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52B1 -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52B1
KR102408052B1 KR1020210142641A KR20210142641A KR102408052B1 KR 102408052 B1 KR102408052 B1 KR 102408052B1 KR 1020210142641 A KR1020210142641 A KR 1020210142641A KR 20210142641 A KR20210142641 A KR 20210142641A KR 102408052 B1 KR102408052 B1 KR 10240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unit
driving
sprocket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섭
Original Assignee
오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8Tool-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다목적 수확기에서 작물을 파지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의 크기에 따라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의 좌우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륜부와 조종부 및 운전석을 포함하는 주행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작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주행부에 구비된 배출부 및 작물을 굴취한 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를 이용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는 수확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수확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확부에 구비되며 수확작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행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이송부와 주행부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이송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우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 가변구조로 형성되어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송부를 구성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에 각각 전달하되,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배출부로 전달하며,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GAP ADJUSTING DEVICE FOR MULTI PURPOSE HAVESTER}
본 발명은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다목적 수확기에서 작물을 파지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의 크기에 따라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의 좌우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추나 파의 수확 작업은 벼나 보리와 같은 곡물 수확에 비해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므로 기계화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곡물 수확 작업에는 이미 콤바인과 같은 수확기의 이용이 보편화되었으나 배추는 벼나 보리와 같은 작물은 곡물에 비해 경도가 낮고 잎채소의 특성상 지면에 결구를 형성하므로 수확이 매우 까다로워 기계화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통상적인 배추 수확기는 종래 인력에 의존해오던 배추 수확 작업을 기계화하도록 개발된 장치로써, 운전자와 보조작업자가 차체에 탑승하여 밭을 따라 주행하면서 심어진 배추를 한 줄씩 수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배추 수확기는 인력을 이용한 작업 방식에 비해 약 3 ~ 6배 이상의 작업효율을 도출하므로 최근 재배 면적이 큰 농가를 중심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배추 수확기는 크게 주행부와 수확부 및 작업부로 구성되며, 주행부에는 배추 수확기를 주행시키도록 구성되며, 차체에는 운행을 담당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다.
수확부에서는 배추를 굴취 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절단한다. 주로 한쌍의 회전 원판형 굴취부로 배추와 지면사이로 작동시켜 배추를 굴취하고, 이송벨트로 견인, 이송벨트에서 배추의 몸통을 파지하여 정렬하고 이송부 선단의 원형칼날로 배추의 뿌리를 절단하여 이송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뿌리 절단을 위한 칼날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지면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칼날의 하측에 지면추종륜을 부착하기도 한다.
작업부에서는 수확된 배추를 정렬하고 수집조에 적재 혹은 반출한다. 수집형 배추 수확기의 경우 운전자 외에 보조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영역이 마련되어 수집조(상자 혹은 팔레트)에 배추를 적재하도록 이루어지며 가장 일반적인 작업 방식이다. 산물반출형 배추 수확기의 경우 수확기와 함께 나란히 주행하는 소형 트럭에 산물을 이송하는 형태이다.
한편, 일본등록특허공보 특허제3636781호는 본체의 전방에서 채소를 수확하고 그 수확물을 본체의 상부를 통과하여 본체 후방에 위치하는 수용부로 반송하는 수확부와, 본체의 일측에 배치 된 작업부와, 수확부와 주행장치를 단일 전원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수확부에는 해당 수확물의 뿌리 부분을 절단처리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배추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배추수확기는 수확부가 고정된 구조로 구성되어 배추 등 일정 크기를 갖는 작물만 수확할 수 있을 뿐, 파나 마늘 등과 같이 크기가 작은 작물을 수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수확부의 반송 구조를 개선하여 크기가 작은 작물을 수확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배추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작물을 수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랭의 작물 수확기는 수확기의 반송 구조가 불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크기가 일정한 단일 품목만 수확할 수 있을 뿐 목적하는 작물과 크기가 다른 작물을 수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위해 두 종류의 작물 수확기르 사용하게 되면 구매와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802405호에는 주행부와 수확부 및 작업부를 탑재하여 밭을 주행하면서 배추를 수확하는 배추 수확기에 있어서, 양측 한 쌍이 상호 대칭하여 회전하는 하부파지벨트를 구비하는 하부이송부와, 하부이송부에서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하여 장착하고 양측 한 쌍이 상호 대칭하여 회전하는 상부파지벨트를 구비하는 상부이송부를 포함하고; 하부이송부와 상부이송부에는, 주행부를 구동하는 유압펌프와 연동하는 하부구동부와 상부구동부를 장착하고, 작업부에는 하부구동부와 상부구동부의 개별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레버를 장착함에 따라, 배추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하부이송부 및 상부이송부에 수직으로 직립하여 절단부를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추 뿌리의 절단 품질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파지 자세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를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833185호에는 전기로 구동되는 배추수확장치부, 배추수집박스, 내연기관 엔진형 교류발전기, 배추 수확부 컨트롤박스, 궤도륜 전기자동차 및 운전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상단벨트, 상기 후방상단벨트 및 상기 전방하단벨트의 배추 몸통이송 속도와 배추 뿌리 이송 속도 및 상기 전방상단벨트, 상기 후방상단벨트의 간격과 상기 배추수확장치부의 경사각도에 의하여 상기 좌우로 설치된 뿌리절단디스크 위치에서 상기 배추가 상기 뿌리절단디스크와 수직하게 위치함으로써 배추의 뿌리와 상품성이 없는 배추의 겉잎사귀까지 말끔하게 절단되도록 하는 보행형 배추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8386947호에는,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에 관한 발명으로, 주행부와 수확부 및 작업부를 탑재하여 밭을 주행하면서 배추를 수확하는 배추 수확기에 있어서, 수확부에는 파지부와, 하부이송부와, 상부이송부와, 하부이송부의 경로 상에서 하측에 구비하여 이송중인 배추의 뿌리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절단부에는, 배추의 이송 방향에 대해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이송부의 경사 각도에 평행하도록 지지수단에 장착하는 칼날과, 칼날의 일측에 구비하여 배추의 뿌리를 감지하고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과 연동하여 칼날의 높이를 자동승강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배추 뿌리의 절단 품질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한 배추 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240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318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8694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크기가 다른 다양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으며 작물의 크기에 따라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의 좌우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는, 차륜부와 조종부 및 운전석을 포함하는 주행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작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주행부에 구비된 배출부 및 작물을 굴취한 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를 이용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는 수확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수확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확부에 구비되며 수확작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행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이송부와 주행부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이송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우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 가변구조로 형성되어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송부를 구성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에 각각 전달하되,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배출부로 전달하며,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간격조절부는 실린더고정브래킷에 의해 우이송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간격조절실린더와, 일측 단부는 간격조절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이동부재고정브래킷에 의해 좌이송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부재는 양측 단부가 좌이송부의 프레임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간격조절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대는 하단부가 좌이송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앵글 형상의 고정지지대와, 하단부가 우이송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대 및 고정지지대의 수평부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지지대의 수평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어박스는 구동체인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체인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좌이송부에 연결되어 좌이송부를 구동하는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과, 안내홈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체인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우이송부를 구동하는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과, 배출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체인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배출부구동스프로킷과,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 및 배출부구동스프로킷의 위치에 따라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텐션조정부는 일측 단부가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지지대의 다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체인에 결합되는 텐션스프로킷과, 일측 단부는 스프링지지대에 의해 기어박스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스프로킷지지대에 연결되어 텐션스프로킷을 구동체인에 밀착시킴으로써 구동체인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력전달부는 배출부구동스프로킷이 설치되는 배출부기어박스와, 구동축이 배출부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전동부구동풀리와, 슬라이딩형 회전축이 배출부의 배출부구동스프로킷에 체인 연결되고 전동부구동풀리에 전동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동부종동풀리와, 전동벨트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전동부고정브래킷에 설치되어 전동벨트에 밀착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는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의 우이송부를 간격조절부를 통해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송하여 차례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작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형의 우이송부에 구비된 간격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이동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겨주는 방식으로 우이송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좌이송부와 우이송부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해지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ㄷ' 형상의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우이송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좌이송부와 우이송부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우이송부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텐션조정부에 의해 구동체인의 텐션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의 작동 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전달부의 전동부구동풀리와 전동부종동풀리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우이송부의 이동과 무관하게 구동모터의 동력이 배출부로 전달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장치가 적용된 다목적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장치가 적용된 다목적 수확기의 수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장치가 적용된 다목적 수확기의 수확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에서 이송간격의 조절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에서 동력전달부의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는 이송부를 구성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의 간격조절을 위하여 배추와 파를 모두 수확할 수 있는 다목적 수확기의 이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다목적 수확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부(110)와 조종부(120) 및 운전석(130)을 포함하는 주행부(100)와, 수평 방향의 배출컨베이어(310)를 이용하여 수확된 작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주행부(100)에 구비되며 배출부프레임(320) 및 배출부구동스프로킷(330)을 구비하는 배출부(300) 및 선단부의 굴취부(210)를 통해 작물을 굴취한 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로 이루어진 이송부(220)를 통해 배출부(300)로 이송하는 수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수확기의 수확부(200)에 구비되며 수확작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행부(100)에 고정 설치되는 좌이송부(220L)와 주행부(100)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이송부(220R)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우이송부(220R)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250)와; 가변구조로 형성되어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240)과;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송부(220)를 구성하는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에 각각 전달하되, 우이송부(220R)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230);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배출부(300)로 전달하며, 우이송부(220R)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송부(220)를 구성하는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는 각각 프레임과 다수의 롤러, 이송벨트 등을 포함하고, 좌우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이송벨트를 이용하여 작물을 이송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이송부(220)의 구성은 선행기술문헌 등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간격조절부(250)는 수확작물의 크기에 따라 우이송부(220R)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고정브래킷(252)에 의해 우이송부(220R)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간격조절실린더(251)와, 일측 단부는 간격조절실린더(251)의 로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이동부재고정브래킷(254)에 의해 좌이송부(220L)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부재(2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간격조절실린더(251)의 로드가 전진할 경우 우이송부(220R)가 좌이송부(220L)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추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작물을 수확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253)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좌이송부(220L)의 프레임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중간 부분이 간격조절실린더(251)의 로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부(220)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직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어박스(230)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송부(220) 및 배출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인(231)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232)과, 구동체인(231)을 통해 구동스프로킷(232)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좌이송부(220L)에 연결되어 좌이송부(220L)를 구동하는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236)과, 안내홈(235')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체인(231)을 통해 구동스프로킷(232)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우이송부(220R)를 구동하는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235)과, 배출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부(260)에 연결되고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체인(231)을 통해 구동스프로킷(232)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배출부구동스프로킷(233)과,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235) 및 배출부구동스프로킷(233)의 위치에 따라 구동체인(231)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정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스프로킷(231)과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236),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235) 및 배출부구동스프로킷(233)은 기어박스(23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야 하므로,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236)은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235)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구동체인(231)이 서로 반대 방향에서 결합되도록 하고 구동스프로킷(232)과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236)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스프로킷을 기어박스(231)의 남은 모서리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텐션조정부(234)는 일측 단부가 기어박스(2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지지대(234b)의 다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체인(231)에 결합되는 텐션스프로킷(2347a)과, 일측 단부는 스프링지지대(234d)에 의해 기어박스(23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스프로킷지지(234b)대에 연결되어 텐션스프로킷(234a)을 구동체인(231)에 밀착시킴으로써 구동체인(23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24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우이송부(220R)의 이동에 관계없이 구동체인(231)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대(240)는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 사이의 간격에 관계없이 이송부(2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부(220)의 상부측과 중간 부분 하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240)는 하단부가 좌이송부(220L)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앵글 형상의 고정지지대(241)와, 하단부가 우이송부(220R)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대(242) 및 고정지지대(241)의 수평부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지지대(242)의 수평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부(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베벨기어가 구비되고 배출부구동스프로킷(233)이 연결되는 배출부기어박스(265)와, 구동축(261')이 배출부기어박스(265)의 출력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전동부구동풀리(261)와, 슬라이딩형 회전축(262')이 배출부(300)의 배출부구동스프로킷(330)에 체인 연결되고 전동부구동풀리(261)에 전동벨트(26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동부종동풀리(262)와, 전동벨트(263)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전동부고정브래킷(266)에 설치되어 전동벨트(263)에 밀착되는 텐션롤러(2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텐션롤러(264)는 우이송부(220R)의 폭방향 이동량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우이송부(220R)가 폭방향으로 이동시 배출부구동스프로킷(261)과 배출부종동스프로켓(262)이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텐션롤러(264)는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동벨트(263)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을 확보함에 따라 배출부(300)로의 동력전달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작물을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대파나 마늘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도 5의 (a)와 같이 이송부(220)의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의 간격을 최소화한다.
이 상태에서 주행부(100)를 통해 이동하면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면 굴취부(210)에서 작물을 굴취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송부(220)의 입구로 공급하고, 이송부(220)는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작물을 상향 경사지게 이송하여 배출부(300)로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310)에 의해 작물이 수평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후, 배추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작물을 수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격조절부(250)의 간격조절실린더(251)를 이용하여 우이송부(220R)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기어박스의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235)과 배출부구동스프로킷(233)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기어박스(230)의 텐션조정부(234)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구동체인(231)이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조정하고, 동력전달부(260)의 전동부구동풀리(261) 및 전동부종동풀리(262)의 위치를 조정하여, 우이송부(220R)의 위치에 관계없이 기어박스(230)와 동력전달부(26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20)의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의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행부(100)를 통해 이동하면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면 굴취부(210)에서 작물을 굴취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송부(220)의 입구로 공급하고, 이송부(220)는 좌이송부(220L)와 우이송부(220R)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작물을 상향 경사지게 이송하여 배출부(300)로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310)에 의해 작물이 수평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주행부 110 : 차륜부
120 : 조종부 140 : 운전석
200 : 수확부 210 : 굴취부
220 : 이송부 220L : 좌이송부
220R : 우이송부 230 : 기어박스
231 : 구동체인 232 : 구동스프로킷
233 : 배출부구동스프로킷 234 : 텐션조정부
234a : 텐션스프로킷 234b : 스프로킷지지대
234c : 텐션스프링 234d : 스프링고정부
235 :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 235' : 안내홈
236 :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 240 : 지지대
241 : 고정지지대 242 : 이동지지대
243 : 조절부 250 : 간격조절부
251 : 간격조절실린더 252 : 실린더고정브래킷
253 : 이동부재 253 : 이동부재고정브래킷
260 : 동력전달부 261 : 전동부구동풀리
262 : 전동부종동풀리 263 : 전동벨트
264 : 텐션롤러 265 : 배출부기어박스
266 : 전동부고정브래킷 300 : 배출부
310 : 배출컨베이어 320 : 배출부프레임
330 : 배출부구동스프로킷

Claims (7)

  1. 차륜부와 조종부 및 운전석을 포함하는 주행부와, 수평 방향의 배출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작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주행부에 구비된 배출부 및 작물을 굴취한 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를 이용하여 배출부로 이송하는 수확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수확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확부에 구비되며 수확작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행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이송부와 주행부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이송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우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
    가변구조로 형성되어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송부를 구성하는 좌이송부와 우이송부에 각각 전달하되,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배출부로 전달하며, 우이송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기어박스는 구동체인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체인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좌이송부에 연결되어 좌이송부를 구동하는 좌이송부구동스프로킷과, 안내홈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체인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우이송부를 구동하는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과, 배출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체인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배출부구동스프로킷과, 우이송부구동스프로킷 및 배출부구동스프로킷의 위치에 따라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간격조절부는 실린더고정브래킷에 의해 우이송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간격조절실린더와, 일측 단부는 간격조절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이동부재고정브래킷에 의해 좌이송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양측 단부가 좌이송부의 프레임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간격조절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대는 하단부가 좌이송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앵글 형상의 고정지지대와, 하단부가 우이송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대 및 고정지지대의 수평부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지지대의 수평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텐션조정부는 일측 단부가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지지대의 다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체인에 결합되는 텐션스프로킷과, 일측 단부는 스프링지지대에 의해 기어박스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스프로킷지지대에 연결되어 텐션스프로킷을 구동체인에 밀착시킴으로써 구동체인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확기의 간격조절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142641A 2021-10-25 2021-10-25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KR10240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41A KR102408052B1 (ko) 2021-10-25 2021-10-25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41A KR102408052B1 (ko) 2021-10-25 2021-10-25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052B1 true KR102408052B1 (ko) 2022-06-14

Family

ID=8198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641A KR102408052B1 (ko) 2021-10-25 2021-10-25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21B1 (ko) * 2022-07-04 2023-01-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321U (ja) * 1993-03-22 1994-10-1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大豆等刈取機の挾持搬送装置
JPH10276539A (ja) * 1997-04-08 1998-10-2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結球野菜収穫機
KR100366766B1 (ko) * 2000-07-28 2003-01-09 주식회사 삼력테크 배추 수확장치
KR101712128B1 (ko) * 2014-12-05 2017-03-0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KR101802405B1 (ko) 2017-08-09 2017-11-28 오페주식회사 파지 자세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838697B1 (ko) 2017-08-09 2018-03-14 오페주식회사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833185B1 (ko) 2017-12-09 2018-04-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형 전기구동식 배추수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321U (ja) * 1993-03-22 1994-10-1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大豆等刈取機の挾持搬送装置
JPH10276539A (ja) * 1997-04-08 1998-10-2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結球野菜収穫機
KR100366766B1 (ko) * 2000-07-28 2003-01-09 주식회사 삼력테크 배추 수확장치
KR101712128B1 (ko) * 2014-12-05 2017-03-0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KR101802405B1 (ko) 2017-08-09 2017-11-28 오페주식회사 파지 자세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838697B1 (ko) 2017-08-09 2018-03-14 오페주식회사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833185B1 (ko) 2017-12-09 2018-04-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형 전기구동식 배추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21B1 (ko) * 2022-07-04 2023-01-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405B1 (ko) 파지 자세 교정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1838697B1 (ko)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KR102408052B1 (ko)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KR102212099B1 (ko) 콤바인
JP2016208872A (ja) 根菜作物収穫機
US2671301A (en) Cranberry harvester
US2348634A (en) Ensilage harvester
KR102529807B1 (ko) 다목적 수확기의 굴취장치
KR20230155648A (ko)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다목적 수확기용 간격조절장치
KR101802401B1 (ko) 파지 높이 자동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배추 수확기
JP2008131857A (ja) 剪枝作業機および乗用型茶園管理機
JP4956303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KR101416056B1 (ko)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US3601957A (en) Sugar cane combine
JPH10313634A (ja) 農産物収穫機における収穫物搬送装置
JP4848578B2 (ja) 根菜類収穫機
JP2007089462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WO2018179585A1 (ja) コンバイン
JP3662726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KR102506917B1 (ko) 주행능력을 가진 수집형 엽채류 수확기
US20240081183A1 (en) Leaf harvester system
KR101976962B1 (ko) 작물 수확장치
JP5722593B2 (ja) 電動コンバイン
JP2009011235A (ja) コンバイン
JP3636781B2 (ja) 自走式野菜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