은 베어링(44)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정숙한 회전을 도울 수 있다. 그리고, 제1체인(55) 및 제2체인(53) 상에는 체인(55,53)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긴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아이들러(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a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축(22)의 끝단에는 후술하는 굴취칼 프레임(30)에 요동을 가하기 위한 편심축(62)이 형성된다. 편심축(62)은 입력축(22)의 중심과 일정 거리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어, 그에 구속되는 회전암(61)은 입력축(22)이 회전될 때 굴취칼 지지대(32)에 형성되어 있는 요동암(35)에 진동하는 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굴취칼(31)이 재배지에 대하여 진행할 시 전후로 진동하게 되어 굴취를 용이하게 한다.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굴취칼 프레임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6b는 굴취칼 프레임의 측면도이며, 도 6c는 재배지에 진행중인 굴취칼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의하면, 굴취칼 지지대(32)는 굴취칼(31)이 재배지에 대하여 전후로 진동할 수 있도록 굴취칼(31)을 지지하고 있으며, 상부에 요동암(35) 및 조절나사부(39)를 포함하고 있다. 조절나사부(3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조절손잡이(18)에 체결된다. 굴취칼(31)의 깊이는 조절손잡이(18)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된다.
도 6b 및 도 6c에 의하면, 굴취칼(31)은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θ)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 부위는 연직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굴취칼(31)에 의하여 굴취되는 부분을 감자가 위치된 곳으로 집중시키고 불필요한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확장치(1)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7a는 각 이송축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고무손을 이송축으로부터 분리시킨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c는 각 이송축이 정렬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축(50)은 복수의 고무손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무손 단위체(56)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고무손 단위체(56)는 각봉(57)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각봉(57)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홀(5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봉(57)이 회전하면 고무손 단위체(56)도 함께 회전된다.
고무손(56a)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6개로 이루어 진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고무손(56a)의 수는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무손(56a)은 흙이 축과 축 사이에 떨어지게 하고 감자는 뒤로 이송시키며 각 손가락은 탄력이 있어 흙을 파쇄하는 능력을 배가시키며 잡초가 많거나 수분이 많은 재배지에서의 수확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고무손(56a)의 탄력은 감자를 이송시 튕겨주는 역할을 하므로 감자가 지표면으로 쉽게 올라오도록 할 뿐 아니라, 고무손(56a)의 부드러움은 종래의 기술에 적용되고 있는 체인에 비해 껍질이 벗겨지거나 깨지는 일이 거의 없다.
도 7c에 의하면, 이송축(50)은 굴취칼의 후방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구체적으로, 이송축(50)은 평행하게 되어 있되, 각 고무손 단위체(56) 및 가이드(33)는 엇갈리면서도 진행방향에 대하는 겹쳐지게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축(50)이 회전되면 흙(120)은 각 고무손 단위체(56)의 사이 사이의 틈으로 빠지고 감자(110)만이 후방으로 이송된다. 즉, 흙(120)은 복수의 이송축(50)의 회전작용에 의하여 털어내듯이 제거되므로 분리효율이 우수하다. 이러한 고무손 단위체(56)의 촘촘하면서도 우수한 분리 성능은 작은 알의 감자도 수확할 수 있도록 하여 힘들여 지은 수확물을 보다 알뜰하게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가 경운기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수확장치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수확장치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확장치의 동력전달계통을 보인 배치도
도 5는 도 3a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굴취칼 프레임의 전방 사시도
도 6b는 굴취칼 프레임의 측면도
도 6c는 재배지에 진행중인 굴취칼의 단면도
도 7a는 각 이송축의 사시도
도 7b는 고무손을 이송축으로부터 분리시킨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c는 각 이송축이 정렬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근채류 수확장치에 의하여 감자를 수확하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Claims (11)
- 경운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이 고정되는 상부프레임;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측면프레임;상기 측면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고, 그 하단에 재배지를 굴취하는 굴취칼이 형성된 굴취프레임; 및상기 굴취칼의 후방에 평행하게 정렬되며, 그 양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굴취칼에 의하여 올려진 감자와 흙을 분리하며 감자를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축을 포함하고,상기 각 이송축은 복수의 고무손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무손 단위체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상기 경운기에 핀에 의해 연결되는 핀연결부;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파이프;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기어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이송축 중 하나의 이송축에 전달시키는 전달축; 및상기 기어를 덮는 제1커버를 포함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달축의 단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위에 상기 이송축에 제1체인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스프로켓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로켓 및 제1체인은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커버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달축으로부터 제1체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이송축을 제외한 이송축들은 제2체인에 의하여 상기 제1체인이 배치된 반대쪽 측면 프레임의 외측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체인 및 상기 제2체인이 걸려지는 상기 이송축의 스프로켓들은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커버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축은 상기 경운기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벨트 풀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프레임은,상기 굴취칼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에 그 양단이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굴취칼 지지대;상기 굴취칼의 후방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굴취칼에 의하여 파여 진 흙과 감자가 들어 올려지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상기 굴취칼 지지대에 상기 진동하는 토크를 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요동암; 및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굴취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입력축의 단부에는 상기 입력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축이 구비되어, 상기 요동암의 단부가 상기 편심축에 끼워져 진동하는 토크를 상기 굴취칼 지지봉에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인접되는 상기 이송축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무손 단위체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격된 상태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축은,상기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이송축; 및상기 제1이송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2 및 제3이송축을 포 함하고,인접되는 상기 각 이송축에 장착되는 고무손 단위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이격된 상태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이송축은 각진 단면을 갖는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무손 단위체들은 상기 이송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중심홀이 마련되어, 상기 중심축에 상기 고무손 단위체의 중심홀이 하나씩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굴취칼은 그 중심부위가 연직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850A KR20090109412A (ko) | 2008-04-15 | 2008-04-15 | 근채류 수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850A KR20090109412A (ko) | 2008-04-15 | 2008-04-15 | 근채류 수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412A true KR20090109412A (ko) | 2009-10-20 |
Family
ID=4155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4850A KR20090109412A (ko) | 2008-04-15 | 2008-04-15 | 근채류 수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9412A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3850B1 (ko) * | 2013-02-06 | 2013-10-31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장치 |
KR101399098B1 (ko) * | 2014-01-06 | 2014-05-28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장치 |
KR20160025861A (ko) | 2014-08-28 | 2016-03-09 | 광성주식회사 | 구근작물 수확장치 |
KR101893057B1 (ko) * | 2017-05-23 | 2018-08-30 | 이권재 | 저진동 뿌리 작물 수확장치 |
KR101967419B1 (ko) * | 2017-12-08 | 2019-04-09 | (주)죽암엠앤씨 | 구근 작물 수확기 |
KR101942767B1 (ko) * | 2018-10-22 | 2019-04-17 | 이학남 | 구근류 농작물 수집형 수확기 |
CN110663341A (zh) * | 2019-09-30 | 2020-01-10 | 徐州库卡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耐磨掘取振动刀装置 |
KR20200062622A (ko) * | 2018-11-27 | 2020-06-04 |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 땅속작물 수확기 |
CN111357465A (zh) * | 2020-03-31 | 2020-07-03 |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 连根收割的叶类蔬菜收割机 |
KR20210051703A (ko) * | 2019-10-31 | 2021-05-10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수집형 마늘 수확기 |
KR20220107764A (ko) * | 2021-01-26 | 2022-08-02 | 박기혁 | 돌 채집 및 파쇄 장치 |
CN115088458A (zh) * | 2022-05-10 | 2022-09-23 | 湖南农业大学 | 一种红薯收获装置 |
KR102458654B1 (ko) | 2022-04-08 | 2022-10-24 | 김태연 | 알뿌리 작물 수확장치 |
-
2008
- 2008-04-15 KR KR1020080034850A patent/KR200901094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3850B1 (ko) * | 2013-02-06 | 2013-10-31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장치 |
KR101399098B1 (ko) * | 2014-01-06 | 2014-05-28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장치 |
KR20160025861A (ko) | 2014-08-28 | 2016-03-09 | 광성주식회사 | 구근작물 수확장치 |
KR101893057B1 (ko) * | 2017-05-23 | 2018-08-30 | 이권재 | 저진동 뿌리 작물 수확장치 |
KR101967419B1 (ko) * | 2017-12-08 | 2019-04-09 | (주)죽암엠앤씨 | 구근 작물 수확기 |
KR101942767B1 (ko) * | 2018-10-22 | 2019-04-17 | 이학남 | 구근류 농작물 수집형 수확기 |
KR20200062622A (ko) * | 2018-11-27 | 2020-06-04 |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 땅속작물 수확기 |
CN110663341A (zh) * | 2019-09-30 | 2020-01-10 | 徐州库卡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耐磨掘取振动刀装置 |
KR20210051703A (ko) * | 2019-10-31 | 2021-05-10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수집형 마늘 수확기 |
CN111357465A (zh) * | 2020-03-31 | 2020-07-03 |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 连根收割的叶类蔬菜收割机 |
KR20220107764A (ko) * | 2021-01-26 | 2022-08-02 | 박기혁 | 돌 채집 및 파쇄 장치 |
KR102458654B1 (ko) | 2022-04-08 | 2022-10-24 | 김태연 | 알뿌리 작물 수확장치 |
CN115088458A (zh) * | 2022-05-10 | 2022-09-23 | 湖南农业大学 | 一种红薯收获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109412A (ko) | 근채류 수확 장치 | |
KR101669615B1 (ko) | 지중 작물 수확장치 | |
JP6034230B2 (ja) | ねぎ掘り起し収穫機 | |
KR102048005B1 (ko) |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 |
KR100835667B1 (ko) | 지중 작물 수확 장치 | |
KR101393504B1 (ko) | 땅콩 수확기 | |
KR101676602B1 (ko) | 무진동형 땅속작물 수확기 | |
KR20180072141A (ko) | 알뿌리 작물 수확기 | |
KR101621139B1 (ko) | 뿌리 수확을 위한 줄기 제거장치 | |
JP6115984B2 (ja) | 農作業機 | |
KR100562562B1 (ko) | 알 뿌리 채취기 | |
JP2017205079A (ja) | 茎葉処理機 | |
KR0115759Y1 (ko) | 트렉터용 구근류 수확기 | |
CN110637587A (zh) | 一种川芎收获机 | |
JP4323976B2 (ja) | 農作業機 | |
JP2021040602A (ja) | 鱗茎野菜収穫機 | |
KR101399098B1 (ko) | 뿌리작물 수확장치 | |
JP7198502B2 (ja) |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 |
JP3450740B2 (ja) | 栽培作物用作業機 | |
JP2013070630A (ja) | 野菜収穫機 | |
JP7281375B2 (ja) | 鱗茎野菜収穫機 | |
WO2021049412A1 (ja) | 鱗茎野菜収穫機 | |
JP3463411B2 (ja) | 根菜収穫機 | |
JP3279543B2 (ja) | 収穫機 | |
JP3181047B2 (ja) | 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