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962B1 - 작물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62B1
KR101976962B1 KR1020170184170A KR20170184170A KR101976962B1 KR 101976962 B1 KR101976962 B1 KR 101976962B1 KR 1020170184170 A KR1020170184170 A KR 1020170184170A KR 20170184170 A KR20170184170 A KR 20170184170A KR 101976962 B1 KR101976962 B1 KR 10197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plate
unit
shaft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진
Original Assignee
이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진 filed Critical 이세진
Priority to KR102017018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2Driving mechanisms, with or without motor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원동기와 연결하여 본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0)와, 본체 전방 하측에서 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200)와, 수거부(200)의 후방에서 본체 상부로 작물을 공급하는 세로이송부(300)와, 세로이송부(300)에서 본체 후방으로 작물을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구비하는 작물 수확장치를 구성하되, 수거부에서 작물을 픽업하는 시점과 작물을 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시점에 픽업판이 해당 작업에 최적의 각도 및 위치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과, 배출부에서 작물박스로 작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도판과 적재대의 연동을 통해 작물을 보다 안전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작물 수확작업 전반을 기계화 및 효율화하면서 고품질의 작물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작물 수확장치{CROP HARV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작지를 주행하면서 작물을 수거하고 본체 내부로 이송하여 작물박스에 배출하는 일련의 수확작업 전반을 보다 효율화하는 작물 수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 작물의 수확작업은 벼나 보리와 같은 곡물의 수확작업에 비해 수작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계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벼 등 곡물의 수확작업에는 이미 콤바인과 같은 수확기의 이용이 보편화되었으나 양파 등의 구근류를 포함한 밭 작물은 대부분 굴채 작업을 포함하므로 기계를 이용한 수확이 매우 까다롭다.
공지된 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69615 호에는, 이송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측판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이송 공간의 전방 하부에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지중 작물을 채굴하고 이를 이송 공간으로 전달하는 채굴판과, 상기 이송 공간에서 상기 채굴판의 후단과 연계되도록 장착되어 채굴판으로부터 채굴된 지중 작물을 이송 공간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지중 작물 수확장치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3995 호에는 수확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는 굴취날이 하향되게 부착되어 있고, 굴취된 작물의 유입을 위한 체인콘베이어가 내측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수확기 본체의 전방 상부에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가 구성되어져 있는 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체인콘베이어 후단측에는 유입된 작물을 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측부이송수단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측부이송수단으로는 일정 장력이 유지되는 벨트콘베이어가 구비되었으며, 상기 벨트콘베이어의 양단에는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동로울러와 피동로울러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확장치는 채굴 과정에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작물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수확장치를 별도 적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수확한 작물을 밭에 그대로 배출하거나 단순히 수확장치 후방에 마련된 작업대로 이송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배출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밭 작물 수확작업 현장에서는 채굴 또는 수거 작업 대부분을 여전히 인력에 의존하여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69615 호 (2016.10.2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3995 호 (2004.06.23)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74950 호 (2009.01.2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32293 호 (2006.11.3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작물 수확장치는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소정의 채굴부를 마련하여 작물을 수확장치 본체로 유입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채굴부의 구조는 채굴날이 일정한 원형 궤도를 따라서 작동하므로 작물을 수확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일련의 동작이 동일한 각도 및 위치에서 수행된다.
결국, 작물의 픽업 동작 시 채굴날이 지면의 상태 및 작물의 형상에 따라서 픽업에 적합한 최적의 각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없으므로 기계적인 작동 과정에서 작물에 손상을 가하거나 픽업 효율을 저하시켜 작업 속도를 지연하게 되고, 혹은 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동작 시에는 작물을 떨어뜨리거나 이송 적체를 유발하는 등 작업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작물 수확장치는 컨베이어 등으로 작물을 이송한 후 본체의 외부, 즉 밭이나 혹은 본체의 후방에 마련된 소정의 작업대에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물의 배출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작물이 투척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상품 가치를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원동기와 연결하여 본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0)와, 본체 전방 하측에서 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200)와, 수거부(200)의 후방에서 본체 상부로 작물을 공급하는 세로이송부(300)와, 세로이송부(300)에서 본체 후방으로 작물을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구비하는 작물 수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200)는,
폐곡선형 캠홈(211)을 형성하는 내캠판(212)과 외캠판(213)을 장착하는 좌,우 픽업프레임(210)과,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는 픽업축(221)의 양단에 결합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직선형 가이드홈(222)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좌,우 픽업원판(220)과,
상기 가이드홈(222)에 삽입하는 제1축(231)과, 상기 캠홈(211)에 삽입하는 제2축(232)으로 이루어져 좌,우 픽업원판(220)의 회전 시 가이드홈(222) 및 캠홈(211) 내에서 직선 및 곡선 주행하는 복수의 축부재(230)와,
상기 좌,우 픽업원판(220)의 사이에서, 상기 제1축(231)에 양측을 결합하는 복수의 픽업판(2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400)는,
좌,우 세로이송프레임(310)의 상단에 결합하고 가로이송컨베이어(411)를 장착하는 좌,우 가로이송프레임(410)과,
상기 좌,우 가로이송프레임(410)에 장착하는 유도축(421)에 결합하는 유도판(420)과,
상기 유도판(420)의 양측에 장착하고 열호 형상의 유도홈(431)을 형성하는 유도암(430)과,
상기 유도홈(431)에 일단을 결합하고 'L'자로 절곡하는 유도판로드(440)와,
상기 유도판로드(440)의 타단에 결합하고 유도판로드(440)와 역방향으로 'L'자로 형성하는 적재대(450)와,
상기 적재대(450)의 연결바(451) 상에 구비하고 적재프레임(460)의 일측에 축결합하는 힌지바(470)와,
상기 적재대(450)에 결합하여 적재대(450) 및 유도판(420)을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힌지 작동하는 횡동실린더(4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밭 작물 수확작업 시 보다 원활한 동작에 의해 효율적인 작물 수거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거부의 픽업판이 작물을 픽업하는 시점과, 작물을 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시점에, 각각 최적의 각도 및 위치에서 해당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물 수확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일정한 원형 궤도로 채굴날을 작동하는 수확장치에 비해 작물에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픽업 및 유입 효율을 현저히 향상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부에서 유도판과 작업대 간의 낙차를 최소화하는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물의 투척에 의한 충격 및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품 가치를 유지한 상태로 작물박스에 배출하여 종래 수작업에 의한 작물 배출작업을 안전하게 기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수확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수확부의 작동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배출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배출부의 작동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수확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수확부의 작동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배출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배출부의 작동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작물 수확장치는 트랙터 등 원동기에 부착하여 견인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작물 수확장치에 있어서, 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200)와, 작물을 작물박스(401)에 배출하는 배출부(400)의 구성을 종래 기술과 차별하여 구성함으로써 경작지를 주행하면서 작물을 수거하고 본체로 이송하여 작물박스(401)에 배출하는 일련의 수확작업 전반을 보다 효율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기와 연결하여 본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0)와, 본체 전방 하측에서 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200)와, 수거부(200)의 후방에서 본체 상부로 작물을 공급하는 세로이송부(300)와, 세로이송부(300)에서 본체 후방으로 작물을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는 트랙터 등의 원동기의 후방에 부착하여 원동기에 장착된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므로 본체의 전방에 동력전달부(100)를 구비하는 소정의 연결 프레임(미부호)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00)는 각종 기어, 구동 및 종동축, 변속기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동력전달계 구성을 탑재하며, 본 발명의 수거부(200)와, 세로이송부(300), 및 배출부(400)에 구비된 픽업원판(220), 세로이송컨베이어(311), 가로이송컨베이어(411), 횡동실린더(480) 등의 주요 구동수단에 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거부(200)는 본체 전방 하측에 구비하여 경작지로부터 작물을 픽업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거부(200)는 좌, 우측 픽업프레임(210)과, 픽업프레임(210)의 내부에서 구동하는 좌, 우측 픽업원판(220)과, 픽업원판(220)에 결합하는 축부재(230)에 부착되어 작물을 픽업하는 픽업판(2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픽업프레임(210)은 본체의 좌, 우측에서 수거부(200)에 탑재된 내부 구성을 장착하도록 구비하며,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여 픽업축(221)을 구동하는 픽업체인(미부호)을 차폐한다.
상기 픽업프레임(210)의 내측에는 폐곡선형 캠홈(211)을 형성하는 내캠판(212)과 외캠판(213)을 고정, 장착한다.
상기 외캠판(213)은 원형의 판형으로 형성하되, 중심부를 통공하여 내캠판(212)을 수용한다. 특히, 상기 외캠판(213)의 내주면과 내캠판(212)의 외주면은 전체 곡선 구간을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상응하는 형상으로 캠홈(211)을 형성한다.
상기 캠홈(211)은 불규칙 형상의 폐곡선형으로 형성하여 하기 축부재(230)의 제2축(232)이 주행하는 무한궤도를 형성한다.
상기 캠홈(211)의 형상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재(230)의 회전궤도를 픽업축(221)을 중심으로 한 단순 원형궤도가 아닌 불규칙 궤도를 형성하며, 하기 픽업원판(220)의 가이드홈(222)의 작동과 연계하여 설계한다. 즉, 픽업판(240)이 작물을 픽업하는 각도 및 위치를 픽업 시점과 유입 시점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은 작동 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외캠판(213) 또는 내캠판(212) 상에는 캠홈(211)을 제외한 부분에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여 부품의 하중을 저감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픽업원판(220)은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는 픽업축(221)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좌, 우 픽업프레임(210)의 내측에서 외캠판(213) 및 내캠판(212)에 근접하여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원판(2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직선형 가이드홈(22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222)을 픽업원판(220)을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 4개소에 일정 각도로 배열하여 형성하였으나 픽업판(240)의 수에 따라 가이드홈(222)의 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22)은 픽업축(221)이 결합하는 축심을 중심으로 픽업원판(220)의 외주면을 향해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하기 축부재(230)의 제1축(231)이 주행하는 직선궤도를 형성한다.
상기 축부재(230)는 상기 가이드홈(222)의 수만큼 복수를 구비하여 픽업원판(220)이 회전 시 가이드홈(222) 및 캠홈(211) 내에서 직선 및 곡선 주행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축부재(230)는 상기 가이드홈(222)에 삽입하는 제1축(231)과, 상기 캠홈(211)에 삽입하는 제2축(232)으로 이루어진다.
도 5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230)의 제1축(231)은 양 측면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픽업원판(220)의 가이드홈(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 측벽에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제1축(231)은 가이드홈(222)의 직선궤도를 슬라이딩 마찰하면서 왕복 주행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축부재(230)의 제2축(232)은 제1축(231)의 전방에서 원형 롤러의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픽업원판(220)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는 내캠판(212) 및 외캠판(213)에 형성된 캠홈(211)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한다. 따라서 제2축(232)은 캠홈(211)의 폐곡선형 무한궤도를 구름 마찰하면서 주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픽업판(240)은 상기 픽업원판(220)의 사이에서, 상기 제1축(231)에 양측을 결합하여 복수를 구비한다.
상기 픽업판(240)은 작물을 픽업하는 고무판(242)과, 고무판(242)에 결합하고 상기 축부재(230)에 장착하는 연결판(2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판(242)에는 소정의 공극을 복수로 형성하여 작물의 픽업 시 각종 불순물을 공극을 통해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판(241)은 일측 및 타측 픽업판(240) 사이를 연결하여 작물이 픽업판(240)의 심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축부재(230)의 직선 및 곡선 주행에 의해 불규칙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픽업판(240)의 작동반경에 간섭을 배제하면서 작물이 고무판(242)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판(240)의 작동반경 내측에는 좌, 우 가이드프레임(250)의 사이에서 열호 형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가이드바(251)와, 가이드바(251)의 상측에 장착하는 가이드판(252)을 구비하여 수거부(200)를 통해 픽업된 작물을 세로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세로이송부(300)는 상기 수거부(200)의 후방에서 본체 상부를 향해 구비하는 좌,우 세로이송프레임(310)과, 세로이송프레임(310)에 장착하여 상향 구동하고 복수의 세로이송바(312)를 결합하여 작물을 본체 상부로 공급하는 세로이송컨베이어(311)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이송프레임(310)은 본체의 좌, 우측에서 세로이송부(300)에 탑재된 내부 구성을 장착하도록 구비하며,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여 세로이송컨베이어(311)를 구동하는 소정의 세로이송체인을 차폐한다. 상기 세로이송부(300)는 통상의 수확장치에 주지된 구성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400)는 본체 후방 상, 하측에 구비하여 상기 세로이송부(300)를 통해 공급된 작물을 작물박스(401)에 배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400)는 좌, 우측 가로이송프레임(410)과, 유도암(430)을 장착하는 유도판(420)과, 유도판(420)과 적재대(450)를 연동하는 좌, 우측 유도판로드(440)와, 좌, 우측 힌지바(470)를 구비하는 적재대(450)와, 적재대(450) 및 유도판(420)을 작동하는 횡동실린더(4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로이송프레임(410)은 세로이송프레임(310)의 상단에 결합하고 가로이송컨베이어(411)를 장착하여 본체 상부로 이송된 작물을 본체 상부 후방, 유도판(420)의 주입부로 이송한다.
상기 가로이송프레임(410) 역시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여 가로이송컨베이어(411)를 구동하는 소정의 가로이송체인을 차폐한다.
상기 유도판(420)은 상기 가로이송프레임(410)에 장착하는 유도축(421)에 결합하여 작물을 적재대(450)에 구비되는 작물박스(401)로 배출한다.
상기 유도판(420)은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진 슬로프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이송컨베이어(411)의 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작물박스(401)의 내측벽을 타고 작물이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유도판(420)의 양측에는 열호 형상의 유도홈(431)을 형성하는 유도암(430)을 장착한다. 상기 유도암(430)은 유도판(420)과 함께 유도축(421)을 기점으로 회동한다.
상기 유도판로드(440)는 'L'자로 절곡형성하여 일단은 유도홈(431)에 결합하고 타단은 적재대(450)의 연결바(451)에 축결합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판로드(440)는 적재대(450)와 유도판(420)을 연동하여 각각 소정의 각도로 회동함으로써 유도판(420)에서 작물박스(401)로 배출되는 작물의 낙하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적재대(450)는 유도판로드(440)의 타단에 결합하고 유도판로드(440)와 역방향으로 연결바(451)와 포크바(452)를 'L'자로 형성한다. 상기 포크바(452)에는 작물박스(401)를 적재한다.
상기 힌지바(470)는 적재대(450)의 연결바(451) 상에 구비하고 적재프레임(460)의 일측에 입설되는 힌지부(미부호)에 축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적재대(450)는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적재프레임(460)으로부터 힌지 작동한다.
상기 횡동실린더(480)는 적재대(450)에 결합하여 적재대(450) 및 유도판(420)을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힌지 작동한다. 즉, 상기 횡동실린더(480)는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여 상기 적재대(450)의 포크바(452)를 전, 후로 구동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적재대(450)가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힌지 작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물 수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는 원동기의 후방에 부착되어 견인되고, 본체 전방에 구비된 동력전달부(100)에 의해 수거부(200), 세로이송부(300), 배출부(400)를 구동한다.
작물 수확장치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수거부(200)는 경작지로부터 작물을 픽업하여 본체 내부, 즉, 세로이송부(300)로 공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거부(200)의 픽업원판(220)에 결합된 픽업축(221)은 제1축(231)과 제2축(232)으로 구성되며, 제1축(231)은 픽업원판(220)의 가이드홈(222)에 삽입되고, 제2축(232)은 픽업프레임(210)에 고정 장착되는 내캠판(212)과 외캠판(213)에 의해 형성되는 캠홈(211)에 삽입되도록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원판(220)이 동력전달부(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캠홈(211)에 삽입된 제2축(232)은 픽업원판(220)의 회전력에 의해 픽업축(221)을 캠홈(211)의 궤도를 따라 곡선 주행시키고, 동시에 가이드홈(222)에 삽입된 제1축(231)은 캠홈(211)의 불규칙한 형상으로 인해 픽업축(221)을 가이드홈(222)을 따라 직선 왕복 주행시키게 된다.
예컨대, 도 6의 (a)에서 a위치에 있던 픽업축(221) 및 픽업판(240a)은 도 6의 (b)와 같이 픽업원판(2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픽업축(221) 및 픽업판(240a)이 b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가이드홈(222) 내에서 픽업축(221)이 직선 왕복하면서 a위치에 비해 b위치에서의 픽업축(221) 및 픽업판(240a)의 각도가 상이하게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수거부(200)의 전방 측, 즉 작물을 픽업하는 시점과, 수거부(200)의 후방 측, 작물을 가이드바(251)로 유입하는 시점에서 픽업판(240)이 변칙적인 위치 및 각도에서 동작하여 픽업판(240)이 최적의 픽업 자세 및 유입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거부(200)에 의해 픽업된 작물은 가이드바(251) 및 가이드판(252)을 거쳐 세로이송부(300)로 유입되고, 세로이송컨베이어(311)에 의해 세로이송바(312)를 타고 본체 상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부(400)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부(400)의 가로이송컨베이어(411)에 의해 본체 상부 후방으로 이송된 작물은 유도판(420)으로 공급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400)는 상측에는 유도판(420)을 구비하여 작물을 배출하고 하측에는 작물박스(401)를 적재하는 적재대(450)를 구비한다.
상기 유도판(420)은 가로이송프레임(410)의 유도축(421)에 축결합하고 유도암(430)을 장착한다.
상기 적재대(450)는 좌, 우측에 장착된 힌지바(470)를 적재프레임(460)의 일측에 입설된 소정의 힌지부(미부호)에 축결합하고 포크바(452)에는 횡동실린더(480)를 결합하여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회동한다.
아울러, 상기 유도판(420)과 적재대(450)의 사이에는 유도판로드(440)를 결합하여 적재대(450)의 회동시 유도판(420)이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400)의 적재대(450)에는 작물을 포장하는 작물박스(401)를 미리 적재한다. 작물박스(401)가 비어있는 상태에서는 유도판(420)에서 낙하하는 작물이 작물박스(401)의 저면에 도달하기까지의 낙차가 매우 커 작물이 낙하 충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비어있는 작물박스(401)가 적재대(450)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도 8의 (a)와 같이 횡동실린더(480)를 본체 후방으로 후진하여 적재대(450)의 포크바(452)를 밀어내면, 적재대(450)는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대(450)가 기울어짐과 동시에, 유도판로드(440)는 유도판(420)을 적재대(450)의 연결바(451) 측으로 기울인다. 따라서, 유도판(420)을 통과하는 작물은 적재박스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슬라이딩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작물박스(401)에 작물이 점차 채워짐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횡동실린더(480)를 본체 전방으로 전진하여 적재대(450)의 포크바(452)를 당겨주면, 적재대(450)는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회동하여 세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대(450)가 세워짐과 동시에, 유도판로드(440)는 유도판(420)을 적재대(450)의 중심을 향햐도록 기울인다. 따라서, 적재박스에 작물이 균등한 높이로 채워지면서 유도판(420)을 통과하는 작물이 채워진 작물에 의해 짧은 낙하거리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는 작물을 픽업하는 시점과, 픽업된 작물을 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시점에서 수거부(200)의 픽업판(240)이 최적의 각도 및 위치에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물 수확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작물의 픽업 시 픽업판(240)의 원활한 픽업 동작에 의해 작물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픽업효율을 극대화하여 작물을 픽업하고, 픽업된 작물을 유입 시 픽업판(240)의 안정적인 유입 동작에 의해 작물을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부(400)에서 유도판(420) 및 적재대(450)가 유도판로드(440)를 포함한 일련의 구성을 통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물박스(401)에 작물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작물의 낙차를 최소화하여 상품 가치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면서 작물박스(401)에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는 작물을 픽업, 수거하고 본체 내부로 이송하여 작물박스에 배출하는 일련의 수확작업 전반을 기계화 및 효율화하면서 고품질의 작물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등의 이점이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동력전달부 200: 수거부
210: 픽업프레임 211: 캠홈
212: 내캠판 213: 외캠판
220: 픽업원판 221: 픽업축
222: 가이드홈 230: 축부재
231: 제1축 232: 제2축
240: 픽업판 241: 연결판
242: 고무판 250: 가이드프레임
251: 가이드바 252: 가이드판
300: 세로이송부 310: 세로이송프레임
311: 세로이송컨베이어 312: 세로이송바
400: 배출부 401: 작물박스
410: 가로이송프레임 411: 가로이송컨베이어
420: 유도판 421: 유도축
430: 유도암 431: 유도홈
440: 유도판로드 450: 적재대
451: 연결바 452: 포크바
460: 적재프레임 470: 힌지바
480: 횡동실린더

Claims (2)

  1. 원동기와 연결하여 본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0)와, 본체 전방 하측에서 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200)와, 수거부(200)의 후방에서 본체 상부로 작물을 공급하는 세로이송부(300)와, 세로이송부(300)에서 본체 후방으로 작물을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구비하는 작물 수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200)는,
    폐곡선형 캠홈(211)을 형성하는 내캠판(212)과 외캠판(213)을 장착하는 좌,우 픽업프레임(210)과,
    동력전달부(100)와 연동하는 픽업축(221)의 양단에 결합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직선형 가이드홈(222)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좌,우 픽업원판(220)과,
    상기 가이드홈(222)에 삽입하는 제1축(231)과, 상기 캠홈(211)에 삽입하는 제2축(232)으로 이루어져 좌,우 픽업원판(220)의 회전 시 가이드홈(222) 및 캠홈(211) 내에서 직선 및 곡선 주행하는 복수의 축부재(230)와,
    상기 좌,우 픽업원판(220)의 사이에서, 상기 제1축(231)에 양측을 결합하는 복수의 픽업판(24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0)는,
    좌,우 세로이송프레임(310)의 상단에 결합하고 가로이송컨베이어(411)를 장착하는 좌,우 가로이송프레임(410)과,
    상기 좌,우 가로이송프레임(410)에 장착하는 유도축(421)에 결합하는 유도판(420)과,
    상기 유도판(420)의 양측에 장착하고 열호 형상의 유도홈(431)을 형성하는 유도암(430)과,
    상기 유도홈(431)에 일단을 결합하고 'L'자로 절곡하는 유도판로드(440)와,
    상기 유도판로드(440)의 타단에 결합하고 유도판로드(440)와 역방향으로 'L'자로 형성하는 적재대(450)와,
    상기 적재대(450)의 연결바(451) 상에 구비하고 적재프레임(460)의 일측에 축결합하는 힌지바(470)와,
    상기 적재대(450)에 결합하여 적재대(450) 및 유도판(420)을 힌지바(470)를 기점으로 힌지 작동하는 횡동실린더(48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장치.
KR1020170184170A 2017-12-29 2017-12-29 작물 수확장치 KR10197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70A KR101976962B1 (ko) 2017-12-29 2017-12-29 작물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70A KR101976962B1 (ko) 2017-12-29 2017-12-29 작물 수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62B1 true KR101976962B1 (ko) 2019-05-09

Family

ID=6654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70A KR101976962B1 (ko) 2017-12-29 2017-12-29 작물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6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942A (en) * 1975-10-28 1977-05-07 Kubota Ltd Onion harvester
KR200353995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200432293Y1 (ko) 2006-07-21 2006-11-30 공영길 땅속작물 수확기
KR100874950B1 (ko)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땅속 작물 수확 장치
EP2218318A1 (en) * 2009-02-16 2010-08-18 Basrijs B.V. Uprooting device
JP2011004617A (ja) * 2009-06-23 2011-01-13 Iseki & Co Ltd 根菜収穫機
JP4996497B2 (ja) * 2008-02-18 2012-08-08 松山株式会社 農作業機
JP5476698B2 (ja) * 2008-09-29 2014-04-23 井関農機株式会社 作物分離収穫機
KR101669615B1 (ko) 2016-03-29 2016-10-27 정다운 지중 작물 수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942A (en) * 1975-10-28 1977-05-07 Kubota Ltd Onion harvester
KR200353995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땅속작물 수확기
KR200432293Y1 (ko) 2006-07-21 2006-11-30 공영길 땅속작물 수확기
JP4996497B2 (ja) * 2008-02-18 2012-08-08 松山株式会社 農作業機
KR100874950B1 (ko)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땅속 작물 수확 장치
JP5476698B2 (ja) * 2008-09-29 2014-04-23 井関農機株式会社 作物分離収穫機
EP2218318A1 (en) * 2009-02-16 2010-08-18 Basrijs B.V. Uprooting device
JP2011004617A (ja) * 2009-06-23 2011-01-13 Iseki & Co Ltd 根菜収穫機
KR101669615B1 (ko) 2016-03-29 2016-10-27 정다운 지중 작물 수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8010A (en) Harvesting header having adjustable width, draper belt discharge opening
KR101802405B1 (ko) 파지 자세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CN102469767B (zh) 联合收割机
KR101536946B1 (ko) 땅속작물 수확기
KR101838697B1 (ko)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976962B1 (ko) 작물 수확장치
CN207269387U (zh) 一种辣椒采收机
KR101506523B1 (ko) 콤바인의 예취장치
CN107743770A (zh) 一种高扶禾作物收割机
KR102408052B1 (ko)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KR101855078B1 (ko) 뿌리 뽑힘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수확기
JP3463758B2 (ja) 非結球葉菜収穫機
CN105284275B (zh) 一种有序输送收集装置
CN205922075U (zh) 酿酒葡萄收获机及其果实收集与运输装置
KR101416056B1 (ko)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KR102529807B1 (ko) 다목적 수확기의 굴취장치
CN112425364A (zh) 一种自走式工业大麻收获机
US4344275A (en) Mushroom harvesting machine
KR101560533B1 (ko) 수확 및 정렬 자동 부추 수확기
KR101466280B1 (ko) 밭작물 수확기
KR20190071559A (ko) 뿌리 뽑힘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수확기
JP2018198585A (ja) 野菜収穫機
JP2011135790A (ja) 根菜類収穫機
KR20230155648A (ko)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JP3778053B2 (ja) 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