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430B1 - 수집형 감자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집형 감자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5430B1 KR102005430B1 KR1020180163849A KR20180163849A KR102005430B1 KR 102005430 B1 KR102005430 B1 KR 102005430B1 KR 1020180163849 A KR1020180163849 A KR 1020180163849A KR 20180163849 A KR20180163849 A KR 20180163849A KR 102005430 B1 KR102005430 B1 KR 1020054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ecting
- bar
- unit
- sprocket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4—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conveyors arranged below the sieving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수단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지중작물을 채집하여 후단으로 전달하는 채집부; 상기 채집부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채집부로부터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시키되, 인력에 의해 지중작물과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수확되는 과정에서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이 보다 정확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어 이후 공정에 수집된 지중작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이 배제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채집부와 선별부의 성능을 개선하여 수확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자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이끌려 이송되면서 지중의 감자, 고구마, 양파 등 지중작물을 수확하되, 수확된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이 정확하게 분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작물은 구근류라 불리며 뿌리가 땅속에서 덩어리로 생성되어 영양분을 저장하는 괴근작물과 줄기가 덩어리로 땅속에서 생성되는 괴경작물을 포함한다. 괴근작물에는 고구마가 있고, 괴경작물에는 감자가 있다.
이러한 구근류는 지면을 호미와 같은 농기구로 지면을 파내어 수확할 수 있다. 작물의 재배면적이 소규모일 경우에는 적은 노동력으로 쉽게 수확할 수 있지만,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하므로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한 수확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구근의 채굴을 위해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날부 및 삽날부의 후방영역에 삽날부에 의해 채굴된 흙 및 구근을 후방의 지상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 컨베이어는 삽날부에 의해 제공된 구근을 흙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를 가지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방향을 따라 삽날부에 인접된 영역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방영역에 결합되고, 견인차량이 전진함에 따라 삽날부가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흙 및 구근이 삽날부에 의해 후방영역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된 흙 및 구근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 재치되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흙이나 작은 돌 등의 이물은 로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여 분리된다. 여기서, 구근은 후방 영역으로 이송되어 장치의 양측으로 낙하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흙이나 돌 등의 이물이 많은 경우 모든 이물이 로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지 못하고 구근을 투입시켜 수용하는 자루 등에 투입되게 되므로 수집된 구근에서 흙이나 돌 등의 이물을 추가로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확되는 과정에서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이 정확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어 이후 공정에 이물질 분리 공정이 배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는 견인수단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지중작물을 채집하여 후단으로 전달하는 채집부; 상기 채집부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채집부로부터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시키되, 인력에 의해 지중작물과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채집부는, 내측에 채집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채집측판을 포함하는 채집본체; 상기 채집본체의 하측 선단에 마련되어 흙과 지중작물을 채굴하는 채굴부; 상기 채집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채굴부에 의해 채굴된 흙과 지중작물을 채집본체의 상측 후단으로 전달하는 제 1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굴부는,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면 구조로 구성되는 채굴부재;상기 채굴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측판의 선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팅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팅날은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상기 채집공간의 하측 선단에 배치되는 제 1축에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 1스프로킷;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 후단에 배치되는 제 2축에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 2스프로켓; 상기 제 1축 또는 제 2축 중 하나 이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상기 제 1스프로킷과 제 2스프로킷에 맞물려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 1스프로킷 또는 제 2스프로킷이 회전하게 되면 궤도운동을 하는 한 쌍의 체인부; 한 쌍의 상기 체인부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되, 서로 간 일정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바; 및 한 쌍의 상기 체인부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돌출바 간 이격된 간격에 복수 배치되는 이송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바의 상면은 상기 이송바의 상면보다 높게 구성되며, 상기 이송바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선별부는, 내측에 선별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선별측판을 포함하며 하부에는 한 쌍의 이송바퀴가 구성되는 선별본체; 상기 선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부로의 후측으로 낙하하여 그 선단부로 전달되는 지중작물과 이물질을 상기 선별본체의 후단으로 배출시키는 제 2이송장치;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상부면에 연하도록 한 쌍이 대칭 배치되되, 상기 제 2이송장치의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열되어 상기 선별공간을 내측의 제 1구역과, 양측의 제 2구역으로 구획하는 구획가이드; 상기 제 2구역의 후단에 구성되는 배출가이드; 상기 선별본체의 후단에 구성되며 수집부재를 안착시켜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배출되는 지중작물이 상기 수집부재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수집장치; 상기 선별부의 양측에 구성되는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이송바퀴에는 조향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이송바퀴의 중심부에서 각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돌기; 상기 내측돌기와 제 1링크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되는 작동로드; 및 양측에 각각 팽창 및 수축이 제어되는 실린더로드가 구성되는 제어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로드는 각각 상기 작동로드와 제 2링크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집형 감자 수확기는 수확되는 과정에서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이 보다 정확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어 이후 공정에 수집된 지중작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이 배제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채집부와 선별부의 성능을 개선하여 수확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채굴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선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바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채굴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선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바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채굴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선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바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는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이끌려 이송되면서 지중의 감자, 고구마, 양파 등 지중작물을 수확하되, 인력에 의해 수확된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부(100) 및 선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집부(100)는 그 선단이 견인수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지중작물을 채집하여 후단으로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200)는 상기 채집부(100)의 후측에 배치되되, 선별부(200)와 채집부(100)는 일체구조로 구성되며 채집부(100)의 하측에 이송바퀴(215)가 구성됨으로써 채집부(100)가 견인수단에 이끌리게 되면 채집부(100)와 선별부(200)가 일체로 이끌리며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선별부(200)는 상기 채집부(100)로부터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후단으로 배출되는 중에 인력에 의해 흙 등 이물질과 지중작물은 분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작업자들은 선별부(200)의 양측에 구성되는 작업발판(260)에 올라서서 선별부(200)에서 그 후단으로 배출되는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을 서로 분리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실시 예들은 추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채집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채집부(100)는 채집본체(110), 채굴부(120) 및 제 1이송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집본체(110)는 도 1에서와 같이 선단에 견인수단과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150)와 내측에 채집공간(112)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채집측판(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바(151), 가이드(152) 및 작동실린더(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바(151)는 선단에 견인수단에 연결되는 고리부재(151a)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바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52)는 상기 채집부(100)의 선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선단을 향해 개구되는 공간이 마련되되, 공간의 형태는 상기 길이조절바(151)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길이조절바(151)가 상기 가이드(151)의 내측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실린더(153)는 유압 실린더 구조로 마련되는 것으로 실린더의 본체(부호 미도시)는 상기 가이드(152)에 고정되고 실린더 구조 중 실린더 로드(부호 미도시)는 상기 길이조절바(151)에 고정되어 작동실린더(153)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상기 상기 길이조절바(151)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5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수확 작업시에는 신장시켜 트랙터 등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되며, 비작업 시 또는 도로주행시에는 상기 길이조절바(151)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곡선 구단 등에서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채집측판(111)은 지중에서 채굴되는 지중작물들이 후단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채굴부(120)는 상기 채집본체(110)의 하측 선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채집부(100)가 견인수단에 이끌려 전진하는 과정에서 지중작물과 흙 등이 굴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채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굴부재(121) 및 커팅날(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채굴부재(121)는 지중작물에 대한 채굴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선단을 향해 하향의 경사면 구조로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팅날(122)은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각각은 상기 채굴부재(121)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채굴부재(121)에 의해 채굴되는 감자 등 지중작물에 딸려 채집공간(112)으로 인입되는 뿌리 또는 줄기 등이 자동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채굴부(120)가 지중작물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감자 등 지중작물에 붙어 있는 뿌리 또는 줄기 등이 함께 채집공간(112)으로 인입될 경우 줄기나 뿌리의 엉킴 작용에 의해 채굴부(120) 및 이하의 제 1이송장치(130)가 원활이 작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게 되는 바, 커팅날(122)이 상기 채굴부재(121)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감자 등 지중작물이 채굴부재(121)에 채굴되어 채집공간(112)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줄기 및 뿌리 등을 자동을 절단시켜 장치의 원활한 작동 및 구동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팅날(122)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원형의 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채집측판(111)의 선단에 결합됨에 있어, 채집측판(111)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원호형의 장공(125)이 형성되는 장착대(124)가 마련되고 장착대(124)의 끝단에는 상기 장공(125)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장착부재(126)에 원형의 커팅날(122)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커팅날(122)은 장착부재(126)의 장공(125)에 의한 각도조절에 의해 그 높이 제어가 가능하여, 작업환경 및 작물의 종류에 따라 커팅날(122)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지중작물 수확시, 지중작물에 딸려 인입되는 뿌리 및 줄기의 커팅효율이 향상되도록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 1이송장치(1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집공간(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채굴부(120)에 의해 채굴된 흙 등 이물질과 지중작물을 채집본체(110)의 상측 후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 1이송장치(130)는 제 1스프로킷(1310), 제 2스프로킷(1320), 구동장치, 체인부(1330), 돌출바(1340) 및 이송바(13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스프로킷(1310)은 상기 채집공간(112)의 하측 선단에 배치되는 제 1축(1312)에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 2스프로킷(1320)은 상기 채집공간(112)의 상측 후단에 배치되는 제 2축(1322)에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축(1312) 또는 제 2축(1322) 중 하나 이상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은 트랙터 등 견인수단으로부터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인부(1330)는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각각은 한 쌍씩 상호 이격되는 제 1스프로킷(1310)과 제 2스프로킷(1320)에 각각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 1스프로킷(1310) 또는 제 2스프로킷(1320)이 회전하게 되면 궤도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바(1340)는 복수가 마련되는 것으로, 각 양단이 한 쌍의 체인부(1330)에 각각 결합되되, 도 1에서와 같이 돌출바(1340) 간 일정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바(1350) 역시, 각 양단이 한 쌍의 체인부(1330)에 결합되되, 상기 돌출바(1340) 간 이격된 간격에 복수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바(1340)는 도 1 및 도 4(도 1의 AA선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전체가 상기 이송바(1350)의 상면보다 높게 구성되고, 상기 이송바(1350)는 도 1 및 도 4(도 1의 AA선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부(1352)가 형성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돌출바(1340)와 그리고 돌출바(1340) 사이에 복수 배치되는 이송바(1350)의 오목부(1352)에 의해 이송공간(S)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는 감자 등과 같이 둥근 형태의 지중작물이 채집부(100)의 선단인 채굴부(120)에서 채굴되어 선단보다 높은 후단측으로 제 1이송장치(130)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감자는 그 둥근 형태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가 낮을 경우 자중에 의해 다시 선단으로 굴러 떨어질 수도 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돌출바(1340)와 이송바(1350)의 구조에 의해 형성된 이송공간(S)에 감자 등과 같은 지중작물이 안착되되, 이송바(1350)의 오목부(1352) 상면과 돌출바(1340)의 상면 간 높이 차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므로 이송공간(S)에 안착된 지중작물은 채집부(100)의 후단 상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바(1340)에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어 둥근 형태의 작물이 전방으로 다시 굴러서 낙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수집 및 수확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바 및 이송바는 그 전체가 고무재질의 커버부재에 감싸지도록 구성되어 감자 등 지중작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바와 돌출바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선별부(200)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별부(200)는 상기에서도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채집부(100)의 후측에 배치되어, 채집부(100)로부터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하되, 인력에 의해 지중작물과 흙 등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선별본체(210), 제 2이송장치(220), 구획가이드(230), 배출가이드(240), 수집장치(250) 및 작업발판(2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본체(210)는 그 내측에 선별공간(212)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선별측판(2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바퀴(215)가 구성되어 채집부(100)가 견인수단에 이끌리게 되면 채집부(100)와 선별부(200)가 일체로 이끌리며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바퀴(215)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조향장치(290)가 구성될 수 있는 바, 조향장치(290)에 의해 본 발명의 감자 수확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견인되는 감자 수확기가 보다 좁은 범위에서도 U턴 등 방향전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수집형 감자 수확기에는 상기 조향장치(290)를 제어할 수 있는 조향핸들(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향장치(2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돌기(291), 작동로드(293) 및 제어실린더(29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7은 이송바퀴(215)를 상측에서 바라보는 평면도인 것으로, 상기 내측돌기(291)는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바퀴(215)의 중심부에서 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293)는 바 형태로 일단이 상기 내측돌기(291)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제 1링크(292)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실린더(295)는 도면에서와 같이 실린더로드(296)가 그 양측에 구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양측 중 일측 실린더로드(296)를 신장시키고 타측 실린더로드(296)를 수축시키거나 그 반대로 작동시킨다.
이때, 일측 실린더로드(296)의 끝단은 상기 작동로드(293)의 타단과 제 2링크(294)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되고 타측 실린더로드(296)의 끝단은 양측 이송바퀴(215) 중 다른 쪽 이송바퀴(215)에 결합되는 작동로드(293)와 제 2링크(294)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됨으로써, 감자 수확기가 직진할 경우 도 7a에서와 같이 양측 이송바퀴(215)가 전방을 향해 나란한 상태가 되고, 감자 수확기의 방향전환을 위해 제어실린더(295)가 일측 실린더로드(296)를 신장(도면상 좌측)시키고 타측 실린더로드(296)를 수축(도면상 우측)시키게 되면 각 양측의 작동로드(293)와 각 제 1링크(292)와 제 2링크(294)는 도 7b와 같이 작동하여 진행방향의 수직선(H)을 기준으로 각 이송바퀴(215)의 축방향의 각도 차(a>b)가 발생하여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이끌리는 감자 수확기의 회전반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이송장치(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공간(212)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부(100)의 후측으로 낙하하여 그 선단부로 전달되는 지중작물과 흙 등 이물질을 선별본체(210)의 후단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이송장치(2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 3스프로킷(221), 제 4스프로킷(222), 체인부재(223) 및 전달바(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스프로킷(221) 및 제 4스프로킷(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공간(212)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격되는 선별측판(211)에 인접하도록 전후 측에 이격되는 것으로 그 중 하나 이상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구동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부재(223)는 상기 제 3스프로킷(221) 및 제 4스프로킷(222)에 각각 맞물려 제 3스프로킷(221) 및 제 4스프로킷(222)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여 궤도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바(224)는 상기 채집부(100)의 일 구성인 이송바(1350)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체인부재(223)에 그 양단이 일정 간격마다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구성들 간 구동에 의해 전달바(224) 상에 안착되는 지중작물과 흙 등 이물질이 제 2이송장치(220)의 후단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바(224) 역시 상기 이송바(1350)와 마찬가지로 고무재질의 커버부재에 감싸지도록 구성하여 이송 중 지중작물이 전달바(22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별측판(2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달바(224)와 간섭이 이뤄지도록 그 작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브러쉬(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브러쉬에 의해 제 2이송장치(220)는 그 작동 중에 상기 전달바(224)의 양 사이드쪽에 붙어있는 흙 등 이물질이 자동 제거될 수 있어, 장치의 구동 성능이 항상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물질 제거를 위해 장치의 구동을 수시로 멈출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구획가이드(2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이송장치(220)의 상부면 즉, 체인부재(223)에 의해 궤도운동하는 전달바(224)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전달바(224)의 상면에 연하도록 한 쌍이 대칭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이송장치(220)의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열되어 상기 선별공간(212)을 중심부인 내측의 제 1구역(212a)과 그 양측인 외측의 제 2구역(212b)으로 구획하게 된다.
즉, 상기 채집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지중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들은 도 5에서와 같이 모두 제 1구역(212a)으로 전달되게 되고 작업자들은 상기 작업발판(260)에 올라서서 본 발명인 수집형 감자 수확기가 이동중인 상태에서 제 1구역(212a)을 통해 후단을 배출되는 지중작물과 이물질 중 지중작물만 선별하여 제 2구역(212b)으로 옮김으로써 흙 등 이물질들은 제 1구역(212a)의 후단을 거쳐 하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지중작물만 제 2구역(212b)의 후단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구역(212b)이 선별측판(211)에 인접 배치되므로, 작업발판(260)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등 그 활동 및 작업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2구역(212b)의 후단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지중작물이 배출되는 후단측이 'Y'자 형태로 양분되는 바닥면(242)과 바닥면(242)의 양측에 돌출되는 측벽(2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제 2이송장치(220)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 2구역(212b)의 구조와 더불어 그 후단측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지중작물이 배출됨에 있어 부하가 걸리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242)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면 구조로 구성되어 배출가이드(240)로 배출되는 지중작물이 원활히 그 후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선별공간(2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2구역(212b)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한 쌍이 선별본체(210)의 후단 양측에 구성되되, 한 쌍의 배출가이드(240) 사이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흙막이(280)가 구성되어 제 1구역(212a)을 통해 배출되는 흙 등 이물질이 지중작물이 수집되는 이하의 수집부재(252)에 투입되지 않고 하방향으로 모두 낙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이 대칭 배치되는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선별본체(210)의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경사각을 제어 가능토록 구성하여 비교적 깊게 채굴하여 수집하는 지중작물의 경우 채굴되는 흙 등 이물질의 양이 많아져 배출가이드(240) 간 후단 측의 간격을 넓혀 즉, 제 1구역(212a)을 넓혀줌으로써 이물질의 배출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게 되며, 비교적 얇게 채굴하여 수집하며 이물질 대비 수집되는 양이 많은 지중작물의 경우, 배출가이드(240) 간 후단측 간격을 좁혀 즉, 제 2구역(212b)을 넓혀주는 등 작업환경에 따라 가변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집장치(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본체(210)의 후단에 구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수집장치(250) 상에 자루, 박스 등과 같은 수집부재(252)를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집부재(252)가 자루인 경우 그 입구에 상기 배출가이드(240)의 끝단이 내재되도록 배치시켜 상기 배출가이드(240)를 통해 배출되는 지중작물이 상기 수집부재(252)에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별본체(210)의 후단에 걸이부(254)를 마련하여 상기 수집부재(252)가 상기 걸이부(254)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장치(250)는 조절장치(280)에 의해 상하 및 경사조절이 가능하여 감자 등 지중작물의 수확량과 작물의 하차시 유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장치(2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가이드(281), 조절부재(282), 제어바(284) 및 각제어부(2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용가이드(28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선별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호 미도시)이 후방을 향해 개구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282)는 상기 수용가이드(281)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전후 유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282)의 끝단에는 힌지부(283)가 구성되어 이하의 제어바(284)와 결합된다.
상기 제어바(284)는 도면에서와 같이 그 중심부가 상기 조절부재(282)의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부(283)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수집장치(250)가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제어부(285)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축 및 팽창하는 유압실린더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실린더본체(부호미도시)는 상기 선별부(200)에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실린더로드(부호미도시)는 상기 제어바(284)의 타단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각제어부(285)의 팽창시 지렛대 원리로 상기 제어바(284)의 타단을 밀게 됨으로써 제어바(284)의 일단에 고정되는 수집장치(250)가 하강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상기 각제어부(285)의 수축시 수집장치(250)가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282)는 상기 수용가이드(281) 상에서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집장치(250)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구성하여 수집되는 작물의 종류나 수집부재(252)의 용량 등에 따라 수집장치(250)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작업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발판(260)은 상기에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선별부(200)의 양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작업발판(260)에 올라서서 제 1구역(212a)의 지중작물을 제 2구역(212b)으로 옮기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집부(100)와 선별부(200) 사이에는 튐방지판(270)을 마련하여 제 1이송장치(130)에 의해 전달되는 지중작물 또는 이물질이 튐방지판(270)에 의해 튀어나가지 않고 제 2이송장치(220)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에는 긴급스위치를 마련하여 제 1이송장치(130) 및 제 2이송장치(220)에 문제 발생시 이들의 구동을 신속하게 정지시켜 더 큰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채집부 110 : 채집본체
120 : 채굴부 130 : 제 1이송장치
200 : 선별부 210 : 선별본체
220 : 제 2이송장치 230 : 구획가이드
250 : 수집장치 260 : 작업발판
120 : 채굴부 130 : 제 1이송장치
200 : 선별부 210 : 선별본체
220 : 제 2이송장치 230 : 구획가이드
250 : 수집장치 260 : 작업발판
Claims (13)
- 견인수단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지중작물을 채집하여 후단으로 전달하는 채집부;
상기 채집부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채집부로부터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시키되, 인력에 의해 지중작물과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선별부;로 구성되며,
상기 채집부의 선단에는 견인수단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선단에 견인수단에 연결되는 고리부재가 마련되는 바 형태의 길이조절바;
상기 채집부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길이조절바가 삽입되는 가이드;
상기 길이조절바가 상기 가이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유동을 제어하는 작동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내측에 채집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채집측판을 포함하는 채집본체;
상기 채집본체의 하측 선단에 마련되어 흙과 지중작물을 채굴하는 채굴부;
상기 채집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채굴부에 의해 채굴된 흙과 지중작물을 채집본체의 상측 후단으로 전달하는 제 1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굴부는,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면 구조로 구성되는 채굴부재;
상기 채굴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측판의 선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팅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은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상기 채집공간의 하측 선단에 배치되는 제 1축에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 1스프로킷;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 후단에 배치되는 제 2축에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 2스프로켓;
상기 제 1축 또는 제 2축 중 하나 이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상기 제 1스프로킷과 제 2스프로킷에 맞물려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 1스프로킷 또는 제 2스프로킷이 회전하게 되면 궤도운동을 하는 한 쌍의 체인부;
한 쌍의 상기 체인부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되, 서로 간 일정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바;
한 쌍의 상기 체인부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돌출바 간 이격된 간격에 복수 배치되는 이송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의 상면은 상기 이송바의 상면보다 높게 구성되며,
상기 이송바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 및 이송바는 커버부재에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내측에 선별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선별측판을 포함하며 하부에는 한 쌍의 이송바퀴가 구성되는 선별본체;
상기 선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부의 후측으로 낙하하여 그 선단부로 전달되는 지중작물과 이물질을 상기 선별본체의 후단으로 배출시키는 제 2이송장치;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상부면에 연하도록 한 쌍이 대칭 배치되되, 상기 제 2이송장치의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열되어 상기 선별공간을 내측의 제 1구역과, 양측의 제 2구역으로 구획하는 구획가이드;
상기 제 2구역의 후단에 구성되는 배출가이드;
상기 선별본체의 후단에 구성되며 수집부재를 안착시켜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배출되는 지중작물이 상기 수집부재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수집장치;
상기 선별부의 양측에 구성되는 작업발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에는 조향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이송바퀴의 중심부에서 각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돌기;
상기 내측돌기와 제 1링크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되는 작동로드; 및
양측에 각각 팽창 및 수축이 제어되는 실린더로드가 구성되는 제어실린더;
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로드는 각각 상기 작동로드와 제 2링크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전후 양측에 한 쌍씩 마련되는 제 3스프로킷 및 제 4스프로킷;
상기 제 3스프로킷 및 제 4스프로킷에 각각 맞물려 궤도운동을 하는 한 쌍의 체인부재;
한 쌍의 상기 체인부재에 그 양단이 일정 간격마다 결합되는 전달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바는 고무 재질의 커버부재에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장치는 조절장치에 의해 높이 및 각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선별부에 고정되는 수용가이드;
일단에 힌지부가 구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수용가이드에 삽입되어 전후 유동되는 조절부재;
그 중심부가 상기 힌지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수집장치가 고정되는 제어바;
실린더본체가 상기 선별부에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의 끝단은 상기 제어바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실린더구조의 각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3849A KR102005430B1 (ko) | 2018-12-18 | 2018-12-18 | 수집형 감자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3849A KR102005430B1 (ko) | 2018-12-18 | 2018-12-18 | 수집형 감자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5430B1 true KR102005430B1 (ko) | 2019-07-31 |
Family
ID=6747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3849A KR102005430B1 (ko) | 2018-12-18 | 2018-12-18 | 수집형 감자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543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864B1 (ko) * | 2020-02-07 | 2020-08-19 | 정다운 | 지중 식물 수집기 |
KR20210048130A (ko) * | 2019-10-23 | 2021-05-03 | 정다운 |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
KR102417260B1 (ko) * | 2021-11-25 | 2022-07-0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
KR20230090466A (ko) | 2021-12-15 | 2023-06-22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집장치의 수집량 모니터링 장치 |
CN117530038A (zh) * | 2023-12-29 | 2024-02-09 | 西北农林科技大学 | 一种马铃薯收获机挖掘组件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4387B1 (ko) | 2000-06-26 | 2002-12-12 | 김재근 | 지중작물 채취기 |
KR100835667B1 (ko) * | 2007-10-26 | 2008-06-05 | 엠테크영농조합법인 | 지중 작물 수확 장치 |
JP2011092107A (ja) * | 2009-10-30 | 2011-05-12 | Iseki & Co Ltd | 作物掘起機 |
KR20160035844A (ko) * | 2014-09-24 | 2016-04-01 | 김재동 |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
KR101738942B1 (ko) * | 2016-11-15 | 2017-05-29 | 정다운 | 구근류 수확장치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3849A patent/KR1020054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4387B1 (ko) | 2000-06-26 | 2002-12-12 | 김재근 | 지중작물 채취기 |
KR100835667B1 (ko) * | 2007-10-26 | 2008-06-05 | 엠테크영농조합법인 | 지중 작물 수확 장치 |
JP2011092107A (ja) * | 2009-10-30 | 2011-05-12 | Iseki & Co Ltd | 作物掘起機 |
KR20160035844A (ko) * | 2014-09-24 | 2016-04-01 | 김재동 |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
KR101738942B1 (ko) * | 2016-11-15 | 2017-05-29 | 정다운 | 구근류 수확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130A (ko) * | 2019-10-23 | 2021-05-03 | 정다운 |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
KR102378861B1 (ko) * | 2019-10-23 | 2022-03-25 | 정다운 |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
KR102145864B1 (ko) * | 2020-02-07 | 2020-08-19 | 정다운 | 지중 식물 수집기 |
KR102417260B1 (ko) * | 2021-11-25 | 2022-07-0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
KR20230090466A (ko) | 2021-12-15 | 2023-06-22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집장치의 수집량 모니터링 장치 |
CN117530038A (zh) * | 2023-12-29 | 2024-02-09 | 西北农林科技大学 | 一种马铃薯收获机挖掘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5430B1 (ko) | 수집형 감자 수확기 | |
KR101738942B1 (ko) | 구근류 수확장치 | |
KR101771239B1 (ko) |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 |
KR102145864B1 (ko) | 지중 식물 수집기 | |
KR101323850B1 (ko) | 뿌리작물 수확장치 | |
KR102048005B1 (ko) |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 |
KR20160025861A (ko) | 구근작물 수확장치 | |
KR102029092B1 (ko) | 뿌리작물 수확기 | |
KR102378861B1 (ko) |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 |
JP6501548B2 (ja) | 収穫機 | |
JP2007043970A (ja) | 作物収穫機 | |
JP7414760B2 (ja) | 野菜収穫機 | |
WO2021049411A1 (ja) | 鱗茎野菜収穫機 | |
KR102127285B1 (ko) | 지중 작물 수확기 | |
JP7390140B2 (ja) | 鱗茎野菜収穫機 | |
Gulati | Design and development of two row tractor operated potato combine harvester | |
CN114145136A (zh) | 一种麦冬收获方法 | |
JP7198502B2 (ja) |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 |
WO2022201949A1 (ja) | 野菜収穫機 | |
WO2022201950A1 (ja) | 野菜収穫機 | |
JP6688028B2 (ja) | 地下茎作物収穫機の茎葉引起し装置 | |
KR102417260B1 (ko) |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 |
KR102492355B1 (ko) | 구형 농산물의 수집 선별 포장 시스템 | |
KR102503121B1 (ko) | 구근류 수확장치 | |
KR102623217B1 (ko) | 구근작물 수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