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260B1 -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260B1
KR102417260B1 KR1020210163958A KR20210163958A KR102417260B1 KR 102417260 B1 KR102417260 B1 KR 102417260B1 KR 1020210163958 A KR1020210163958 A KR 1020210163958A KR 20210163958 A KR20210163958 A KR 20210163958A KR 102417260 B1 KR102417260 B1 KR 10241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unit
crops
workbench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유승화
전현종
김영근
강연구
최덕규
이상희
현창식
최민선
이예슬
남영조
권승귀
남상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불스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16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본체의 전방에 굴취삽을 탑재하여 작물을 굴취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부(100)와, 수집부(100)의 후방에서 작물을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이송부(200)와, 이송부(200)의 후방에서 불순물을 선별하고 수납부(400)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선별부(300)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선별부(300)는, 다수의 선별바(311)를 수평으로 일정 간격 배치 및 구동하여 수확된 뿌리작물을 수납부(400)로 이송하면서 미세 이물질은 하방 낙하하도록 구비하는 선별작업대(310)와, 선별작업대(310)의 진입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여 뿌리작물을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로 유도하도록 구비하는 선별유도부(320)와, 선별작업대(310)의 중간 구간 일측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선별유도부(320)를 통과한 뿌리작물로부터 작업자가 선별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물질을 쓸어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비하는 선별작업발판부(330)와, 선별작업대(310)의 배출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고 선별바(311) 상에서 함께 이송되는 뿌리작물과 이물질의 이송 경로를 분리하여 수확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하는 선별분리배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뿌리작물에 혼재된 이물질 선별 작업을 보다 효율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FOREIGN SUBSTANCE DISCHARGE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본 발명은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 양파 등의 뿌리작물을 수확하는 자주식 수확기에 탑재하는 선별부에 있어 수확한 뿌리작물을 이송하면서 이물질을 선별 작업을 보다 효율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등 경작지의 지중에서 자라는 뿌리작물의 수확 작업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구굴하여 채취해야 하므로 일반 작물에 비해 수확작업이 복잡하다.
특히, 수확한 뿌리작물에는 흙이나 돌 등의 각종 이물질이 혼재하므로 수확 작업을 거친 후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선별하는 추가 작업이 불가피하므로 인건비 상승에 의한 비용이 소요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어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뿌리작물의 수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는바, 공지된 기술을 통해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3995 호에는 수확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는 굴취날이 소정 각도로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굴취날을 통해 굴취된 작물의 유입을 위한 체인콘베이어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체인콘베이어 후단측에는 유입된 작물을 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측부이송수단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측부이송수단으로는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벨트콘베이어가 구비되는 땅속작물 수확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06 - 0106349 호에는 자체의 동력에 의해 주행할 수 있는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밭에 심겨진 양파를 굴취하는 1차 굴취부와, 굴취된 양파를 수집하여 차체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2차 수집 컨베이어부와, 차체의 상부로 이송된 양파를 차체의 후방으로 수평이송시키는 3차 이송 컨베이어부와, 3차 이송 컨베이어부의 도중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양파의 줄기를 절단하는 줄기절단부와, 차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줄기가 절단된 양파를 수거용 자루에 수집하기 위한 집하부를 포함하는 자주식 양파 수확기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29092 호에는 본체의 전측 하방에서 구굴판을 일정 각도로 구동하여 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와, 굴취부의 후방에서 본체의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선별바를 구비하여 작물을 반송하고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분리부의 후방에서 본체의 상측으로 일 방향 구동하는 다수의 승강바를 구비하여 작물을 이송부로 공급하는 승강부와, 승강부의 후방에서 본체의 후방으로 다수의 이송바를 구비하여 승강부에서 낙하하는 작물을 배출부로 공급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의 후방에서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수확기를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3995 호 (2004.06.23)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06 - 0106349 호 (2008.04.22)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29092 호 (2019.10.07)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74950 호 (2009.01.2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뿌리작물 수확기는 본체의 전방에서 굴취삽을 구동하는 수집부와, 굴취된 작물을 이송하도록 다수의 이송바를 구동하는 이송부와, 작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다수의 선별바를 구동하는 선별부를 탑재하여 배출부를 통해 수확한 뿌리작물을 톤백에 수납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뿌리작물 수확기는 수확된 뿌리작물이 선별부를 통과하면서 미세 흙이나 잔돌 등은 본체 하부로 유출되어 분리가 되나 체적이 큰 돌이나 굳은 흙 등은 분리가 되지 못하고 작물과 함께 선별부를 통과하여 톤백에 수집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종래 기술의 선별부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못한 이물질은 수확 작업을 거친 후에 작업자가 재차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 시간을 지연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체의 전방에 굴취삽을 탑재하여 작물을 굴취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부(100)와,
수집부(100)의 후방에서 작물을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이송부(200)와,
이송부(200)의 후방에서 불순물을 선별하고 수납부(400)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선별부(300)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300)는,
다수의 선별바(311)를 수평으로 일정 간격 배치 및 구동하여 수확된 뿌리작물을 수납부(400)로 이송하면서 미세 이물질은 하방 낙하하도록 구비하는 선별작업대(310)와,
선별작업대(310)의 진입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여 뿌리작물을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로 유도하도록 구비하는 선별유도부(320)와,
선별작업대(310)의 중간 구간 일측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선별유도부(320)를 통과한 뿌리작물로부터 작업자가 선별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물질을 쓸어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비하는 선별작업발판부(330)와,
선별작업대(310)의 배출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고 선별바(311) 상에서 함께 이송되는 뿌리작물과 이물질의 이송 경로를 분리하여 수확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하는 선별분리배출부(340)를 포함하여 뿌리작물에 혼재된 이물질 선별 작업을 보다 효율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마늘, 양파 등의 뿌리작물을 수확하는 자주식 수확기에 탑재하는 선별부에 있어 수확한 작물을 이송하면서 이물질을 선별 작업을 보다 효율화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물질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집부를 통해 수확된 뿌리작물에 혼재하는 흙이나 돌 등의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의 구성을 종래 기술과 차별하여 보조작업자가 차체에 탑승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수확 후 추가 분류 작업을 배제하여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는 마늘, 양파 등의 뿌리작물을 수확하는 자주식 수확기에 탑재하는 선별부에 있어 수확한 작물을 이송하면서 이물질을 선별 작업을 보다 효율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는 본체의 전방에 굴취삽을 탑재하여 작물을 굴취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부(100)와, 수집부(100)의 후방에서 작물을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이송부(200)와, 이송부(200)의 후방에서 불순물을 선별하고 수납부(400)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선별부(300)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뿌리작물 수확기는 본체에 구동부 및 동력전달수단을 탑재하고 일측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수확기 전반을 운전 및 조작하도록 이루어지는 자주식 수확기를 구성한다.
상기 수집부(100)는 본체의 전측 하방에서 굴취삽을 지면을 향해 구동하여 뿌리작물을 굴취한다.
상기 굴취삽은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작동캠을 장착하는 커넥팅로드와 굴취삽을 작동하는 구동축을 연결하여 전, 후 및 상, 하 방향으로 궤도를 형성하면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뿌리작물이 심어진 지면을 향해 전진과 상승을 반복하여 파헤치는 형태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굴취삽의 후방에는 이송부(200)를 향해 다수의 분리바를 뿌리작물의 크기보다 작은 간경을 두고 배치, 구동하여 굴취삽으로부터 뿌리작물을 이송부(200)로 반송하면서 간극을 통해 흙과 같은 불순물이 낙하하여 분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200)는 수집부(100)의 후방에서 수확기 본체의 상측으로 일 방향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이송바를 구비하여 수집부(100)로부터 뿌리작물을 선별부(300)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바는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는 상, 하측 기어와 연동하는 체인에 장착되어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바는 체인 상에 다수를 일정 간격 횡으로 배열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체인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본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선별부(300)는 이송부(200)의 상단 후방에서 본체의 후방 수납부(400)를 향해 수평 구비하여 이송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뿌리작물을 수납부(400)로 이송하면서 뿌리작물에 혼재되는 돌이나 흙덩어리와 같은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구성하며, 선별작업대(310), 선별유도부(320), 선별작업발판부(330), 및 선별분리배출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작업대(310)는 다수의 선별바(311)를 수평으로 일정 간격 배치 및 구동하여 수확된 뿌리작물을 수납부(400)로 이송하면서 미세 이물질은 하방 낙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선별바(311)는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는 전, 후측 기어와 연동하는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별유도부(320)는 선별작업대(310)의 진입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여 뿌리작물을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로 유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선별유도부(320)는 뿌리작물이 선별바(311)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의 양측에서 상호 대칭하도록 전광후협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중앙부로 작물을 유도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선별작업발판부(330)에 탑승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선별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선별작업발판부(330)는 선별작업대(310)의 중간 구간 일측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선별유도부(320)를 통과한 뿌리작물로부터 작업자가 선별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물질을 쓸어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선별부(300)작업발판부를 수확기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조작부의 일측에서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반대측, 또는 양측에 구비할 수 있으며, 선별작업대(310)와의 사이에 소정의 안전바를 설치하여 본체의 이동 중에도 작업자가 안전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별분리배출부(340)는 선별작업대(310)의 배출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고 선별바(311) 상에서 함께 이송되는 뿌리작물과 이물질의 이송 경로를 분리하여 수확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선별분리배출부(340)는 상기 다수의 선별바(311)의 간극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는 체적이 큰 이물질을 작업자가 분류하되, 작업자가 이물질을 손으로 일일이 들어 분리하지 않고 보다 용이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이물질진입부(341), 분리유도터널(342), 배출유도부(34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물질진입부(341)는 선별작업발판부(33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일측 또는 반대측에 형성하여 작업자가 쓸어당기거나 밀어낸 이물질이 선별바(311)를 타고 진입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물질진입부(341)는 상기 전광후협의 경사면을 가지는 선별유도부(320)의 단부에서 선별작업대(310)의 최외측으로 일정 크기의 공간을 마련하고, 그 일측에서 전방을 향해 '┌┐' 형상의 개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에 모인 뿌리작물 중에서 작업자가 눈으로 이물질을 선별하고 이를 손으로 쓸어당기거나 밀어내어서 선별작업대(310)의 최외측에서 이물질진입부(341)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리유도터널(342)은 이물질진입부(341)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터널 형상으로 형성하여 선별작업대(310)의 상부를 구획하고 선별바(311) 상에서 이물질을 별도로 이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분리유도터널(342)은 상기 이물질진입부(341)에 위치하는 이물질이 선별바(311)의 구동에 의해 진입하고 구획된 터널 내부에서, 선별바(311)의 중앙부 상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뿌리작물과는 별도로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리유도터널(342)의 하단부는 상기 선별바(311)의 구동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를 이격하여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에서 뿌리작물의 이송과 분리유도터널(342) 내부의 이물질이 동일 선별바(311)의 구동에 의해 진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유도부(343)는 분리유도터널(342)의 출구에서 수납부(400)의 입구 사이를 구획하여 분리유도터널(342)을 통과한 이물질이 선별바(311)를 타고 수납부(400)의 일측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배출유도부(343)는 상기 선별작업대(310)의 배출 구간 후방에서 수납부(400) 연결되는 지점에서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뿌리작물이 수납부(400)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면서, 동시에 상기 분리유도터널(342)을 통과하여 선별작업대(310)의 양측으로 이송되는 이물질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이 유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유도부(343)의 하단부는 상기 선별바(311)의 구동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를 이격하여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에서 수납부(400)를 향하는 뿌리작물의 이송과 배출유도부(343)를 통과하여 외부를 향하는 이물질이 동일 선별바(311)의 구동에 의해 진행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뿌리작물 수확기는 경작지에 심어진 뿌리작물을 송두리채 파헤지는 굴취작업과, 굴취된 뿌리작물을 선별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작업과, 이송되는 뿌리작물에 혼입된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여 수납부에 공급하기 위한 선별작업과 톤백에 선별된 뿌리작물을 안전하게 수용, 저장하고 본체 외부로 톤백을 배출하여 운반차 등에 상차하도록 하는 배출작업을 일련의 과정으로 연속적으로 실시한다.
뿌리작물 수확기가 뿌리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따라서 전진하고 수확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수집부(100)는 굴취삽을 본체의 전, 후 및 상, 하 방향으로 구동하여 지면을 구굴한다. 굴취삽에 의해 파헤쳐진 뿌리작물은 수확기 본체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다수의 분리바를 통과하면서 간극을 통해 흙과 같은 작은 불순물이 지면으로 낙하하여 분리된다.
상기 수집부(100)에 의해 굴취된 뿌리작물은 이송부(200)로 공급되고 본체의 상측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이송바를 타고 선별부(300)를 향해 이송된다.
상기 선별부(300)에 이송된 뿌리작물은 선별작업대(310)의 진입 구간으로 진입하여 다수의 선별바(311)의 구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선별작업대(310)의 양측에 구비하는 선별유도부(320)에 의해 뿌리작물이 중앙부로 유도된다.
선별작업대(310)의 중간구간 일측에 마련하는 선별작업발판부(330)에 탑승한 작업자는 선별바(311) 상에서 이동하는 뿌리작물 사이에서 이물질을 눈으로 선별하고, 선별바(311)의 길이 방향, 즉 뿌리작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연직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을 손으로 쓸어담거나 반대측으로 밀어내어 이물질진입부(341)에 위치시킨다.
상기 이물질진입부(341)로 쓸려오는 이물질은 상기 선별바(311)의 지속적인 구동에 의해 작업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분리유도터널(342)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분리유도터널(342)에 진입한 이물질은 선별작업대(310)의 중간 구간을 통과하는 뿌리작물과 구획된 상태로 선별바(311)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리유도터널(342)을 통과한 이물질은 선별작업대(310)의 배출 구간 후방에서 배출유도부(343)에 의해 수납부(400)의 일측 외부로 유도되어 수확기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유도부(343)의 내측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상태로 수납부(400)로 진입하는 뿌리작물은 톤백으로 투하되어 수납되며 리프팅 작동에 의해 운송차에 상차함으로써 모든 뿌리작물 수확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는 마늘, 양파 등의 뿌리작물의 수확 작업에서 수집부를 통해 수확된 뿌리작물에 혼재하는 흙이나 돌 등의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를 종래와 차별하여, 보조작업자가 차체에 탑승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이 수확 후 추가적인 이물질 분류 작업을 배제하고 즉시 출하기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뿌리작물 수확기
100: 수집부
200: 이송부
300: 선별부
310: 선별작업대
311: 선별바
320: 선별유도부
330: 선별작업발판부
340: 선별분리배출부
341: 이물질진입부
342: 분리유도터널
343: 배출유도부
400: 수납부

Claims (2)

  1. 본체의 전방에 굴취삽을 탑재하여 작물을 굴취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부(100)와, 수집부(100)의 후방에서 작물을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이송부(200)와, 이송부(200)의 후방에서 불순물을 선별하고 수납부(400)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선별부(300)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300)는,
    다수의 선별바(311)를 수평으로 일정 간격 배치 및 구동하여 수확된 뿌리작물을 수납부(400)로 이송하면서 미세 이물질은 하방 낙하하도록 구비하는 선별작업대(310)와,
    선별작업대(310)의 진입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여 뿌리작물을 선별작업대(310)의 중앙부로 유도하도록 구비하는 선별유도부(320)와,
    선별작업대(310)의 중간 구간 일측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선별유도부(320)를 통과한 뿌리작물로부터 작업자가 선별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물질을 쓸어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비하는 선별작업발판부(330)와,
    선별작업대(310)의 배출 구간 양측을 따라서 선별바(311)의 상측에 장착하고 선별바(311) 상에서 함께 이송되는 뿌리작물과 이물질의 이송 경로를 분리하여 수확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하는 선별분리배출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분리배출부(340)는,
    선별작업발판부(33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일측 또는 반대측에 형성하여 작업자가 선별바(311)의 길이 방향으로 쓸어당기거나 밀어낸 이물질이 선별바(311)를 타고 진입하도록 구비하는 이물질진입부(341)와,
    이물질진입부(341)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터널 형상으로 형성하여 선별작업대(310)의 상부를 구획하고 선별바(311) 상에서 이물질을 별도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분리유도터널(342)과,
    분리유도터널(342)의 출구에서 수납부(400)의 입구 사이를 구획하여 분리유도터널(342)을 통과한 이물질이 선별바(311)를 타고 수납부(400)의 일측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하는 배출유도부(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2. 삭제
KR1020210163958A 2021-11-25 2021-11-25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KR10241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958A KR102417260B1 (ko) 2021-11-25 2021-11-25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958A KR102417260B1 (ko) 2021-11-25 2021-11-25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260B1 true KR102417260B1 (ko) 2022-07-07

Family

ID=8239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958A KR102417260B1 (ko) 2021-11-25 2021-11-25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2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5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20060106349A (ko) 2005-04-08 2006-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874950B1 (ko)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땅속 작물 수확 장치
KR101738942B1 (ko) * 2016-11-15 2017-05-29 정다운 구근류 수확장치
KR102005430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102029092B1 (ko) 2017-12-20 2019-10-07 주식회사 불스 뿌리작물 수확기
KR102048005B1 (ko) * 2017-10-30 2019-11-22 정다운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2145864B1 (ko) * 2020-02-07 2020-08-19 정다운 지중 식물 수집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5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20060106349A (ko) 2005-04-08 2006-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874950B1 (ko)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땅속 작물 수확 장치
KR101738942B1 (ko) * 2016-11-15 2017-05-29 정다운 구근류 수확장치
KR102048005B1 (ko) * 2017-10-30 2019-11-22 정다운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2029092B1 (ko) 2017-12-20 2019-10-07 주식회사 불스 뿌리작물 수확기
KR102005430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102145864B1 (ko) * 2020-02-07 2020-08-19 정다운 지중 식물 수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42B1 (ko) 구근류 수확장치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KR102145864B1 (ko) 지중 식물 수집기
KR101323850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KR102005430B1 (ko)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102029092B1 (ko) 뿌리작물 수확기
KR100871106B1 (ko) 구근작물 수확기
KR101940578B1 (ko) 선별 포장구조를 갖는 자주식 양파 선별 수확장치
KR20160025861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KR20190048066A (ko)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2417260B1 (ko)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KR102378861B1 (ko)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KR102336088B1 (ko) 트랙터 장착용 구근 작물 수확 장치
KR102417256B1 (ko) 차속동조 기능을 가지는 뿌리작물 수확기
CN206423124U (zh) 一种地下作物收获机
KR100464958B1 (ko) 인발식 당근 수확기
KR20090003596U (ko) 구근 수확기
JPH08289641A (ja) 農産物収穫機
Gulati Design and development of two row tractor operated potato combine harvester
KR20220061051A (ko)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US2093920A (en) Potato harvester
KR102536663B1 (ko)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JP7414760B2 (ja) 野菜収穫機
CN217591547U (zh) 垄式栽培的草石蚕收获装置
JP2000004627A (ja) 泥土除去装置付き根菜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