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837B1 -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 Google Patents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837B1
KR102216837B1 KR1020190011634A KR20190011634A KR102216837B1 KR 102216837 B1 KR102216837 B1 KR 102216837B1 KR 1020190011634 A KR1020190011634 A KR 1020190011634A KR 20190011634 A KR20190011634 A KR 20190011634A KR 102216837 B1 KR102216837 B1 KR 10221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unit
rot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317A (ko
Inventor
이상대
김효걸
김연수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1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8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1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1/00Thinning machines
    • A01B41/04Thinn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땅속 작물 수확기는 작업 중에 이물질이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끼더라도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할 때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Underground crop harvester of belt type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s automatically and, automatic removing unit for the foreign matters provided therein}
본 발명은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땅속 작물의 수확 작업 중에 이물질이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끼더라도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땅속 작물 수확기는 감자, 고구마, 땅콩, 마늘, 파, 양파, 인삼 등과 같이 땅속에 열린 작물을 수확하는 장치이다. 땅속 작물 수확기 중에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각종 땅속 작물을 수확하는 견인식 수확기는 트랙터의 견인력에 의해 굴취판이 땅속 작물을 흙, 돌 등과 함께 캐내고, 캐내어진 작물과 흙, 돌 등이 이송부(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흙과 돌 등은 이송부(컨베이어) 밑으로 떨어지고 작물은 수확기의 후방에 떨어지거나 별도의 작물 받이에 수거된다.
그런데, 상기 수확기의 작업시 굴취판과 롤러(이송부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롤러) 사이에 돌, 작물, 식물 뿌리 등이 끼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트랙터에서 내려 수작업으로 돌 등을 제거해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이 중단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돌 등을 제거하므로 작업자가 부상당할 위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돌 등이 끼인 경우에 이송부를 역회전시켜서 돌 등을 배출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이송부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므로 수확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32293호는 돌 제거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돌 제거장치는 수확기 측판과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돌 및, 롤러와 체인 사이로 진입하는 돌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 돌 제거장치는 체인형 땅속작물 수확기에 적용된 것으로서,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돌 등이 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32293호(2018. 2. 20 출원 공개) '농작물 수확기용 돌 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땅속 작물을 수확할 때 굴취판과 롤러(이송부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돌, 뿌리, 작물 등)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는 체인형 땅속 작물 수확기와 달리 롤러가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벨트와 롤러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는 체인형 보다 작게 발생하지만 토양과 접촉하는 면적이 체인형 보다 넓으므로 굴취판과 롤러 사이(더욱 정확하게는 롤러에 감긴 벨트와 굴취판 사이임.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굴취판과 롤러 사이'로 표현함)에 이물질이 끼는 빈도는 더 높은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은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100)의 선단에 설치된다.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은 롤러부(20)와 회동부(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롤러부(20)는 이송부(60)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굴취판(10)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롤러부(20)는, 굴취판(10)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롤러(23); 및, 롤러의 회전 중심축(21);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동부(30)는 굴취판(10)과 롤러부(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에 롤러부(2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면 롤러부(2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회동부(30)는,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한쪽 끝단에는 회전 중심축(21)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바(31); 회동바(31)의 다른쪽 끝단에 연결된 탄성부재(33); 및, 회전 중심축(21)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수확기의 측판(71)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35);을 포함한다.
탄성부재(33)는 회전 중심축(21)이 가이드 장공(35)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회전 중심축(21)이 가이드 장공(35)의 한쪽 끝단에 밀착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이송부(60)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된다.
한편,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에 낀 이물질에 의해 상기 탄성력 보다 큰 반력이 생기면 회전 중심축(21)이 가이드 장공(35)의 다른쪽 끝단 쪽으로 회동하여 이물질이 아래로 떨어져서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회전 중심축(21)과 롤러(23)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벨트형 땅속작물 수확기(100)는, 땅속 작물을 캐내는 굴취판(10); 캐낸 땅속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60); 굴취판(10)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이송부(60)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부(20); 이송부(60)의 후단에 설치된 벨트 구동부(40); 및, 굴취판(10)과 롤러부(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에 롤러부(2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60)는,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롤러부(20)와 벨트 구동부(40)에 설치된 벨트(62); 및, 벨트(62)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환봉(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62)는 롤러부(20)와 벨트 구동부(40) 사이를 무한궤도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롤러(23)의 상기 회동이 가능하도록 아래로 처진 부분(63)을 포함한다.
벨트 구동부(40)는, 이송부(60)의 후단에 설치되고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이송부(60)를 무한궤도상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라켓 기어(43); 및, 스프라켓 기어(43)의 회전 중심축(41);을 포함한다.
스프라켓 기어(43)의 기어 이빨이 환봉(6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라켓 기어(43)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구동력이 벨트(62)와 환봉(64)에 전달될 수 있다.
환봉(64)은 원형 단면을 갖되, 벨트(62)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평탄한 평면(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65)에는 제1 체결공(65a)이 형성되고, 벨트(62)에는 제1 체결공(65a)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 체결공이 형성되며, 제1,2 체결공에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환봉(64)이 벨트(62)에 결합될 수 있다.
환봉(64)은 그 양쪽 끝단 및, 상기 양쪽 끝단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서 각각 벨트(62)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환봉(64)의 둘레에는 파이프(68)가 설치될 수 있다.
벨트형 땅속작물 수확기(100)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데, 구동력 전달부는 트랙터의 구동력을 벨트 구동부(4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력 전달부는, 수확기(100)의 선단에 구비되고 트랙터와 체결되는 체결부; 트랙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52)과, 입력축(52)에 전달된 구동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어 어셈블리(53); 기어 어셈블리(5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55); 및, 구동풀리(55)에 의해 회전되고, 스프라켓 기어(43)의 회전 중심축(41)에 설치된 종동풀리(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풀리(55)는 수확기의 선단에 설치되고 종동풀리(57)는 수확기의 후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땅속 작물을 수확할 때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돌, 뿌리, 작물 등)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는 체인형 땅속 작물 수확기와 달리 롤러가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벨트와 롤러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는 체인형 보다 작게 발생하지만 토양과 접촉하는 면적이 체인형 보다 넓으므로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빈도는 더 높은데, 본 발명은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수작업으로 제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측판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의 땅속 작물 수확기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롤러가 회동하기 전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의 땅속 작물 수확기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롤러가 회동한 후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를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100)는 굴취판(10)과, 굴취판(10)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이송부(60)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부(20)와, 굴취판(10)과 롤러부(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에 롤러부(20)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30)와, 이송부(60)의 후단에 설치된 벨트 구동부(40)와, 트랙터(도면에 미도시)의 구동력을 벨트 구동부(40)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와, 수확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롤러부(20)와 회동부(30)는 이물질 제거 유닛을 구성한다.
굴취판(10)은 그 양쪽 끝단이 측벽(71)에 결합된 것으로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면을 갖는다. 트랙터에 의해서 수확기(100)가 견인되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면 굴취판(10)은 땅속에 매립된 작물, 뿌리, 돌, 흙, 등을 캐내고, 캐내어진 작물 등은 이송부(60)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한편, 수확기(100)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될 수 있지만 다른 수단, 예를 들어 경운기 등에 의해서도 견인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아래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견인 수단을 트랙터로 통칭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롤러부(20)는 가이드 장공(35)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회전 중심축(21)과, 회전 중심축(21)에 설치된 롤러(23)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동부(30)는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바(31)와, 회동바(3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3) 및, 회전 중심축(21)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측판(71)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장공(35)을 포함한다. 롤러부(20)와 회동부(30)는 수확기(100)의 선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3)의 한쪽 끝단은 회동바(31)에 체결되고 다른쪽 끝단은 고정구(37)에 체결된다.
회전 중심축(21)은 회동바(31)의 한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가이드 장공(35)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롤러(23)는 회전 중심축(21)에 설치되되 굴취판(10)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도 6은 수확기(100)가 정상 작동하고 있는 경우 즉,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즉, 굴취판과 벨트 사이)에 이물질(돌, 식물 뿌리, 작물 등. 도 6에 미도시)이 끼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중심축(21)이 가이드 장공(35)의 좌측 끝단(도 6에서 가이드 장공의 좌측 끝단)에 밀착된 경우 롤러(23)와 굴취판(10)은 상기 간격(S)만큼 이격된다. 도 6에서 화살표(39)는 탄성부재(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29)는 롤러(23)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은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에 이물질(돌, 식물 뿌리, 작물 등. 도 7에 미도시)이 낀 경우에 롤러(23)와 회전 중심축(21)이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롤러(2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부(60)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도중에 이물질이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즉, 굴취판과 벨트 사이)에 끼면 롤러(23)가 이물질과 충돌하여 롤러(23)의 시계 방향 회전에 대한 반력이 발생하는데, 이 반력이 탄성부재(33)의 탄성력 보다 크면 회동바(31)가 회동축(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23)가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에 낀 이물질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가이드 장공(35)은 롤러(23)의 상기 회동을 가이드한다. 도 7에서 화살표(28)는 회동바(31)와 회전 중심축(21)의 회동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29)는 롤러(23)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39)는 탄성부재(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이물질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바(31)와 회전 중심축(21) 및 롤러(23)가 원위치(도 6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이물질 제거 유닛은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에 낀 이물질(즉, 굴취판과 벨트 사이에 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므로, 작업자가 트랙터에서 내려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부상 위험을 없앨 수 있다. 특히,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100)는 체인형 땅속 작물 수확기와 달리 롤러(23)가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벨트(62)와 롤러(23)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는 체인형 보다 작게 발생하지만 토양과 접촉하는 면적이 체인형 보다 넓으므로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빈도는 더 높은데, 본 발명은 굴취판(10)과 롤러(23) 사이에 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벨트 구동부(40)는 회전 중심축(41)과 스프라켓 기어(43)를 포함한다.
회전 중심축(41)은 양쪽 측판(71)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 중심축(41)의 양쪽 단부에는 벨트(62)를 가이드하기 위해서 롤러(23)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 중심축(41)에는 스프라켓 기어(43)와 종동 풀리(57)가 설치된다. 따라서, 종동 풀리(57)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중심축(41)이 회전되면 스프라켓 기어(43)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스프라켓 기어(43)의 다수 개의 기어 이빨이 환봉(6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이송부(60)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된다.
구동력 전달부는 트랙터와 체결되는 체결부와, 트랙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52)과, 입력축(52)에 전달된 구동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어 어셈블리(53)와, 기어 어셈블리(5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55)와, 구동풀리(55)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풀리(57) 및, 구동풀리(55)와 종동풀리(57)를 무한 궤도상으로 회전하는 벨트(56)를 포함한다.
체결부는 트랙터의 후단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트랙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51a)(51b)을 포함한다.
입력축(52)은 트랙터의 구동축(도면에 미도시)과 커플링되는 축이다. 입력축(52)은 기어 어셈블리(53)와 연결되고, 이에 따라 입력축(52)을 통해 전달된 구동력은 기어 어셈블리(53)에 의해 90° 방향 전환되어 전달축(54)을 회전시킨다. 전달축(54)의 한쪽 단부에는 구동 풀리(55)가 설치되어 전달축(54)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풀리(55)의 회전력은 벨트(56)를 통해 종동 풀리(57)로 전달된다.
종동 풀리(57)는 회전 중심축(41)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동 풀리(57)가 회전되면 스프라켓 기어(43)도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이송부(60)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100)는 그 후단에 설치된 스프라켓 기어(43)를 통해 이송부(60)를 구동함으로써 그 선단의 롤러(23)가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부(60)는 벨트(62)와, 벨트(62)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환봉(64)을 포함한다.
벨트(62)는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롤러(23)와 벨트 구동부(40)에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트(62)는 아래로 처진 부분(63)을 갖는다. 상기 처진 부분(63)은 롤러(23)와 굴취판(10) 사이에 이물질이 낀 경우 롤러(23)가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여유 부분을 제공한다. 벨트(62)는 고무,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상기 처진 부분(63)이 있음에도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단면 형상과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트(62)는 롤러(23)의 외주면 중 벨트(62)와 접촉하는(벨트가 감기는) 부분의 폭방향 한쪽 끝단에서부터 다른쪽 끝단까지 전부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벨트(62)와 롤러(23)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벨트(62)는 양쪽 측판(71)의 롤러(23)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쪽 롤러(23)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벨트(6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3에는 세 개의 벨트(62)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확기(100)의 폭과 환봉(64)의 길이 등에 따라 벨트(62)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양쪽 롤러(23)의 사이에 설치되는 벨트(62. 즉, 가운데에 설치되는 벨트)는 양쪽 벨트(62)의 이송 속도를 맞추고 환봉(64)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환봉(64)은 벨트(62)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환봉(64)은 원형 단면을 가진 긴 봉으로서, 볼트(도면에 미도시)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벨트(62)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8 ~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봉(64) 중 벨트(62)와 대응되는 부분에 평탄한 평면(65)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65)에는 제1 체결공(6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체결공(65a)과 대응되는 벨트 부분에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된다. 체결부재(도면에 미도시)가 제1,2 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환봉(64)과 벨트(62)가 결합된다.
도 4 ~ 5에는 벨트(62) 중 일부에는 환봉(64)이 설치되지 아니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을 간략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제로는 벨트(62)의 모든 부분에 환봉(64)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굴취판(10)에 의해 수확된 땅속 작물이 환봉(64)에 적재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흙과 돌 등은 환봉(64) 사이의 간격을 통해 아래로 떨어져서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이프(68)가 환봉(64)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68)의 내경은 환봉(64)의 외경 보다 직경이 크고, 이에 따라 파이프(68)는 환봉(64)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68)는 환봉(64)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는데, 파이프(68)가 파손된 경우 파이프(68)만 교체하면 되므로 환봉(64)을 보호할 수 있다.
10 : 굴취판 20 : 롤러부
21 : 회전 중심축 23 : 롤러
28 : 롤러(23)와 회전 중심축(21)의 회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29 : 롤러(23)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30 : 회동부 31 : 회동바
32 : 회동축 33 : 탄성부재
35 : 가이드 장공
39 :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40 : 벨트 구동부 41 : 회전 중심축
43 : 스프라켓 기어
51a, 51b : 체결공 52 : 입력축
53 : 기어 어셈블리 54 : 전달축
55 : 구동 풀리 56 : 벨트
57 : 종동 풀리 60 : 이송부
62 : 벨트 63 : 벨트 중 아래로 처진 부분
64 : 환봉 65 : 환봉 중 평평한 평면
65a : 제1 체결공 68 : 파이프
71 : 측판 100 : 벨트형 땅속작물 수확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땅속 작물을 캐내는 굴취판;
    캐낸 땅속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굴취판의 후방에 설치된 이송부;
    굴취판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이송부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부;
    이송부의 후단에 설치된 벨트 구동부; 및,
    굴취판과 롤러부 사이인 상기 간격(S)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에 롤러부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이송부는,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롤러부와 벨트 구동부에 설치된 벨트; 및,
    벨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환봉;을 포함하고,
    롤러부는,
    굴취판과 소정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되, 외주면에 상기 벨트가 감기도록 설치된 롤러; 및,
    롤러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고,
    회동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아래쪽 끝단에는 회전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바;
    회동바의 위쪽 끝단에 연결된 탄성부재; 및,
    회전 중심축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측판(71)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을 포함하고,
    탄성부재는 회전 중심축이 가이드 장공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회전 중심축이 가이드 장공의 한쪽 끝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벨트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고,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낀 이물질에 의해 상기 탄성력 보다 큰 반력이 생기면 회전 중심축이 가이드 장공의 다른쪽 끝단인 후방으로 회동하여 이물질이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 중심축과 롤러가 원위치인 전방(前方)으로 복귀하며,
    벨트는 롤러부와 벨트 구동부 사이를 무한궤도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롤러의 상기 회동이 가능하도록 아래로 처진 부분(63)이 롤러부와 벨트 구동부 사이에 존재하고,
    롤러의 외주면 중에서 벨트가 감기는 부분의 폭방향 한쪽 끝단에서부터 다른쪽 끝단까지를 벨트가 전부 감싸도록 설치되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벨트 구동부는,
    이송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이송부를 무한궤도상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라켓 기어; 및,
    스프라켓 기어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고,
    스프라켓 기어의 기어 이빨이 환봉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라켓 기어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구동력이 벨트와 환봉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8. 제7항에 있어서,
    환봉은 원형 단면을 갖되, 벨트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평탄한 평면(65)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65)에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며,
    벨트에는 제1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2 체결공에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환봉이 벨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9. 제8항에 있어서,
    환봉은 그 양쪽 끝단 및, 상기 양쪽 끝단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서 각각 벨트와 결합되며,
    환봉의 둘레에는 파이프가 설치되되, 파이프의 내경은 환봉 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10. 제9항에 있어서,
    트랙터의 구동력을 벨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구동력 전달부는,
    수확기의 선단에 구비되고, 트랙터와 체결되는 체결부;
    트랙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입력축에 전달된 구동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어 어셈블리;
    기어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 및,
    구동풀리에 의해 회전되고, 스프라켓 기어의 회전 중심축(41)에 설치된 종동풀리;를 포함하고,
    구동풀리는 수확기의 선단에 설치되고 종동풀리는 수확기의 후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KR1020190011634A 2019-01-30 2019-01-30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KR10221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34A KR102216837B1 (ko) 2019-01-30 2019-01-30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34A KR102216837B1 (ko) 2019-01-30 2019-01-30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317A KR20200094317A (ko) 2020-08-07
KR102216837B1 true KR102216837B1 (ko) 2021-02-18

Family

ID=7205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634A KR102216837B1 (ko) 2019-01-30 2019-01-30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663B1 (ko) 2020-11-16 2023-05-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CN116868706B (zh) * 2023-06-21 2024-01-05 宁夏农林科学院动物科学研究所(宁夏草畜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耐盐紫花苜蓿杂交种种子田疏苗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4089A (ja)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根菜掘り取り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105243A (nl) * 1981-11-19 1983-06-16 Wevea B V Zeefband met verstelbare maaswijdte.
JP2796585B2 (ja) * 1992-07-14 1998-09-10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収穫機の安全装置
JP2553737Y2 (ja) * 1992-09-21 1997-11-12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収穫機
DE4422872A1 (de) * 1994-06-30 1996-01-11 Claas Ohg Schneidwerk für landwirtschaftliche Erntefahrzeuge
KR20070025409A (ko) * 2005-09-02 2007-03-08 김재동 고구마 수확기
KR101832293B1 (ko) 2017-10-31 2018-02-26 김영석 농작물 수확기용 돌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4089A (ja)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根菜掘り取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317A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KR102216837B1 (ko)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KR101536946B1 (ko) 땅속작물 수확기
KR102048005B1 (ko)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20200074063A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KR101967419B1 (ko) 구근 작물 수확기
JP2014195409A (ja) ねぎ掘り起し収穫機
JP2012055252A (ja) 作物掘起機
JP6816865B2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CA1049797A (en) Root crop harvester
KR102308014B1 (ko) 잡초 배출이 용이한 구근 수확기
JP2018134065A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KR200325480Y1 (ko)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US5387155A (en) Beet harvester
JP5793888B2 (ja) 作物収穫機
KR20230030796A (ko) 뿌리작물 수확기
JP3590004B2 (ja) 掘取機
JP2001025313A (ja) 掘取機
JP6646976B2 (ja) 収穫機
JP5130807B2 (ja) 根菜掘取機
JP3177431B2 (ja) 長葱収穫機
JP6688028B2 (ja) 地下茎作物収穫機の茎葉引起し装置
JP3184798B2 (ja) 根茎収穫機
JP3233607B2 (ja) 掘取機
JP3439385B2 (ja) 掘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