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98B1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98B1
KR102549998B1 KR1020200139019A KR20200139019A KR102549998B1 KR 102549998 B1 KR102549998 B1 KR 102549998B1 KR 1020200139019 A KR1020200139019 A KR 1020200139019A KR 20200139019 A KR20200139019 A KR 20200139019A KR 102549998 B1 KR102549998 B1 KR 10254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ops
transfer
crop harvest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991A (ko
Inventor
최일수
김영근
최용
최덕규
김영화
우제근
김재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김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김재동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13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속의 작물을 용이하게 굴취해줄 수 있으며, 굴취되는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에 포함된 흙과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양파 등의 구근 작물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서 재배되는 구근 작물로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인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근 작물(이하, '작물'이라 약칭함)을 외피의 손상 없이 수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구근 작물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땅속작물 수확기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5270호(2015.04.28.)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채굴된 작물에서 흙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구조로, 흙을 분리하는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작물이 상방으로 튀어 외부로 이탈하거나 작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5270호(2015.04.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땅속의 작물을 용이하게 굴취해줄 수 있으며, 굴취되는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에 포함된 흙과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작물 수확기는,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견인되는 방향의 하부 선단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굴취날이 구비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해주는 굴취부; 상기 굴취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체가 구비되어, 상기 굴취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착된 흙을 1차로 제거해주는 흙제거부; 상기 흙제거부를 통과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회전롤이 상기 작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한 작물에 포함된 흙덩어리나 이물질을 작업자가 골라낼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주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 후단의 거치대에 설치되며, 선별 이송되는 작물을 수납해주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흙제거부의 회전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타격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회전롤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롤축; 및 상기 롤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돌기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뭉치는, 상기 작물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롤은,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상기 돌기뭉치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뭉치 사이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물의 이송통로를 형성해주는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 개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양측의 슬라이드장공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부재; 및 상기 누름판부재를 상기 이송부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이송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가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이송부와 감아 걸기 전동요소를 매개로 소정의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롤러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에서 이웃하는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상기 회동판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고, 하부 리턴구간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의 타측이 하향 선회되면서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개방해줌으로써,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떨어지는 흙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힌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롤러와의 사이 틈새를 메워줄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튜브가 끼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본체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작업자용 발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을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으로 구획해줌과 아울러 그 사이에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가 이송되는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이 개구된 '<' 이나 'ㄷ' 자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며,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된 흙덩이나 이물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된 후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후단에는, 상기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상기 수납부 내에 유도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이 이격 배치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의 구획공간을 통해 분리 이송되는 흙덩이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거치대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걸고리가 구비되는 톤백(Ton ba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부에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거치대에 걸린 톤백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톤백의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는, 굴취부를 통해 땅속의 작물을 용이하게 굴취해줄 수 있고, 흙제거부와 이송부를 통해 굴취되는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에 부착된 흙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다.
또한 선별부를 통해 작업자가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부에 양질의 작물을 수납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취부 및 흙제거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취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제거부의 회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회전롤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의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 및 누름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는 이송부와 선별부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부분 상세 측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를 구성하는 회동판의 사시도 및 조립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1)는, 본체부(100), 굴취부(200), 흙제거부(300), 이송부(400), 선별부(500), 수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00)는 농작물 수확기(1)이 주된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이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 방향의 선단에 견인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견인부(101)를 중심으로 하부 양측에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103)가 구비될 수 있다.
굴취부(200)는 본체부(100) 선단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굴취부(200)는 두둑 등에서 재배된 땅속에 굴취날(201)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로 전진하면서 마늘, 양파 등의 구근 작물을 굴취해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굴취날(201)은 본체부(100)가 견인되는 방향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흙제거부(300)는 굴취부(200)를 통해 굴취된 후 후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착된 흙을 1차로 제거해줄 수 있다. 이러한 흙제거부(300)는 굴취부(200)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체(3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체(310)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311)과, 회전축(311)의 방사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회전축(311)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굴취부(200)를 통해 굴취 이송되는 작물을 타격해주는 복수의 타격봉(31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봉(313)은 회전축(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원판브라켓(312)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외둘레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부(400)는 흙제거부(300)를 통과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줌과 아울러, 이송되는 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줄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400)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413a)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회전롤(410)이 작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롤(410)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롤축(411)과, 롤축(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413a)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되는 돌기뭉치(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413a)가 구비된 돌기뭉치(413)는 이송되는 작물(P)에 손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웃하는 회전롤(410)의 돌기(413a) 끼리 간섭되어 부딪히더라도 돌기(413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뭉치(413)의 돌기(413a)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410)은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돌기뭉치(413)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돌기뭉치(413) 사이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페이서(41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400)에는 이송되는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이송부(40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물의 이송통로(C)를 형성해주는 누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420)는 이송부(400)의 상측 개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누름판부재(421)와, 누름판부재(421)를 이송부(400)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가압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누름판부재(421)는 본체부(100) 양측의 슬라이드장공(422)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가압부재(423)은 실린더(423a) 내에 탄성스프링(423b)을 매개로 탄성지지되는 피스톤로드(423c)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누름부(42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작물(P)의 크기에 따라 실린더(423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가압해주는 장력을 조절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420)는 실린더(423a)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 실린더(423a) 일측에 구비된 조작 레버(미도시)의 위치를 조절하여 탄성스프링(423b)의 탄성 계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누름부(420)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송부(400)는 전체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길이를 줄여주어 이송수단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선별부(500)는 이송부(400)를 통과한 작물에 포함된 흙덩어리나 이물질을 작업자가 골라낼 수 있도록 이송부(400)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510)가 설치되어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컨베이어(5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511)가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510)는 이송부(400)와 체인과 스프로킷 등의 감아 걸기 전동요소(513)를 매개로 소정의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400)의 회전롤(410)과 이송컨베이어(510)의 감속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510)는 롤러(51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이송컨베이어(510)의 상부 이송구간(L1)에서 이웃하는 롤러(511)의 상측 외주면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회동판(5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컨베이어(510)의 상부 이송구간(L1)에서 회동판(515)이 롤러(511) 사이의 틈새를 메워줄 수 있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510)의 하부 리턴구간(L2)에서는 중력에 의해 회동판(515)의 타측이 하향 선회되면서 롤러(511) 사이의 틈새를 개방해줄 수 있다. 이러한 회동판(515)의 회동 구조를 통해 상부 이송구간(L1)에서 떨어지는 흙이 롤러(5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상기 롤러(511)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롤러(511)와의 사이 틈새를 메워줄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튜브(517)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롤러(511)와의 사이 틈새를 통해 작물(P)이 끼이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500)는 본체부(10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의 양측에 작업자용 발판(5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500)는 이송컨베이어(510)의 상부 이송구간(L1)을 좌측 이송구간(L1a)과 우측 이송구간(L1b)으로 구획해줌과 아울러 그 사이에 구획공간(L1c)을 마련해주는 구획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5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본체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가 이송되는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선별한 후 구획공간(L1c) 내에 투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판(53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이 개구된 '<' 이나 'ㄷ' 자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구획공간(L1c)을 마련해줄 수 있다. 구획공간(L1c) 내에 투입된 흙덩이나 이물질은 이송컨베이어(510)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된 후 배출구(541)를 통해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510)의 후단에는 좌측 이송구간(L1a)과 우측 이송구간(L1b)을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수납부(600) 내에 유도 투입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510)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540)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540) 사이에는 구획판(530)의 구획공간(L1C)을 통해 분리 이송되는 흙덩이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541)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600)는 선별부(500) 후단의 거치대(601)에 설치되어 선별부(500)를 통해 선별 이송되는 작물을 수납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600)는 거치대(601)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걸고리(611)가 구비되는 톤백(Ton bag)(610) 등의 마대자루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600)는 작물이 수납되는 톤백(6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기울기 조절유닛(62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600)는 본체부(100)에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거치대(601)에 걸린 톤백(610)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621)과, 지지프레임(621)의 일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톤백(610)의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액추에이터(6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톤백(610) 내에 작물(P)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하거나, 작물(P)이 수납된 톤백(610)을 용이하게 분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1)를 이용하여 작물(P)을 수확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농작물 수확기(1)의 선단에 구비된 견인부(101)가 트랙터 등의 이송수단(미도시)에 구비된 연결부(미도시)에 연결된 상태로 견인될 수 있다. 이송수단은 두둑을 따라 농작물 수확기(1)를 견인해가며 본체부(100) 선단의 굴취부(200)를 통해 땅속의 작물(P)을 굴취해준다.
굴취부(200)에 의해 후방으로 굴취 이송되는 작물(P)은 흙제거부(300)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체(310) 상부를 통과하게 되고, 회전체(310)가 회전되면서 작물(P)을 타격해줌으로써 작물(P)에 부착된 흙을 1차로 털어 제거해준다.
굴취부(200)를 통과한 작물(P)은 이송부(400)의 회전롤(410)의 회전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회전롤(4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413a)에 의해 작물(P)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준다.
이송부(400)를 통해 2차로 흙이 제거된 작물(P)은 선별부(500)로 이송되고, 선별부(500)의 상부 이송구간(L1)(도 12 참조)을 따라 이송되는 작물(P)은 구획판(530)에 의해 좌측 이송구간(L1a)과 우측 이송구간(L1b)으로 이등분된다.
이때 본체부(100) 양측 발판(520)에 서 있는 두 명의 작업자는 상기 이등분된 상태로 이송되는 작물(P)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 통칭함)을 골라내어 구획판(530) 내의 구획공간(L1c)에 투입해준다. 구획공간(L1c) 내에 투입된 이물질은 이송컨베이어(510) 후단의 배출구(541)를 통해 분리 배출된다.
아울러 이물질이 걸러진 양질의 작물(P)은 좌, 우측 이송구간(L1a, L1b)을 따라 이송된 후 배출가이드판(540)을 통해 수납부(600)에 거치된 톤백(610) 내에 수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농작물 수확기 100 : 본체부
101 : 견인부 103 : 바퀴
200 : 굴취부 201 : 굴취날
300 : 흙제거부 310 : 회전체
311 : 회전축 312 : 원판브라켓
313 : 타격봉 400 : 이송부
410 : 회전롤 411 : 롤축
413 : 돌기뭉치 413a : 돌기
415 : 스페이서 420 : 누름부
C : 이송통로 421 : 누름판부재
422 : 슬라이드장공 423 : 탄성가압부재
500 : 선별부 510 : 이송컨베이어
511 : 롤러 513 : 감아 걸기 전동요소
L1 : 상부 이송구간 L1a : 좌측 이송구간
L1b : 우측 이송구간 L1c : 구획공간
L2 : 하부 리턴구간 515 : 회동판
517 : 고무튜브 520 : 발판
530 : 구획판 540 : 배출가이드판
541 : 배출구 600 : 수납부
601 : 거치대 610 : 톤백
611 : 걸고리 620 : 기울기 조절유닛
621 : 지지프레임 623 : 액추에이터

Claims (17)

  1.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견인되는 방향의 하부 선단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굴취날이 구비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해주는 굴취부;
    상기 굴취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체가 구비되어, 상기 굴취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착된 흙을 1차로 제거해주는 흙제거부;
    상기 흙제거부를 통과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회전롤이 상기 작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한 작물에 포함된 흙덩어리나 이물질을 작업자가 골라낼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주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 후단의 거치대에 설치되며, 선별 이송되는 작물을 수납해주는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물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 개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양측의 슬라이드장공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부재와, 상기 누름판부재를 상기 이송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실린더 내에 탄성스프링을 매개로 탄성지지되는 피스톤로드의 구조인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제거부의 회전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타격봉;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회전롤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롤축; 및
    상기 롤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돌기뭉치;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뭉치는,
    상기 작물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은,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상기 돌기뭉치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뭉치 사이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이송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가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이송부와 감아 걸기 전동요소를 매개로 소정의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작동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롤러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에서 이웃하는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상기 회동판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고, 하부 리턴구간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의 타측이 하향 선회되면서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개방해줌으로써,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떨어지는 흙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인 농작물 수확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롤러와의 사이 틈새를 메워줄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튜브가 끼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본체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작업자용 발판;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을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으로 구획해줌과 아울러 그 사이에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가 이송되는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농작물 수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이 개구된 '<' 이나 'ㄷ' 자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며,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된 흙덩이나 이물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된 후 분리 배출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후단에는,
    상기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상기 수납부 내에 유도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이 이격 배치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의 구획공간을 통해 분리 이송되는 흙덩이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거치대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걸고리가 구비되는 톤백(Ton bag);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부에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거치대에 걸린 톤백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톤백의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KR1020200139019A 2020-10-26 2020-10-26 농작물 수확기 KR10254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9A KR102549998B1 (ko) 2020-10-26 2020-10-26 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9A KR102549998B1 (ko) 2020-10-26 2020-10-26 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91A KR20220054991A (ko) 2022-05-03
KR102549998B1 true KR102549998B1 (ko) 2023-07-03

Family

ID=815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19A KR102549998B1 (ko) 2020-10-26 2020-10-26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26A (ja) * 2006-01-06 2007-07-19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46B1 (ko) 2013-10-18 2015-07-16 윤태욱 땅속작물 수확기
KR102048005B1 (ko) * 2017-10-30 2019-11-22 정다운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2136607B1 (ko) * 2018-11-27 2020-07-22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땅속작물 수확기
KR20200065238A (ko) * 2018-11-30 2020-06-09 김재동 작물 모음장치가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26A (ja) * 2006-01-06 2007-07-19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91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0818B (zh) 一种全喂入式花生联合收获机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KR101942767B1 (ko) 구근류 농작물 수집형 수확기
CN104285582B (zh) 一种百合切秧收获机
CN203951812U (zh) 一种全喂入式花生联合收获机
JP2979298B2 (ja) 貝類の採集機
JP5842412B2 (ja) 根菜類収穫機
KR101961857B1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KR102549998B1 (ko) 농작물 수확기
JP5476698B2 (ja) 作物分離収穫機
KR102247159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JP6208960B2 (ja) トマト収穫機
JP5407484B2 (ja) 根菜類収穫機
JP2009171902A (ja) 作物分離収穫機
JP5470722B2 (ja) 根菜類収穫機
JP5970904B2 (ja) 根菜類収穫機
JP5407481B2 (ja) 根菜類収穫機
KR102478302B1 (ko) 마늘 수확 포장기
JP2017051101A (ja) 根菜類収穫機
JP6055199B2 (ja) 野菜収穫機
KR102536663B1 (ko)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땅속작물 수확기
KR102144962B1 (ko)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시켜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
KR102216274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
JP2011135790A (ja) 根菜類収穫機
JP2000032824A (ja) 収穫機及び、収穫機の選別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