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844A -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844A
KR20160035844A KR1020140127664A KR20140127664A KR20160035844A KR 20160035844 A KR20160035844 A KR 20160035844A KR 1020140127664 A KR1020140127664 A KR 1020140127664A KR 20140127664 A KR20140127664 A KR 20140127664A KR 20160035844 A KR20160035844 A KR 20160035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horizontal conveying
crops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동
하창섭
Original Assignee
김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동 filed Critical 김재동
Priority to KR102014012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844A/ko
Publication of KR2016003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체인 컨베이어를 통해 흙과 작물을 수확기의 후방 상부로 이송시키고, 후방으로 이송된 작물을 수평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수확기 후방에 탑승한 작업자가 컨테이너 박스에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트랙터에 견인되는 견인부(110)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120)를 구비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상기 프레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굴취 날(210)과 체인 컨베이어(220)를 구비한 굴취부(200)와; 상기 굴취부(200)에 의해 프레임(100) 후방으로 이송된 땅속 작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를 구비한 수평 이송부(300)와; 상기 수평 이송부(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부(300)를 이송중인 작물을 컨테이너 박스에 담기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WORKER BOARDING TYPE ROOT CROP HARVESTER}
본 발명은 고구마나 감자 등의 각종 땅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히는 트랙터에 견인되어 이동하면서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체인 컨베이어를 통해 흙과 작물을 수확기의 후방 상부로 이송시키고, 후방으로 이송된 작물을 수평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수확기 후방에 탑승한 작업자가 컨테이너 박스에 담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굴취와 수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수확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속작물 수확기는 고구마나 감자, 양파, 더덕 등을 비롯한 각종 땅속 작물을 기계적으로 수확하는 장비를 말하는데, 이러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에 견인되어 이동하면서 굴취 날로 흙과 작물을 동시에 굴취하여 퍼올려 체인 컨베이어 등을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과 작물을 분리시켜 다시 지면으로 낙하시키면 다른 작업자가 자루나 박스를 들고 따라오면서 바닥에 떨어진 작물을 수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기존의 인력에만 의존하던 굴취 방식에 비해서는 현저히 우수한 수확성이 있지만, 굴취 된 작물을 자루나 박스에 담는 작업은 여전히 사람이 수작업으로 해오고 있으며, 박스나 자루가 차면 이를 다시 차량이 진입가능한 적재장소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작업에 여전히 상당한 노동력과 인건비가 소요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양파를 굴취한 후 후방으로 이송하여 컨테이너 백에 수거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일부의 작물에만 국한되어 사용될 수 있어서 고구마나 감자 등의 작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2에는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측방으로 이송하여 고랑 측으로 낙하 배출시키는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흙이 작물과 섞이지는 않지만 작물이 낙하되면서 충격을 받거나 손상을 입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당근을 인발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줄기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인발식 당근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또한 여전히 줄기가 절단된 당근을 수작업으로 수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24502호(2008.04.16. 등록) 자주식 양파 수확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995호(2004.06.09. 등록) 땅속작물 수확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0214호(2004.05.12. 공개) 인발식 당근 수확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취 작업과 굴취 된 작물을 박스에 담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땅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는 견인부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상기 프레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굴취 날과 체인 컨베이어를 구비한 굴취부와;
상기 굴취부에 의해 프레임 후방으로 이송된 땅속 작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한 수평 이송부와;
상기 수평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작물을 컨테이너 박스에 담기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땅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확기에 의하면 각종 땅속 작물의 굴취 작업에 사용되는 수확기에 선별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수평 이송중인 작물을 집어들어 박스에 담는 수거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수확기 뒤를 따라 걸어다니면서 땅에 떨어진 작물을 박스에 수거하던 기존의 방식에 비해 노동력이 적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작물의 수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확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확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확기의 정면도,
도 5는 쟁기와 탑승부가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도시 안 된 트랙터에 견인되는 견인부(110)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120)를 구비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상기 프레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굴취 날(210)과 체인 컨베이어(220)를 구비한 굴취부(200)와;
상기 굴취부(200)에 의해 프레임(100) 후방으로 이송된 땅속 작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를 구비한 수평 이송부(300)와;
상기 수평 이송부(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작물을 컨테이너 박스(B)에 담기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00)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바(1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바(130)에 견인부(110)가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굴취기를 트랙터에 견인하여 사용할 경우와 굴취기를 트레일러나 트럭 적재함에 적재하는 경우에 견인부(110)의 위치를 적정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땅속 작물의 굴취시 밭이 상황에 맞추어 트랙터의 진행을 위한 공간과 굴취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함이며, 운반시에는 트레일러나 트럭 적재함에 적재시 무게를 적정하게 분산시키고 최소의 부피가 되도록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의 평면도에서 부호 112는 상기 견인부(110)를 프레임(100)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로, 피스톤이 신장되면 견인부(110)가 프레임(100)의 우측(정면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고, 피스톤이 수축하는 것에 의해 견인부(110)가 프레임(110)의 좌측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좌우 이동가능한 견인부(110)의 중심부에 설치된 유니버설 조인트(122)에서 기어박스(124)를 거쳐 상기 가이드 바(130)와 평행하게 설치된 구동축(126)을 구동시킴으로써 프레임(100) 좌측으로는 굴취부(200)로 동력을 전달하고, 프레임(100)의 우측으로는 수평 이송부(30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40과 150은 프레임(100)의 우측 전방 및 후방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보조 굴취 날과 스키드로, 프레임(100) 좌측의 굴취부(200) 만이 땅을 굴취하게 될 경우 수확기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우측 부분에서도 상기 보조 굴취 날(140)이 땅 속에 박힌 상태로 진행하도록 하고, 스키드(150)는 프레임(100)의 우측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굴취부(200)는 굴취 날(210)과 체인 컨베이어(220) 및 상기 굴취 날(210)의 전방 좌우 측에 설치되는 쟁기날(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체인 컨베이어(220)는 프레임(100)의 동력전달부(120)를 구성하는 구동축(126)의 우측에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쟁기날(230)은 굴취 작업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전방으로 내려지고, 운반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들려진 상태로 굴취부(200)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운반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체인 컨베이어(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체인(도시 생략됨)에 다수의 환봉(222)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일반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환봉(222) 외부에 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튜브가 씌워져 있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220)에 의한 작물의 후방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즉, 체인 컨베이어(220)가 후방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부분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둥글둥글한 땅속작물이 후방으로 원활히 이송되지 않고 전방으로 굴러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마다 상부로 돌출된 걸림 환봉(224)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 이송부(300)는 프레임(100)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는 프레임(110)의 동력전달부(120)를 구성하는 구동축(126)의 우측에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탑승부(400)는 수평 이송부(300)의 후방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들려지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00)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를 따라 2인 이상이 좌우로 간격을 벌려 탑승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탑승 좌석(도시 안 됨)이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들 좌석(410) 사이에는 컨테이너 박스를 안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측과 탑승부(400)의 좌,우 측부에도 빈 컨테이너 박스(B)를 적층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박스 안치대(160,17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측부에 설치된 박스 안치대(170)는 분리 또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땅속작물 수확기를 트럭 적재함에 싣고 운반할 때 최소의 부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는 대형 트랙터에 연결되어 밭 위에서 이동하면서 땅속작물을 수확하게 되는데, 도시 안 된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굴취부(200)의 체인 컨베이어(220)가 구동하게 되고, 수평 이송부(300)의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도 동시에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므로 굴취부(200)의 굴취 날(210)이 흙과 작물을 동시에 굴취하게 되면 굴취부(200)의 체인 컨베이어(220)를 따라 흙과 작물이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로 이송되게 되며, 체인 컨베이어(220)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흙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나머지 뭉친 흙과 돌 및 작물은 프레임(100) 후방의 수평 이송부(200) 즉, 수평 이송 컨베이어(210)에 낙하되어 다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확기의 탑승부(400)에는 2인 이상이 탑승하여 탑승 좌석(410)에 앉은 상태에서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를 타고 이송되는 흙덩어리와 돌멩이 및 작물 중에서 작물만을 선별하여 손으로 집어 올려 컨테이너 박스에 수거하면 되며, 수거되지 않은 흙덩어리와 돌멩이는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의 끝까지 이송되어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굴취부(200)에서 작물의 굴취작업에 연계하여 컨테이너 박스에의 작물 수거작업이 수확기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확기의 후방을 걸어서 따라오면서 박스에 작물을 담아야 했던 종전의 수거방식에 비해 노동의 강도가 약하고 작업자의 피로 또한 적으며, 투입되는 인원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프레임
110 : 견인부
112 : 유압실린더
120 : 동력전달부
122 : 유니버설 조인트
124 : 기어박스
126 : 구동축
130 : 가이드 바
140 : 보조 굴취 날
150 : 스키드
160 : 박스 안치대
170 : 박스 안치대
200 : 굴취부
210 : 굴취 날
220 : 체인 컨베이어
222 : 환봉
224 : 걸림 환봉
230 : 쟁기날
300 : 수평 이송부
310 : 수평 이송 컨베이어
400 : 탑승부

Claims (7)

  1. 트랙터에 견인되는 견인부(110)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120)를 구비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하여 상기 프레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굴취 날(210)과 체인 컨베이어(220)를 구비한 굴취부(200)와;
    상기 굴취부(200)에 의해 프레임(100) 후방으로 이송된 땅속 작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 컨베이어(310)를 구비한 수평 이송부(300)와;
    상기 수평 이송부(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부(300)를 이송중인 작물을 컨테이너 박스에 담기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좌우 이동가능한 견인부(110)의 중심부에 설치된 유니버설 조인트(122)에서 기어박스(124)를 거쳐 상기 가이드 바(130)와 평행하게 설치된 구동축(126)을 구동시킴으로써 프레임(100) 일측으로는 상기 굴취부(200)로 동력을 전달하고, 프레임(100)의 타측으로는 수평 이송부(30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 작물 수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바(1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130)에 견인부(110)가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 작물 수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굴취부(200)의 반대편에 프레임(100)의 우측 전방 및 후방 하부에 보조 굴취 날(140)과 스키드(150)가 설치되어 굴취시 수확기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 작물 수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 컨베이어(220)는 좌,우측의 체인에 다수의 환봉(222)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되 일정 간격마다 상부로 돌출된 걸림 환봉(224)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 작물 수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400)는 수평 이송부(300)의 후방에 상방으로 들려지거나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00) 후방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 작물 수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빈 컨테이너 박스를 적층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박스 안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 작물 수확기.
KR1020140127664A 2014-09-24 2014-09-24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KR20160035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64A KR20160035844A (ko) 2014-09-24 2014-09-24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64A KR20160035844A (ko) 2014-09-24 2014-09-24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44A true KR20160035844A (ko) 2016-04-01

Family

ID=5579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64A KR20160035844A (ko) 2014-09-24 2014-09-24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8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30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20200065238A (ko) 2018-11-30 2020-06-09 김재동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102349437B1 (ko) * 2020-12-29 2022-01-12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굴취날 위치조절형 구근류 작물 수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38A (ko) 2018-11-30 2020-06-09 김재동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102005430B1 (ko) * 2018-12-18 2019-07-31 정다운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102349437B1 (ko) * 2020-12-29 2022-01-12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굴취날 위치조절형 구근류 작물 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CN104847855B (zh) 一种贝类自动采集装置
KR101669721B1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2029092B1 (ko) 뿌리작물 수확기
JP5808028B2 (ja) トラクタ用ながいも等掘り取り装置に連結する運搬作業台車
CN105794386A (zh) 自走式马铃薯联合收获机
KR20160035844A (ko)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CN114128476A (zh) 一种马铃薯挖掘收集联合作业机具
US3198259A (en) Potato digging and separating apparatus
CN104380905B (zh) 一种天麻收获机
KR200479214Y1 (ko) 접이식 구근 수확기
KR102378861B1 (ko) 유압 제어로 구동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
KR200445293Y1 (ko) 구근 수확기
CN204425995U (zh) 自走式马铃薯联合收获机
KR20210001679A (ko) 구근류 작물 수확기능이 있는 무한궤도식 전동형 운반 대차
KR100464958B1 (ko) 인발식 당근 수확기
JP2014150753A (ja) 馬鈴薯収集作業機
CN206909139U (zh) 一种块根类作物收获机
US2777266A (en) Potato harvester
US2042193A (en) Stone picker
CN206542727U (zh) 一种甜菜起收机
CN207665477U (zh) 智能马铃薯收获机
JP3630637B2 (ja) 乗用型根菜類収穫機
CN111727717B (zh) 一种根茎作物收获机及收获方法
JP2013169179A (ja) 根菜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