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274B1 - 구형농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구형농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274B1
KR102216274B1 KR1020190020988A KR20190020988A KR102216274B1 KR 102216274 B1 KR102216274 B1 KR 102216274B1 KR 1020190020988 A KR1020190020988 A KR 1020190020988A KR 20190020988 A KR20190020988 A KR 20190020988A KR 102216274 B1 KR102216274 B1 KR 10221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onions
agricultural
round bars
roun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699A (ko
Inventor
박평인
Original Assignee
(주)슈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슈닉스 filed Critical (주)슈닉스
Priority to KR102019002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2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Landscapes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체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차체의 전방에 양파를 굴취하는 1차 굴취부가 설치되고,
그 후부에 차체의 상부로 경사진 2차 수집 컨베이어부가 설치되어 굴취된 양파가 차체의 상부로 이송된 후 차체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3차 이송 컨베이어부에 의해 차체의 후방으로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송풍기에 의해 줄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줄기절단부의 절단날에 의해 줄기가 절단한 후
후방에 견인되어 오는 선별기의 스크류콘베이어에 전달시켜 양파를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형농산물 선별기{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본 발명은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체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차체의 전방에 양파를 굴취하는 1차 굴취부가 설치되고,
그 후부에 차체의 상부로 경사진 2차 수집 컨베이어부가 설치되어 굴취된 양파가 차체의 상부로 이송된 후 차체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3차 이송 컨베이어부에 의해 차체의 후방으로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송풍기에 의해 줄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줄기절단부의 절단날에 의해 줄기가 절단한 후
후방에 견인되어 오는 선별기의 스크류콘베이어에 전달시켜 양파를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판에서 재배된 양파 묘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밭에 옮겨 심게 되며, 밭에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엽초부분의 조직이 약해져서 스스로 넘어지게 된다. 따라서 잎이 넘어진 양파는 잎과 줄기의 양분이 알뿌리로 내려와서 알뿌리의 비대를 도와 알뿌리가 급속하게 비대하게 되며, 알뿌리가 충분히 비대해지면 수확을 하게 되는데,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는 잘라버리고 알뿌리만 수확하면 된다.
한편, 줄기가 사방으로 넘어진 양파는 수확 전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줄기를 먼저 절단하는 작업을 해주어야 했었으며, 줄기의 절단 후에는 수작업 또는 견인식 수확기를 사용하여 수확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양파의 굴취(수확)에 앞서 상기와 같은 넘어진 줄기의 절단을 선행하여야 했었으므로 여기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이 검색해본 바에 의하면 본 고안과 관련된 양파수확기에 대한 국내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74821호의 "자주식 양파 수확기"와 특허 제601585호의 "양파 수확기"를 들 수 있는데, 전자는 분초판에 의해 밭에 눕혀진 잎 싹을 세우고, 굴취날로 굴취하되 세워진 잎줄기를 긁기이송벨트가 잡아주도록 되어 있으며, 카타날에 의해 잎줄기가 절단되도록 되어 있으나, 구조적인 요인에 의해 일시에 다량의 양파를 수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음과 아울러 잎줄기가 절단된 알뿌리의 수거작업이 후속되어야 했었으므로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했으며, 후자는 정리부에 의해 양파 잎을 한 방향으로 정리한 후 절단칼날로 절단하고, 후미에 설치된 굴삭부가 흙속 일정깊이로 굴삭하여 땅속에 묻혀 있는 양파가 토양과 함께 굴취되어 작업자가 양파를 주워담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 또한 굴취된 양파를 일일이 다시 주워담아야 하는 문제점과 그 후 별도의 양파선별기를 통해 선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선별기는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으로 나뉘며, 중량선별방식은 무게감지장치 등의 설비를 사용하며, 형상선별방식으로는 드럼(drum),방식,메쉬벨트(Mesh belt)식, 롤러리프트(Roller lift)식, 캘리퍼스 또는 광학적 측정 설비를 이용한 개별 측정방식이 있다.
다양한 선별기 중에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0824502호를 살펴보면, 이 장치는 고정식 이여서 다수의 롤러(30)가 요동을 칠 이유가 없어 농산물을 선별하는데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롤러(30)를 지지하는 지지틀을 농기구에 적재한 다음 농기구와 함께 다수의 롤러(30)를 요동치는 과정에 농산물을 선별하면 농산물을 상기 다수의 롤러(30)의 길이방향으로 왔다 갔다 하는 등 선별이 불가능할 것이다.
상기 스크류콘베이어(33)는 환봉(32)의 길이방향으로 2열로 배치하여 상기 2열사이(35)로 양파가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나사선에 해당하는 2열사이로 양파(A)가 이동할 경우 선별기장치(1)가 지면의 요철부분 주행으로 심하게 요동을 치더라도 양파는 요동을 치지 않고
나사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환봉(32)과 환봉(32)의 간격 사이를 지나 환봉(32) 하단에 있는 양파안내수단(40)으로 낙하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기술은 스크류콘베이어(33)가 너무 커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차체(10)에 적재하기가 복잡하고 적재할 경우 차체가 요동치면 너머지는 등 상품성이 매우 떨어 진다.
상기 구성에 대한 기술은 2018년 8월 28일자 특허출원번호10-2018-0100991호의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로서 본 발명이 출원한 기술에 해당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체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차체의 전방에 양파를 굴취하는 1차 굴취부가 설치되고,
그 후부에 차체의 상부로 경사진 2차 수집 컨베이어부가 설치되어 굴취된 양파가 차체의 상부로 이송된 후 차체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3차 이송 컨베이어부에 의해 차체의 후방으로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송풍기에 의해 줄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줄기절단부의 절단날에 의해 줄기가 절단한 후
후방에 견인되어 오는 선별기의 스크류콘베이어에 전달시켜 양파를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되 본 발명의 기술의 특징은 양파가 선별기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별기장치(1)는 프레임(10) 상측에
상기 선별수단(40)에 의해 선별된 농산물이 낙하되어 수납하는 수납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선별수단(40)은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지지되는 복수의 환봉(20)지지부(50),
상기 복수의 환봉지지부(50)에 지지되는 복수의 환봉(20)과, 상기 복수의 환봉(20) 양 끝단이 상기 환봉지지부(50)에 고정되되
상기 복수의 환봉(20)의 간격은 농산물안내부(30)로부터 농산물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을 넓게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환봉(20)은 2개의 환봉(20)을 한쌍으로 하여 상기 한쌍의 환봉(20a )의 길이방향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농수산물을 이송하는
스크류콘베이어(55)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환봉(20a )의 길이방향 측면에 농수산물이 상기 환봉(20a)의 측면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고 커버하는 농산물이탈방지커버(60)를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대한 기술은 2018년 8월 28일자 특허출원번호10-2018-0100991호의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로서 본 발명이 출원한 기술에 해당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본원발명은 양파수확기 후방에 견인시켜 주행하는 과정에 선별수단이 지면의 요철에 의해 요동을 치더라도 환봉 양측에 양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콘베이어가 있어 양파가 환봉의 길이방향으로 왔다 갔다 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양파 수확과정에서 양파를 선별하면서 포장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구형농산물 선별기의 사시도와 일부 분해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구형농산물 선별기의 선별수단,
제3,4도는 본 발명의 구형농산물 선별기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한 도 5내지는 8도에 의하면, 차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밭에 심겨진 양파를 굴취하는 1차 굴취부(100)와, 이 1차 굴취부(100)에서 굴취된 양파를 수집하여 차체(1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2차 수집 컨베이어부(200)와, 이 2차 수집 컨베이어부(200)에 의해 차체(10)의 상부로 이송된 양파(0)를 차체(10)의 후방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3차 이송 컨베이어부(300)와, 이 3차 이송 컨베이어부(300)의 도중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양파의 잎줄기(P)를 절단하는 줄기절단부(400)와, 차체(10)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줄기절단부(400)를 통과하면서 줄기가 절단된 양파를 수거용 자루(미도시)에 수집하기 위한 집하부(500)와 잎줄기(P)를 상공으로 송풍하는 송풍기(41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농산물이 지면에서 선별장치(1)로 유입된다.
상기 구성에 대한 기술은 2018년 8월 28일자 특허출원번호10-2018-0100991호의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로서 본 발명이 출원한 기술에 해당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구형농작물 선별장치(1)는 프레임(10) 상측에
상기 선별수단(40)에 의해 선별된 농산물이 낙하되어 수납하는 수납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선별수단(40)은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지지되는 복수의 환봉(20)지지부(50),
상기 복수의 환봉지지부(50)에 지지대는 복수의 환봉(20)과, 상기 복수의 환봉(20) 양 끝단이 상기 환봉지지부(50)에 고정되되
상기 복수의 환봉(20)의 간격은 농산물안내부(30)로부터 농산물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을 넓게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환봉(20)은 2개의 환봉(20)을 한쌍으로 하여 상기 한쌍의 환봉(20a )의 길이방향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농수산물을 이송하는
스크류콘베이어 (55)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환봉(20a )의 길이방향 측면에 농수산물이 상기 환봉(20a)의 측면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고 커버하는 농산물이탈방지커버(60)를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상 농산물을 양파라 칭한다.
논이나 밭에서 이동하는 이송수단(미도시)에 선별장치(1)가 적재된다.
그 후 이송수단을 농지에서 이동하면서 양파(a)을 선별수단(40)의
선단에 있는 농산물안내부(30)로 투입하면 양파는 한쌍의 환봉(20a) 사이의 상단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스크류콘베이어(55)의 날개(56)가 양파를 환봉(20)후 후방으로 이송하는데 이 이송과정에 양파가 환봉(20)에 의해 선별되면서 하단으로 낙하하는 것이다.
상기 날개(56)의 간격과 높이(D)로 양파가 수용되도록 제작하되 상기 날개의 폭과 간격(피치에 해당)은 양파의 크기가 대,중,소 가 수용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스크류콘베이어(55)는 미도시한 동력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그러므로 날개에 수용된 양파가 날개의 나사선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별된다.
이처럼 하게되면 선별장치(1)가 좌,우,앞,뒤로 요동을 치더라도 양파는 환봉(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 이송수단에 선별장치(1)가 적재되어 경사진 농토를 주행하는 경우 또한 양파는 환봉(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대(大),중(中),소(小)란 구형 양파의 크기를 말하는데 그 크기의 기준은 이용자의 농지에서 생산된 양파중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용어이다.
(농가마다 크기의 기준이 다름)
상기 대(大) 이상 크기를 특대라 하는데 그 특대는 간혹 발생(생산)한다.
상기 특대까지 날개(56)의 간격에 수용되도록 제작하면 불필요하게 제품생산
가격을 상승시킨다.
그래서 특대의 경우 날개 선단에서 상기 날개 선단이 환봉(20) 측면으로 밀어내 상기 환봉(20)에서 이탈하게 하는 것이다(도 3 참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크류콘베이어(55)의 날개(56)의 간격(피치)은 농산물의 지름과 비교할 경우 상기 날개(56)의 간격보다 상기 농수산물의 지름이 큰 경우 상기 농수산물이 농수산물안내부(30)로부터 스크류콘베이어(55) 선단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회전하고 있는 날게 선단에 간섭을 받아 환봉(20a) 측면으로 밀려나가도록 구성한다.
상기 환봉(20)과 환봉(20)사이로 양파가 낙하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10-0361136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양파는 한쌍의 환봉(20a)을 받쳐주면서 선별하고 이송은 스크류콘베이어(55)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농산물이탈방지커버(60)는 한쌍의 환봉(20a)의 길이방향을 커버하되
많은 양의 농산물이 농산물안내부분(61)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부하가 발생하면 농산물안내부분(61)이 상측으로 들썩여 농산물이 농산물이탈방지커버(60) 선단과 환봉 선단 사이에 강제로 끼워지지 않도록 하여 농산물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첨부한 도면에서 환봉이라 하였는데 그 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고 철판을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다. 즉,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선별수단(40)은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지지되는 복수의 환봉(20)지지부(50),
    상기 복수의 환봉지지부(50)에 지지대는 복수의 환봉(20)과, 상기 복수의 환봉(20) 양 끝단이 상기 환봉지지부(50)에 고정되되
    상기 복수의 환봉(20)의 간격은 농산물안내부(30)로부터 농산물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을 넓게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환봉(20)은 2개의 환봉(20)을 한쌍으로 하여 상기 한쌍의 환봉(20a )의 길이방향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농수산물을 이송하는
    스크류콘베이어(55)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환봉(20a )의 길이방향 측면에 농수산물이 상기 환봉(20a)의 측면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고 커버하는 농산물이탈방지커버(60)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


  2. 삭제
KR1020190020988A 2019-02-22 2019-02-22 구형농산물 선별기 KR10221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988A KR102216274B1 (ko) 2019-02-22 2019-02-22 구형농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988A KR102216274B1 (ko) 2019-02-22 2019-02-22 구형농산물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99A KR20200102699A (ko) 2020-09-01
KR102216274B1 true KR102216274B1 (ko) 2021-02-17

Family

ID=7246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988A KR102216274B1 (ko) 2019-02-22 2019-02-22 구형농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2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933A (ko) * 2014-01-17 2015-07-27 박윤희 농산물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99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9604A (en) Tomato harvester
KR101669721B1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US2747354A (en) Below ground row crop harvesting unit
CN101938896B (zh) 用于收获甘蔗的方法以及收获机
RU2545762C2 (ru) Лесоуборочные машины
KR101782255B1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US1823387A (en) Method of harvesting and thrashing grain
KR101724198B1 (ko) 고추수확기
KR102247159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US3286774A (en) Tomato harvester
KR102216274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
US6708474B2 (en) Single pass tobacco harvester and method
US3203430A (en) Separating conveyor for a tomato harvester
JP6208960B2 (ja) トマト収穫機
US2699030A (en) Method of harvesting broom corn and the like
WO2021049411A1 (ja) 鱗茎野菜収穫機
KR102144962B1 (ko)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시켜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
JP7390140B2 (ja) 鱗茎野菜収穫機
JP2014097034A (ja) 農作業機
US5167110A (en) One pass bean cutting and windrowing apparatus
CN203120454U (zh) 甜菜收获机料仓翻斗助卸料机构
KR20190103794A (ko) 자주식 양파 수확기
JPH023703Y2 (ko)
KR102553816B1 (ko) 구형 농산물 수집장치
KR102018574B1 (ko)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