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419B1 - 구근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구근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7419B1 KR101967419B1 KR1020170168237A KR20170168237A KR101967419B1 KR 101967419 B1 KR101967419 B1 KR 101967419B1 KR 1020170168237 A KR1020170168237 A KR 1020170168237A KR 20170168237 A KR20170168237 A KR 20170168237A KR 101967419 B1 KR101967419 B1 KR 101967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bulb
- crop
- unit
- bulbo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트렉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근작물을 채굴하는 작물굴취부와, 작물굴취부로부터 굴취된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분리하는 구근 흙분리부 및 구근흙분리부를 거친 구근작물을 작물굴취부 반대편으로 이송하는 작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근채취유닛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구근채취유닛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구비하고, 구근 흙분리부는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작물굴취부를 거쳐 진입되는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분리하도록 제1원형봉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돌기를 갖는 제1흙제거롤러와, 제1흙제거롤러를 거친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해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원형봉체의 외주면에 제2원형봉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되 제2원형봉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돌기를 갖는 제2흙제거롤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근 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채굴된 구근작물로부터의 흙분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손상을 억제하면서 채굴된 구근작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근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분리하여 손상을 억제하면서 수확할 수 있도록 된 구근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서 생육되는 구근작물로는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인삼 등이 있다. 이러한 구근작물을 외피의 손상 없이 수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구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구근 수확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36946호에는 땅속작물 수확기가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땅속작물 수확기는 채굴된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흙분리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의 진동에 의해 작물이 상방으로 튀는 경우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중간쏠림방지 플레이트 위로 이송되는 작물은 오히려 중간쏠림 방지플레이트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채굴된 구근작물로부터의 흙분리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손상을 억제하면서 채굴될 구근작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구근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작물 수확기는 트렉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근작물을 채굴하는 작물굴취부와, 상기 작물굴취부로부터 굴취된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분리하는 구근 흙분리부 및 상기 구근흙분리부를 거친 구근작물을 상기 작물굴취부 반대편으로 이송하는 작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근채취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상기 구근채취유닛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근 흙분리부는 상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물굴취부를 거쳐 진입되는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분리하도록 제1원형봉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돌기를 갖는 제1흙제거롤러와; 상기 제1흙제거롤러를 거친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원형봉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2원형봉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제2원형봉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돌기를 갖는 제2흙제거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작물 이송부는 상기 제2흙제거롤러를 거쳐 진행되는 구근작물을 상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시키는 구근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근 이송컨베이어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의 엔드 체인과; 상기 엔드 체인에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이송봉들과; 상기 엔드 체인 사이에 폐궤도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봉들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 회전띠;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중간지지 회전띠로의 구근작물의 접근을 억제시켜 구근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간지지회전띠 상부에 상기 중간지지회전띠와 이격되되 상기 중간지지회전띠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중간지지회전띠의 폭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상처방지봉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근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구근작물의 진동에 의한 상부로의 상승높이를 억제시켜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근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구근작물 이송영역을 커버하도록 펼쳐지게 설치된 작물튐 억제막;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채굴된 구근작물로부터의 흙분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손상을 억제하면서 채굴된 구근작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작물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측판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흙제거롤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흙제거롤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작물튐 억제막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일부 요소를 제거하여 작물튐 억제막이 노출되게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측판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흙제거롤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흙제거롤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작물튐 억제막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일부 요소를 제거하여 작물튐 억제막이 노출되게 도시한 사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근 작물 수확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작물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근 작물 수확기의 측판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작물 수확기(100)는 프레임(110)과, 구근채취유닛(120) 및 동력전달유닛(170)를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트렉터(미도시)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11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견인부(112)는 트랙터의 차체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견인브라켓(113)과, 트랙터에 설치된 액튜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채취위치 모드와 비채취유닛 모드로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브라켓(114)을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구근작물 수확기(11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제1측판(115)과 제2측판(116)을 구비한다.
구근 채취유닛(120)은 프레임(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근작물을 채굴하는 작물굴취부(130)와, 작물굴취부(130)로부터 굴취된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분리하는 구근 흙분리부(140) 및 구근흙분리부(140)를 거친 구근작물을 작물굴취부(130) 반대편으로 이송하는 작물 이송부(150)를 구비한다.
작물굴취부(130)는 프레임(110)의 전면측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구근작물이 심긴 땅을 굴삭하여 구근을 수확할 수 있게 경사진 굴취판(131)과, 굴취판(131) 후단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굴취판(131)의 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흙빠짐 유도판(132)으로 되어 있다.
굴취판(131)은 구근이 심간 땅을 굴삭 할 때에 구근작물을 손상시킬지 않도록 경사와 폭을 갖게 형성된다.
구근 흙분리부(140)는 작물굴취부(130)에 의해 채취된 구근에 붙은 흙을 분리하며 제1흙제거롤러(141)와 제2흙제거롤러(146)를 구비하고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흙제거롤러(141)는 동력전달유닛(170)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프레임(11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작물굴취부(130)를 거쳐 진입되는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분리하도록 제1원형봉체(14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돌기(14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흙제거롤러(141)는 제1원형봉체(142)의 외주면에 제1원형봉체(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되 제1원형봉체(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돌기(144)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흙제거롤러(146)는 제1흙제거롤러(141)를 거친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해 동력전달유닛(170)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프레임(110)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원형봉체(147)의 외주면에 제2원형봉체(147)의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되 제2원형봉체(147)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돌기(144)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흙제거롤러(141)(146)는 회전에 의해 방사돌기(143)가 구근작물에 붙은 흙을 분할 하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돌기(144)들이 분할된 흙들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면서 구근작물에 붙어있는 흙을 제거한다.
작물 이송부(150)는 제2흙제거롤러(146)를 거쳐 진행되는 구근작물을 동력전달유닛(170)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시키는 구근이송컨베이어(152)와 상처방지봉을 구비하고 상세구조를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근 이송컨베이어(152)는 한 쌍의 엔드체인(153)(154), 이송봉(155), 중간지지 회전띠(156)로 되어 있다.
엔드 체인(153)(154)은 쌍을 이루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각각 양단에 치합되게 결합되는 순환스프로킷(159)을 통해 폐궤도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송봉(155)들은 엔드 체인(143)(154)에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다.
중간지지 회전띠(156)는 엔드 체인(153)(154)들 사이에 폐궤도를 이루면서 이송봉(155)들과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간지지 회전띠(156)는 이송봉(155)들이 관통되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지지 회전띠(156)는 이송되는 구근작물의 하중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된 것이다.
중간지지 회전띠(156)는 체인을 연결한 구조로 형성해도 된다.
상처방지봉(158)은 프레임에 설치되되 중간지지 회전띠(156)로의 구근작물의 접근을 억제시켜 구근손상을 방지하도록 중간지지회전띠(156) 상부에 중간지지회전띠(156)와 이격되되 중간지지회전띠(156)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중간지지회전띠(156)의 폭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처 방지봉(158)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이러한 상처 방지봉(158)은 구근작물의 중간지지회전띠(156) 상부로의 안착을 방지하여 중간지지회전띠(156)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작물튐억제막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물튐억제막(160)은 구근 이송컨베이어(152)를 통해 이송되는 구근작물의 진동에 의한 상부로의 상승높이를 억제시켜 튐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근 이송컨베이어(152)의 상부에 구근작물 이송영역을 커버하도록 펼쳐지게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다.
작물튐 억제막(160)은 얇은 시트 형태로 천소재로 형성되며 구근작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구근 이송컨베이어(152)와의 이격 높이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동력전달유닛(170)은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구근채취유닛(1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력전달유닛(170)은 트랙터의 동력인출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력을 구근채취유닛(12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동력전달 구동축(171)과, 기어박스(173), 메인회전구동축(175), 제1 내지 제3 구동스프로킷(181 내지 183), 제1 내지 제3 종동스프로킷(191 내지 193)을 구비한다.
동력전달 구동축(171)은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인출축과 연결되며, 구동력을 기어박스(173)를 통하여 메인회전구동축(175)으로 전달한다.
메인 회전구동축(175)의 일단에는 제1구동스프로킷(18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 및 제3구동스크포킷(182)(183)이 설치되어 있다.
제1종동스프로킷(191)은 구근 이송컨베이어(152)의 엔드 체인(153)을 회전시키는 순환스프로킷(159) 중 후방의 순환스프로킷(159)으로부터 동축상으로 연장된 체인 회전축(152a)에 설치되어 제1구동스프로킷(181)과 동력전달 체인(18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종동스프로킷(192)는 제1흙제거롤러(141)의 제1원형봉체(142)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41a)에 설치되어 제2구동스프로킷(182)과 동력전달 체인(18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3종동스프로킷(193)은 제2흙제거롤러(146)의 제2원형봉체(147)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46a)에 설치되어 제3구동스프로킷(183)과 동력전달 체인(18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유닛(170)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메인 회전구동축(175)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 내지 제3 구동스프로킷(181 내지 183)에 의해 제1 내지 제3종동스프로킷(191 내지 193)이 회전된다. 그 결과 제1흙제거롤러(141), 제2흙제거롤러(146) 및 구근이송 컨베이어가 회전된다.
동력전달유닛(17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의 동력 인출축의 회전력을 각 구동 요소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1 내지 제3 구동스프로킷(181 내지 183)과 제1 내지 제3 종동스프로킷(191 내지 193)은 벨트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는 풀리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근 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채굴된 구근작물로부터의 흙분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구근작물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프레임 120: 구근채취유닛
130: 작물굴취부 140: 구근 흙분리부
141: 제1흙제거롤러 146: 제2흙제거롤러
150: 작물 이송부 170: 동력전달유닛
130: 작물굴취부 140: 구근 흙분리부
141: 제1흙제거롤러 146: 제2흙제거롤러
150: 작물 이송부 170: 동력전달유닛
Claims (3)
- 삭제
- 트렉터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근작물을 채굴하는 작물굴취부와, 상기 작물굴취부로부터 굴취된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분리하는 구근 흙분리부 및 상기 구근흙분리부를 거친 구근작물을 상기 작물굴취부 반대편으로 이송하는 작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근채취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상기 구근채취유닛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근 흙분리부는
상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물굴취부를 거쳐 진입되는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분리하도록 제1원형봉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돌기를 갖는 제1흙제거롤러와;
상기 제1흙제거롤러를 거친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원형봉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2원형봉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제2원형봉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돌기를 갖는 제2흙제거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작물 이송부는
상기 제2흙제거롤러를 거쳐 진행되는 구근작물을 상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시키는 구근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근 이송컨베이어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의 엔드 체인과;
상기 엔드 체인에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이송봉들과;
상기 엔드 체인 사이에 폐궤도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봉들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 회전띠;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중간지지 회전띠로의 구근작물의 접근을 억제시켜 구근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간지지회전띠 상부에 상기 중간지지회전띠와 이격되되 상기 중간지지회전띠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중간지지회전띠의 폭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상처방지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작물 수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구근작물의 진동에 의한 상부로의 상승높이를 억제시켜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근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구근작물 이송영역을 커버하도록 펼쳐지게 설치된 작물튐 억제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작물 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237A KR101967419B1 (ko) | 2017-12-08 | 2017-12-08 | 구근 작물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237A KR101967419B1 (ko) | 2017-12-08 | 2017-12-08 | 구근 작물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7419B1 true KR101967419B1 (ko) | 2019-04-09 |
Family
ID=6616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8237A KR101967419B1 (ko) | 2017-12-08 | 2017-12-08 | 구근 작물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741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063A (ko) * | 2020-06-05 | 2020-06-24 | 윤태욱 | 수확기용 채굴장치 |
KR20210001679A (ko) * | 2019-06-28 | 2021-01-06 | 엘앤에스(주) | 구근류 작물 수확기능이 있는 무한궤도식 전동형 운반 대차 |
CN116195422A (zh) * | 2023-04-27 | 2023-06-02 | 甘肃农业大学 | 一种减粘碎土型马铃薯挖掘分离装置 |
KR20230173876A (ko) | 2022-06-20 | 2023-12-27 | 주식회사 불스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1106B1 (ko) * | 2004-08-25 | 2008-11-28 | 모영환 | 구근작물 수확기 |
KR20090109412A (ko) * | 2008-04-15 | 2009-10-20 | 서광일 | 근채류 수확 장치 |
KR101323850B1 (ko) * | 2013-02-06 | 2013-10-31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장치 |
KR20150045270A (ko) * | 2013-10-18 | 2015-04-28 | 윤태욱 | 땅속작물 수확기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8237A patent/KR1019674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1106B1 (ko) * | 2004-08-25 | 2008-11-28 | 모영환 | 구근작물 수확기 |
KR20090109412A (ko) * | 2008-04-15 | 2009-10-20 | 서광일 | 근채류 수확 장치 |
KR101323850B1 (ko) * | 2013-02-06 | 2013-10-31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장치 |
KR20150045270A (ko) * | 2013-10-18 | 2015-04-28 | 윤태욱 | 땅속작물 수확기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679A (ko) * | 2019-06-28 | 2021-01-06 | 엘앤에스(주) | 구근류 작물 수확기능이 있는 무한궤도식 전동형 운반 대차 |
KR102280731B1 (ko) * | 2019-06-28 | 2021-07-22 | 엘앤에스(주) | 구근류 작물 수확기능이 있는 무한궤도식 전동형 운반 대차 |
KR20200074063A (ko) * | 2020-06-05 | 2020-06-24 | 윤태욱 | 수확기용 채굴장치 |
KR102183647B1 (ko) * | 2020-06-05 | 2020-11-26 | 윤태욱 | 수확기용 채굴장치 |
KR20230173876A (ko) | 2022-06-20 | 2023-12-27 | 주식회사 불스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CN116195422A (zh) * | 2023-04-27 | 2023-06-02 | 甘肃农业大学 | 一种减粘碎土型马铃薯挖掘分离装置 |
CN116195422B (zh) * | 2023-04-27 | 2023-06-30 | 甘肃农业大学 | 一种减粘碎土型马铃薯挖掘分离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7419B1 (ko) | 구근 작물 수확기 | |
KR101738942B1 (ko) | 구근류 수확장치 | |
KR101771239B1 (ko) |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 |
KR102048005B1 (ko) |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 |
EP0620705B1 (en) | Vinous row crop harvesting apparatus | |
KR20160025861A (ko) | 구근작물 수확장치 | |
KR101536946B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WO2005032236A1 (ja) | 根菜作物収穫機 | |
CA1049797A (en) | Root crop harvester | |
JP2008048642A (ja) |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 |
US2331520A (en) | Beet harvester | |
KR102216837B1 (ko) |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 |
JP5793888B2 (ja) | 作物収穫機 | |
US5076046A (en) | Harvester for vine crops | |
KR20230030796A (ko) | 뿌리작물 수확기 | |
JP2014068567A (ja) | トウモロコシ収穫機 | |
KR101938782B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US1914621A (en) | Beet harvester | |
US20060021318A1 (en) | Pickup apparatus | |
JPS646023Y2 (ko) | ||
JP6055199B2 (ja) | 野菜収穫機 | |
JP7568560B2 (ja) | 野菜収穫機 | |
JP5812329B2 (ja) | 地下茎作物の収穫装置 | |
KR20050121286A (ko) | 알 뿌리 채취기 | |
JP2011155956A (ja) | 地下茎作物の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