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790U - 구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구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790U
KR20090004790U KR2020070018436U KR20070018436U KR20090004790U KR 20090004790 U KR20090004790 U KR 20090004790U KR 2020070018436 U KR2020070018436 U KR 2020070018436U KR 20070018436 U KR20070018436 U KR 20070018436U KR 20090004790 U KR20090004790 U KR 20090004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bulb
soil
harves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527Y1 (ko
Inventor
서재근
Original Assignee
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근 filed Critical 서재근
Priority to KR2020070018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2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 전방 하단에 진행방향으로 지중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삽날부와, 상기 양 측판부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 칼날부와, 상기 양 측판부 내측에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 및 상기 로드가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삽날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날부에 의해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로부터 상기 흙을 분리하고 상기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무한궤도부와, 상기 무한궤도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무한궤도 회전구동부와, 상기 양 측판부 후방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지중을 평탄하게 하는 흙고름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흙고름 평탄부를 소정 각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원형 칼날부를 이용해서 구근 수확물의 줄기를 절단함으써 구근 수확기의 이동을 수월하게 하고, 흙고름 평탄부에 의해서 지중을 평탄하게 하여 수확물의 획득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구근, 원형 칼날부, 흙고름 평탄부, 구근 수확기

Description

구근 수확기{Tuber Harvestor}
본 고안은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칼날부를 이용하여 구근 수확물의 줄기를 절단함으로써 구근 수확기의 이동 또는 방향전환을 보다 수월하게 하고, 또한 흙고름 평탄부에 의해서 지중을 평탄하게 하여 수확물의 획득을 원활하게 하는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구근 수확기는 지중에서 생육된 구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한 농기계의 일종이다. 이러한 구근 수확기는, 통상 전방에 지중으로 삽입되는 삽날부와, 삽날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삽날부에 의해 흙과 함께 제공된 수확물을 흙으로부터 분리되게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되어 견인됨으로써 지중의 구근을 연속적으로 수확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구근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 수확기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12a) 및 양 측판부(12a)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2b)를 구비 한 프레임(11)과, 양 측판부(12a)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21)와, 각 컨베이어(21)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31)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1)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방 하부영역에는 프레임(11)의 전방으로 이동시 지중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는 삽날부(14)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 영역에는 프레임(11)의 하단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1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6)의 일측은 프레임(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프레임(11)에 결합된 지지부재(17)의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에 연결될 수 있게 복수의 연결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1)의 폭방향을 따라 상부 중앙영역에는 프레임(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력축(1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21)는, 프레임(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되고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피치로 이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복수의 로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회전구동부(31)는, 컨베이어(21)의 일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구동축(33)과, 컨베이어(21)의 로드부(22)에 대응되는 피치를 가지고 구동축(33)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휠(35)과, 구동축(33)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34)와, 입력축(19)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입력축(19)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전동축(37)과, 전동축(37)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38)와, 구동풀리(38) 및 피동풀리(34)에 동시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벨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19)에는 구동기어(20)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동축(37)의 타단에는 구동기어(20)와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피동기어(39)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미도시)의 후미에 연결부(18)를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입력축(19)의 단부를 견인차량의 출력부와 연결한다. 이런 상태에서, 견인차량이 전방으로 진행되면 삽날부(14)는 지중으로 소정 깊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이동되고, 이에 의해 수확물은 흙과 함께 삽날부(14)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입력축(19)이 회전되면 전동축(37)이 회전되고, 전동축(37)의 구동력은 구동풀리(38), 전동벨트(40) 및 피동풀리(34)를 통해 구동축(33)에 전달된다. 구동축(33)이 회전되면 구동축(33)과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휠(35)에 의해 컨베이어(21)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흙과 함께 제공된 수확물은 컨베이어(21)의 로드부(22)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으로 이송되고 흙은 로드부(22) 사이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는, 구근 수확기의 진행시에 구근 수확물의 줄기가 구근 수확기의 진행을 방해하여 작업을 중단하고 수작업으로 이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컨베이어에 올려진 수확물이 진동에 의해 흐트러져 상품의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수확물이 지중에 임의로 불규칙하게 낙하되어 수확작업이 원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인 작업시 무한궤도가 늘어나 지속적인 구근 수확기의 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형 칼날부를 이용해서 구근 수확물의 줄기를 절단함으로써 구근 수확기의 이동 또는 방향전환을 수월하게 하고, 흙고름 평탄부에 의해서 지중을 평탄하게 하여 수확물의 획득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체인의 텐션 조절을 통해서 체인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무판을 이용하여 수확물이 획득된 후 지중에 일정한 모양 및 간격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일정 피치로 배치된 로드가 체인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어 수확물이 처음 올려진 자리에서 그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확물의 품질 및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 전방 하단에 진행방향으로 지중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삽날부와, 상기 양 측판부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 칼날부와, 상기 양 측판부 내측에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 및 상기 로드가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삽날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날부에 의해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로부터 상기 흙을 분리하고 상기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무한궤도부와, 상기 무한궤도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무한궤도 회전구동부와, 상기 양 측판부 후방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지중을 평탄하게 하는 흙고름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흙고름 평탄부를 소정 각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 측판부 후방 하단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1 고무판과, 상기 양 측판부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무판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접하여 상기 양 측판부 후면을 덮는 제2 고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로드는 상기 체인에 지그재그 형태로 상하 교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미션, 상기 트랜스미션의 제1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구동풀리, 상기 제1 구동풀리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풀리, 상기 제2 구동풀리에 결합된 제2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에 결합된 체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부가 회전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 상기 제1 구동기어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제3 구동축, 상기 제3 구동축에 일체로 결합된 제3 구동기어, 및 상기 제3 구동기어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제4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칼날부는 상기 제4 구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을 상기 진행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축의 전후 이동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구동축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무한궤도부는 상기 양 측판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체인 및 로드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 풀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양 측판부 전방에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한궤도 회전구동부는 상기 견인차량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제공받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원형 칼날부를 이용해서 구근 수확물의 줄기를 절단함으써 구근 수확기의 이동을 수월하게 하고, 흙고름 평탄부에 의해서 지중을 평탄하게 하여 수확물의 획득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인의 텐션 조절을 통해서 체인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무판을 이용하여 수확물이 획득된 후 지중에 일정한 모양 및 간격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일정 피치로 배치된 로드가 체인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어 수확물이 처음 올려진 자리에서 그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확물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근 수확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구근 수확기는 프레임(110), 원형 칼날부(120), 무한궤도부(130), 회전구동부(140), 흙고름 평탄부(150) 및 텐션 조절부(tension regulator)로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 즉 양 측판부(111), 양 측판부(111)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양 측판부(111) 전방 하단에 진행방향으로 지중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경사 각도로 배치되는 삽날부(112)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견인차량, 예컨대 트랙터(tractor)에 의해 견인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양 측판부(111) 전방 가운데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113a) 및 양 측판부(111) 전방 양쪽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에 의해 구근 수확기가 견인차량 후미에 고정되어 견인될 수 있다.
원형 칼날부(120)는 양 측판부(111) 전방 하단에 배치되며, 견인차량 또는 구근 수확기의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회전한다. 구근 수확기의 이동시, 원형 칼날부(120)의 회전에 의해서 구근 수확물의 줄기가 제거되므로, 구근 수확물의 줄기가 구근 수확기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한궤도부(130)는 양 측판부(111) 내측에 진행방향에 대해 가로로 형성되어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131), 및 로드(131)가 일체로 결합되는 체인(132)을 포함한다. 한편, 무한궤도부(130)는 삽날부(112)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삽날부(112)에 의해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로부터 복수의 로드(131) 사이로 흙을 분리하고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복수의 로드(131)는 체인(132)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된 알파벳 V자 또는 W자 형상의 홈에 수확물이 안정적으로 얹혀서 흐트러짐이 없이 무한궤도부(130) 후방으로 이송되므로, 수확물의 품질 또는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한궤도 회전구동부는 견인차량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141), 트랜스미션(141)의 제1 구동축(142)에 결합된 제1 구동풀리(143), 제1 구동풀리(143)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풀리(144), 제2 구동풀리(144)에 일체로 결합된 제2 구동축(145), 및 제2 구동축(145)에 일체로 결합된 체인기어(14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무한궤도 회전구동부는 체인기어(146)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부(130)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축(142)에 일체로 결합된 제1 구동풀리(143)와 제2 구동풀리(144) 사이에 이중 V홈 벨트(117)가 배치되어 제2 구동축(145)으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축(145)으로 전달된 회전구동력은 제2 구동축(145)에 일체로 결합된 체인기어(146)에 무한궤도부(130)의 체인(132)이 체결되어 무한궤도부(130)가 후방으로 회전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구동풀리(143)는 그 직경이 실질적으로 175㎜ 이며, 제2 구동풀리(144)는 그 직경이 실질적으로 125㎜ 이다.
한편, 무한궤도 회전구동부는 양 측판부(111) 내측 사이에 체인(132)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 풀리(idle pulley)(147a 내지 147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부(111) 사이에 측면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세 개의 아이들 풀리(147a 내지 147c)가 형성되어 있는데, 세 개의 아이들 풀리(147a 내지 147c) 상부에 무한궤도부(130)의 체인(132)이 얹히게 되고, 양 측판부(111) 후방 하단에 형성된 아이들 풀리(147d)는 무한궤도부(130)의 체인(132)이 쳐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네 개의 아이들 풀리(147a 내지 147d)는 양 측판부(111)에 형성된 베어링부에 복수의 로드(131) 및 체인(132)을 지지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또한, 원형 칼날부(120)는, 제1 구동축(142)에 일체로 결합된 제1 구동기어(121), 제1 구동기어(121)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122), 기어박스(122)의 제3 구동축(123), 제3 구동축(123)에 일체로 결합된 제3 구동기어(124), 및 제4 구동기어(125) 순으로 순차적으로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원형 칼날부(120)는 제3 구동기어(124)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제4 구동기어(12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 칼날부(120)의 회전축과 제4 구동기어(125)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 칼날부(120)는 구근 수확물의 줄기를 제거함으로써, 구근 수확물의 줄기가 구근 수확기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구동기어(121)는 24T(Tooth)이며, 기어박스(122)는 두 개의 18T 내부 기어(미도시)로 구성되며, 그 직경이 각각 125㎜ 이고 1:1로 이루어지며, 제3 구동기어(124)는 24T이고, 제4 구동기어(125)는 30T이다.
여기서, 원형 칼날부(120)와 무한궤도부(13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트랜스미션(141)은 견인차량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도록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흙고름 평탄부(150)는 양 측판부(111) 후방 하단에 배치되며,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여 지중을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구근 수확기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 생기는 울퉁불퉁한 지중을 평탄하게 하여 수확물의 획득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흙고름 평탄부(150)는 각도 조절 레버(151)에 의해서 소정 각도만큼, 예컨대 45°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수확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구근 수확기의 이동시, 흙고름 평탄부(150)를 위로 올려 방향 회전이나 이동시 흙고름 평탄부(150)가 지중에 부딪혀 마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텐션 조절부는 무한궤도부(1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무한궤도부(130)는 지속적인 수확작업 또는 온도에 의해 조금씩 늘어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텐션 조절부를 구비하여 무한궤도부(130)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텐션 조절부는 양 측판부(111) 전방에 배치되며 무한궤도부(130)의 제2 구동축(14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텐션 조절부(161), 및 트랜스미션(141)의 제1 구동축(142)을 제2 구동축(145)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상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텐션 조절부(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텐션 조절부(161)는 제2 구동축(145)을 전후방향으로 밀어주는 볼트(161a)와, 볼트(161a)에 체결되며 제2 구동축(145)의 텐션 조절 후에 이를 고정시키는 너트(16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텐션 조절부(162)는 그 상부에 제1 구동축(142)이 배치되며 양 측판부(111) 상단 면에 세로로 길게 형성된 이동 홈(162a)과, 제1 구동축(142)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구동축(142)의 이동 홈(162a) 상에서의 이동 후, 제1 구동축(142)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62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한궤도부(130)의 텐션 조절시, 제2 구동축(145)과 제1 구동축(142)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이동거리만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텐션 조절부(161,162)에 의해 조절 가능한 이동 거리는 실질적으로 각각 100㎜ 일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며, 도 3b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며, 도 3c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후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며, 도 3d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제2 고무판이 부착된 후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고, 도 3e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무한궤도부 체인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e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구근 수확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부(111) 전방 하단에 원형 칼날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견인차량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 트랜스미션(141)의 제1 구동축(142), 제1 구동기어(121), 기어박스(122), 제3 구동축(123), 제3 구동 축(123)에 일체로 결합된 제3 구동기어(124), 제4 구동기어(125), 및 제4 구동기어(125)에 일체로 결합된 원형 칼날부(120) 순으로 순차적으로 회전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회전구동력에 의해 원형 칼날부(120)를 회전시켜 진행방향으로의 진행시 수확물의 줄기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트랜스미션(141)의 제1 구동축(142), 제1 구동풀리(143), 이중 V홈 벨트(117), 제2 구동풀리(144) 및 제2 구동축(145) 순으로 순차적으로 회전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회전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부(130)를 회전시켜 삽날부(112)에 의해 지중으로부터 수확된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부(111) 전방 하단에 형성된 삽날부(112)가 소정 각도 지중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므로 진행방향으로 진행시 삽날부(112)에 의해 지중으로부터 흙과 수확물이 제공된다. 이후, 무한궤도부(130)의 복수의 로드(131)에 의해 흙은 아래로 흘러내려 제거되고, 수확물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V자 또는 W자 홈 로드(131)에 안정적으로 얹혀 후방으로 이송되어 수확물의 품질 또는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또는 양 측판부(111)의 전방에는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13a,113b)가 형성된다. 양 측판부(111) 전방 가운데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113a) 및 양 측판부(111) 전방 양쪽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연결부(113b)에 의해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견인차량 후미에 고정되어 견인될 수 있다.
한편, 트랜스미션(141)에는 견인차량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유니버 설 조인트(148)가 형성될 수 있다.
구근 수확기는 양 측판부(111) 후방 하단에 형성된 흙고름 평탄부(150) 상부 양 측면, 또는 양 측판부(111) 후방 하단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1 고무판(171)과, 제1 고무판(171)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접하여 양 측판부(111)의 후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제2 고무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무판(171)은 실질적으로 45°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 고무판(171,172)은, 흙고름 평탄부(150)에 의해 평탄해진 지중에 낙하되는 구근 수확물이 임의로 불규칙하게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과 일정한 형상과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모일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구근 수확물의 수확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체인(132)에 일체로 형성된 로드(131)의 배치가 도 3e에 예시되어 있는데, 예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복수의 로드(131)와 V 자 또는 W자로 지그재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배치된 로드(131)에 수확물이 안정적으로 얹혀져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구근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근 수확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후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3d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제2 고무판이 부착된 후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3e는 도 2의 구근 수확기의 무한궤도부 체인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Claims (9)

  1.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 전방 하단에 진행방향으로 지중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삽날부와,
    상기 양 측판부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 칼날부와,
    상기 양 측판부 내측에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 및 상기 로드가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삽날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날부에 의해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로부터 상기 흙을 분리하고 상기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무한궤도부와,
    상기 무한궤도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무한궤도 회전구동부와,
    상기 양 측판부 후방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지중을 평탄하게 하는 흙고름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흙고름 평탄부를 소정 각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구근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부 후방 하단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1 고무판과, 상기 양 측판부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무판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접하여 상기 양 측판부 후면을 덮는 제2 고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드는 상기 체인에 지그재그 형태로 상하 교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미션, 상기 트랜스미션의 제1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구동풀리, 상기 제1 구동풀리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풀리, 상기 제2 구동풀리에 결합된 제2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에 결합된 체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부가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 상기 제1 구동기어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제3 구동축, 상기 제3 구동축에 일체로 결합된 제3 구동기어, 및 상기 제3 구동기어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제4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칼날부는 상기 제4 구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구동력을 전 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을 상기 진행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축의 전후 이동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구동축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는 상기 양 측판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체인 및 로드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 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부 전방에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 회전구동부는 상기 견인차량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제공받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KR2020070018436U 2007-11-15 2007-11-15 구근 수확기 KR200445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436U KR200445527Y1 (ko) 2007-11-15 2007-11-15 구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436U KR200445527Y1 (ko) 2007-11-15 2007-11-15 구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90U true KR20090004790U (ko) 2009-05-20
KR200445527Y1 KR200445527Y1 (ko) 2009-08-06

Family

ID=4129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436U KR200445527Y1 (ko) 2007-11-15 2007-11-15 구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14Y1 (ko) * 2014-12-23 2016-01-04 노술해 접이식 구근 수확기
CN108323303A (zh) * 2018-02-02 2018-07-27 昆明理工大学 一种温室三七工作设施
KR102144689B1 (ko) * 2020-04-07 2020-08-14 윤태욱 러그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근류 채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18B1 (ko) * 2020-06-03 2021-01-12 윤태욱 수확기용 평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860A (ja) * 1994-07-28 1996-02-13 Kobashi Kogyo Co Ltd 農産物収穫機
KR960035159U (ko) * 1995-04-25 1996-11-21 가습기 살균장치
KR101013447B1 (ko) * 2003-11-21 2011-02-09 모영환 구근 수확기
KR100871106B1 (ko) * 2004-08-25 2008-11-28 모영환 구근작물 수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14Y1 (ko) * 2014-12-23 2016-01-04 노술해 접이식 구근 수확기
CN108323303A (zh) * 2018-02-02 2018-07-27 昆明理工大学 一种温室三七工作设施
KR102144689B1 (ko) * 2020-04-07 2020-08-14 윤태욱 러그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근류 채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27Y1 (ko)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527Y1 (ko) 구근 수확기
CN107750576B (zh) 一种自走式大蒜联合收获机
KR200325480Y1 (ko) 컨베이어 진동기능을 구비한 구근 수확기
JP2003047318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KR100389701B1 (ko) 구근류 채굴장치
KR100547274B1 (ko) 시금치수확기
CN211140569U (zh) 动力传动装置
US4069648A (en) Tobacco harvester
KR101416056B1 (ko)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JP3184798B2 (ja) 根茎収穫機
KR101466280B1 (ko) 밭작물 수확기
KR100287386B1 (ko) 보행형 예취기
CN110972670B (zh) 动力传动装置
JP2829509B2 (ja) 収穫機
JP2009261297A (ja) 移植機
JP3290232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3547331B2 (ja) 作物収穫機
JP2922183B2 (ja) 収穫機
JP3305795B2 (ja) 結球野菜収穫機
CN102598955A (zh) 一种组合式采摘机构
JP2001352812A (ja) 農作業機
JP3847209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3287546B2 (ja) 根茎収穫機
CN202535750U (zh) 一种具有限深装置的采摘机构
JP2009262719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