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95Y1 - 땅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땅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3995Y1 KR200353995Y1 KR20-2004-0009247U KR20040009247U KR200353995Y1 KR 200353995 Y1 KR200353995 Y1 KR 200353995Y1 KR 20040009247 U KR20040009247 U KR 20040009247U KR 200353995 Y1 KR200353995 Y1 KR 2003539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vester
- crop
- belt conveyor
- conveyor
- roller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땅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굴취된 작물의 이송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작물과 함께 유입된 흙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장치의 동작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확기는, 수확기 본체(110)의 전방 하부에는 굴취날(120)이 소정 각도로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굴취날(120)을 통해 굴취된 작물의 유입을 위한 체인콘베이어(130)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수확기 본체(110)의 전방 상부에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160)가 구성되어져 있는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체인콘베이어(130) 후단측에는 유입된 작물을 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측부이송수단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측부이송수단으로는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벨트콘베이어(140)가 구비되었으며; 상기 벨트콘베이어(140)의 양단에는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동로울러(142)와 피동로울러(144)가 각각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양측의 로울러(142,144)에는 로울러면에 부착되는 흙을 박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143,145)가 각각 접촉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자, 고구마 등의 땅속작물의 수확작업시 작물의 손상은 물론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인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땅속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속에 열매를 맺는 마늘, 땅콩, 감자, 고구마, 인삼, 약초류 등과 같은 땅속 농작물의 경우 흙을 파 헤친 다음 수확하게 되므로 채취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작물수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수확기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실용신안등록 제296614호의 구근수확기를 들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1) 전방 하부에 고정된 결합판(11)에 결합되어 구근을 흙과 함께 퍼 올리는 삽날(10)과, 상기 삽날(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좌우로 회동하여 삽날(10)로 퍼올린 구근과 흙을 분리하여 구근을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한쌍의 분리판(20)과, 상기 분리판(20)을 프레임(1)과 결합하여 분리판(20)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회동기구와,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고 트렉터의 회전동력을 회동기구에 전달하는 회전봉(30)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 두둑에 심겨진 구근을 삽날(10)로 흙과 함께 퍼올린 후 분리판(20)에서 흙은 하부로 배출시키고 구근만 측면으로 배출시키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근 수확기는 두둑의 측면에 수확된 구근이 쌓이게 되어 다음 두둑의 구근을 수확하는 작업을 할 때 트랙터의 바퀴가 지나갈 자리에 구근이 없어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반면, 분리판(20)은 회동기구에 의하여 좌우로 회동하도록 즉, 회전봉(30)에 결합된 편심캠(31)이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대(27)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대(27)에 결합된 작동대(25)가 좌우로 회동하게 되며, 작동대(25)의 회동에 따라 분리판(20)이 좌우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얹혀진 흙과 구근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흙을 터는 과정에서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수확기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진동이 트랙터에 전달되어 트랙터의 안정적인 주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우기 고구마와 같은 껍질이 매우 얇고 작은 손상이 있더라도 쉽게 변질될 우려가 있는 작물의 수확시에는 분리판(20)에서의 분리 및 측면이송시 구근의 껍질에 상처를 입히게 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구마나 감자등을 비롯한 각종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기가 저진동 구조를갖으며 작물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는것을 방지하고, 작물과 함께 장치내로 유입된 흙에 의한 이송부의 파손이나 작동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작물수확기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작물수확기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작물수확기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작물수확기의 체인콘베이어 동력전달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작물수확기의 벨트콘베이어 동력전달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우측면도.
도 6은 본 고안 작물수확기의 벨트콘베이어부 상세 측면도.
도 7은 본고안 작물수확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근 수확기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작물 수확기 110 : 수확기 본체
112 : 장공 114 : 조절볼트
120 : 굴취날 130 : 체인콘베이어
140 : 벨트콘베이어 141 : 배출가이드
142 : 구동로울러 144 : 피동로울러
143,145 : 스크레이퍼 146 : 간격조절볼트
148 : 위치조절볼트 150 : 프레임
160 : 견인부 170 : 동력전달벨트
180 : 제1동력전달체인 182,184 : 베벨기어
186 : 출력축 188 : 제2동력전달체인
상기 목적은, 수확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굴취날이 소정 각도로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굴취날을 통해 굴취된 작물의 유입을 위한 체인콘베이어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수확기 본체의 전방 상부에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가 구성되어져 있는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체인콘베이어 후단측에는 유입된 작물을 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측부이송수단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측부이송수단으로는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벨트콘베이어가 구비되었으며; 상기 벨트콘베이어의 양단에는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동로울러와 피동로울러가 각각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양측의 로울러에는 로울러면에 부착되는 흙을 박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각각 접촉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전면부 및 배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수확기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수확기의 좌,우 측면도로서 체인콘베이어로의 동력전달 및 벨트콘베이어로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고자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수확기의 벨트콘베이어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 수확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확기 본체(11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하부에 굴취날(120)이 소정 각도로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굴취날(120)을 통해 굴취된 작물의 이송을 위한 체인콘베이어(130)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상기 체인콘베이어(130)와 직각방향으로의 측부이송수단인 벨트콘베이어(140)가 프레임(150)과 함께 구성되어 있고, 수확기 본체(110)의 전방 상부에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3점식 견인부(160)가 구성되었다.
상기 벨트콘베이어(140)측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양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구동로울러(142)와 피동로울러(14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로울러(142,144)에는 부분확대를 통해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각각의 로울러에 달라붙은 흙을 긁어내기 위한 스크레이퍼(143,145)가 로울러 주면과 접촉되어진 상태로 구성되었고, 상기 스크레이퍼(143,145)에는 수평방향의 장공(143a,145a)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어 삽입되는 간격조절볼트(146)에 의해 상호간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벨트콘베이어(140)의 배면측 중간부분에는 콘베이어를 따라 안내되어지는 흙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판형태의 배출가이드(141)가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었다.
도 6에 있어 미설명 부호 147은 프레임(150)상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지지로울러로 벨트콘베이어(140)위에 수확된 작물이 이송될때 이 하중에 의해 벨트콘베이어가 밑으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148은 벨트콘베이어(140)가 권취된 피동로울러(14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볼트이며, 149는벨트콘베이어(140)의 앞뒤쪽에 부착되는 가이드판으로 흙이 벨트콘베이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수확된 작물이 측방향으로 이송되는 도중 벨트콘베이어의 외측으로 밀려 프레임(150)과 벨트콘베이어(14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견인부(160)의 중앙에는 트랙터의 동력인출부(P.T.O)에 축결합되는 동력전달축(162) 및 동력전달박스(1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동력전달박스(164)는 구동축(166)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있고, 상기 3점식 견인부(160)의 일측 견인핀(161)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트랙터(T)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본체(110)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서 두둑의 위치에 맞게 굴취날(120)의 위치를 옮길 수 있게 되낟.
상기 구동축(166)은 일단에 동력전달벨트(170)가 연결되어져 체인콘베이어(130)의 후방축(132)으로 동력을 전달토록 하였으며, 구동축(166)의 타단에는 제1동력전달체인(180)이 연결되어 한쌍의 맞물린 베벨기어(182,184)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고, 상기 베벨기어(184)의 출력축(186)에는 제2동력전달체인(188)이 연결되어 벨트콘베이어(140)의 구동로울러(142)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굴취날(1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볼트(114)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장공(11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프레임(150)의 하부 양측에는 수확기를 수평으로 세워놓기 위한 지지각(152)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수확기를 보관할 경우에는 이 지지각(152)을 내려 수평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굴취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 지지각(152)을 들어올려 굴취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수확기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수확기(100)는 도 7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랙터(T)에 의해 견인되면서 고구마 등이 심겨진 밭을 한두둑씩 진행하면서 굴취작업을 하게 되는데, 본체(1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굴취날(120)에 의해 굴취된 작물은 체인콘베이어(13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체인콘베이어(130)의 진동작용에 의해 흙이 털리게 되고, 이와같이 털린흙은 대부분 체인콘베이어(130) 사이 공간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흙이 털려진 작물은 후방으로 이송되어 벨트콘베이어(140)위에 올려지게 되며, 이때 벨트콘베이어(140)를 따라 안내되어 끝단까지 이송된 작물은 땅바닥으로 낙하되게 되는데, 벨트콘베이어(140)는 기존의 요동식 이송수단에 비하여 작물의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동과 소음의 발생이 없어 정숙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작업과정에서 벨트콘베이어(140)의 내측으로 유입된 흙이 구동로울러(142)와 피동로울러(144)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더라도 각각에 부착된 스크레이퍼(143,145)가 달라붙은 흙을 긁어내게 되므로 흙이 로울러(142,144)에 달라붙는것에 의해 로울러의 직경이 확장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따라서 로울러가 확장되었을 경우 벨트콘베이어(140)가 긴장됨으로서 정상적인 작물이송이 이루어지지 않거나구동부분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된다.
상기 스크레이퍼(143,145)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43a,145a)에 간격조절볼트(146)가 체결되어져 있으므로, 작업자는 로울러(142,144)의 마모상태에 따라 간격조절볼트(146)를 조절하여 스크레이퍼(143,145)의 적절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크레이퍼(143)에 의해 일측 로울러(142)에서 긁혀 떨어진 흙중 일부가 컨베이어면을 따라 타측 로울러(144)측으로 이송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내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된 배출가이드(141)에 의해 벨트콘베이어(14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됨으로 벨트콘베이어(140)의 내부에 흙이 남아있지 않게되어 수확기(100)의 작동불량이나 손상 발생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수확기는, 트랙터의 동력에 의해 굴취날에서 땅속작물을 굴취하여 체인콘베이어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과 작물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작물은 수확기의 측부로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 분리된 작물의 이송수단으로 탄력성의 벨트콘베이어를 사용하여 작물의 손상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벨트콘베이어 양단의 구동로울러와 피동로울러체 흙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작물의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진동과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울러로 부터 떨어진 흙이 장치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확기의 작동불량이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수확기 본체(110)의 전방 하부에는 굴취날(120)이 소정 각도로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굴취날(120)을 통해 굴취된 작물의 유입을 위한 체인콘베이어(130)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수확기 본체(110)의 전방 상부에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160)가 구성되어져 있는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상기 체인콘베이어(130) 후단측에는 유입된 작물을 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측부이송수단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측부이송수단으로는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벨트콘베이어(140)가 구비되었으며;상기 벨트콘베이어(140)의 양단에는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동로울러(142)와 피동로울러(144)가 각각 장착되어져 있고;상기 양측의 로울러(142,144)에는 로울러면에 부착되는 흙을 박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143,145)가 각각 주면에 접촉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벨트콘베이어(140)의 배면측 하부에는 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흙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가이드(141)가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스크레이퍼(143,145)는 간격조절볼트(14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지는 장공(143a,145a)이 후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9247U KR200353995Y1 (ko) | 2004-04-02 | 2004-04-02 | 땅속작물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9247U KR200353995Y1 (ko) | 2004-04-02 | 2004-04-02 | 땅속작물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3995Y1 true KR200353995Y1 (ko) | 2004-06-23 |
Family
ID=4943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9247U KR200353995Y1 (ko) | 2004-04-02 | 2004-04-02 | 땅속작물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3995Y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96528A (zh) * | 2018-11-21 | 2019-03-22 | 河南豪丰农业装备有限公司 | 一种茎块挖掘机 |
KR101976962B1 (ko) | 2017-12-29 | 2019-05-09 | 이세진 | 작물 수확장치 |
KR20190074464A (ko) | 2017-12-20 | 2019-06-28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기 |
KR20220033253A (ko) * | 2020-09-09 | 2022-03-16 | 이학남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KR20220066518A (ko) | 2020-11-16 | 2022-05-24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
KR102417256B1 (ko) | 2021-09-28 | 2022-07-06 | 주식회사 불스 | 차속동조 기능을 가지는 뿌리작물 수확기 |
KR102417260B1 (ko) | 2021-11-25 | 2022-07-0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
KR102417247B1 (ko) | 2021-09-28 | 2022-07-07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기용 수집부 제어장치 |
KR102650867B1 (ko) | 2023-05-24 | 2024-03-25 | 주식회사 불스 | 자주형 수집부 제어장치 |
-
2004
- 2004-04-02 KR KR20-2004-0009247U patent/KR200353995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4464A (ko) | 2017-12-20 | 2019-06-28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기 |
KR101976962B1 (ko) | 2017-12-29 | 2019-05-09 | 이세진 | 작물 수확장치 |
CN109496528A (zh) * | 2018-11-21 | 2019-03-22 | 河南豪丰农业装备有限公司 | 一种茎块挖掘机 |
CN109496528B (zh) * | 2018-11-21 | 2023-12-26 | 河南豪丰农业装备有限公司 | 一种茎块挖掘机 |
KR20220033253A (ko) * | 2020-09-09 | 2022-03-16 | 이학남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KR102471983B1 (ko) * | 2020-09-09 | 2022-11-29 | 이학남 |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
KR20220066518A (ko) | 2020-11-16 | 2022-05-24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
KR102417256B1 (ko) | 2021-09-28 | 2022-07-06 | 주식회사 불스 | 차속동조 기능을 가지는 뿌리작물 수확기 |
KR102417247B1 (ko) | 2021-09-28 | 2022-07-07 | 주식회사 불스 | 뿌리작물 수확기용 수집부 제어장치 |
KR102417260B1 (ko) | 2021-11-25 | 2022-07-0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뿌리작물 수확기용 이물질 배출장치 |
KR102650867B1 (ko) | 2023-05-24 | 2024-03-25 | 주식회사 불스 | 자주형 수집부 제어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9444676B2 (en) | Mulch residue collection machine employing elastic harrow teeth, and method of using same | |
US4416334A (en) | Potato harvesting apparatus | |
KR101771239B1 (ko) |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 |
KR200353995Y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WO2021092982A1 (zh) | 一种小型马铃薯联合收获机 | |
KR102048005B1 (ko) |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 |
KR20200074063A (ko) | 수확기용 채굴장치 | |
KR101967419B1 (ko) | 구근 작물 수확기 | |
JP2012055252A (ja) | 作物掘起機 | |
KR101536946B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CN112005695A (zh) | 一种大蒜联合收获机 | |
KR101676602B1 (ko) | 무진동형 땅속작물 수확기 | |
KR102201118B1 (ko) | 수확기용 평탄장치 | |
KR200325480Y1 (ko) |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 |
KR102267958B1 (ko) | 마늘 수확장치 | |
KR101635342B1 (ko) | 다중 진동형 땅속작물 수확기 | |
KR102216837B1 (ko) |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 |
CN108575253B (zh) | 一种深根茎作物收获机 | |
CN104255201B (zh) | 打籽西葫芦收获机 | |
KR20200110827A (ko) |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 |
CN114651590B (zh) | 一种农业收获装置 | |
JP3507942B2 (ja) | 長根菜収穫機 | |
CN206542727U (zh) | 一种甜菜起收机 | |
CN114766175B (zh) | 一种挖掘松土输送组件及联合收获机 | |
KR101399098B1 (ko) | 뿌리작물 수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9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