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30A -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30A
KR20210048130A KR1020190132031A KR20190132031A KR20210048130A KR 20210048130 A KR20210048130 A KR 20210048130A KR 1020190132031 A KR1020190132031 A KR 1020190132031A KR 20190132031 A KR20190132031 A KR 20190132031A KR 20210048130 A KR20210048130 A KR 20210048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llecting
rear end
sorting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861B1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9013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8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2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conveyors arranged above the siev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 A01D25/048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with endless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 고구마 등을 포함하는 지중 작물 수확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중 작물을 수확하고 이 과정에서 지중 작물에 고착된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구동계통의 작동이 유압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중 작물을 채집하고 채집된 지중 작물을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채집부; 상기 채집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채집부로부터 이동되는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후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 과정에서 지중 작물과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선별수단이 구비되는 선별부; 및 상기 채집부와 선별부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유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UNDERGROUND CROP HARVESTING APPARATUS DRIVEN BY HYDRAULIC CONTROL}
본 발명은 감자, 고구마 등을 포함하는 지중 작물 수확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중 작물을 수확하고 이 과정에서 지중 작물에 고착된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구동계통의 작동이 유압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작물은 구근류라 불리며 뿌리가 땅속에서 덩어리로 생성되어 영양분을 저장하는 괴근작물과 줄기가 덩어리로 땅속에서 생성되는 괴경작물을 포함한다. 괴근작물에는 고구마가 있고, 괴경작물에는 감자가 있다.
이러한 구근류는 지면을 호미와 같은 농기구로 지면을 파내어 수확할 수 있다. 작물의 재배면적이 소규모일 경우에는 적은 노동력으로 쉽게 수확할 수 있지만,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하므로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한 수확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구근의 채굴을 위해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날부 및 삽날부의 후방영역에 삽날부에 의해 채굴된 흙 및 구근을 후방의 지상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 컨베이어는 삽날부에 의해 제공된 구근을 흙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를 가지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방향을 따라 삽날부에 인접된 영역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방영역에 결합되고, 견인차량이 전진함에 따라 삽날부가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흙 및 구근이 삽날부에 의해 후방영역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된 흙 및 구근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 재치되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흙이나 작은 돌 등의 이물은 로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여 분리된다. 여기서, 구근은 후방 영역으로 이송되어 장치의 양측으로 낙하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흙이나 돌 등의 이물이 많은 경우 모든 이물이 로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지 못하고 구근을 투입시켜 수용하는 자루 등에 투입되게 되므로 수집된 구근에서 흙이나 돌 등의 이물을 추가로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4387호(2002.12.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 작물의 수확 과정에서 지중 작물에 고착된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면서 이송 및 배출될 수 있하며, 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계통에 대한 조작이 유압을 이용하여 용이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지중 작물을 채집하고 채집된 지중 작물을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채집부; 상기 채집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채집부로부터 이동되는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후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 과정에서 지중 작물과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선별수단이 구비되는 선별부; 및 상기 채집부와 선별부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유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압제어부는, 유류탱크; 상기 채집부 및 선별부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모터; 상기 유류탱크에 수용된 유류에 유압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채칩부 및 선별부에 연계된 각각의 유압모터로 공급 및 순환되도록 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 공급 경로와 유압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압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채집부는, 내측에 채집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채집측판을 포함하는 채집본체; 상기 채집본체의 하측 선단에 마련되어 수확지로부터 지중 작물을 채굴하는 채굴부; 및 상기 채집공간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장착되며 상기 채굴부에서 채굴되는 지중 작물을 상기 채집본체의 상측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상기 채굴부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각 채집측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스프로킷;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 후단에서 각 채집측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스프로켓; 상기 제 1스프로킷 또는 제 2스프로킷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장치; 상기 제 1스프로킷과 제 2스프로킷에 맞물려 제 1스프로킷과 제 2스프로킷 간을 선회하도록 궤도 운동 하는 한 쌍의 체인부; 상기 한 쌍의 체인부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체인부 간에 연결되며 상호 일정한 이격 거리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바; 및 상기 복수의 돌출바 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서 한 쌍의 체인부 간에 돌출바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바;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채집부는, 상기 채집공간의 선택된 일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채집측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장착되는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힌지 연동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링 및 상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링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 1이송장치의 돌출바와 이송바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낙하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걸림판은, 연질의 재질로 상기 선별부를 향하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상기 체인부의 궤도운동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상기 채집본체의 각 채집측판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체인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선별부는, 상기 채집부의 후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내측에 선별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선별측판을 포함하며 하부에는 한 쌍의 이송바퀴가 구성되는 선별본체; 상기 선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부로부터 전달되어 낙하되는 지중 작물과 이물질을 상기 선별본체의 후단으로 이동 및 배출시키는 제 2이송장치; 및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상부에 인접하면서 제 2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되어 상기 선별공간의 내측을 하나의 중앙구역과 두 개의 사이드구역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선별부는, 상기 사이드구역의 후단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며 사이드구역의 후단과 연통하는 배출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선별본체의 각 선별측판에 결합되는 배출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배출가이드는, 배출 통로가 후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구성되되 후단에 '∧'형상의 경계판이 형성되어 확장된 배출 통로를 제 1배출 통로와 제 2배출 통로로 분리하며, 상기 경계판의 중심에는 상기 제 1배출 통로와 제 2배출 통로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판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지중 작물의 수확 과정에서 지중 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후속 과정에서 수집된 지중 작물로부터 이물질의 분리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채집부와 선별부의 성능을 개선하여 수확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이나라 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계통에 대한 ON/OFF 및 속도조정 등의 조작이 유압을 통해 제어되어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방지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바퀴와 조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압제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이하 '본 발명의 수확장치'라 칭함)은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이끌려 이송되면서 지중의 감자, 고구마, 양파 등을 포함하는 지중 작물을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과정에서 수집 및 이송되는 지중 작물로부터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확장치는 채집부(100)과, 선별부(200) 및 유압제어부(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집부(100)는 그 선단에 연결부(150)가 구비되어 트랙터와 같은 견인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지중 작물을 수집하고 수집한 지중 작물을 후단으로 이동시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선별부(2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별부(200)는 상기 채집부(10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선별부(200)는 채집부(100)와 동일 프레임을 통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에 이송바퀴(215)가 구성되어 상기 채집부(100)가 견인수단에 이끌리게 되면 일체 거동하여 채집부(100)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200)는 상기 채집부(100)로부터 지중 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후단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인력에 의해 흙 등의 이물질이 분리된 지중 작물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부(200)의 양측에 구성되는 작업발판(260)에 작업자들이 탑승하여 상기 선별부(200)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지중 작물만을 선별하여 흙 등의 이물질과 서로 분리되도록 작업하는 것으로, 이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압제어부(300)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채집부(100)와 선별부(200)의 구동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수확장치에 연결된 다종의 구동계통에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각각의 구동계통들에 대한 ON/OFF 및 속도 조정 등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채집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채집부(100)는 채집본체(110)와 채굴부(120) 및 제 1이송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집본체(110)는 선단에 견인수단과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150)와 내측에 채집공간(112)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채집측판(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바(151), 가이드(152) 및 작동실린더(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바(151)는 선단에 고리부재(151a)가 마련되어 견인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바 형태로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152)는 상기 채집부(100)의 선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선단을 향해 개구되는 공간이 마련되되, 공간의 형태는 상기 길이조절바(151)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길이조절바(151)가 상기 가이드(151)의 내측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실린더(153)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실린더의 본체(부호 미도시)가 상기 가이드(152)의 선택된 일 측면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부호 미도시)는 상기 길이조절바(151)에 고정되어 작동실린더(153)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바(151)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이처럼 연결부(150)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수확 작업 시에는 작동실린더(153)를 신장시켜 트랙터 등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비작업 시나 도로주행시에는 상기 길이조절바(151)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5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압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압제어부(3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작동실린더(153)의 수축 또는 팽창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채집측판(111)은 지중에서 채굴되는 지중 작물들이 후단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채굴부(120)는 상기 채집본체(110)의 하측 선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채집부(100)가 견인수단에 이끌려 전진하는 과정에서 흙이 굴착되게 하고 이를 통해 지중에 있는 지중 작물이 흙과 함게 채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채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굴부재(121) 및 커팅날(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채굴부재(121)는 지중 작물에 대한 채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선단을 향해 하향의 경사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날(122)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커팅날(122)은 상기 채굴부재(12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이격 배치됨으로써 채굴부재(121)에 의해 채굴되는 감자 등의 지중 작물과 함께 채집공간(112)으로 인입되는 뿌리 또는 줄기 등이 자동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커팅날(122)은 지중 작물의 뿌리 또는 줄기 등이 함께 채집공간(112)으로 인입될 경우 뿌리 또는 줄기 등의 엉킴 작용에 의해 채굴부(120) 및 이하의 제 1이송장치(130)가 원활이 작동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고장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팅날(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채집측판(111)의 선단에 결합됨에 있어 채집측판(111)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원호형의 장공(125)이 형성되는 장착대(124)가 마련되고, 장착대(124)의 끝단에는 상기 장공(125)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장착부재(126)에 원형의 커팅날(122)의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수확지의 작업환경 및 작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커팅날(122)을 각도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지중 작물 수확시 지중 작물에 딸려 인입되는 뿌리 및 줄기의 커팅 효율이 향상되도록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이송장치(130)는 상기 채집공간(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채굴부(120)에 의해 채굴된 흙 등 이물질과 지중 작물을 채집본체(110)의 상측 후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이송장치(130)는 제 1스프로킷(1310), 제 2스프로킷(1320), 구동장치, 체인부(1330), 돌출바(1340) 및 이송바(1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스프로킷(131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굴부(120)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각 채집측판(111)의 내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제 1스프로킷(1310)은 상기 채집공간(112)의 하측 선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 1축(131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나란히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스프로킷(132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집공간(112)의 상측 후단에서 각 채집측판(111)의 내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제 2스프로킷(1320)은 상기 채집공간(112)의 상측 후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 2축(132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나란히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 1스프로킷(1310) 또는 제 2스프로킷(132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301)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압제어부(300)에 의해 ON/OFF 되거나,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제 1이송장치(130)의 속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체인부(1330)는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각각의 체인부(1330)는 한 쌍씩 상호 이격되는 제 1스프로킷(1310)과 제 2스프로킷(1320)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제 1스프로킷(1310)과 제 2스프로킷(1320) 간을 선회하도록 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돌출바(1340)는 복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체인부(1330)의 설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체인부(1330) 간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호 일정한 이격 거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바(1350) 역시 복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돌출바(1340) 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서 한 쌍의 체인부(1330) 간에 양단이 연결되어 돌출바(134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바(1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전체가 상기 이송바(1350)의 상면보다 높게 구성되고, 상기 이송바(1350)는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부(13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바(1340)와 돌출바(1340) 사이에 복수 배치되는 이송바(1350)의 오목부(1352)에 의해 이송공간(S)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는 지중작물이 채집부(100)의 선단인 채굴부(120)에서 채굴되어 선단보다 높은 후단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둥근 형태를 갖는 감자가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감자는 그 둥근 형태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가 낮을 경우 자중에 의해 다시 선단으로 굴러 떨어질 수도 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돌출바(1340)와 이송바(1350)의 구조에 의해 형성된 이송공간(S)에 감자 등과 같은 지중 작물이 안착될 수 있으며, 특히, 이송바(1350)의 오목부(1352) 상면과 돌출바(1340)의 상면 간 높이 차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므로 이송공간(S)에 안착된 지중 작물은 채집부(100)의 후단 상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바(1340)에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어 둥근 형태의 작물이 선단으로 다시 굴러서 낙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수집 및 수확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바(1340) 및 이송바(1350)는 고무 재질의 커버부재에 감싸지게 구성되어 감자 등 지중 작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돌출바(1340) 또는 이송바(1350)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이송장치(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부(1330)의 궤도 운동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상기 채집본체(110)의 각 채집측판(111)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체인부(1330)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쉬부재(1370)를 더 포함하여 지중 작물의 수확 과정에서 함께 이송될 수 있는 돌맹이 등이 상기 체인부(133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재(1370)는 체인부(1330)와 접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제 1이송장치(130)가 작동함에 따라 체인부(1330)의 유동과 상호 작용으로 체인부(1330)를 청소하게 되고, 이에 지중 작물로부터 분리되는 흙이 체인부(1330)는 물론 제 1스프로킷(1310)이나 제 2스프로킷(132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채집부(100)는 제 1이송장치(130)에 의해 지중 작물이 상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둥근 형태를 갖는 지중 작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낙하방지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집공간(112)의 선택된 일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채집측판(1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장착되는 가로봉(1400)과, 상기 가로봉(1400)에 힌지 연동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링(1410) 및 상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링(1410)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 1이송장치(130)의 돌출바(1340)와 이송바(1350)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걸림판(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낙하방지부재(140)는 감자, 양파 등 둥근 형태를 갖는 지중 작물이 상향의 경사구배를 갖는 제 1이송장치(130)에 의해 이송됨에 있어 진동 등에 의한 영향으로 다시 채집부(100)의 선단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판(1420)의 경우 연질의 재질로 상기 선별부(200)를 향하는 곡면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제 1이송장치(130)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돌출바(1340)와 이송바(1350)가 걸려 작동에 방해을 주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선별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별부(20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채집부(100)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채집부(100)로부터 이송되는 지중 작물을 전달받아 그 후단으로 배출하면서 인력에 의해 지중 작물과 흙 등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별부(200)는 선별본체(210), 제 2이송장치(220), 구획가이드(230), 배출가이드(240), 수집장치(250) 및 작업발판(2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본체(210)는 상기 채집부(100)의 후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내측에 선별공간(212)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선별측판(2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본체(210)의 하부에는 이송바퀴(215)가 구성되어 채집부(100)가 견인수단에 이끌리게 되면 채집부(100)와 선별부(200)가 일체로 이끌리며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바퀴(215)에는 조향장치(290)가 구성되어 본 발명의 수확장치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견인되는 장치가 보다 좁은 범위에서도 U턴 등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향장치(2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돌기(291), 작동로드(293) 및 제어실린더(29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9는 이송바퀴(215)를 상측에서 바라보는 평면도로 상기 내측돌기(291)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이송바퀴(215)의 중심부에서 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로드(293)는 바 형태로 일단이 상기 내측돌기(291)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제 1링크(292)에 의해 링크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제어실린더(295)는 실린더로드(296)가 그 양측에 구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양측 중 일측 실린더로드(296)를 신장시키고 타측 실린더로드(296)를 수축시키거나 그 반대로 작동시킨다.
이때 일측 실린더로드(296)의 끝단은 상기 작동로드(293)의 타단과 제 2링크(294)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되고 타측 실린더로드(296)의 끝단은 양측 이송바퀴(215) 중 다른 쪽 이송바퀴(215)에 결합되는 작동로드(293)와 제 2링크(294)에 의해 링크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장치가 직진할 경우 도 9의 (a)에서와 같이 양측 이송바퀴(215)가 전방을 향해 나란한 상태가 되고, 장치의 방향 전환을 위해 제어실린더(295)가 일측 실린더로드(296)를 신장(도면상 좌측)시키고 타측 실린더로드(296)를 수축(도면상 우측)시키게 되면 각 양측의 작동로드(293)와 각 제 1링크(292)와 제 2링크(294)는 도 9의 (b)와 같이 작동하여 진행방향의 수직선(H)을 기준으로 각 이송바퀴(215)의 축방향의 각도 차(a>b)가 발생하여 트랙터 등 견인수단에 이끌리는 장치의 회전반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확장치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조향장치(290)를 제어할 수 있는 조향핸들이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향장치(290)는 역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압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압제어부(3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어실린더(295)의 수축 또는 팽창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2이송장치(220)는 상기 선별공간(212)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부(100)로부터 낙하되어 그 선별공간(212)의 선단부로 전달되는 지중 작물과 흙 등 이물질을 선별본체(210)의 후단으로 이동 및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 2이송장치(220)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3스프로킷(221), 제 4스프로킷(222), 체인부(223), 전달바(224) 및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스프로킷(221) 및 제 4스프로킷(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공간(212)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격되는 선별측판(211)에 인접하도록 전후 측에 이격되는 것으로 그 중 하나 이상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구동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부(223)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3스프로킷(221)과 제 4스프로킷(222)에 각각 맞물려 제 3스프로킷(221)과 제 4스프로킷(222) 간을 선회 할 수 있으며, 제 3스프로킷(221) 또는 제 4스프로킷(222)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여 궤도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달바(224)는 상기 채집부(100)의 일 구성인 이송바(1350)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체인부(223)에 그 양단이 일정 간격마다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구성들 간 구동에 의해 전달바(224) 상에 안착되는 지중 작물과 흙 등 이물질이 제 2이송장치(220)의 후단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바(224) 역시 상기 이송바(1350)와 마찬가지로 고무재질의 커버부재에 감싸지도록 구성하여 이송 중 지중작물이 전달바(22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 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 3스프로킷(221) 또는 제 4스프로킷(222)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302)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압제어부(300)에 의해 ON/OFF 되거나,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선별측판(211)의 내측면에도 역시 상기 전달바(224)와 간섭이 이뤄지도록 그 작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브러쉬부재(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해 제 2이송장치(220)는 그 작동 중에 상기 전달바(224)의 양 사이드쪽에 붙어있는 흙 등 이물질이 자동 제거될 수 있어 장치의 구동 성능이 항상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물질 제거를 위해 장치의 구동을 수시로 멈출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획가이드(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이송장치(220)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인접하면서 제 2이송장치(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선별공간(212)의 내측을 하나의 중앙구역(212a)과 두 개의 사이드구역(212b)으로 구획한다.
즉 상기 구획가이드(230)는 상기 제 2이송장치(220)의 상부면 다시 말해 체인부(223)에 의해 궤도 운동하는 전달바(224)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전달바(224)의 상면에 연하도록 한 쌍이 대칭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채집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지중 작물과 흙 등의 이물질들은 도 6에서와 같이 모두 중앙구역(212a)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작업자들은 상기 작업발판(260)에 탑승하여 본 발명의 수확장치가 이동중인 상태에서 중앙구역(212a)을 통해 후단을 배출되는 지중 작물과 이물질 중 지중 작물만 선별하여 사이드구역(212b)으로 옮김으로써 흙 등 이물질들은 중앙구역(212a)의 후단을 거쳐 수확지를 향해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지중작물만 사이드구역(212b)의 후단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이드구역(212b)이 선별측판(211)에 인접 배치되므로, 작업발판(260)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등 그 활동 및 작업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상기 사이드구역(212b)의 후단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배출가이드(240)로 배출되는 지중 작물이 원활히 그 후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사이드구역(212b)의 후단과 연통하는 배출 통로(241)가 형성되도록 상기 선별본체(210)의 각 선별측판(211)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 통로(241)는 후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그 후단측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중 작물이 배출됨에 있어 부하가 걸리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통로(241)은 후단에 '∧'형상의 경계판(242)이 형성되어 확장된 배출 통로(241)를 제 1배출 통로(241-1)와 제 2배출 통로(241-2)로 분리하며, 상기 경계판(242)의 중심에는 상기 제 1배출 통로(241-1)와 제 2배출 통로(241-2)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판(243)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243)은 스프링(243-1)이 연결되어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배출 경로의 선택 시 제 1배출 통로(241-1)와 제 2배출 통로(241-2) 전환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개폐판(243)이 마련됨으로써 제 1배출 통로(241-1)과 제 2배출 통로(241-2)의 하부에 각각 포대 등을 배치하고, 상기 제 1배출 통로(241-1) 또는 제 2배출 통로(241-2) 중 어느 하나의 배출 통로를 선택하여 수확되는 지중작물이 포대 등으로 자동으로 낙하되게 하여 수용되도록 한 후, 해당 포대가 포화 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의 배출 통로로 배출 경로가 신속히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선별공간(2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구역(212b)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한 쌍이 선별본체(210)의 후단 양측에 구성되되, 한 쌍의 배출가이드(240) 사이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흙막이(280)가 구성되어 중앙구역(212a)을 통해 배출되는 흙 등 이물질이 지중작물이 수집되는 이하의 수집부재(252)에 투입되지 않고 하방향으로 모두 낙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이 대칭 배치되는 상기 배출가이드(240)는 선별본체(210)의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경사각을 제어 가능토록 구성하여 비교적 깊게 채굴하여 수집하는 지중 작물의 경우 채굴되는 흙 등 이물질의 양이 많아져 배출가이드(240) 간 후단 측의 간격을 넓혀 즉, 중앙구역(212a)을 넓혀줌으로써 이물질의 배출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교적 얇게 채굴하여 수집하며 이물질 대비 수집되는 양이 많은 지중작물의 경우, 배출가이드(240) 간 후단측 간격을 좁혀 즉, 사이드구역(212b)을 넓혀주는 등 작업환경에 따라 가변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집장치(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본체(210)의 후단에 구성되며, 도 2에서와 같이 수집장치(250) 상에 자루, 박스 등과 같은 수집부재(252)를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집부재(252)가 자루인 경우 그 입구에 상기 배출가이드(240)의 끝단이 내재되도록 배치시켜 상기 배출가이드(240)를 통해 배출되는 지중 작물이 상기 수집부재(252)에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별본체(210)의 후단에 걸이부(254)를 마련하여 상기 수집부재(252)가 상기 걸이부(254)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장치(250)는 조절장치(280)에 의해 상하 및 경사조절이 가능하여 감자 등 지중 작물의 수확량과 작물의 하차시 유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 장치(2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가이드(281), 조절부재(282), 제어바(284) 및 각제어부(2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용가이드(28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선별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호 미도시)이 후방을 향해 개구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282)는 상기 수용가이드(281)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전후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282)의 끝단에는 힌지부(283)가 구성되어 이하의 제어바(284)와 결합된다.
상기 제어바(284)는 도면에서와 같이 그 중심부가 상기 조절부재(282)의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부(283)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수집장치(250)가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제어부(285)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축 및 팽창하는 유압실린더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실린더본체(부호미도시)는 상기 선별부(200)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고 실린더로드(부호미도시)는 상기 제어바(284)의 타단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각제어부(285)의 팽창시 지렛대 원리로 상기 제어바(284)의 타단을 밀게 됨으로써 제어바(284)의 일단에 고정되는 수집장치(250)가 하강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상기 각제어부(285)의 수축시 수집장치(250)가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절장치(280)의 각제어부(285)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압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압제어부(3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 작동이 이루어져 각도 조정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282)는 상기 수용가이드(281) 상에서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집장치(250)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구성하여 수집되는 작물의 종류나 수집부재(252)의 용량 등에 따라 수집장치(250)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작업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발판(260)은 상기에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선별부(200)의 양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작업발판(260)에 올라서서 중앙구역(212a)의 지중 작물을 사이드구역(212b)으로 옮기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집부(100)와 선별부(200) 사이에는 튐방지판(270)을 마련하여 제 1이송장치(130)에 의해 전달되는 지중 작물 또는 이물질이 튐방지판(270)에 의해 튀어나가지 않고 제 2이송장치(220)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압제어부(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채집부(100)와 선별부(200)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압제어부(300)는 상기 채집부(100)와 선별부(200) 뿐만 아니라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장치의 모든 구동계통 즉, 연결부(150), 조향장치(290), 조절장치(280) 등에 대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압제어부(300)는 유류탱크(310), 유압모터(301, 302), 유압펌프(320), 유압제어기(330), 팬(350) 및 라디에이터(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류탱크(310)는 유류를 수용하며 상기 유압펌프(320)에 의해 순환되는 유류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유입구과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터(301, 302)는, 상기 채집부(100) 및 선별부(200) 뿐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장치에 구비되는 모든 구동계통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압모터(301, 302)는 채칩부(100)의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제 1유압모터(301)와 선별부(200)의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제 2유압모터(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320)는 상기 유류탱크(310)에 수용된 유류에 유압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채칩부(100) 및 선별부(200)에 연계된 각각의 유압모터(301, 302)와 연결부(150), 조향장치(290), 조절장치(280) 등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구동계통에 공급된 유류가 다시 상기 유류탱크(3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순환시킨다.
이러한 유압펌프(320)는 압력계가 마련되어 관리자로 하여금 유압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유류의 공급과 순환을 위하여 각각의 유압모터(301, 302)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제어기(330)는 각각의 유압모터(301, 302)와 연결부(150), 조향장치(290), 조절장치(280) 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펌프(320)로부터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여 유압모터(301, 302)의 ON//OFF나 속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부(150), 조향장치(290), 조절장치(280)의 수축 또는 팽창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압제어기(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형태의 조작기를 마련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팬(350)과 라디에이터(360)는 상기 유압펌프(320)를 통해 순환되는 유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유류를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유압라인 중 선택되 어느 두 개의 유랍라인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집형 감자 수확기에는 긴급스위치를 마련하여 제 1이송장치(130) 및 제 2이송장치(220)에 문제 발생시 이들의 구동을 신속하게 정지시켜 더 큰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채집부 110 : 채집본체
120 : 채굴부 130 : 제 1이송장치
200 : 선별부 210 : 선별본체
220 : 제 2이송장치 230 : 구획가이드
240 : 배출가이드 250 : 수집장치

Claims (10)

  1. 지중 작물을 채집하고 채집된 지중 작물을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채집부;
    상기 채집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채집부로부터 이동되는 지중작물을 전달받아 후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 과정에서 지중 작물과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선별수단이 구비되는 선별부; 및
    상기 채집부와 선별부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유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부는,
    유류탱크;
    상기 채집부 및 선별부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모터;
    상기 유류탱크에 수용된 유류에 유압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채칩부 및 선별부에 연계된 각각의 유압모터로 공급 및 순환되도록 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 공급 경로와 유압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압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내측에 채집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채집측판을 포함하는 채집본체;
    상기 채집본체의 하측 선단에 마련되어 수확지로부터 지중 작물을 채굴하는 채굴부; 및
    상기 채집공간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장착되며 상기 채굴부에서 채굴되는 지중 작물을 상기 채집본체의 상측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상기 채굴부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각 채집측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스프로킷;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 후단에서 각 채집측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스프로켓;
    상기 제 1스프로킷 또는 제 2스프로킷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장치;
    상기 제 1스프로킷과 제 2스프로킷에 맞물려 제 1스프로킷과 제 2스프로킷 간을 선회하도록 궤도 운동 하는 한 쌍의 체인부;
    상기 한 쌍의 체인부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체인부 간에 연결되며 상호 일정한 이격 거리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바; 및
    상기 복수의 돌출바 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서 한 쌍의 체인부 간에 돌출바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상기 채집공간의 선택된 일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채집측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장착되는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힌지 연동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링 및 상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링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 1이송장치의 돌출바와 이송바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낙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은,
    연질의 재질로 상기 선별부를 향하는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상기 체인부의 궤도운동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상기 채집본체의 각 채집측판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체인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채집부의 후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내측에 선별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선별측판을 포함하며 하부에는 한 쌍의 이송바퀴가 구성되는 선별본체;
    상기 선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부로부터 전달되어 낙하되는 지중 작물과 이물질을 상기 선별본체의 후단으로 이동 및 배출시키는 제 2이송장치; 및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상부에 인접하면서 제 2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되어 상기 선별공간의 내측을 하나의 중앙구역과 두 개의 사이드구역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사이드구역의 후단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며 사이드구역의 후단과 연통하는 배출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선별본체의 각 선별측판에 결합되는 배출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배출 통로가 후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구성되되 후단에 '∧'형상의 경계판이 형성되어 확장된 배출 통로를 제 1배출 통로와 제 2배출 통로로 분리하며, 상기 경계판의 중심에는 상기 제 1배출 통로와 제 2배출 통로의 배출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판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KR1020190132031A 2019-10-23 2019-10-23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KR10237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31A KR102378861B1 (ko) 2019-10-23 2019-10-23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31A KR102378861B1 (ko) 2019-10-23 2019-10-23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30A true KR20210048130A (ko) 2021-05-03
KR102378861B1 KR102378861B1 (ko) 2022-03-25

Family

ID=7591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31A KR102378861B1 (ko) 2019-10-23 2019-10-23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014B1 (ko) * 2021-06-16 2021-10-05 윤병운 잡초 배출이 용이한 구근 수확기
CN114190151A (zh) * 2021-12-20 2022-03-18 无为县新栗荸荠种植专业合作社 一种带有清理功能的一体式荸荠采收机及采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33A (ja) * 1991-07-23 1993-02-02 Ueda Noki Kk 拾い集め機
JP2000201514A (ja) * 1999-01-18 2000-07-25 Tomabechi Giken Kogyo:Kk 長いもの掘取り装置
KR100364387B1 (ko) 2000-06-26 2002-12-12 김재근 지중작물 채취기
JP2003274743A (ja) * 2002-01-16 2003-09-30 Atex Co Ltd コンバインのウインドロー形成方法及びウインドロー形成装置
KR20100110034A (ko) * 2009-04-02 2010-10-12 신영식 야채 수확기
CN109379963A (zh) * 2017-08-10 2019-02-26 陈维 一种全自动土豆收获机专用提升及清泥装置
KR102005430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수집형 감자 수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33A (ja) * 1991-07-23 1993-02-02 Ueda Noki Kk 拾い集め機
JP2000201514A (ja) * 1999-01-18 2000-07-25 Tomabechi Giken Kogyo:Kk 長いもの掘取り装置
KR100364387B1 (ko) 2000-06-26 2002-12-12 김재근 지중작물 채취기
JP2003274743A (ja) * 2002-01-16 2003-09-30 Atex Co Ltd コンバインのウインドロー形成方法及びウインドロー形成装置
KR20100110034A (ko) * 2009-04-02 2010-10-12 신영식 야채 수확기
CN109379963A (zh) * 2017-08-10 2019-02-26 陈维 一种全自动土豆收获机专用提升及清泥装置
KR102005430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수집형 감자 수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014B1 (ko) * 2021-06-16 2021-10-05 윤병운 잡초 배출이 용이한 구근 수확기
CN114190151A (zh) * 2021-12-20 2022-03-18 无为县新栗荸荠种植专业合作社 一种带有清理功能的一体式荸荠采收机及采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861B1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42B1 (ko) 구근류 수확장치
KR102005430B1 (ko)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102145864B1 (ko) 지중 식물 수집기
KR102029092B1 (ko) 뿌리작물 수확기
KR100871106B1 (ko) 구근작물 수확기
KR20210048130A (ko)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KR20160025861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JP6692713B2 (ja) 掘起し装置
CN103369954A (zh) 普通型联合收割机
KR200479214Y1 (ko) 접이식 구근 수확기
KR102280731B1 (ko) 구근류 작물 수확기능이 있는 무한궤도식 전동형 운반 대차
US4338770A (en) Row unit for a cotton harvester
ES2280493T3 (es) Disposicion de limpieza para una maquina de recoleccion de fruta.
KR102336088B1 (ko) 트랙터 장착용 구근 작물 수확 장치
UA61905C2 (en) Beet harvester
JPH07213129A (ja) 地下作物の掘取機
JP6246170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407481B2 (ja) 根菜類収穫機
ES2961344T3 (es) Cosechador de cultivos de raíces
JP7414760B2 (ja) 野菜収穫機
JP7198502B2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JP5341475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KR200366868Y1 (ko) 구근작물 수확기
JP2796586B2 (ja) 農産物選別装置
JP2000032824A (ja) 収穫機及び、収穫機の選別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