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051A -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 Google Patents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051A
KR20220061051A KR1020217033560A KR20217033560A KR20220061051A KR 20220061051 A KR20220061051 A KR 20220061051A KR 1020217033560 A KR1020217033560 A KR 1020217033560A KR 20217033560 A KR20217033560 A KR 20217033560A KR 20220061051 A KR20220061051 A KR 20220061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veying device
garlic
conveying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토 와타나베
다카야스 사토
유지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677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0406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67708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0140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7/00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 A01D27/04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4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after being lif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주행 기체 (2) 와, 포장에 심어진 마늘 (G) 을 뽑아 내어, 경엽부 (Gb) 를 협지하면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 (34) 와,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마늘 (G) 을 수취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 (4) 를 구비하고, 인발 반송 장치 (34) 는, 컨베이어 (4) 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본 개시는 마늘, 양파, 염교 등의 비늘줄기 채소를 수확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이랑면에 열 형상으로 직립한 양파 등을 뽑아내어 수확하는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복수 조 (條) 의 비늘줄기 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인발 반송 장치를 구비한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1847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36278호
특허문헌 1 의 수확기는, 파낸 수확물을 반송하여 이랑면에 낙하시키는 것이며, 수확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 의 수확기는, 인발 반송 장치가 비늘줄기 채소를 뽑아 내어 컨테이너까지 반송하기 때문에, 인발 반송 장치가 주행 기체의 전하단으로부터 주행 기체의 후상방을 향해서 배치되는 레이아웃이다. 그 때문에, 수확기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고, 그 결과, 수확기 전체가 커지고 또한 기체 밸런스가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는, 주행 기체와, 포장 (圃場) 에 심어진 비늘줄기 채소를 뽑아 내어, 경엽부를 협지 (挾持) 하면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와, 상기 인발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비늘줄기 채소를 수취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인발 반송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늘줄기 채소를 뽑아 내어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와, 인발 반송 장치로부터 비늘줄기 채소를 수취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가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인발 반송 장치가 비늘줄기 채소를 뽑아 내어 컨테이너까지 반송하여 회수하는 구성에 비해,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3 은, 인발 반송 장치, 어깨 정렬 장치 및 경엽 절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인발 반송 장치, 컨베이어 및 수확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컨베이어, 호퍼 및 컨테이너 재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는, 수확부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는, 수확부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확부의 승강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확부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 는, 다른 수확 기구에 의해 수확부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좌측을 간단히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우측을 간단히 우측이라고 칭한다.
먼저, 도 1 ∼ 도 6 을 참조하면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의 개략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이랑 위 또는 이랑 없는 포장에 심어진 복수 조의 비늘줄기 채소를 수확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조로 심어진 마늘 (G) 을 수확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비늘줄기 채소로는, 마늘 외에, 양파, 염교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늘 (G) 은, 구부 (球部) (Ga) 와 경엽부 (Gb) 를 갖는다.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자주 (自走) 가능한 주행 기체 (2) 에, 마늘 (G) 을 재배하고 있는 이랑으로부터 마늘 (G) 을 파내어 수확하는 수확부 (3)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수확부 (3) 에서 수확된 마늘 (G) 을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 (4) 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 (2) 는, 입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기체 프레임 (21) 과, 기체 프레임 (21) 의 양측에 배치된 1 쌍의 주행 크롤러 (20, 20) 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 (2) 의 후부 (後部) 우측에 조종부 (22) 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좌우의 주행 크롤러 (20, 20) 가 이랑을 걸쳐 넘어 주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랑이 없는 포장의 경우에는, 주행 크롤러 (20, 20) 가, 비늘줄기 채소가 수확된 후의 포장의 흙 위를 주행한다.
주행 기체 (2) 의 후부 좌측에 엔진 (10) 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 (10) 의 하전방이면서 또한 좌우의 주행 크롤러 (20) 의 사이에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을 적절히 변속하여 좌우의 주행 크롤러 (20) 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 (11) 가 배치되어 있다.
수확부 (3) 는, 분초 (分草) 장치 (31) 와, 스크래핑 장치 (32) 와, 파냄 장치 (33) 와, 인발 반송 장치 (34) 와, 흙떨어뜨림 장치 (35) 와, 어깨 정렬 장치 (36) 와, 경엽 절단 장치 (37) 와, 수확부 프레임 (38) 을 구비하고 있다.
분초 장치 (31) 는, 경엽부 (Gb) 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마늘 (G) 을 조마다 나눈다. 스크래핑 장치 (32) 는,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스크래핑하여 인발 반송 장치 (34) 에 건네준다. 파냄 장치 (33) 는, 마늘 (G) 을 용이하게 뽑아 낼 수 있도록 마늘 (G) 의 하방으로 파고 들어가 흙을 무너뜨린다. 인발 반송 장치 (34) 는, 스크래핑 장치 (32) 로부터 건네어진 경엽부 (Gb) 를 협지하여, 협지한 마늘 (G) 을 기립 자세인 채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한다. 흙떨어뜨림 장치 (35) (제 1 흙떨어뜨림 장치에 상당) 는, 인발 반송 장치 (34) 에 의해 반송되는 마늘 (G) 의 구부 (Ga) 에 부착되어 있는 흙을 긁어 떨어뜨린다. 어깨 정렬 장치 (36) 는, 인발 반송 장치 (34) 에 의해 반송되는 마늘 (G) 의 구부 (Ga) 와 경엽부 (Gb) 의 경계 부분을 어깨부로 하여, 그 어깨부의 높이를 가지런히 한다. 경엽 절단 장치 (37) 는, 어깨 정렬 장치 (36) 에 어깨부가 유지되어 있는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경엽부 (Gb) 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남도록 절단한다.
분초 장치 (31) 는, 포장에 쓰러진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조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방으로 들어 올려 분초한다. 분초 장치 (31)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종회전하는 타인 (tine) (31a) 을 구비하고, 타인 (31a) 을 회전시킴으로써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분초 장치 (31) 는, 마늘 (G) 을 조마다 나누기 위해서, 조를 사이에 두도록 5 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조식에 대해서 분초 장치 (31) 가 5 개 설치되어 있다. 즉, N 조식에 대해서 분초 장치 (31) 가 N+1 개 설치된다. 좌우 양측에 배치된 2 개의 분초 장치 (31) 의 분초 케이스 (31b) 는, 제 1 프레임 (33c) (후술한다)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중앙에 배치된 3 개의 분초 장치 (31) 의 분초 케이스 (31b)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382) (후술한다) 에 고정되어 있다. 분초 장치 (31) 는, 분초 케이스 (31b) 를 관통하는 분초 구동축 (31c) 에 의해 구동된다.
스크래핑 장치 (32)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횡(橫)회전하는 타인 (32a) 을 구비한다. 스크래핑 장치 (32) 는, 이웃하는 분초 장치 (31) 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2 개의 스크래핑 장치 (32) 는, 좌측의 2 조분의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정리하여 좌측의 인발 반송 장치 (34) 에 건네준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2 개의 스크래핑 장치 (32) 는, 우측의 2 조분의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정리하여 우측의 인발 반송 장치 (34) 에 건네준다. 스크래핑 장치 (32) 는, 분초 구동축 (31c) 에 고정되고, 분초 구동축 (31c) 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발굴 장치 (33) 는, 스크래핑 장치 (32)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파냄 장치 (33)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전후로 요동하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 자 형상의 파냄날 (33a) 과, 파냄날 (33a) 에 연결되고 또한 전후 요동 가능한 좌우 1 쌍의 지지체 (33b, 33b) 를 구비한다. 또, 파냄 장치 (33) 는, 좌우 1 쌍의 지지체 (33b, 33b) 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수확부 프레임 (38) 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 (33c) 과, 제 1 프레임 (33c) 을 족장 (足場) 으로서 분초 장치 (31) 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2 프레임 (33d) 을 구비한다. 지지체 (33b) 는, 제 1 프레임 (33c) 및 제 2 프레임 (33d)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파냄날 (33a) 을 전후로 요동할 수 있다. 파냄날 (33a) 은 4 조분을 파낼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냄날 (33a) 을 흙 속에 꽂아 넣어 마늘 (G) 의 구부 (Ga) 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파냄날 (33a) 을 전후로 요동시키면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를 전진시킴으로써, 흙을 무너뜨려 토양을 부드럽게 하여, 마늘 (G) 을 용이하게 뽑아 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파냄 장치 (33) 는, 파냄날 (33a) 의 좌우 양측에 헤밍 부재 (33e, 33e) 를 구비하고 있다. 헤밍 부재 (33e) 는, 전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봉상 (棒狀) 부재이며, 전진하면서 선단을 멀치 (mulch) 하방으로 삽입함으로써, 멀치의 헤밍을 실시하는 것이다.
인발 반송 장치 (34) 는, 스크래핑 장치 (32) 의 하방으로부터 후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인발 반송 장치 (34) 는, 경엽부 (Gb) 를 협지하여 후상방으로 반송하면서 마늘 (G) 을 뽑아 내어,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한다.
인발 반송 장치 (34) 는, 수확부 프레임 (38) 에 2 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각 인발 반송 장치 (34)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 (34a) 와, 구동 풀리 (34a) 에 종동하는 종동 풀리 (34b) 와, 구동 풀리 (34a) 및 종동 풀리 (34b) 에 감기는 좌우 1 쌍의 무단 반송 벨트 (34c) 를 갖는다. 좌우 1 쌍의 무단 반송 벨트 (34c) 로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협지하고, 인발 반송 장치 (34) 의 전단부에서 마늘 (G) 을 뽑아 내어, 후상방으로 반송한다.
흙떨어뜨림 장치 (35) 는,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하방에 배치된다. 흙떨어뜨림 장치 (35) 는, 수확부 프레임 (38) 에 고정되어 있다. 흙떨어뜨림 장치 (35)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흙떨어뜨림 구동축 (35a) 과, 봉상체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탄성체 (35b) 를 구비한다. 흙떨어뜨림 구동축 (35a) 의 회전에 의해 탄성체 (35b) 를 회전시킴으로써, 탄성체 (35b) 가 인발 반송 장치 (34) 에 의해 반송되는 마늘 (G) 의 구부 (Ga) 에 접촉하여 흙을 긁어 떨어뜨린다.
어깨 정렬 장치 (36) 는, 수확부 프레임 (38) 에 2 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각 어깨 정렬 장치 (36) 는, 인발 반송 장치 (34) 를 구성하는 무단 반송 벨트 (34c) 의 하방에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각 어깨 정렬 장치 (36) 는,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풀리 (36a) 와, 복수의 풀리 (36a) 에 감기는 좌우 1 쌍의 어깨 정렬 무단 벨트 (36b) 를 갖는다. 어깨 정렬 장치 (36) 는, 좌우 1 쌍의 어깨 정렬 무단 벨트 (36b) 를 인발 반송 장치 (34) 의 좌우 1 쌍의 무단 반송 벨트 (34c) 와 동기시켜 구동함으로써, 마늘 (G) 의 경엽부 (Gb) 가 인발 반송 장치 (34) 에 의해 끌어 올려지고, 마늘 (G) 의 구부 (Ga) 와 경엽부 (Gb) 의 경계 부분을 어깨부로 하여, 그 어깨부가 어깨 정렬 무단 벨트 (36b) 로 제지되고, 그 결과, 어깨부의 높이가 가지런해진다.
경엽 절단 장치 (37) 는, 어깨 정렬 장치 (36) 의 후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경엽 절단 장치 (37) 는, 원판상의 회전날 (37a) 을 구비하고, 회전날 (37a) 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어깨 정렬 장치 (36) 로 어깨부가 가지런해진 마늘 (G) 은, 경엽부 (Gb) 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남도록 회전날 (37a) 로 절단된다.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후단부에는, 절단한 경엽부 (Gb) 를 좌우 외측으로 방출하는 방출 가이드 (341) 가 설치되어 있다. 방출 가이드 (34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1 쌍의 구동 풀리 (34a, 34a) 중 좌우 내측의 구동 풀리 (34a) 의 전방에서 구동 풀리 (34a, 34a) 의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좌우 외측의 구동 풀리 (34a) 의 후방을 통과하여 좌우 외측으로 연장되는 봉상 부재 (341a) 를 갖는다. 봉상 부재 (341a) 는 상하로 2 개 설치되어 있다. 봉상 부재 (341a) 는, 구동 풀리 (34a)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방출 가이드 (341) 는, 2 개의 봉상 부재 (341a) 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돌기가 부착된 휠 (341b) 을 구비한다. 돌기가 부착된 휠 (341b) 은, 구동 풀리 (34a) 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방출 가이드 (341) 는, 회전하는 돌기가 부착된 휠 (341b) 에 의해 경엽부 (Gb) 를 봉상 부재 (341a) 를 따라서 반송할 수 있다. 인발 반송 장치 (34) 에 방출 가이드 (341) 를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해진 경엽부 (Gb) 를 좌우 외측으로 방출하여, 경엽부 (Gb) 가 컨베이어 (4) 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확부 프레임 (38) 은, 좌우 1 쌍의 측부 프레임 (381, 381) 과, 측부 프레임 (381, 381) 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 (382) 과, 측부 프레임 (381, 381) 의 후부를 연결하는 후부 프레임 (383) 을 구비한다. 측부 프레임 (381)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을 하고 있다. 상부 프레임 (382) 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초 장치 (31) 및 흙떨어뜨림 장치 (35) 가 고정되어 있다.
수확부 프레임 (38) 은, 컨베이어 (4) 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프레임 (381) 의 하단이, 컨베이어 (4) 의 시단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지지 부재에 의해 컨베이어 (4) 에 고정되어 있고, 수확부 프레임 (38) 은, 수확부 회동 지점 (38a) 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 수확부 프레임 (38) 은, 주행 기체 (2) 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프레임 (381) 의 후단이, 주행 기체 (2) 의 상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링크 기구 (39) 를 개재하여 주행 기체 (2) 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기구 (39) 는, 수확부 프레임 (38)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 (391) 와, 제 1 링크 (391) 와 기체 프레임 (21)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392) 와, 제 2 링크 (392)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 (393) 를 구비한다.
제 1 링크 (391) 는, 봉상 부재이며, 일단부가 수확부 프레임 (38)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 2 링크 (392)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확부 프레임 (38) 은, 제 1 링크 (391) 에 대하여 후방 지점 (38b) 둘레로 회전한다.
제 2 링크 (392) 는, T 자 형상 부재이며, T 자의 일측 단부 (端部) 가 제 1 링크 (391)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T 자의 타측 단부가 기체 프레임 (21)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 (391) 는, 제 2 링크 (392) 에 대하여 제 1 지점 (391a) 둘레로 회전한다. 제 2 링크 (392) 는, 기체 프레임 (21) 에 대하여 링크 회동 지점 (39a) 둘레로 회전한다. 또, 제 2 링크 (392) 의 T 자의 하단부가 제 3 링크 (393)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 (393) 는 봉상 부재이며, 일단부가 제 2 링크 (392)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유압 실린더 (394) 의 피스톤 로드 선단의 선단측 축체 (394a)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 (392) 는, 제 3 링크 (393) 에 대하여 제 2 지점 (392a) 둘레로 회전한다. 제 3 링크 (393) 는, 선단측 축체 (394a) 에 대하여 제 3 지점 (393a) 둘레로 회전한다.
유압 실린더 (394) 는, 피스톤 로드가 선단측 축체 (394a)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린더 튜브가 기체 프레임 (21)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선단측 축체 (394a) 는, 유압 실린더 (394) 에 대하여 제 4 지점 (394b) 둘레로 회전한다. 유압 실린더 (394) 는, 기체 프레임 (21) 에 대하여 실린더 회동 지점 (394c) 둘레로 회전한다.
수확부 (3) 는, 수확부 프레임 (38) 의 좌우 양측에 게이지륜(輪) (30) 을 구비하고 있다. 게이지륜 (30) 은, 수확부 프레임 (38) 에 대하여 지주 (30a) 에 의해 높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게이지륜 (30) 은, 지표를 주행함으로써, 파냄날 (33a) 의 부하에 의해 수확부 (3) 가 파고드는 것을 방지한다.
컨베이어 (4) 는, 주행 기체 (2) 의 전부 (前部) 로부터 후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 컨베이어 (4) 의 시단부는,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후부와 컨베이어 (4) 의 전부는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4) 는, 경엽부 (Gb) 가 절단되어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낙하한 마늘 (G) 의 구부 (Ga) 를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 (4)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 (41) 를 구비하는 바 컨베이어이다. 복수의 바 (41) 는, 복수의 돌기체 (41a) 가 장착된 바 (41) 를 소정의 간격마다 포함하고 있고, 구부 (Ga) 를 적절히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41) 의 양단은, 좌우 1 쌍의 체인 케이스 (42, 42) 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는 무단 체인에 고정되어 있다. 무단 체인은, 엔진 (10) 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컨베이어 (4) 의 시단부에는,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구부 (Ga) 를 수취하기 위한 이어받기 가이드 (43) 가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4) 의 시단부에 이어받기 가이드 (43) 를 설치함으로써,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낙하한 마늘 (G) 의 구부 (Ga) 를 확실하게 받아 내어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어받기 가이드 (43) 는, 좌우의 체인 케이스 (42, 42) 의 사이부터 전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상의 전(前)가이드 (43a) 와, 체인 케이스 (42)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상의 횡(橫)가이드 (43b) 를 구비한다. 또, 전가이드 (43a) 의 하부에는, 최전방의 바 (41) 와 전가이드 (43a) 의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하(下)가이드 (43c) 가 설치되어 있다. 하가이드 (43c) 에는, 돌기체 (41a) 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돌기체 (41a) 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빗 형상을 하고 있다.
컨베이어 (4) 의 후방에는 호퍼 (44) 가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 (4) 로 반송된 마늘 (G) 의 구부 (Ga) 는, 호퍼 (44) 를 통하여 주행 기체 (2) 의 후방에 놓이는 컨테이너에 회수된다. 호퍼 (44) 는, 엔진 (10) 과 조종부 (22)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4) 는, 반송하는 구부 (Ga) 에 부착된 흙을 긁어 떨어뜨리는 흙떨어뜨림 브러시 (47) (제 2 흙떨어뜨림 장치에 상당) 를 구비해도 된다. 흙떨어뜨림 브러시 (47) 는, 방사상으로 봉상의 탄성체를 배치한 회전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흙떨어뜨림 브러시 (47) 가 2 개 설치되어 있다. 흙떨어뜨림 브러시 (47) 는, 복수의 바 (41) 로 구성되는 반송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의 후방에는, 컨테이너가 재치 (載置) 되는 컨테이너 재치대 (23) 가 설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재치대 (23) 는, 좌우 방향으로 장척 (長尺) 인 직사각형상을 하고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3 개의 컨테이너를 나란히 둘 수 있다. 호퍼 (44) 는, 컨테이너 재치대 (23) 의 좌우 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재치대 (23) 에는, 호퍼 (44) 로부터 구부 (Ga) 가 투입되는 컨테이너 (23a) 의 좌우 양측에 빈 컨테이너 (23b) 와 가득 찬 컨테이너 (23c) 를 둘 수 있기 때문에, 보조자가 컨테이너를 공급, 배출을 실시함으로써 연속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컨베이어 (4) 는, 주행 기체 (2) 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4) 의 후단부가, 기체 프레임 (21) 에 세워 설치된 종프레임 (21a)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컨베이어 회동 지점 (45) 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컨베이어 (4) 의 하부는, 브래킷 (46) 을 개재하여 선단측 축체 (394a) 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 (394) 를 신축시킴으로써, 컨베이어 회동 지점 (45) 을 중심으로 하여 컨베이어 (4) 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7A 는, 이랑이 없는 포장에 심어진 마늘 (G) 을 수확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의 측면도이다. 도 7B 는, 이랑에 심어진 마늘 (G) 을 수확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의 측면도이다. 수확부 (3) 및 컨베이어 (4) 는, 유압 실린더 (394) 를 신축시킴으로써,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7B 에 나타내는 상태로 자세 변형 가능하다.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압 실린더 (394) 를 늘리면, 선단측 축체 (394a) 가 전방으로 밀리기 때문에, 컨베이어 (4) 는 컨베이어 회동 지점 (45) 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하고,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4) 의 전단이 상승한다. 또,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압 실린더 (394) 를 늘리면, 선단측 축체 (394a) 가 전방으로 밀리기 때문에, 선단측 축체 (394a) 에 연결된 링크 기구 (39) 의 작용에 의해, 수확부 프레임 (38) 은 수확부 회동 지점 (38a)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수확부 (3) 는,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7B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마늘 (G) 과 수확부 (3) 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분초 장치 (31), 스크래핑 장치 (32), 파냄 장치 (33), 인발 반송 장치 (34) 등의 각 장치의 위치 조정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7B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후단과 컨베이어 (4) 의 전단의 전후 방향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수확부 (3) 와 컨베이어 (4) 의 사이에서 마늘 (G) 의 이어받기를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주행 기체 (2) 와, 포장에 심어진 마늘 (G) 을 뽑아 내어, 경엽부 (Gb) 를 협지하면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 (34) 와,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마늘 (G) 을 수취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 (4) 를 구비하고, 인발 반송 장치 (34) 는, 컨베이어 (4) 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늘 (G) 을 뽑아 내어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 (34) 와,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마늘 (G) 을 수취하여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 (4) 가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컨베이어 (4) 의 시단부에는,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마늘 (G) 을 수취하기 위한 이어받기 가이드 (43) 가 설치되어도 된다.
컨베이어 (4) 의 시단부에 이어받기 가이드 (43) 를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 (4) 는,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낙하한 마늘 (G) 의 구부 (Ga) 를 확실하게 받아 내어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하방에 배치되고, 인발 반송 장치 (34) 에 의해 반송되는 마늘 (G) 의 경엽부 (Gb) 를 절단하는 경엽 절단 장치 (37) 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경엽 절단 장치 (37) 에 의해 경엽부 (Gb) 를 절단함으로써,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구부 (Ga) 를 컨베이어 (4) 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후단부에는, 경엽 절단 장치 (37) 에 의해 절단된 경엽부 (Gb) 를 좌우 외측으로 방출하는 방출 가이드 (341) 가 설치되어도 된다.
방출 가이드 (341) 를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해진 경엽부 (Gb) 를 좌우 외측으로 방출하여, 경엽부 (Gb) 가 컨베이어 (4) 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하방이면서 또한 컨베이어 (4) 의 전방에 배치되고, 인발 반송 장치 (34) 에 의해 반송되는 마늘 (G) 의 흙을 긁어 떨어뜨리는 흙떨어뜨림 장치 (35) 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컨베이어 (4) 에 마늘 (G) 을 건네주기 전에 부착된 흙을 긁어 떨어뜨릴 수 있다.
또, 컨베이어 (4) 는, 반송 중의 마늘 (G) 의 흙을 긁어 떨어뜨리는 흙떨어뜨림 브러시 (47) 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컨테이너 등에 수납하기 전에 마늘 (G) 에 부착된 흙을 효과적으로 긁어 떨어뜨릴 수 있다.
또,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인발 반송 장치 (34) 의 전방에 배치되고, 마늘 (G) 의 하방으로 파고 들어가 파내는 파냄 장치 (33) 를 구비하고, 파냄 장치 (33) 의 양측에는, 멀치의 양단부의 헤밍을 실시하는 헤밍 부재 (33e) 가 전방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멀치의 양단부가 파냄날 (33e) 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컨베이어 (4) 의 후방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4) 에 의해 반송된 마늘 (G) 을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재치하는 컨테이너 재치대 (23) 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컨테이너 재치대 (23) 에 컨테이너를 재치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한 마늘 (G) 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는, 주행 기체 (2) 와, 포장에 심어진 마늘 (G) 을 뽑아 내어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수확부 (3) 와, 마늘 (G) 을 수확부 (3) 로부터 수취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 (4) 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4) 는 종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고, 수확부 (3) 는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컨베이어 (4) 와 연동하여 상하로 승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2 의 수확기에서는, 이랑 높이에 맞추어 인발 반송 장치를 상하로 승강시키면, 인발 반송 장치의 전부에 있는 파냄 장치의 각도가 바뀌어 버려, 비늘줄기 채소를 적절히 수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확부 (3) 가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하로 승강함으로써, 이랑 높이가 상이한 포장에 심어진 마늘 (G) 을 수확할 때에도 수확부 (3) 의 각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랑 높이가 상이한 포장이더라도 마늘 (G) 을 적절히 수확할 수 있다.
또, 수확부 (3) 는, 컨베이어 (4) 의 전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 (4) 가 종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경우에도, 수확부 (3) 가 컨베이어 (4) 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부 (3) 는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또, 컨베이어 (4) 가 상방으로 회동할 때, 수확부 (3) 의 전부가 컨베이어 (4)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컨베이어 (4) 가 하방으로 회동할 때, 수확부 (3) 의 전부가 컨베이어 (4)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확부 (3) 는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또, 수확부 (3) 의 후단부는, 링크 기구 (39) 를 개재하여 주행 기체 (2) 에 지지되어 있고, 링크 기구 (39) 는, 컨베이어 (4) 의 중도부에 연결되고, 컨베이어 (4) 의 회동에 의해 작용하여 수확부 (3) 를 회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확부 (3) 를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컨베이어 (4) 와 연동하여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1. 주행 기체와,
포장에 심어진 비늘줄기 채소를 뽑아 내어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수확부와,
상기 비늘줄기 채소를 상기 수확부로부터 수취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종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수확부는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기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상하로 승강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2. 상기 수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전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3. 상기 컨베이어가 상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수확부의 전부가 상기 컨베이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컨베이어가 하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수확부의 전부가 상기 컨베이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는, 상기 2 에 기재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4. 상기 수확부의 후단부는,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주행 기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의 중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회동에 의해 작용하여 상기 수확부를 회동시키는, 상기 2 에 기재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다른 실시형태]
(1) 컨베이어 (4)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와 나란히 주행하는 도시하지 않는 운반차에 재치된 철 컨테이너 (48c) 로 수확물을 반송하기 위한 리프트 컨베이어 (48) 를 구비해도 된다.
(2)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컨베이어 (4) 와 연동하여 수확부 (3) 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기구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확부 (3) 를 승강시키는 기구를,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부 (3) 및 컨베이어 (4) 를 각각 링크로 한 평행 링크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컨베이어 (4) 와 대략 평행한 링크가 설치되고, 이 링크는, 수확부 (3) 와 종(縱)프레임 (21a) 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확부 (3) 는, 유압 실린더 (394) 를 늘림으로써, 도 9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9B 에 나타내는 상태로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승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에서는, 수확부 (3) 의 좌우 양단은, 좌우의 주행 크롤러 (20, 20)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1) 에 의하면, 이랑이 없는 포장의 전체면에 마늘 (G) 이 심어져 있는 경우, 수확부 (3) 의 양측에 심어진 조의 마늘 (G) 을 주행 크롤러 (20) 로 짓밟아버린다. 그 때문에, 인발 반송 장치 (34) 를 포함하는 수확부 (3) 의 양단은, 주행 기체 (2) 의 기체 폭, 즉 좌우의 주행 크롤러 (20, 20) 의 외측단보다 폭넓게 설정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수확부 (3) 에서 수확한 후의 지면을 주행 크롤러 (20) 가 주행하게 되므로, 포장의 전체면에 심은 마늘 (G) 을 수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 조식의 마늘 (G) 을 수확할 수 있도록, 분초 장치 (31) 및 스크래핑 장치 (32) 를 좌우에 각각 1 개씩 추가하고, 또한 인발 반송 장치 (34) 를 1 개 추가하고, 추가한 좌우 양측의 분초 장치 (31) 보다 내측에 주행 크롤러 (20) 의 외측단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 때,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34) 로부터 배출되는 경엽부 (Gb) 가 컨베이어 (4) 로 낙하하지 않도록, 중앙의 인발 반송 장치 (34) 의 후단으로부터 좌우 어느 쪽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출용 반송 벨트가 별도 설치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 뿐만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비늘줄기 채소를 수확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에 이용 가능하다.
1 :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2 : 주행 기체
3 : 수확부
4 : 컨베이어
23 : 컨테이너 재치대
31 : 분초 장치
32 : 스크래핑 장치
33 : 파냄 장치
34 : 인발 반송 장치
35 : 흙떨어뜨림 장치
36 : 어깨 정렬 장치
37 : 경엽 절단 장치
38 : 수확부 프레임
39 : 링크 기구
43 : 이어받기 가이드
47 : 흙떨어뜨림 브러시
48 : 리프트 컨베이어
341 : 방출 가이드

Claims (9)

  1. 주행 기체와,
    포장 (圃場) 에 심어진 비늘줄기 채소를 뽑아 내어, 경엽부를 협지 (挾持) 하면서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인발 반송 장치와,
    상기 인발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비늘줄기 채소를 수취하여 후상방을 향해서 반송하여 회수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인발 반송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시단부에는, 상기 인발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비늘줄기 채소를 수취하기 위한 이어받기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반송 장치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인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비늘줄기 채소의 경엽부를 절단하는 경엽 절단 장치를 구비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반송 장치의 후단부에는, 상기 경엽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경엽부를 좌우 외측으로 방출하는 방출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반송 장치의 하방이면서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인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비늘줄기 채소의 흙을 긁어 떨어뜨리는 제 1 흙떨어뜨림 장치를 구비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반송 중의 상기 비늘줄기 채소의 흙을 긁어 떨어뜨리는 제 2 흙떨어뜨림 장치를 구비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반송 장치를 포함하는 수확부의 양단은, 상기 주행 기체의 기체 폭보다 폭넓게 설정되어 있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 반송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비늘줄기 채소의 하방으로 파고 들어가 파내는 파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냄 장치의 양측에는, 멀치 (mulch) 의 양단부의 헤밍을 실시하는 헤밍 부재가 전방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된 상기 비늘줄기 채소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재치 (載置) 하는 재치대를 구비하는,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KR1020217033560A 2019-09-13 2020-09-03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KR20220061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7708 2019-09-13
JPJP-P-2019-167709 2019-09-13
JP2019167709A JP2021040600A (ja) 2019-09-13 2019-09-13 鱗茎野菜収穫機
JP2019167708A JP7390140B2 (ja) 2019-09-13 2019-09-13 鱗茎野菜収穫機
PCT/JP2020/033429 WO2021049411A1 (ja) 2019-09-13 2020-09-03 鱗茎野菜収穫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051A true KR20220061051A (ko) 2022-05-12

Family

ID=7486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560A KR20220061051A (ko) 2019-09-13 2020-09-03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61051A (ko)
CN (1) CN114401627A (ko)
WO (1) WO2021049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1776A (zh) * 2021-07-28 2021-11-30 山东科技职业学院 一种大蒜收获机械用捡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788U (ja) 2013-04-24 2013-07-18 俊介 田吹 日常用ゴーグル
JP2016036278A (ja) 2014-08-06 2016-03-22 八鹿鉄工株式会社 鱗茎野菜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866Y2 (ja) * 1990-12-11 1995-11-29 博文 宮川 収穫機
JP2587446Y2 (ja) * 1992-11-27 1998-12-16 株式会社クボタ 抜取り収穫機
JP2014236681A (ja) * 2013-06-06 2014-12-18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収穫機
CN108966797B (zh) * 2018-10-15 2023-05-16 山东农业大学 一种多行大蒜联合收获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788U (ja) 2013-04-24 2013-07-18 俊介 田吹 日常用ゴーグル
JP2016036278A (ja) 2014-08-06 2016-03-22 八鹿鉄工株式会社 鱗茎野菜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01627A (zh) 2022-04-26
WO2021049411A1 (ja)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KR100723603B1 (ko) 땅속작물 굴취 작업기
US3199604A (en) Tomato harvester
KR102005430B1 (ko) 수집형 감자 수확기
KR20160025861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CN105557170A (zh) 平贝母收获机
JP2018134065A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KR20220061051A (ko)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JP7390140B2 (ja) 鱗茎野菜収穫機
JP2016036278A (ja) 鱗茎野菜収穫機
KR200445293Y1 (ko) 구근 수확기
CN207665477U (zh) 智能马铃薯收获机
JP2014097034A (ja) 農作業機
JP2021040600A (ja) 鱗茎野菜収穫機
CN207869717U (zh) 花生收获机链杆结构及作物与土壤分离装置
JP2021040602A (ja) 鱗茎野菜収穫機
JP7281375B2 (ja) 鱗茎野菜収穫機
JP6688028B2 (ja) 地下茎作物収穫機の茎葉引起し装置
KR10262321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KR20220054744A (ko) 인경 채소 수확기
KR102492355B1 (ko) 구형 농산물의 수집 선별 포장 시스템
JP2013153716A (ja) 根菜類収穫機
KR101399098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JP6055199B2 (ja) 野菜収穫機
JP7198502B2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