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923B1 -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923B1
KR100453923B1 KR1019970028267A KR19970028267A KR100453923B1 KR 100453923 B1 KR100453923 B1 KR 100453923B1 KR 1019970028267 A KR1019970028267 A KR 1019970028267A KR 19970028267 A KR19970028267 A KR 19970028267A KR 100453923 B1 KR100453923 B1 KR 10045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straw
grain
conveyance
convey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217A (ko
Inventor
하레조 이나가끼
고지 모리야마
요시가즈 고미야마
요시가다 신보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2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9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 곡물의 짚을 확실히 반송하는 것.
해결수단 :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곡물의짚일으킴장치와 동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 일으켜진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예취하는 예인장치와 동 예인장치에 따라 예취된 곡물의 짚을 탈곡부측으로 반송하는 상ㆍ하반송장치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부반송장치에 좌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좌측상부반송기구와, 중앙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우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와를 설치하고, 각 상부반송기구의 상방에서 또한 각 상부반송기구의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우고 각 상부반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기 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콤바인의 한 형태로서 복수조(複數條)의 곡물의짚(穀稈)을 일으키는 곡물짚일으킴장치와 동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서 일으켜진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예취하는 예인(刈刃)장치와 동 예인장치에 의하여 예취된 곡물의 짚을 탈곡부측으로 반송하는 상ㆍ하부반송장치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부반송장치에 좌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좌측상부반송기구와 중앙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우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와를 설치한 것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콤바인에서는 각 상부반송기구에 의하여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때에 동 곡물의 짚의 날끝부가 늘어져서 곡물의 짚의 상부가 각 상부반송기구에서 탈락하고 또한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에 설치한 일으키는 케이스의 내주연부(內周緣部)에 걸려서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송되지 못하는 일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와 동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에 일으켜진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예취하는 예인장치와 동 예인장치에 의해 예취된 곡물의 짚을 탈곡부측으로 반송하는 상ㆍ하부반송장치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부반송장치에 좌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좌측상부반송기구와 중앙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우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와를 설치하고, 각 상부반송기구의 위쪽에서 또한 각 상부반송기구의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각 상부반송기구와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각각 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와 동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에 일으켜진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예취하는 예인장치와 동 예인장치에 의해 예취된 곡물의 짚을 탈곡부측에 반송하는 상ㆍ하부반송 장치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부반송장치에 좌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좌측상부반송기구와 중앙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우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와를 설치하고, 중앙상부반송기구는 그 곡물의짚 반송로가 기체(機體)의 전후 중심선과 거의 수평되게 배치하고, 동 중앙상부반송기구의 바로 위의 위치에 중앙부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함과 함께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의 위에서, 또한,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워서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좌ㆍ우측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의 상부에 동 곡물의짚 일으키는 장치에 설치한 일으킴타인을 구동하는 일으킴구동케이스를 두고, 동 일으킴구동케이스 내에 상하 방향에 연신(延伸)하는 일으킴구동축을 설치하고, 이 일으킴구동축에서 아래쪽으로 날끝반송구동축을 연설하고, 동 날끝반송구동축의 하단부에 날끝반송기구를 연동 연결한것 및 날끝반송기구에 날끝반송타인과 이 날끝반송타인을 진출ㆍ퇴입(進出退入)가이드하는 진출ㆍ퇴입가이드체와를 설치함과 함께 이 진출ㆍ퇴입가이드체를 날끝반송구동축을 둘러싸는 날끝반송구동케이스에 근접시켜서 배치한 것에도 특징을 갖는다.
(발명 실시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6조(六條)깎기용의 콤바인이고, 기체프레임(1)의 하방에 좌우 한쌍의 롤러식의 주행부(2),(2)를 설치하고 기체프레임(1)의 좌측 전단부에 예취부(3)를 붙이고, 이 예취부(3)의 전후방 위치에 탈곡부(4)를 설치, 이 탈곡부(4)의 전후방 위치에 배고처리부(5)를 설치하는 한편, 기체프레임(1)의 우측 앞부분에 운전부(6)를 설치, 동 운전부(6)의 바로후방 위치에 곡립저류탱크(7)를 설치하고 있다. 8은 탈곡부(4)의 좌측 상부에 설치한 피드체인이다.
예취부(3)는 도1에 나타내어 있는 것과 같이, 기체프레임(1)의 좌측전단부에 입설한 지주(10)의 상단에 예취프레임(11)을 상하 회동 자재하게 붙이고 있다.
그리하여 예취프레임(11)은 도3 및 도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10),(10)의 상단 사이에 좌우폭 방향에 연신하는 통상(筒狀)의 회동지축(12)을 축선(軸線) 둘레에 회동자재(回動自在)하게 횡가(橫架)하고, 동 회동지축(12)의 우측부에서 전하방(前下方)에 향하여 통상의 세로프레임(13)을 연신하고, 동 세로프레임(13)의 하단에 좌우폭 방향에 연신하는 통상의 하측횡프레임(14)의 중도부를 연통 연설하고, 동 하측횡(橫)프레임(14)의 좌측 후부에서 전상방(前上方)에 향하여 통상의 입상프레임(15)을 세워 올림과 함께 하측횡프레임(14)의 우측 단부에서 전상방으로 향하여 지지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세워 올려, 양프레임(15)의 상단간에 상측횡프레임(16)을 횡가하고, 동 상측횡프레임(16)의 중도부와 전기 세로프레임(13)의 후부와의 사이에 상방으로 철상(凸狀)으로 만곡하는 상측연결프레임(17)을 횡가하는 한편, 전기 하측횡프레임(14)의 좌우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향하여 좌우 한쌍의 하측연결프레임(18),(18)을 연설하여 형성하고 있다. 19는 하부반송장치 지지프레임이다.
또한 상기한 예취프레임(11)에는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것 같이 식입(植立)하는 6조의 곡물의 짚을 분초(分草)하는 분초판(20)과 각 분초판(20)에서 분초된 6조의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곡물의짚일으킴장치(21)와, 동 곡물의짚일으킴장치(21)에 의하여 일으켜진 6조의 곡물의 짚의 포기의 밑을 예취하는 예인장치(23)와 동 예인장치(23)에서 예취된 6조의 곡물의 짚의 하부를 탈곡부(4) 측으로 반송하는 하부반송장치(24)와 동 곡물의 짚의 상부를 탈곡부(4) 측으로 반송하는 상부반송장치(25)와 동 곡물의 짚의 날끝부를 반송하는 날끝반송장치(26)와 상ㆍ하부반송장치(25),(24)에서 탈곡부(4)의 피드체인(8)으로 곡물의 짚을 받어 넘기는 보조를 하는 보조반송장치(27)를 붙이고 있다. 분초판(20)은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것 처럼 좌우폭 방향에 일정한 조간격(條間隔)을 열어서 합계 7개 배치하고 있다.
곡물의짚일으킴장치(21)는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것 같이 좌우에 인접하는 분초판(20),(20)간의 바로후방 위치에 상하 방향에 연신하는 일으킴케이스(30)를 합계 6개 입설하고 각 일으킴케이스(30)의 상부와 전기 상측횡케이스(16)와의 사이에 합계 6개의 일으킴구동케이스(66)를 개설(介設)하고 있다.
그리하여 일으킴케이스(30)내에는 도5, 도6 및 도8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으킴기구(31)를 설치하고 있고, 동 일으킴기구(31)는 일으킴케이스(30)내에 설치한 지지프레임(31b)의 상부에 일으킴구동케이스(66)에서 일으킴제2구동축(81)의 선단부를 돌출(突出)시켜 동 선단부에 구동용스프로켓트(31c)를 불이는 한편, 지지프레임(31b)의 하부에 종동용(從動用)스프로켓트(31d)를 붙이고, 양 스프로켓트(31c), (31d) 사이에 일으킴체인(31e)을 권회하고, 동 일으킴체인(31e)에 다수의 일으킴타인(31a)을 붙이고, 동 일으킴타인(31a)이 종동용스프로켓트(31d)의 둘레를 돌아가서 윗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구동용스프로켓트(31c)의 둘레를 돌아가는 사이에 일으킴케이스(30)의 한쪽 연부에 형성한 타인진출구(31f)에서 진출하여 곡물의 짚을 일으키기 가능케하고, 또한 하방에 이동하는 사이는 퇴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31g는 텐숀롤러, 31h는 텐숀스프링, 31i는 타인퇴입가이드체, 31k는 타인진출가이드체이다.
여기서 일으킴타인(31a)은 기단(基端)에 동 일으킴타인(31a) 보다도 폭이 넓은 붙임기부(31j)를 일체 성형하고 있고, 동 붙임기부(31j)를 일으킴체인(31e)에 붙임핀(31m)을 거쳐 붙이고 있다.
더욱이 일으킴케이스(30)의 1측 연부에는 도5 및 도6에 나타낸 것 처럼 한쌍의 타인습동가이드체(85),(85)와 타인진출조정수단(86)과를 설치하고 있고, 동 타인습동가이드체(85)는 타인진출구(31f)에 따라서 상하 방향에 연신시켜서 형성함과 함께 내면측(85a)은 일으킴타인(31a)의 기단부 및 붙임기부(31j)에 따라서 형성하고, 또한 외면측(85b)은 일으킴케이스(30)의 내면측에 따라서 형성하고, 다시 타인습동가이드체(85)의 외측단면(85c)는 일으킴케이스(30)의 타인진출구(31f) 보다도 외측 방향에 위치시켜 형성하고 있다. 87은 가이드체붙임볼트, 88은 너트이다.
또한 타인진퇴조절수단(86)은 도5 및 도6에 나타낸 것처럼 일으킴타인(31a)의 붙임기부(31j)의 기단면(31j')에 당접하는 당접체(89)와, 동 당접체(89)를 일으킴케이스(30)의 외측벽에 형성한 횡장공(構長孔)(90),(90)에 따라서 진퇴위치결정 조절하는 진퇴위치결정체(91)와를 구비하고 있고, 92는 연결볼트, 93은 조정볼트이다.
당접체(89)는 상하 방향에 연신하고 또한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전후 선단면(89a),(89a)을, 동 일으킴타인(31a)의 붙임기부(31j)의 기단면(31j')에 당접(當接)시켜 진퇴위치결정체(91)를 조정볼트(93)를 거쳐서 진퇴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따라, 당접체(89)를 거쳐서 일으킴타인(31a)을 진퇴조절 가능케 하고 있다.
그리고, 당접체(89)의 전후전단면(89a),(89a)이 타인습동가이드체(85),(85)의 내측단면(85d),(85d)에 당접하고 일으킴타인(31a)의 최대진출 위치를 규제할 수가 있게끔 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과잉의 진출위치 조절에 따라 일으킴타인(31a)의 붙임기부(31j)가 타인습동가이드체(85),(85)에 압접(壓接)되어서 록크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타인접동(摺動)가이드체(85)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등의 합성수지로서 성형하고 경량화, 고내구화, 저소음화, 제조코스트의 저감화, 일으킴케이스(30)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타인습동가이드체(85)는 외측단면(85c)을 일으킴케이스(30)의 타인진출구(31f) 보다도 외측방향에 위치시키는 것에 따라 금속제의 일으킴케이스(30)에 의한 일으킴타인(31a)의 마모를 적게 하고 곡물의 짚에 타인습동가이드체(85)를 충분히 작용시킴과 함께 2분활하여 형성한 한쌍의 타인습동가이드체(85),(85)의 교체 등의 메인트넨스를 쉽게 하게끔하고 있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것 처럼 좌우에 인접하는 일으킴케이스(30),(30)의 상단부간에도 보강용연결체(97)를 횡가상으로 개설(介設)하고, 양 일으킴케이스(30), (30)의 강성을 높이게 한다. 따라서 일으킴케이스(3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할 수 있다.
곡물의짚긁어모음장치(22)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것 처럼 상기 각 일으킴케이스(30)의 바로후방 위치에 타인붙임긁어모음벨트(32)와 스타호일(33)과를 상하로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하부반송장치(24)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 처럼 좌측부의 2조분(二條分)의 곡물의 짚의 하부를 협액하여 내측 후방의 합류부 P로 반송하는 좌측하부반송기구(34)와 중앙부의 2조분의 곡물의 짚의 하부를 협액하여 내측 후방의 합류부 P로 반송하는 중앙하부반송기구(35)와, 우측부의 2조분의 곡물의 짚의 하부를 협액(狹扼)하여 내측후방의 합류부 P로 반송하는 우측하부반송기구(36)와 이들 반송기구(34),(35),(36)에 의하여 반송되어서 합류부 P에서 합류한 곡물의 짚의 하부를 협액하여 피드체인(8)으로 반송하는 종반송기구(37)와를 구비하고, 합류부 P에서 후측의 종반송기구(37)를 예취조수(條數)에 불구하고 공용화하고 있다.
따라서 종반송기구(37)와 탈곡부(4)와의 상대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탈곡부(4)에 설치한 피드체인(8)으로의 수계성(受繼性)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이들 반송기구(34),(35),(36)는 기본적으로 반송체인(34a),(35a),(36a)와 이들 반송체인(34a),(35a),(36a)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와 대향시켜 배치한 협액체(34b),(35b),(36b)로 구성하고 있고, 반송기구(37)도 동양하게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협액체(34b)는 도10 ∼ 도12에 나타낸 것 처럼 예취프레임(11)에 고정한 고정판(100)에 측면 시문형(視門型)으로 형성한 연결체(101)를 반송체인(34a)에 대하여 진퇴위치 조절 자재하게 붙이고, 동 연결체(101)에 측면 시문형으로 형성한 붙임체(102)를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위치 조절 자재하게 붙이고, 동 붙임체(102)에 한쌍의 협액레일지지암(103),(103)을 양 협액레일지지암(103),(103)의 선단간에 횡가한 협액레일(104)의 연신방향에 슬라이드 자재하게 붙이고 있다. 105,106은 위치조절볼트, 107,108은 너트, 109,110은 위치조절용장공, 111은 완충스프링, 112, 113은 스프링받침체이다.
이와같이 협액레일(104)은 위치조절 자재하게 붙여저 있으므로 제조, 조립오차 등을 갖는 조건하에 있어서도 협동하여 곡물의 짚을 협액하는 수송체인(34a)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에 설정할 수가 있고, 곡물의 짚의 반송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다른 반송기구(35),(36),(37)의 각 협액체도 전기 협액체(34b)와 동양하게 구성하고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게끔 하고 있다.
또한 각 반송기구(34),(35),(36),(37)의 각 반송체인(34a),(35a),(36a),(37a)의 돌기 높이는 반송속도의 증대에 따라 높이 형성하는 것으로 반송능력을 높일수가 있다.
상부반송장치(25)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것 처럼 좌측부의 2조분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긁어 모아서 내측 후방의 합류부 P에 반송하는 좌측반송기구(38)와 중앙부의 2조분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긁어모아 내측 후방의 합류부 P로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39)와 우측부의 2조분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긁어모아 내측 후방의 합류부 P로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40)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상부반송기구(40)는 전측반송체(41)와 후측반송체(42)와로 2분활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 반송기구(38),(39) 및 전후반송체(41)에는 다수의 반송타인(38a),(39a),(41a)를 전후 방향에 회행 가능케 붙임과 함께, 각 반송타인(38a), (39a),(41a)은 후방 이동시에 진출하고, 또한 전방 이동시에 퇴행하도록 붙여 있고 후측반송체(42)도 동양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동 전측반송체(41)는 예취조수에 적응시켜서, 예를 들면 5조예용과 6조예용의 것을 각각 제조하고, 후측반송체(42)는 예취조수에 관계없이 공용화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하부반송장치(24)의 종반송기구(37)과 같이, 후측반송체(42)와 탈곡부(4)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가 있으며, 탈곡부(4)에 설치한 피드체인(8) 으로의 곡물의 짚의 수계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측반송체(41)와 후측반송체(42)와는 분활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측반송체(42)를 운전부(6)측으로의 돌출량이 적게되게끔 배치하는 것에 따라 기체의 좌우폭을 단폭화(短幅化) 할 수가 있다.
다시 전측반송체(41)과 후측반송체(42)는 각각 적정한 반송기능이 얻어지게끔 반송 각도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반송 효율을 향상 시킬 수가 있다.
또한 좌측상부반송기구(38)는 좌측하부반송기구(34)와 중앙상부반송기구(39)는 중앙하부반송기구(35)와, 전측반송체(41)는 우측하부반송기구(36)와, 후측반송체(42)는 종반송기구(37)와, 각각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하여 곡물의 짚의 상하부를 확실하게 보지하여 반송시키게끔 하고 있다.
여기서 전측반송체(41)는 도3에 나타낸 것 처럼 동 전측반송체(41)의 하방에 배치한 하부반송장치(24)가 구비하는 우측하부반송기구(36)와 대략 평행시켜 배치하여 전측반송체(41)와 우측하부반송기구(36)에 의한 곡물의 짚의 협액위치를 일정하게 보지함과 함께 곡물의 짚의 반송자세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게끔 하고 있다.
그리하여 후측반송체(42)는 도3에 나타낸 것 같이 상ㆍ하반송장치(25), (24)와 탈곡부(4)와의 사이에 배치한 후술의 보조반송장치(27)와 대략 평행시켜 배치하여 동 보조반송장치(27)와 협동하여 곡물의 짚을 스므스하게 피드체인(8)으로 받아 넘기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측반송체(41)의 종단측부의 하방에 후측반송체(42)의 시단측부를 배치하여 전측반송체(41)과 우측하부반송기구(36)와의 사이에서 반송ㆍ보지되고 있는 곡물의 짚의 중도부를 후측반송체(42)가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받어 이어서 반송할 수가 있게끔하고 있다.
다시 상부반송장치(25)의 합류부 P에 있어서 각 반송타인(38a),(39a),(41a),(42a)의 위치관계는 도13에 나타낸 것 같이 좌측상부반송기구(38)의 반송타인(38a)과 전측반송체(41)의 반송타인(41a)과를 좌우대향 상태로 배치함과 함께 선단부끼리 전후 방향에 중합시켜 배치하여, 이들 반송타인(38a),(41a) 보다도 상방위치에 중앙상부반송기구(39)의 반송타인(39a)을 배치하는 한편, 상기 반송타인(38a),(41a)보다도 하방 위치에 후측반송체(42)의 반송타인(42a)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후방에 배치하는 반송타인을 전방에 배치하는 반송타인의 하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하부반송기구(34),(35),(36)에 의하여 협액된 상태로 반송되고 있는 곡물의 짚의 중도부를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타인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받어 이어서 반송할 수가 있어 곡물의 짚의 반송 흐트러짐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여기서 후측반송체(42)는 도13에 나타낸 것 같이 반송케이스(42b)의 일측연부에 한쌍의 타인습동가이드체(94),(94)를 설치하고 있으며, 동 타인접동가이드체(94)는 반송케이스(42b)의 일측연부에 형성한 타인진출구(42c)에 따라서 전후 방향에 연신시켜 형성함과 함께 내측면(94a)은 일으킴타인(31a)과 동양하게 형성한 반송타인(42a)의 붙임부 및 붙임기부(42d)에 따라서 형성하고 또한 외측면(94b)은 반송케이스(42b)의 내측면에 따라서 형성하고 다시 타인접동가이드체(94)의 외측단면(94c)은 반송케이스(42b)의 타인진출구(42c) 보다도 외측방에 위치시켜 형성하여 있다. 42e는 반송체인, 42f는 붙임핀, 95는 가이드체 붙임볼트, 96는 너트이다.
그리하여 타인접동가이드체(94)는 전기한 타인접동가이드체(85)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동 타인접동가이드체(85)와 동양의 작용효과가 얻을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타인접동가이드체(94)는 좌측상부반송기구(38)와 중앙상부반송기구(39)와 전측반송체(41)에도 각기 설치하고, 후측반송체(42)와 동양한 작용 효과가 얻게끔 하고 있다.
날끝반송장치(26)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것 처럼 좌측부날끝반송기구(43)와 중앙부날끝반송기구(44)와 우측부날끝반송기구(45)와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날끝반송기구(43),(44),(45)는 스타호일(33)의 바로후방 위치에 있어서, 좌측상부반송기구(38)와 중앙상부반송기구(39)와 전측반송체(41)의 각 상방에 또한 이들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 a, b, c를 사이에 끼우고, 각 반송기구(38),(39) 및 전측반송체(4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각기 2조분의 곡물의 짚의 날끝부를 반송하게끔 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 날끝반송기구(43),(44),(45)는 전기한 6개의 일으킴구동케이스(66)중 3개의 일으킴구동케이스(66)보다 하방에 연설하여 형성한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에 연동 연설하고 있고, 동 일으킴구동케이스(66)내에는 상하 방향에 연신하는 일으킴하는 제1구동축(67)을 삽통(揷通)하고, 동 일으킴제1구동축(67)의 상단을 상측횡전동축(65)에 베벨기어(67a),(65a)를 거쳐서 연동 연결시킴과 함께 동 일으킴제1구동축(67)의 하단에 일으키는, 제2구동축(81)을 베벨기어(67b),(81a)를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다시 동 일으킴제1구동축(67) 보다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내에 향하여 하방으로 날끝반송제1구동축(69)을 연설하고, 동 날끝반송제1구동축(69)의 하단에 날끝제2구동축(82)의 일단을 베벨기어(69a),(82a)를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동 날끝반송제2구동축(82)의 타단에 우측부날끝반송기구(45)를 연동 연설하고 있다.
우측부날끝반송기구(45)는 도8 및 도9에 나타낸 것 같이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에 날끝반송케이스(45c)를 브라켓트(98)를 거쳐 연설하고, 동 날끝반송케이스(45c)와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중에, 날끝반송제2구동축(82)을 전고 후저의 경사상으로 붙이고, 동 제2구동축(82)의 하단부에 회전판(45b)을 붙이고, 동 회전판(45b)의 주연부(周緣部)에 복수의 날끝반송타인(45a)의 기단부를 링크(45f)를 거쳐 상기 제2구동축(82)과 평행하는 구지(柩支)핀(45d)의 둘레에 요동이 자재하게 불임과 함께 날끝반송케이스(45c)의 천정벽에는 진출ㆍ퇴입가이드체(45e)를 가이드체붙임브라켓트(45g)를 거쳐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에 근접시켜 붙여서, 동 진출ㆍ퇴입가이드체(45e)에 형성한 원호상 주면에 각 날끝반송타인(45a)의 기단면을 접접(摺接)시킴에 따라, 각 날끝반송타인(45a)을 후방 이동시에 진출가이드하고 또한 전방 이동시에 퇴입가이드 하게끔 구성하고 있다. 45h는 링크연결핀, 45j는 케이스 연결볼트이다.
이와같이 각 날끝반송기구(43),(44),(45)를 각각 상하 방향에 연신(延伸)하는 일으킴제1구동축(67)보다 하방에 연설한 날끝반송제1구동축(69)에서 구동하게끔 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동축(67),(69)이 날끝반송로를 좁히는 일이 없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곡물의 짚의 반송을 확보할 수가 있음과 함께 각 날끝반송기구(43),(44),(45)의 구동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진출ㆍ퇴입가이드체(45e)를 날끝반송제1ㆍ제2구동축(69),(82)을 둘러싼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있으므로 날끝반송타인(45a)의 선단에 과부하(過負荷)가 작용한 경우에도 진출ㆍ퇴입가이드체(45e)의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음과 함께 동 진출ㆍ퇴입가이드체(45e)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좌측부날끝반송기구(43)와 중앙부날끝반송기구(44)도 상기한 우측부날끝반송기구(45)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각 날끝반송타인(43a),(44a)의 회행 방향을 각 상부반송기구(38),(39)와의 위치 관계상 반대 방향으로 하고 있다.
보조반송장치(27)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 처럼 종반송기구(37)의 종단측부와 후측반송체(42)의 종단측부와의 사이에 배치함과 함께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에 근접시켜 배치하고 있고, 동 보조반송장치(27)는 하부반송장치(24)의 각 반송기구(34),(35),(36),(37)과 동양하게 구성하고 곡물의 짚의 중도부를 피드체인(8)으로 받아넘겨서 반송하게끔 하고 있다.
그리하여 보조반송장치(27)는 도14 및 도15에 나타낸 것 처럼 기본적으로 반송체인(27a)과 동 반송체인(27a)의 곡물의 짚의 반송로와 대향시켜서 배치한 협액체(27b)와로 구성되고 있고, 동 협액체(27b)는 전기 협액체(34b)와 동양으로 구성하고 있다. 120은 협액체지지프레임이다.
이와같은 보조반송장치(27)에는 도14 및 도15에 나타내는 것처럼 반송체인(27a)의 지지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제1반송가이드체(121)와 제2반송가이드체(122)와를 붙이고 있고, 제1반송가이드체(121)는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피드체인(8)의 시단(始端)측부(8a)로 향하여 연신시켜, 선단측부(121a)를 피드체인(8)의 내측방 근방에 따라서 배치하는 한편, 제2반송가이드체(122)는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로 향하여 연신시켜 선단측부(122a)를 피드체인(8) 시단측부(8a)의 바로전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도15에 나타내는 것처럼 평면시(平面視)에 있어 제1반송가이드체(121)의 선단측부(121a)와 제2반송가이드체(122)의 선단측부(122a)와에 따라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를 끼우듯이 양 반송가이드체(121),(122) 위를 접동하여 반송시키는 곡물의 짚의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에 확실하게 받아 넘기게끔 하고 있다.
그러나 제1반송가이드체(121)는 선단측부(121a)를 피드체인(8)의 내측방 근방에 따라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예취부(3)를 상하 승강시켜 예고(刈高)를 변경하여 보조반송장치(27)와 피드체인(8)과의 상대위치가 변화한 경우나 곡물의 짚의 예시(刈始) 시기에 있어서 반송량이 적은 경우에도 보조반송장치(27)와 피드체인(8)과의 사이에 제1반송가이드체(121)가 개재하여, 동 제1반송가이드체(121)에 가이드 기능이 확보되고 이 경우도 확실히 피드체인(8)에 곡물의 짚을 받아넘길 수 있다.
또한 협액체지지프레임(120)에는 도14 및 도15에 나타낸 것 처럼 곡물의짚눌름롯트(123)와 곡물의짚눌름판(124)과를 붙임브라켓(125)을 거쳐 붙여져 있다.
그리하여 곡물의짚눌름롯트(123)는 붙임브라켓(125)에 기단(123a)을 구지(柩支)하고 피드체인(8)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좌우폭 방향의 축선둘레에 상하요동 자재하고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의 전상방 위치보다 동 시단측부(8a)로 향하여 연신함과 함께 피드체인(8)의 상측반송측부(8h)의 직상방을 동 상측반송측부(8h)에 따라서 후방으로 연신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에 받아넘겨진 곡물의 짚을 곡물의짚눌름롯트(123)가 자중에 의해 상방에서 눌러 동 곡물의 짚이 피드체인(8)의 상측반송부(8h)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곡물의짚눌름판(124)은 곡물의짚눌름롯트(123)의 기단붙임 위치보다도 전하방 위치에 있어 붙임브라켓(125)에 붙인 구축(126)에 기판에 붙인 보스부(124a)를 회동 자재하게 붙임과 함께 동 보스부(124a)를 감은 스프링(127)에 의하여 도14에 나타낸 측면시에 있어 시계 돌림으로 회동 부착하고, 동 곡물의짚눌름판(124)의 선단(124b)을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의 상부까지 연신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전기 제1ㆍ제2 반송가이드체(121),(122) 위를 접동하면서 반송되는 곡물의 짚을 강하게 곡물의짚눌름판(124)이 압압하여 보조반송장치(27)에서 피드체인(8)에 받아넘기는 곡물의 짚이 제1ㆍ제2반송가이드체(121),(122) 위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14 및 도15에 나타낸 것 처럼 붙임브라켓(125)에는 채움쎈서(128)를 상하위치 조절자재하게 붙이고 있고, 동 채움쎈서(128)는 붙임브라켓(125)에 검출스위치(129)를 붙이는 한편, 곡물의짚눌름판(124)의 기단부에 단자(130)를 붙이고 곡물의짚눌름판(124)이 소정의 위치 이상으로 상방에 회동되면 단자(130)가 검출스위치(129)를 ON시키게끔 하고 있다.
즉 제1ㆍ제2반송가이드체(121),(122)상에 곡물의 짚이 소정량 이상으로 반송된 경우에는 동 위치에서 곡물의 짚의 반송막힘이 발생한 것으로 하여 검출스위치(129)가 ON으로 하여 그 결과를 오페레이터에 브자나 램프등의 보지(報知)수단에 의하여 보지하게끔 하고 있다.
따라서 오페레이터는 엔진 E를 정지시켜서 반송막힘을 빨리 해소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제1ㆍ제2반송가이드체(121),(122)에 반송막힘에 의한 큰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양 반송가이드체(121),(122)가 손상 등이 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반송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막힘쎈서는 도16에 나타내는 것같이 좌측하부반송기구(34)와 중앙하부반송기구(35)에도 붙여져 있다.
즉 좌측하부반송기구(34)의 종단부와 전측반송체(41)의 종단부와가 근접하고 대향하는 위치에 6조의 곡물의 짚이 합류하는 합류부 P를 형성하고 있고, 좌측하부반송기구(34)의 반송체인지지프레임(34c)의 후단부에 곡물의 짚의 감겨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을 붙이고, 동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 위에 막힘쎈서(132)를 붙이고 있다.
그리하여 막힘쎈서(132)는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위에 검출스위치(133)를 쎈서붙임브라켓(134)을 거쳐서 합류부 P로 향하여 붙이는 한편,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의 내측 위치에 검출단자(135)의 기단을 쎈서붙임부브라켓(134)을 거쳐서 붙이고, 동 검출단자(135)를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의 내측위치에서 주연에 따라서 만곡상으로 연신시켜 상기 검출스위치(133)와 합류부 P와의 사이에 검출단자(135)의 선단부(135a)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합류부 P에 있어서 곡물의 짚이 반송막힘이 일어난 경우, 즉 검출단자(135)의 선단부(135a)에 곡물의 짚이 작용한 경우에는 검출스위치(133)가 ON으로 하여 그 검출결과를 오페레이터에 브자나 램프등의 보지수단에 따라 보지하게끔 하고 있다.
따라서 오페레이터는 엔진 E를 정지시켜서 합류부 P의 곡물의 짚의 막힘을 해소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ㆍ하부반송장치(25),(24)의 구성부재에 반송막힘에 의한 부분적으로 큰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어 동 상ㆍ하부반송장치(25),(24)가 손상등이 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검출단자(135)는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의 내측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동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1)에 따라 동 검출단자(135)에 곡물의 짚이 감겨붙어서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동 검출단자(135)에 의한 곡물의 짚의 반송막힘을 정확히 검출 할 수가 있다.
또한 중앙하부반송기구(35)의 종단부와 전측반송체(41)의 중도부가 근접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4조의 곡물의 짚이 합류하는 합류부 Q를 형성하고 있고, 중앙하부반송기구(35)의 반송체인지지프레임(35c)의 후단부에 곡물의 짚의 감겨 붙음을 방지하기 위한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6)을 붙이고, 동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6)상에 막힘쎈서(137)를 붙이고 있다.
그리하여 막힘쎈서(137)는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6)상에 검출스위치(138)를 쎈서붙임브라켓(139)을 거쳐 합류부 Q에 향하여 붙이는 한편,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6)의 내측 위치에 검출단자(140)의 기단을 쎈서붙임부브라켓(139)을 거쳐 붙이고, 동 검출단자(140)를 곡물의짚감겨붙음방지판(136)의 내측 위치에서 주연에 따라서 만곡(萬曲)상으로 연신시켜 상기 검출스위치(138)와 합류부 Q와의 사이에 검출단자(140)의 선단부(140a)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합류부 Q에 있어 곡물의 짚이 반송막힘을 일으킨 경우, 즉 검출단자(140)의 선단부(140a)에 곡물의 짚이 작용한 경우에는 검출스위치(138)가 ON으로 하여 그 검출 결과를 오페레이터에 브자나 램프등의 보지수단에 의하여 보지하게끔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기한 막힘쎈서(132)와 동양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중앙하부반송기구(35)의 반송체인지지프레임(35c)에는 도16에 나타낸 것 처럼 하부반송기구(34)의 협액체(34b)에 설치한 협액레일(104)로 향하여 막힘쎈서(141)를 붙이고 있고, 동 막힘쎈서(141)는 협액레일(104)의 후단부에 붙여진 광 반사체(142)에 빛을 조사하여, 동 협액레일(104)이 반송체인(34a)보다 일정이상 크게 이격(離隔)한 동작을 반송막힘으로서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오페레이터에 브자나 램프 등의 보지 수단에 의하여 보지하게끔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전기한 막힘쎈서(132),(137)와 동양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종반송기구(37)에 설치한 협액레일(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막힘쎈서(141)를 별개로 설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종반송기구(37)의 반송막힘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오페레이터에 브자나 램프 등의 보지수단에 따라 보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전기한 회동축(12)은 도3 및 도12에 나타낸 것 같이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와 대략 동일한 지상 높이에 배치하고 있어, 동 회동지축(12)중에 도11에 나타낸 것 처럼 예취부(3)의 각 구동부로서의 각 장치(21),(22),(23),(24),(25),(26),(27)을 구동하기 위한 예취구동축(50)을 삽통하고 있다. 58은 예취구동축(50)의 우측단부에 붙인 입력프리, 59는 클러치부이고 종프레임(13)내에 삽통한 종전동축(60)으로의 동력의 단속(斷續)은 가능케 하고 있다. 50b, 60a는 베벨기어이다.
따라서 회동지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예취부(3)를 크게 전방에 이동시키면서 상승시킬 수가 있어 운전부(6)와 예취부(3)와의 사이의 간격을 크게 확보할 수가 있어 운전부(6)에 앉은 오페레이터가 쉽게 예취부(3)의 하방을 시인(視認)할 수가 있다.
또한 회동지축(12)의 우측단부에는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를 착탈자재(着脫自在)하게 붙여져 있고, 동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내에는 동력취출축(52)과 중간축(53)과 피드체인구동축(54)과를 횡가하고 있다.
더욱이 동력취출축(52)은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 내에서 회동축(12) 내에 일측단부(52a)를 돌출시켜 동 일측단부(52a)와 예취구동축(50)의 일측단부(50a)와를 통상(筒狀)의 연결체(55) 중에 스프라인 감합(嵌合)하고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의 착탈작업을 쉽게할 수가 있음과 함께 예취구동축(50)과 동력취출축(52)과의 축심(軸芯)을 연결체(55)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를 맞출수가 있어 전동 효율은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동력취출축(52)과 중간축(53)과의 사이에는 변속절체기구(56)를 개설하고 있고, 동 변속절체기구(56)는 동력취출축(52)에 큰지름기어(52b)와 작은지름기어(52c)를 붙이는 한편, 중간축(53)에 이들 기어(52b),(52c)의 어느쪽엔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시프트기어(53a)를 축선 방향으로 스라이드 자재하게 붙이고, 동 시프트기어(53a)에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의 외부에 붙인 변속절체레바(56a)를 쉬프트포크(56b)를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있다. 56c는 포크지지롯트, 56d는 레바지축이다.
그리하여 중간축(53)과 피드체인구동축(54)과의 사이에는 전동체인(57)을 스프로켓(53b),(54a)을 거쳐 권회(卷回)하고,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내에서 피드체인구동축(54)의 일측단부(54b)를 외부로 돌출시켜 동 일측단부(54b)에 피드체인(8)의 시단측부(8a)를 스프로켓(54c)을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있다. 8b는 피드체인시단측 지축, 8c는 피드체인시단측 스프로켓, 8d는 피드체인텐숀롤러, 8e는 텐숀롤러지지암, 8f는 텐숀롤러인장스프링, 8g는 피드체인지지프레임이다.
따라서 예취부(3)에 설치한 보조반송장치(27)에 의한 반송속도와 피드체인(8)에 의한 반송 속도와를 간단하고 또 확실하게 동조(同調)시킬 수가 있어 예취부(3)에서 탈곡부(4)로의 곡물의 짚의 수계 반송을 효율이 좋게할 수가 있다.
또한 곡물의 짚의 예취시의 자세에 따라서 적이변속절체기구(56)의 변속절체레바(56a)를 절체, 조작하는 것에 따라 탈곡부(4)에 의한 적정한 탈곡처리를 확보할 수가 있다.
즉 곡물의 짚의 예취시의 자세가 도복(倒伏) 상태의 경우에는 날끝쪽이 곡물의짚 포기의 밑(株元)쪽에 비해 늦어서 반송되는 일도 있어 이 경우에 예취부(3)의 보조반송장치(27)의 반송속도와 피드체인(8)의 반송속도를 동조(同調), 예를들면 보조반송장치(27)와 피드체인(8)의 반송속도 비를 4:3으로 하면 피드체인(8)에 의하여 탈곡부(4)에 반송ㆍ공급되는 곡물의 짚은 일정 두께의 층상태로서 반송되어 곡물의 짚의 흩음실에 들어가는 깊이가 약간 깊어진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경우에는 피드체인(8)의 반송속도를 고속측으로 절환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보조반송장치(27)와 피드체인(8)의 반송속도 비를 1: 1로 하면 탈곡부(4)에 반송ㆍ공급 되는 곡물의 짚의 층을 엷게하여서, 곡물의 짚의 흩음실에 들어가는 깊이를 적정한 깊이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탈곡부(4)에 설치한 급동(扱胴)(4a)의 부하를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는 지주(10)에 회전지축(12)과 동축적(同軸的)으로 구지(柩支)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예취부(3)의 하중은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에 작용할 수가 없고 동 피드체인구동케이스(51)의 보호가 도모된다.
또한 종프레임(13)의 상부에는 도17 및 도18에 나타내는것 처럼 보조 및 후측반송구동케이스(62)를 좌측쪽에 연신시켜 형성하고, 동 보조 및 후측반송구동케이스(62)에 보조반송장치(27)와 후측반송체(42)와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하여 보조 및 후측반송구동케이스(62)내에는 도17, 도19 및 도21에 나타낸것 처럼 보조 및 후측반송제1구동축(61)과 보조 및 후측반송제2구동축(70)과를 삽통하고, 동 제1구동축(61)의 일단을 종전동축(60)에 베벨기어(61a),(60b)를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동 제1구동축(61)의 타단에 보조 및 후측반송제2구동축(70)의 일단을 베벨기어(61b),(70a)를 거쳐 연동 연결하고, 동 보조 및 후측반송제2구동축(70)에 보조반송장치(27)의 반송체인(27a)을 스프로켓(70b)을 거쳐서 연동 연결함과 함께 후측반송체(42)의 타인반송체인(42a)을 스프로켓(70c)을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회동지축(12)과 관계없이 보조반송장치(27)의 구동을 할 수 있게끔 하고 동 보조반송장치(27)의 배설위치를 임의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반송장치(27)의 구동을 종전동축(60)에서 취출하게끔 하고 있으므로 보조반송장치(27)로의 감속을 복수의 베벨기어의 치수(齒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행하여 감속비를 적게할 수가 있다.
또한 종프레임(13)의 하부에는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것 같이 우측하부반송구동케이스(115)를 돌설(突設)하고 동 우측하부반송구동케이스(115)보다 좌측상방으로 향해 종반송구동케이스(116)를 이우분기상(二又分岐狀)으로 돌설함과 함께 우측 상방으로 향하여 전측반송구동케이스(117)를 이우분기상으로 돌설하고, 동 전측구동케이스(117)보다 상방으로 축케이스(118)를 연신시킴과 함께 후측반송체(42)의 시단측부를 관통시켜서 동 후측반송체(42)의 시단측부의 상방에 중합시켜 배치한 전측반송체(41)의 종단측부에 축케이스(118)의 상단을 연통 연설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전측반송체(41)의 종단측부와 후측반송체(42)의 시단측부와를 상하 방향으로 중합시킬 수가 있어 전측반송체(41)에서 후측반송체(42)로의 곡물의 짚의 수계 반송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전측구동케이스(117) 및 축케이스(118)에 의해 전측반송체(41)의 구동축의 지지가 용이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해져서 이런 지지부의 폭 방향의 치수를 적게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우측하부반송구동케이스(115)내에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을 삽통하여 동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의 일단은 종전동축(60)에 베벨기어(71a),(60c)를 거쳐 연동 연결하고, 동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의 타단에 우측하부반송기구(36)의 반송체인(36a)을 스프로켓(71b)을 거쳐 연동 연결하고 있다.
종반송구동케이스(116)내에는 종반송제1구동축(73)과 종반송제2구동축(74)과를 삽통하고, 종반송제1구동축(73)의 일단은 상기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의 기부에 베벨기어(73a),(71c)를 거쳐 연동 연결하고, 종반송제1구동축(73)의 타단에 종반송제2구동축(74)의 일단을 베벨기어(73b),(74a)를 거쳐 연동 연결하고, 동 종반송제2구동축(74)의 타단에 종반송기구(37)의 반송체인(37a)을 스프로켓(74b)을 거쳐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전측반송구동케이스(117)내에는 전측반송제1구동축(119)과 전측반송제2구동축(72)과를 삽통하고, 전측반송제1구동축(119)의 일단을 상기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의 중도부에 베벨기어(119a),(71d)를 거쳐 연동 연결하고, 동 전측반송제1구동축(119)의 타단에 전측반송제2구동축(72)의 일단을 베벨기어(119b),(72a)를 거쳐 연동 연결하고, 동 전측반송제2구동축(72)의 타단에 전측반송체(41)의 타인반송체인(41b)을 스프로켓(72b)을 거쳐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와같이 우측하부반송기구(36)의 구동기구인 우측하부구동케이스(115)에서 분기(分岐)시켜 형성한 전측반송구동케이스(117)에 전측반송체(41)를 연동 연결시키고 있으므로 별도 전측반송체(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를 새로히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동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종프레임(13)의 하단부에 연통 연설한 하측횡프레임(14)은 도19에 나타낸 것 같이 종프레임(13)의 하단에 일체 성형한 횡통(橫筒)(14a)과 동 횡통(14a)의 좌우 측단에 착탈 자재하게 접속한 좌우측접속파이프(14b),(14c)로서 형성되고 있고, 좌우측접속파이프(14b),(14c)의 어느 한쪽을 5조예취용과 6조예취용으로 바꿈을 자재하게 하고, 횡통(14a)과 종프레임(13)과 회동지축(12)은 5조예취용과 6조예취용과를 공용화하고 있다. 60d, 63a는 베벨기어이다.
그리하여 종프레임(13)에 붙인 전기 종반송구동케이스(116)와 동 종반송구동케이스(116)에 연동 연결한 종반송기구(37)도 5조예취용과 6조예취용과를 공용화하고 있다.
결국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예취부(3)에는 합류부 P보다 후측의 각 반송기구 및 예취프레임(11)은 5조예취용과 6조예취용과를 공용화하고, 탈곡부(4)와의 상대 위치관계를 일정하게 하고 합류부 P보다 전측을 5조예취용 또는 6조예취용의 전용부재에 바꿈을 자재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한 6조예취용의 예취부(3)에서는 각 상부반송기구(38),(39) 및 전측반송체(41)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를 2줄거리씩의 곡물의 짚이 반송하게 되어 곡물의 짚을 원활 또는 확실히 반송할 수가 있다.
다음에 기체프레임(1)에 탑재한 엔진 E에서 예취부(3)에 설치한 각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B)에 대하여서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동력전달기구(B)는 도15에 나타내는것 처럼 주가 되는 동력전달 경로로서 다음의 것을 갖는다. 엔진 E → 밋숀부 M → 예취구동축(50) → 종전동축(60) → 하측횡프레임(14) 내에 삽통한 하측횡전동축(63) → 입상프레임(15)내에 삽통한 입상전동축(64) → 상측횡프레임(16)내에 삽통한 상측횡전동축(65) → 일으킴구동케이스(66)내에 삽통한 일으킴제1구동축(67) → 일으킴제2구동축(81) → 곡물의짚일으킴장치(21), 또한 날끝반송구동케이스(68)내에 삽통하고 또한 일으킴구동축(67)에서 하방으로 연설한 날끝반송제1구동축(69) → 날끝반송제2구동축(82) → 날끝반송장치(26).
그리하여 예취구동축(50)에서 파생하는 부동력 전달경로로서 다음의 것이 있다. 예취구동축(50) → 동력취출축(52) → 변속절환기구(56) → 피드체인구동축(54) → 피드체인(8).
종전동축(60)에서 파생하는 부동력 전달경로로서 다음의 것이 있다. 종전동축(60) → 보조 및 후측반송제1구동축(61) → 보조 및 후측반송제2구동축(70) → 보조반송장치(27)와 후측반송체(42). 종전동축(60) →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 → 우측하부반송기구(36) → 곡물의짚긁어넣기장치(22).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 → 전측반송제1구동축(119) → 전측반송제2구동축(72) → 전측반송체(41). 우측하부반송구동축(71) → 종반송제1구동축(73) → 종반송제2구동축(74) → 종반송기구(37).
하측횡축(63)에서 파생하는 부동력 전달경로로서 다음의 것이 있다. 하측횡전동축(63) → 예인구동축(75),(75) → 예인장치(23),(23). 입상전동축(64)에서 파생하는 부동력 전달경로로서 다음의 것이 있다. 입상전동축(64) → 좌측상ㆍ하부반송구동축(76) → 좌측상ㆍ하부반송입상축(77) → 좌측 상ㆍ하부반송기구(38),(34).
또한 밋숀부 M는 주행구동밋숀부(78)와 주행구도용전동기구(79)를 통하여서 연동 연결하는 것과 함께 탈곡부(4)에 설치한 급동(4a)과 급동구동용전동기구(80)를 거쳐서 연동 연결하고 있다.
도22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예취부(3)를 나타내고 있고, 동 예취부(3)는 전기 6조예취용의 예취부(3)와 기본적 구성을 같이 하고 있으나, 5조예취용에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중앙상부반송기구(39)는 그 곡물의짚 반송로가 기체의 전후 중심선과 대략 평행되도록 배치하고, 동 중앙상부반송기구(39)의 직상방 위치에 중앙부날끝반송기구(44)를 배설함과 함께 양 반송기구(39),(9)의 각 반송타인(39a),(44a)의 회행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고, 또한 좌측상부반송기구(38)와 전측반송체(41)의 상방에서, 또한 각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우고 좌측상부반송기구(38)와 전측반송체(41)와를 각기 대향하는 위치에 좌ㆍ우측부날끝반송기구(43),(45)를 각기 배설함과 함께 좌측상부반송기구(38)와 좌측부날끝반송기구(43)의 각 반송타인(38a),(43a)의 회행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고, 또한 전측반송체(41)와 우측부날끝반송부(45)의 각 반송타인(41a),(45a)의 회행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각 날끝반송기구(43),(44),(45)에 의해 곡물의 짚의 날끝부를 반송하는 것이 될 수 있어 상ㆍ하부반송장치(25),(24)와 협동하여 곡물의 짚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어 날끝일으킴장치(21)에 설치한 일으킴케이스(30)의 내주연부에 곡물의 짚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5조예취용 예취부(3)에서는 좌측상부반송기구(38)와 전측반송체(41)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를 2줄거리씩 곡물의 짚이 반송됨과 함께 중앙상부반송기구(39)의 곡물의짚 반송로를 1줄거리의 곡물의 짚이 반송되는 것으로 되어, 이 경우에는 중앙상부반송기구(39)와 그 상방에 배치된 중앙부날끝반송기구(44)와 협동하여 1줄 거리의 곡물의 짚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히 반송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①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각 상부반송기구의 상방에서 또한 각 상부반송기구의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우고, 각 상부반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기 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하고 있으므로 각 날끝반송기구에 의하여 곡물의 짚의 날끝부를 반송할 수가 있어, 상ㆍ하부반송장치와 협동하고 곡물의 짚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고,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 설치한 일으킴케이스의 내주연부에 곡물의 짚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6조예취용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각 상부반송기구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를 2줄거리씩의 곡물의 짚이 반송되는 것으로 되어 곡물의 짚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다.
② 청구항 2 기재의 본발명에서는 중앙상부반송기구는 그 곡물의짚 반송로가 기체의 전후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동 중앙상부반송기구의 바로 상방 위치에 중앙부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함과 함께 좌ㆍ우상부반송기구의 상방에서, 또한 좌ㆍ우측 상부반송기구의 각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워서,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기 좌ㆍ우측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하고 있으므로 각 날끝반송기구에 의하여 곡물의 짚의 날끝부를 반송할 수가 있어서, 상ㆍ하부반송장치와 협동하여 곡물의 짚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어,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 설치한 일으킴케이스의 내주연부에 곡물의 짚이 걸리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특히 5조예취용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의 각 곡물의 짚 반송로를 2줄거리씩의 곡물의 짚이 반송함과 함께, 중앙상부반송기구의 곡물의 짚 반송로를 1줄거리의 곡물의 짚이 반송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그 상방에 배치한 중앙부날끝반송기구와 협동하여 1줄거리의 곡물의 짚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다.
③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곡물의짚일으킴장치의 상부에 동 곡물의 짚일으킴장치를 설치한 일으킴타인을 구동하는 일으킴구동케이스를 두고, 동 일으킴구동케이스 내에 상하 방향에 연신하는 일으킴구동축을 설치하고, 동 일으킴구동축에서 하방에 날끝반송구동축을 연설하여, 동 날끝반송구동축의 하단부에 날끝반송기구를 연동 연결하고 있으므로, 날끝반송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곡물의짚반송로를 좁히는 일이 없고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곡물의 짚의 반송을 확보할 수가 있다.
더욱이 날끝반송기구는 상하 방향에 연신하는 일으킴구동축에서 하방으로 연설한 날끝반송구동축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동 날끝반송기구의 구동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④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날끝반송기구에 날끝반송타인과 동 날끝반송타인을 진출ㆍ퇴입 가이드하는 진출ㆍ퇴입가이드체와를 설치함과 함께 동 진출ㆍ퇴입가이드체를 날끝반송구동축을 둘러싼 날끝반송구동케이스에 근접시켜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날끝반송타인의 선단에 과부하가 작용한 경우에도, 진출ㆍ퇴입가이드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음과 함께 동 진출ㆍ퇴입가이드체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도 1는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동 콤바인의 정면도.
도 3은 예취부(刈取部)의 측면도.
도 4는 동 예취부의 평면도.
도 5는 일으키는 기구의 정면도.
도 6은 동 일으키는 기구의 단면도.
도 7은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8은 우측부날끝(穗先)반송 기구의 단면 측면도.
도 9는 동 우측부날끝반송 기구의 단면 측면도.
도 10은 협액체(挾扼體)의 평면도.
도 11는 동 협액체의 정면도.
도 12는 동 협액체의 측면도.
도 13은 반송타인의 배치 설명도.
도 14는 반송가이드체의 측면도.
도 15는 동 반송가이드체의 평면도.
도 16은 채움쎈서를 구비하는 예취부의 평면도.
도 17은 피드체인 구동 케이스의 단면도.
도 18은 동 피드체인 구동 케이스의 측면도.
도 19는 예취프레임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 20은 세로프레임의 단면도.
도 21은 동력전달기구의 개념적 설명도.
도 22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예취부의 평면도.
<부호의 설명>
A … 콤바인 B … 동력전달기구
1 … 기체프레임 2 … 주행부 3 … 예취부
4 … 탈곡부 5 … 배고처리부(排藁處理部)
6 … 운전부 7 … 곡립저류탱크 8 … 피드체인

Claims (4)

  1. 복수조(複數條)의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곡물의짚일으킴장치와, 동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 일으켜진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예취하는 예인장치와 동 예인장치에 의하여 예취된 곡물의 짚을 탈곡부측으로 반송하는 상ㆍ하부반송장치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부반송장치에 좌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 짚의 상부를 반송하는 좌측상부반송기구와 중앙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우측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와를 설치하고,
    각 상부반송기구의 상방에서 또한 각 상부반송기구의 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워서 각 상부반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기 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2.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일으키는 곡물의짚일으킴장치와 동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 일으켜진 복수조의 곡물의 짚을 예취하는 예인장치와 동 예인장치에서 예취된 곡물의 짚을 탈곡부측으로 반송하는 상ㆍ하부반송장치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부반송장치에 좌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좌측상부반송기구와 중앙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중앙상부반송기구와, 우측부의 줄거리의 곡물의짚 상부를 반송하는 우측상부반송기구와를 설치하고,
    중앙상부반송기구는 그 곡물의짚 반송로가 기체의 전후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동 중앙상부반송기구의 바로상방 위치에 중앙부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함과 함께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의 상방에, 또한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의 작곡물의짚 반송로를 사이에 끼워서 좌ㆍ우측상부반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기 좌ㆍ우측부날끝반송기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곡물의짚일으킴장치의 상부에 동 곡물의짚일으킴장치에 설치한 일으킴타인을 구동하는 일으킴구동케이스를 설치하고, 동 일으킴구동케이스내에 상하 방향에 연신하는 일으킴구동축을 설치하고, 동 일으킴구동축에서 하방으로 날끝반송구동축을 연설하여 동 날끝반송구동축의 하단부에 날끝반송기구를 연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날끝반송기구에 날끝반송타인과 동 날끝반송타인을 진출ㆍ퇴입가이드하는 진출ㆍ퇴입가이드체를 설치함과 함께 동 진출ㆍ퇴입가이드체를 날끝반송구동축을 둘러싼 날끝반송구동케이스에 접근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KR1019970028267A 1997-06-27 1997-06-27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KR10045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267A KR100453923B1 (ko) 1997-06-27 1997-06-27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267A KR100453923B1 (ko) 1997-06-27 1997-06-27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17A KR19990004217A (ko) 1999-01-15
KR100453923B1 true KR100453923B1 (ko) 2005-04-06

Family

ID=4366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267A KR100453923B1 (ko) 1997-06-27 1997-06-27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72A (ko) 2014-12-05 2016-06-1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729U (ko) * 1984-08-20 1986-03-31 동양고무산업 주식회사 신발 밑창 테두리(B. B Cup Sole)의 3색 성형장치
KR870003303U (ko) * 1985-08-13 1987-03-27 고득출 재떨이
JPH0358710A (ja) * 1989-07-26 1991-03-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KR960004009U (ko) * 1994-07-26 1996-02-14 민재훈 대 걸레
KR19980016484A (ko) * 1996-08-28 1998-06-05 야마오카 타다오 콤바인의 예취부 슬라이드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729U (ko) * 1984-08-20 1986-03-31 동양고무산업 주식회사 신발 밑창 테두리(B. B Cup Sole)의 3색 성형장치
KR870003303U (ko) * 1985-08-13 1987-03-27 고득출 재떨이
JPH0358710A (ja) * 1989-07-26 1991-03-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KR960004009U (ko) * 1994-07-26 1996-02-14 민재훈 대 걸레
KR19980016484A (ko) * 1996-08-28 1998-06-05 야마오카 타다오 콤바인의 예취부 슬라이드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72A (ko) 2014-12-05 2016-06-1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17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349B1 (en) Dual belt drive for an agricultural header
CA2738021C (en) Conveyor chain
KR100453923B1 (ko)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CN108419506B (zh) 联合收割机
JP4546893B2 (ja) コンバイン
KR20060053165A (ko) 자탈형 콤바인
JP3499404B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US3988877A (en) Row crop harvester
WO2007148715A1 (ja) コンバイン
JPH101436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構造
JP2005095189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の補助搬送装置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H1014360A (ja) コンバインの搬送ガイド体構造
KR20210001957A (ko) 콤바인
KR20210001949A (ko) 콤바인
JPH1014373A (ja) コンバインのフィードチェン駆動構造
JP3618906B2 (ja) コンバインの上部搬送機構
KR20210001966A (ko) 콤바인
US1124453A (en) Grain-shock elevator.
KR20180000675A (ko) 콤바인
JPH1014361A (ja) コンバインの下部搬送装置
JP4535445B2 (ja) 農業機械のテンションクラッチ
JPH1014359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構造
JPH0767440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525263B2 (ja) 多条刈りコンバインの掻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