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663B1 -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663B1
KR102536663B1 KR1020200152637A KR20200152637A KR102536663B1 KR 102536663 B1 KR102536663 B1 KR 102536663B1 KR 1020200152637 A KR1020200152637 A KR 1020200152637A KR 20200152637 A KR20200152637 A KR 20200152637A KR 102536663 B1 KR102536663 B1 KR 10253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crops
foreign substances
conveyo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6518A (ko
Inventor
김용주
김완수
백승민
백승윤
전현호
이남규
문석표
이준호
아부 아윱 시디크 엠디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6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17/101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with two superposed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취 작업에 의해 농작물과 함께 수확된 이물질을 농작물과 분리하여 배출함과 아울러 이물질과 분리된 농작물을 따로 이송한 후 이물질에 대한 추가 선별작업을 거쳐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토양에 관입되어 농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 다공망 형태의 분류컨베어를 통해 굴취부에 의해 굴취된 농작물과 이물질을 이송하면서 분류하며, 굴취부가 연결된 입구측은 낮고 이물질이 배출되는 출구측은 높게 배치되는 분류이송부; 다공망 형태의 이송컨베어를 통해 분류이송부에서 분류 배출된 농작물을 이송하도록 분류이송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농작물이송부; 및 선별컨베어를 통해 농작물이송부에서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잔여 이물질을 선별 분류하도록 출구측이 낮게 배치되는 농작물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UNDERGROUND CROP HARVESTER TO SEPERATING IMPURITY}
본 발명은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취 작업에 의해 수확된 농작물과 함께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어를 이물질의 분류를 위한 분류컨베어와 농작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컨베어로 이원화함으로써 이물질을 농작물과 분리하여 배출함과 아울러 농작물을 이송컨베어로 이송한 후 추가 선별작업을 거쳐 농작물을 수확하도록 함으로써 노동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속에서 열매를 맺는 마늘이나, 땅콩, 감자, 고구마, 인삼, 약초류 등의 땅속작물은 흙을 파헤친 다음에 수확하게 되므로, 수확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기계화할 경우 공동화 및 고령화로 인해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농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의 밭작물 수확작업의 기계화율은 대략 26.8%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미흡하여 밭작물 기계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땅속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땅속작물 수확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상용화되어 판매중인 대부분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대부분 굴취 형식으로 땅속의 농작물을 지면으로 노출시킨 후 인력을 통해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일부 수집형 수확기의 경우에는 수집부를 통해 돌이나 흙덩이, 줄기 등 크기가 큰 이물질이 농작물과 함께 수집됨으로써 인력으로 선별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의 작업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쟁기 등의 굴취기를 토양으로 관입시켜 땅속작물을 굴취함과 아울러 굴취된 농작물과 토양을 이송컨베어에 동시에 공급하는 굴취작업을 수행한다. 이어, 봉타입의 이송컨베어를 이용하여 농작물과 토양 및 이물질을 동시에 이송하면서 진동에 의해 흙이나 작은 이물질이 봉 사이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이송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작은 이물질이 제거된 농작물을 선별컨베어로 이송하면서 아직까지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작업을 수행하고, 선별을 통해 분류된 작물은 톤백에 저장하는 저장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를 통해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을 농작물과 분류하여 배출하고 농작물만 선별하는 작업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353995호에는 수확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는 굴취날이 소정 각도로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굴취날을 통해 굴취된 작물의 유입을 위한 체인콘베이어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수확기 본체의 전방 상부에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가 구성되어져 있는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체인콘베이어 에는 유입된 작물을 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측부이송수단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측부이송수단으로는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벨트콘베이어가 구비되었으며; 상기 벨트콘베이어의 양단에는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동로울러(피동로울러)가 각각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양측의 로울러에는 로울러면에 부착되는 흙을 박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각각 접촉 구비되며, 굴취된 작물의 이송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작물과 함께 유입된 흙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장치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땅속작물 수확기에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247호에는 트렉터에 연결하는 트렉터 상부 연결대와 트렉터 하부 연결대가 설치되고 감속기를 관통하는 메인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축에 연결한 동력벨트가 걸림봉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 회전축을 연결하며 양쪽의 본체 내부에 연결한 농작물 걸림봉의 우측으로 진입날을 설치한 농작물배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한 안내원에 연결된 회전축을 설치하고 안내판을 상측에서 연결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수확물 걸림봉의 상측에 올려진 안내판과; 상기 설치대의 상측에 연결하는 실린더축을 갖고 본채의 상측에 설치한 실린더축 연결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농작물 배출 조절장치를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20-0094317호에는 땅속 작물 수확기에 설치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에 있어서, 이송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이송부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굴취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롤러부; 및 굴취판과 롤러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에 롤러부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면 롤러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작업 중에 이물질이 굴취판과 롤러 사이에 끼더라도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할 때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록특허공보 제20-0353995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24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431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굴취 작업에 의해 수확된 농작물과 함께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어를 이물질의 분류를 위한 분류컨베어와 농작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컨베어로 이원화함으로써 이물질을 농작물과 분리하여 배출함과 아울러 농작물을 이송컨베어로 이송한 후 추가 선별작업을 거쳐 농작물을 수확하도록 함으로써 노동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토양에 관입되어 농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 다공망 형태의 분류컨베어를 통해 굴취부에 의해 굴취된 농작물과 이물질을 이송하면서 분류하며, 굴취부가 연결된 입구측은 낮고 이물질이 배출되는 출구측은 높게 배치되는 분류이송부; 다공망 형태의 이송컨베어를 통해 분류이송부에서 분류 배출된 농작물을 이송하도록 분류이송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농작물이송부; 및 선별컨베어를 통해 농작물이송부에서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잔여 이물질을 선별 분류하도록 출구측이 낮게 배치되는 농작물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굴취부는 입구측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토양에의 관입이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류이송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농작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구비한 다공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컨베어풀리에 의해 이동되어 농작물과 이물질을 함께 이송하는 분류컨베어와, 이물질이 걸려 이송되도록 분류컨베어의 상측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직교하도록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이물질걸림대와, 분류컨베어에서 빠져나온 농작물이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농작물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메인프레임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농작물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농작물가이드는 분류컨베어에서 빠져나온 농작물이 빠지지 않도록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양측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농작물받침대와, 농작물과 이물질을 제외한 흙이 분리되어 하부로 배출도록 분류컨베어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거름망과, 농작물받침대에 설치되어 거름망을 지지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농작물을 농작물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거름망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농작물배출구는 출구 하단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농작물을 농작물이송부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와, 농작물배출구의 출구 양측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배출가이드에 연결되어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농작물이송부는 농작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농작물을 이송하도록 컨베어풀리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컨베어와, 메인프레임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 및 메인프레임과 측벽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을 포함하며 메인프레임과 함께 이송컨베어를 감싸주는 이송부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부프레임에 연결 형성되어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프레임과, 이송부프레임의 입구측 끝단을 막아주는 이탈방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컨베어를 이동시키는 컨베어풀리는 분류컨베어를 이동시키는 컨베어풀리에 구비된 연동풀리에 연동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별배출부는 농작물이송부측에 위치하는 입구측이 출구측에 비해 높게 배치된 한 쌍의 컨베어풀리와, 농작물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농작물을 출구측으로 이송하도록 컨베어풀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농작물이 빠지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선별컨베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분류이송부에서 농작물과 큰 이물질을 분리하여 농작물은 농작물이송부를 통해 선별이송부로 이송하고 이물질은 그대로 배출하게 되므로 농작물과 이물질을 분류하여 선별하는 작업이 자동화되어 노동력이 대폭 절감되고 작업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감소함은 물론 인건비가 감소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땅속작물 수확기에 비해 농작물이 컨베어 위에 있는 구간이 길어짐에 따라 농작물이 묻어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기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농작물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땅속작물을 굴취함과 동시에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흙과 줄기 등의 이물질을 농작물과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향후 수확량 모니터링 기술 등에 접목하기가 쉬워지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서 농작물이송부와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서 농작물배출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서 분류컨베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에서 농작물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에 관입되어 농작물(100)을 굴취하는 굴취부(40)와; 다공망 형태의 분류컨베어(13)를 통해 굴취부(40)에 의해 굴취된 농작물(100)과 이물질(200)을 이송하면서 분류하며, 굴취부(40)가 연결된 입구측은 낮고 이물질(200)이 배출되는 출구측은 높게 배치되는 분류이송부(10)와; 다공망 형태의 이송컨베어(21)를 통해 분류이송부(10)에서 분류 배출된 농작물(100)을 이송하도록 분류이송부(10)의 측부에 배치되는 농작물이송부(20); 및 선별컨베어(31)를 통해 농작물이송부(20)에서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잔여 이물질을 선별 분류하도록 출구측이 낮게 배치되는 농작물선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굴취부(40)에서 굴취된 농작물(100)과 흙덩이와 줄기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200)이 분류이송부(10)에 의해 출구측으로 이송되면서 농작물(100)은 분리되어 이물질(200)만 배출되고 분리된 농작물(100)은 농작물이송부(20)로 배출된 후 농작물이송부(20)에 의해 농작물선별부(30)로 이송된다. 그리고 농작물선별부(30)에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작은 이물질이 선별 제거되어 농작물(100)만 배출된다.
상기 굴취부(40)는 입구측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토양에 관입이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류이송부(1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과, 농작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구비한 다공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메인프레임(1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컨베어풀리(16)에 의해 이동되어 농작물(100)과 이물질(200)을 함께 이송하는 분류컨베어(13)와, 이물질(200)이 걸려 이송되도록 분류컨베어(13)의 상측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직교하도록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이물질걸림대(14)와, 분류컨베어(13)에서 빠져나온 농작물(100)이 메인프레임(11)에 형성된 농작물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메인프레임(1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농작물가이드(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굴취부(40)에 의해 굴취된 농작물(100)과 이물질(200)은 분류컨베어(13)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농작물(100)은 분류컨베어(13)의 구멍을 통해 농작물가이드(15)로 빠져나가고 이물질(200)은 이물질걸림대(14)에 걸린 상태로 계속 이송되어 배출된다.
상기 농작물배출구(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하단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농작물(100)을 농작물이송부(20)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12')와, 농작물배출구(12)의 출구 양측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배출가이드(12')에 연결되어 농작물(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이드(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가이드(12")는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농작물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농작물(100)이 배출가이드(12')와 이탈방지가이드(12")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농작물이송부(20)에 안정적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농작물가이드(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컨베어(13)에서 빠져나온 농작물(100)이 빠지지 않도록 메인프레임(11)의 하부에서 양측 메인프레임(11)을 연결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농작물받침대(15a)와, 농작물(100)과 이물질(200)을 제외한 흙이 분리되어 하부로 배출도록 분류컨베어(13)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거름망(15b)과, 농작물받침대(15a)에 설치되어 거름망(15b)을 지지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농작물(100)을 농작물배출구(12)로 안내하는 가이드판(15d)을 포함하는 거름망지지대(15c)로 이루어진다.
상기 농작물받침대(15a)는 분류컨베어(13)에서 빠져나온 농작물(100)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경사진 구조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거름망(15b)은 굴취부(40)에 의해 굴취되어 이송되는 농작물(100)과 크기가 큰 이물질(200)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송 과정에서 흙을 포함한 미세한 이물질이 진동에 의해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거름망지지대(15c)는 거름망(15b)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측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판(15d)을 이용하여 농작물받침대(15a)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된 농작물(100)을 메인프레임(11)의 농작물배출구(12)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농작물이송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농작물(100)을 이송하도록 컨베어풀리(26)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컨베어(21)와, 메인프레임(11)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 및 메인프레임(11)과 측벽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을 포함하며 메인프레임(11)과 함께 이송컨베어(21)를 감싸주는 이송부프레임(22)과, 메인프레임(11)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부프레임(22)의 저벽에 연결 형성되어 농작물(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프레임(23)과, 이송부프레임(22)의 입구측 끝단을 막아주는 이탈방지프레임(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농작물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농작물(100)이 이송컨베어(21)에 의해 출구측으로 이송되어 선별이송부(30)로 공급되고, 농작물(100)에 붙어 있는 흙과 같은 미세 이물질은 진동에 의해 농작물(100)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부프레임(22)에 쌓이게 된다.
이때, 이송부프레임(22)에 쌓인 미세 이물질른 이탈방지프레임(24)을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컨베어(21)를 이동시키는 컨베어풀리(26)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지만, 분류컨베어(13)를 이동시키는 컨베어풀리(16)에 구비된 연동풀리에(17) 연동벨트(25)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선별배출부(30)는 농작물이송부측에 위치하는 입구측이 출구측에 비해 높게 배치된 한 쌍의 컨베어풀리(32)와, 농작물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농작물(100)을 출구측으로 이송하도록 컨베어풀리(3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농작물이 빠지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선별컨베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선별컨베어(31)를 통해 이송되는 농작물(100)로부터 미처 분리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농작물(100)로부터 떨어진 미세 이물질은 선별컨베어(31)의 지지대 사이로 낙하하여 제거된다.
따라서, 선별컨베어(31)의 출구를 통해서는 농작물만 배출되어 신속하게 포장 및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감자 등의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확기가 전진함에 따라 굴취부(40)가 토양을 굴취하여 농작물(100)과 함께 토양과 줄기 등을 포함한 이물질(200)을 상측의 분류컨베어(13)로 공급하고, 분류컨베어(13)가 농작물(100)과 이물질(200)을 경사방향으로 상향 이송한다.
이때, 분류컨베어(13)의 입구측 하부에 농작물가이드(15)의 거름망(15b)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송중인 농작물(100)과 이물질(200)에 진동이 발생하여 흙과 같이 미세한 이물질은 거름망(15b)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고 농작물(100)과 큰 이물질(200)은 분류컨베어(13)의 출구측으로 이송된다.
분류컨베어(13)의 출구측 하부에는 거름망(15b)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농작물(100)은 분류컨베어(13)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 농작물가이드(15)의 농작물받침대(15a)로 낙하하고, 분류컨베어(13)의 구멍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이물질(200)은 이물질걸림대(14)에 걸린 상태, 그대로 출구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농작물받침대(15a)로 낙하한 농작물(100)은 경사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한 후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판(15d)에 의해 분류이송부(10)의 측면에 형성된 농작물 배출구(12)로 안내되어 농작물이송부(20)로 배출된다.
농작물이송부(20)로 배출된 농작물(100)은 이송컨베어(21)에 의해 이송되어 선별이송부(30)로 배출되고, 선별이송부(30)에서 선별컨베어(31)에 의해 이송되면서 잔여 이물질이 선별 제거된 후 선별이송부(30)의 출구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선별이송부(30)의 출구측으로 배출된 농작물(100)을 톤백 등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분류이송부 11 : 메인프레임
11a : 측판프레임 11b : 연장판
12 : 농작물배출구 12' : 배출가이드
12" : 이탈방지가이드 13 : 분류컨베어
14 : 이물질걸림대 15 : 농작물가이드
15a : 농작물받침대 15b : 거름망
15c: 거름망지지대 15d : 가이드판
16 : 컨베어풀리 17 : 연동풀리
20 : 농작물이송부 21 : 이송컨베어
22 : 이송부프레임 23 : 보조프레임
24 : 이탈방지프레임 25 : 연동벨트
26 : 컨베어풀리 30 : 선별배출부
31 : 선별컨베어 32 : 컨베어풀리
40 : 굴취부 100 : 농작물
200 : 이물질

Claims (8)

  1. 토양에 관입되어 농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
    다공망 형태의 분류컨베어를 통해 굴취부에 의해 굴취된 농작물과 이물질을 이송하면서 분류하며, 굴취부가 연결된 입구측은 낮고 이물질이 배출되는 출구측은 높게 배치되는 분류이송부;
    다공망 형태의 이송컨베어를 통해 분류이송부에서 분류 배출된 농작물을 이송하도록 분류이송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농작물이송부; 및
    상기 농작물이송부에 연결되어, 선별컨베어를 통해 농작물이송부에서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잔여 이물질을 선별 분류하도록 출구측이 낮게 배치되는 농작물선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이송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농작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구비한 다공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컨베어풀리에 의해 이동되어 농작물과 이물질을 함께 이송하는 분류컨베어와, 이물질이 걸려 이송되도록 분류컨베어의 상측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직교하도록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이물질걸림대와, 분류컨베어에서 빠져나온 농작물이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농작물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메인프레임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농작물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취부는 입구측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토양에의 관입이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가이드는 분류컨베어에서 빠져나온 농작물이 빠지지 않도록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양측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농작물받침대와, 농작물과 이물질을 제외한 흙이 분리되어 하부로 배출도록 분류컨베어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거름망과, 농작물받침대에 설치되어 거름망을 지지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농작물을 농작물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거름망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배출구는 출구 하단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농작물을 농작물이송부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와, 농작물배출구의 출구 양측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배출가이드에 연결되어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이송부는 농작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농작물을 이송하도록 컨베어풀리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컨베어와, 메인프레임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 및 메인프레임과 측벽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을 포함하며 메인프레임과 함께 이송컨베어를 감싸주는 이송부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부프레임에 연결 형성되어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프레임과, 이송부프레임의 입구측 끝단을 막아주는 이탈방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이송컨베어를 이동시키는 컨베어풀리는 분류컨베어를 이동시키는 컨베어풀리에 구비된 연동풀리에 연동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8. 삭제
KR1020200152637A 2020-11-16 2020-11-16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KR10253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37A KR102536663B1 (ko) 2020-11-16 2020-11-16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37A KR102536663B1 (ko) 2020-11-16 2020-11-16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518A KR20220066518A (ko) 2022-05-24
KR102536663B1 true KR102536663B1 (ko) 2023-05-26

Family

ID=8180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637A KR102536663B1 (ko) 2020-11-16 2020-11-16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6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7817A (ja) * 1984-04-12 1985-10-31 井関農機株式会社 収穫装置
JPH0576219U (ja) * 1992-03-19 1993-10-19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収穫機
JP2582064Y2 (ja) * 1993-01-19 1998-09-30 株式会社クボタ 掘取収穫機
JPH0847318A (ja) * 1994-08-08 1996-02-20 Honda Uiru:Kk 地下作物収穫機
KR200353995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200461743Y1 (ko) 2010-11-02 2012-08-03 김영석 땅속 작물 수확기용 농작물 배출구조
KR102216837B1 (ko) 2019-01-30 2021-0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518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JP5509788B2 (ja) 作物掘起機
KR20200079615A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KR20160025861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KR101961857B1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CN210247534U (zh) 一种后置拖动式药材收获机
CN105993375B (zh) 打瓜收获机
CN208210715U (zh) 花生联合收获机
KR102536663B1 (ko)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JP5476698B2 (ja) 作物分離収穫機
US5143305A (en) Soi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247159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CN216163443U (zh) 一种履带式油莎豆收获机用高效分离装置
KR102336088B1 (ko) 트랙터 장착용 구근 작물 수확 장치
US4407370A (en) Separator device
KR102146035B1 (ko) 수확기용 하역장치
CN114401627A (zh) 鳞茎蔬菜收割机
KR102111840B1 (ko) 자주식 양파 수확기
JP2017012045A (ja) 農作業機
JP2019198331A (ja) 農作業機
KR102549998B1 (ko) 농작물 수확기
JP3662726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KR10262321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CN2691233Y (zh) 联合打瓜收获脱籽机
KR102417260B1 (ko)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