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7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75A
KR20180000675A KR1020170066015A KR20170066015A KR20180000675A KR 20180000675 A KR20180000675 A KR 20180000675A KR 1020170066015 A KR1020170066015 A KR 1020170066015A KR 20170066015 A KR20170066015 A KR 20170066015A KR 20180000675 A KR20180000675 A KR 2018000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conveying
cu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801B1 (ko
Inventor
가즈키 야마우치
히로야 야마모토
다모츠 소야
마사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24847A external-priority patent/JP70457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248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7400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0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취 조수를 많게 하면서도, 번거로운 수고를 요하는 일 없이 가로 폭의 변경이 가능하고, 게다가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동력 전달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곡간 반송 장치에 대해, 설치상의 제약을 받을 우려를 적게 하여,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기체 전방부의 예취부(2)가, 예취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분할 형성되고, 또한 가로 폭이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폭보다 짧은 수납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예취부(2)는, 예취 폭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일방측 축부와 타방측 축부로 분할 형성되고,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일직선상으로 연속되는 상태에서 연동 연결되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 분리되는 동력 전달축(105)과, 예취부(2)가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일방측 축부를, 타방측 축부에 적정하게 연결되는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160)를 구비한다. 또한,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밑동 반송 장치(77)에, 동력이 입력되는 밑동측 구동륜(77A)과, 별도의 다른 안내륜(77B)과, 밑동측 무단 회전대(77C)가 구비되고, 이삭 끝 반송 장치(78)에, 동력이 입력되는 이삭 끝측 구동륜(78A)과, 별도의 다른 안내륜(78B)과,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78C)가 구비되고, 밑동측 구동륜(77A)은, 밑동측 구동륜(77A)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이삭 끝측 구동륜(78A)과 상이한 개소에 설치되고, 밑동측 구동륜(77A)과 이삭 끝측 구동륜(78A)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8조식 등의 예취 조수가 많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 전방부의 예취부에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8조식 등의 예취 조수가 많은 콤바인은, 예취부의 가로 폭이 커져, 도로를 주행할 때의 규제 폭을 초과해 버리므로, 예를 들어 운반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그 상태로는 노상 주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예취부에 있어서의 예취 폭 방향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곡간 반송 장치, 그것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전동 기구 등을 유닛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운반 차량에 적재할 때에는, 이들 유닛 형상의 조립체를 떼어 냄과 함께, 예취 폭 방향으로 긴 절단 장치 등을 떼어 내어, 가로 폭을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콤바인에서는, 곡간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 복수 조의 예취 곡간을 예취 폭 방향 중앙측으로 모으는 합류용 반송 장치가 구비되고, 이 합류용 반송 장치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면서 반송하는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는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가,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륜과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륜이 동일한 구동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2-8555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1733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은, 예취 작업에 있어서는, 8조분의 식립 곡간을 한 번에 예취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작업 종료 후에 노상 주행 등을 행하기 위해 운반 차량에 적재할 때에는, 대형의 장치인 절단 장치를 떼어 내거나, 유닛 형상의 조립체를 떼어 낼 필요가 있어, 수고를 요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또한, 제거한 각 장치를 콤바인 본체와는 별도로 보관해야 해, 떼어 낸 장치류의 관리도 번거로웠다.
게다가, 다시 예취 작업을 행하기 위해 통상 사용 상태로 복귀시킬 때에는, 떼어 낸 유닛 형상의 조립체를 장착할 필요가 있고, 그때 위치 정렬에 시간이 걸려, 설치 작업이 번거로웠다. 특히, 유닛 형상의 조립체를 떼어 낼 때, 전동 기구에 있어서의 횡방향 전동축을 분리시킨 후, 통상 사용 상태로 복귀시킬 때에 전동축을 접속할 때, 예를 들어 기계적인 덜걱거림 등에 기인하여 축심이 위치 어긋남 되어 있으면, 동력 전달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예취 작업 시에 있어서의 예취 조수를 많게 하면서도, 번거로운 수고를 요하는 일 없이 가로 폭의 변경이 가능하고, 게다가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동력 전달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륜과,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륜이, 동일 축심 상에 위치하므로,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와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설치상의 제약을 받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예취 조수가 많아지면, 상기한 바와 같은 합류용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와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은, 예취 곡간이 이송되는 곡간 이송 영역의 하방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곡간 이송 영역의 하방측에는, 중간 반송부 이외의 다른 반송 장치나 구동 기구 등도 존재하므로, 구동축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다. 그 결과, 공통의 구동축에 의해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와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를 구동하도록 하면, 그것들에 구비되는 무단 회전대의 직선상의 이동 경로의 도중에 구동륜을 작용시키도록 배치해야 해,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등의 불리함이 있었다.
그래서, 곡간 반송 장치에 대해, 설치상의 제약을 받을 우려를 적게 하여,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기체 전방부에, 예취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해 자세 변경하여, 가로 폭이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폭보다 짧은 수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예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예취부에, 예취 조수에 대응한 복수의 기립 장치와, 예취 대상이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예취 폭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측의 일방측 축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의 타방측 축부로 분할 형성됨과 함께, 상기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축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일방측 축부와 상기 타방측 축부가 일직선상으로 연속되는 상태에서 연동 연결되고,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축부와 상기 타방측 축부로 분리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예취부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일방측 축부를, 상기 타방측 축부에 적정하게 연결되는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방측 분할 예취부를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해 자세 변경시킴으로써, 통상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작업 능력을 높이기 위해 예취 조수를 많게 해도, 수납 상태로 함으로써, 가로 폭을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폭보다 좁게 하여 운반 차량에의 적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일방측 분할 예취부는, 타방측 분할 예취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자세 변경하는 것이므로, 예취부를 수납 상태로 전환할 때, 콤바인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부재를 관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다.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걸쳐 예취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력 전달축이, 일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응하는 일방측 축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응하는 타방측 축부로 분할 형성된다. 예취부를 수납 상태로 전환하면, 동력 전달축은, 일방측 축부와 타방측 축부로 분리되고, 예취부를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하면, 동력 전달축은, 분리되어 있던 일방측 축부와 타방측 축부가 일직선상으로 연속되는 상태에서 연동 연결된다.
예취부가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가이드 기구에 의해, 동력 전달축에 있어서의 일방측 축부와 타방측 축부가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된다. 그 결과,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동력 전달축에 의한 동력 전달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작업 시에 있어서의 예취 조수를 많게 하면서도, 번거로운 수고를 요하는 일 없이 가로 폭의 변경이 가능하고, 게다가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동력 전달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취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에, 종방향 자세의 회전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해 상기 회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예취부는, 상기 통상 사용 상태와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해 종방향 자세의 회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므로, 상하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횡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수납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구성에서는, 상방을 향해 크게 돌출될 우려가 있어, 상하 방향으로 큰 수납 공간이 필요해지지만, 본 구성에서는, 이러한 불리함이 없어 콤팩트한 수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지지축은, 상기 기립 장치보다 기체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전방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기립 장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회전 지지축이 기립 장치의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고, 가이드 기구가 기립 장치의 기체 후방부측에 구비되므로, 가이드 기구가 회전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가 된다.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 기능을 발휘할 때,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개소로 안내함으로써, 완만한 원호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안내할 수 있어, 무리없이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기립 장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절단 장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기립 장치의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절단 장치보다 기체 후방부측에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므로, 가이드 기구가 회전 축심으로부터 더욱 이격된 위치가 된다. 그 결과, 가이드 기구는 한층 원활하게 안내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기구에,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 및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중 한쪽에 구비된 통 부재와,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 및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중 다른 쪽에 구비된 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통 부재 및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축 부재가 상기 통 부재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일방측 축부를 상기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 부재 및 상기 통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상기 통상 사용 상태일 때, 상기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예취부가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일방측 분할 예취부 및 타방측 분할 예취부 중 한쪽에 구비된 축 부재가, 다른 쪽에 구비된 통 부재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된다. 그리고, 축 부재 및 통 부재는, 예취부가 통상 사용 상태일 때,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축 부재는,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에서 통 부재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 결과, 축 부재가 통 부재에 대해 무리 없이 원활하게 끼워 맞추어져 양호하게 안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 부재 및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상기 통상 사용 상태일 때, 예취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의 접합면보다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축 부재의 외주면과 통 부재의 내주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서의 덜걱거림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축 부재와 통 부재는 각각,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통 부재 및 축 부재를, 예취 폭 방향에 있어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의 접합면과 동일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이면, 그것들이 끼워 맞추어지기 직전까지 축 부재의 축심과 통 부재의 축심이 약간 비스듬해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양자 사이에서의 끼워 맞추어질 때의 여유값을 약간 크게 설정해야 해, 양자 사이에서의 덜걱거림이 큰 것이 된다.
이에 대해, 본 구성에서는, 통 부재 및 축 부재가 상기 접합면보다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축 부재와 통 부재는 각각, 상기 접합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지만, 상기 접합면보다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접합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 그대로, 접합면보다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다.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가 접합면에서 접합되기 직전, 즉, 통 부재와 축 부재가 끼워 맞추어지기 직전에는 축 부재의 축심과 통 부재의 축심이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 양자 사이에서의 여유값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고, 축 부재의 외주면과 통 부재의 내주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덜걱거림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부에, 예취 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의 경계부에 있어서, 예취 폭 방향을 따라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분리되고, 상기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의 접속 개소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일방측 분할 예취부의 자세 변경에 수반하여, 횡방향 프레임이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로 분리되거나, 양자가 접속하거나 한다.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자세 변경될 때,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의 접속 개소에 구비된 가이드 기구에 의해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된다.
그 결과, 강성이 큰 횡방향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대형의 장치인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의 위치 정렬을 무리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예취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에 상기 절단 장치가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횡방향 프레임은, 예취부의 하부에 있어서, 기립 장치의 기체 후방부측에 구비되므로, 일방측 분할 예취부의 회전 축심인 회전 지지축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가 된다. 가이드 기구는, 횡방향 프레임에 구비되므로, 일방측 분할 예취부의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 기능을 발휘할 때,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서 무리 없이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횡방향 프레임에 절단 장치가 지지되어 있고, 절단 장치는, 횡방향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걸쳐 분할되게 된다. 통상 사용 상태로 복귀되면,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가 가이드 기구에 의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므로, 분할된 양측의 절단 장치의 위치 정렬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그 결과,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되는 식립 곡간의 예취 자국이 단차가 적은 깔끔한 마무리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와, 상기 밑동 반송 장치의 상방에 설치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 장치와, 상기 밑동 반송 장치와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갖고, 상기 밑동 반송 장치 및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의해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밑동 반송 장치에, 동력이 입력되는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는 별도의 다른 안내륜과,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밑동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에 걸쳐 권회된 밑동측 무단 회전대가 구비되고,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동력이 입력되는 이삭 끝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과는 별도의 다른 안내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에 걸쳐 권회된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가 구비되고,
상기 밑동측 구동륜은, 상기 밑동측 구동륜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과 상이한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동 반송 장치에 있어서 동력이 입력되는 밑동측 구동륜과,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 동력이 입력되는 이삭 끝측 구동륜이, 밑동측 구동륜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상이한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밑동측 구동륜과 이삭 끝측 구동륜 중 어느 한쪽의 구동륜에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한쪽의 구동륜으로부터 다른 쪽의 구동륜을 향해 동력이 전달된다. 그 동력에 의해, 밑동측 무단 회전대 및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가 회전하여 예취 곡간이 반송된다.
밑동측 구동륜과 이삭 끝측 구동륜 중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한쪽의 구동륜은, 외부의 전동 기구에 의한 제약을 받지만, 다른 쪽의 구동륜은, 배치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곡간 반송 장치에 대해, 설치상의 제약을 받을 우려가 적어져,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상기 밑동측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축과 동일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구동측 회전체와,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축과 동일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종동측 회전체와, 상기 구동측 회전체와 상기 종동측 회전체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밑동측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축과 이삭 끝측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축을 각각 이용하여,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의 구동측 회전체 및 종동측 회전체를 지지하므로,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구동측 회전체와 종동측 회전체를 각각 개별로 지지하기 위해 전용의 전동축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의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밑동측 구동륜과 이삭 끝측 구동륜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의 이동 경로에,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는 반송 경로와, 예취 곡간의 걸림 반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반송 경로의 시단부로 복귀되는 복귀 경로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동력 전달 기구가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복귀 경로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비되므로, 동력 전달 기구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지기 쉽다. 즉, 이삭 끝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측은, 곡간 이송 영역에 대응하는 개소이며, 기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측, 즉, 안쪽으로 들어간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복귀 경로는, 기체 가로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체 외측으로부터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복귀 경로는, 예취 곡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예취 곡간의 반송에 수반하여 짚 부스러기나 미세한 진애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예취 곡간이나 곡간 반송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짚 부스러기 등이, 동력 전달 기구에 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 및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판상의 반송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반송 지지체의 하면측에 지지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이삭 끝 반송 장치에 판상의 반송 지지체가 구비된다. 반송 지지체는, 이삭 끝 반송 장치의 프레임체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이삭 끝측 구동륜 및 다른 안내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를 하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체로서 기능하는 반송 지지체를 이용하여, 그 하면측에 동력 전달 기구가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커버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가 하방측으로부터 덮이므로, 예취 곡간이나 곡간 반송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짚 부스러기 등이 동력 전달 기구에 휘감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예취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통상 사용 상태의 예취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절첩 상태의 예취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통상 사용 상태의 반송 장치의 간략화된 평면도이다.
도 7은 절첩 상태의 반송 장치의 간략화된 평면도이다.
도 8은 예취부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기립 장치의 일부 종단 후면도이다.
도 10은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긁어 모음부와 절단 장치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절단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3은 절단 장치의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14는 절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절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절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분할 지지 프레임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다른 분할 지지 프레임체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지지 프레임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0은 회전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좌측 합류 반송부와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좌측 합류 반송부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동력 전달 기구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휘감김 방지 커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가이드 기구의 분리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가이드 기구의 일부 절결 배면도이다.
도 27은 기립 구동축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8은 기립 구동축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9는 기립 변속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30은 동력 전달축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31은 동력 전달축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주행 기체(1)와, 8조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2)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부(2)는,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승강 가능하게 주행 기체(1)에 연결되고, 리프트 실린더(3)에 의해 구동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도 1, 도 2에 있어서 예취부(2)가 구비되는 측이 기체 전방부측이고, 그 반대측이 기체 후방부측이라고 정의한다. 기체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기체 전방부를 앞으로 하여 진행하는 전진 주행 상태에서, 진행 방향에서 보아 우측이 기체 우측이고, 좌측이 기체 좌측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기체 가로 폭 방향이 기체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주행 기체(1)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4)를 구비함과 함께, 기체 전방부의 우측(가로 폭 방향 일방측)에 운전부(5)가 구비되고, 그 후방에,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를 기체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5)는, 캐빈(5a)으로 덮이는 상태로 구비된다. 탈곡 장치(6)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취부(2)로부터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밑동을 탈곡 피드 체인(8)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면서, 급실 내부에서 이삭 끝측을 훑기 처리하고, 급실의 하부에 구비된 선별부에서 곡립과 진애로 선별 처리한다. 곡립은 곡립 탱크(7)에 저류되고, 진애는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곡립 탱크(7)에 저류되는 곡립은 배출 장치(7A)에 의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탈곡 처리 후의 배출 볏짚은, 세단 장치(9)에서 세단한 후에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2)는, 예취 대상 조의 식립 곡간을 분초 안내하는 복수(9개)의 분초구(10)를 전단부에 구비하고 있고, 그 후방에 예취 조수에 대응한 복수(8개)의 기립 장치(11)와, 예취 대상이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12)와, 기립 자세의 예취 곡간을 서서히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로 하면서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종방향 반송 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9개의 분초구(10) 중, 가장 기체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분초구(10)는, 식립 곡간을 예취 대상과 예취 대상이 아닌 것으로 분초하여, 예취 대상 곡간을 그 분초구(10)에 인접하는 기립 경로에 도입시키고, 예취 대상이 아닌 곡간을 그 기립 경로의 횡방향 외측으로 안내한다. 그 밖의 분초구(10)는, 2개의 이식 조에 식립된 곡간을 그 분초구(10)의 양 옆측으로 분초하여 분초구(10)의 양 옆측의 기립 경로에 도입시킨다.
예취부(2)는, 좌측(미예취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4)보다 크게 좌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어, 미예취 곡간을 크롤러 주행 장치(4)에 의해 밟아 쓰러뜨릴 우려가 없어, 양호하게 예취 작업을 행할 수 있다(도 2, 도 6 참조).
〔기립 장치〕
도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장치(11)는, 하단부측이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단부측일수록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으로 쓰러지는 경사 상태의 기립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장치(11)는, 프레임을 겸용하는 기립 케이스(14)의 내부에, 상측에 위치하는 구동 스프로킷(15), 긴장용 스프로킷(16) 및 하측에 위치하는 종동 스프로킷(17) 각각에 걸쳐 권회되는 무단 회전 체인(18)이 구비되고, 그 무단 회전 체인(18)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기립 갈고리(19)가 구비되어 있다. 기립 갈고리(19)는, 기립 자세와 쓰러진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무단 회전 체인(18)에 지지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기립 장치(11)의 상부끼리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 구동축(20)이 구비되어 있다. 이 기립 구동축(20)으로부터의 동력이 중계 전동 케이스(21) 내에 구비된 기어 연동식 중계 전동축(22)을 통해 구동 스프로킷(15)에 동력이 전달된다. 기립 구동축(20)은 단면 형상이 육각형이며, 각형 끼워 맞춤 상태에서 연동용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립 장치(11)는, 기립 갈고리(19)가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기립 작용 경로(H1)와, 기립 갈고리(19)가 퇴피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비작용 복귀 경로(H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무단 회전 체인(18)의 좌우 양측의 상하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가 기립 작용 경로(H1)로서 설정되고, 반대측이 비작용 복귀 경로(H2)로서 설정되어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기립 작용 경로(H1)에 있어서는, 무단 회전 체인(18)이 통과하는 개소에 기립 갈고리(19)를 기립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기립 장치(11)는, 기립 작용 경로(H1)끼리가 근접함과 함께, 비작용 복귀 경로(H2)끼리가 근접하는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기립 장치(11)는, 기립 작용 경로(H1)에 있어서 기립 갈고리(19)가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즉, 분리 접촉하는 기립 장치(11)끼리는, 무단 회전 체인(18)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기립 장치(11)는, 기립 작용 경로(H1)에 있어서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기립 갈고리(19)가 곡간에 쓸어올림 작용하면서 상승 이동하여, 상승 종단부에 도달하면, 곡간으로부터 빠져 기립 케이스(14)의 비작용 복귀 경로(H2)를 하강하여 기립 작용 경로(H1)측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각 기립 장치(11)는, 기립 경로에 도입된 식립 곡간을, 상승 이동하는 기립 갈고리(19)에 의해 기립 처리한다.
〔절단 장치〕
절단 장치(12)는, 모든 예취 대상조(8조)의 식립 곡간에 작용하도록 좌우 방향(예취 폭 방향에 대응함)의 전체 폭에 걸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지 구조의 바리캉형 예취날로 구성되어 있다. 절단 장치(12)는, 8조의 예취조 중, 좌측 2조의 예취조에 작용하는 좌측 절단부(12A)와, 우측 6조의 예취조에 작용하는 우측 절단부(12B)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우측 절단부(12B)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절단부(12B)는, 좌우 방향으로 병설된 2분할된 2세트의 바리캉형 예취날(25)과, 2세트의 예취날(25)을 각각 구동하는 좌우의 예취날 구동 기구(26)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예취날(25)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이(27a)가 병설된 고정날(27)과, 이 고정날(27)의 상측에 미끄럼 접촉하는 상태로 다수의 이(28a)가 병설된 가동날(28)과, 고정날(27)을 받아내어 지지하는 받침대(29)와, 가동날(28)의 부상을 방지하는 복수의 나이프 클립(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각 가동날(28)의 외측으로 치우친 부근에 가동날 조작체(31)를 구비하고, 이 가동날 조작체(31)에 작용하는 예취날 구동 기구(26)의 구동에 의해, 가동날(28)을 고정날(27)에 대해 기체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날 조작체(31)에는 평면에서 보아 U자 형상의 걸림 홈(32)을 구비하고 있다. 예취날 구동 기구(26)는, 가동날 조작체(31)의 걸림 홈(32)에 걸리는 조작 롤러(33)를 일단부에 구비한 아암(34), 이 아암(34)의 타단부에 일단부측이 연결된 연동 로드(35), 이 연동 로드(35)의 타단부측에 연결된 크랭크 아암으로서 기능하는 구동 회전체(3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회전체(36)의 회전 구동력을 왕복 동력으로 변환하여 가동날(28)을 좌우 왕복 구동시킨다.
가동날(28)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구동시킴으로써, 가동날(28)과 고정날(27)의 협동에 의해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한다. 좌우 양측의 예취날(25)에 있어서의 각각의 가동날(28)은 서로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가동날(28)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되는 진동을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예취날(25)에 있어서의 좌우 중간의 맞댐부에는, 좌우 양측의 가동날(28)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측의 고정날(37)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맞댐부에서는, 고정날(37)이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맞댐 개소에 있어서, 진애가 고정날(37)과 가동날(28)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부측의 고정날(37)은, 좌우의 예취날(25)에 각각 개별로 구비되어 있다.
좌측 절단부(12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절단부(12A)는, 우측 절단부(12B)에 있어서의 예취날(25)과 마찬가지의 구성의 바리캉형 예취날(38)과, 그 예취날(38)을 구동시키는 예취날 구동 기구(39)(다른 동력 전달부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날(38)은, 예취 조수가 상이한 점 이외에는, 우측 절단부(12B)의 예취날(25)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취날 구동 기구(39)에 대해서도, 우측 절단부(12B)의 예취날 구동 기구(2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좌측 절단부(12A)와 우측 절단부(12B)는, 각각 개별로, 예취날 구동 기구(26, 39)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 절단부(12B)에 있어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예취날(25)과, 좌측 절단부(12A)의 예취날(38)의 맞댐부에는, 우측 절단부(12B)에 있어서의 맞댐부와 마찬가지로, 가동날(28)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측의 고정날(3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상부측의 고정날(37)은, 우측 절단부(12B)에 있어서의 좌측 예취날(25)과 좌측 절단부(12A)의 예취날(38)에 각각 개별로 구비되어 있다. 좌측 절단부(12A)의 예취날(38)에 있어서의 가동날(28)은, 우측 절단부(12B)에 있어서의 좌측 예취날(25)에 있어서의 가동날(28)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절단부(12A)와 우측 절단부(12B)는, 가동날(28), 고정날(27), 받침대(29) 각각이, 각각 개별로 형성되어 있고, 맞댐 상태에서는 근접하여 나열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후술하는 수납 상태(절첩 상태)에서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종방향 반송 장치〕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방향 반송 장치(13)는, 예취 곡간을 2조분씩 모으면서 후방으로 긁어 모으는 복수의 긁어 모음부(40), 우측으로부터 1번째 조와 2번째 조의 2조분의 예취 곡간을 좌측 후방측의 합류 개소로 반송하는 제1 중간 반송부(41), 우측으로부터 3번째 조와 4번째 조의 2조분의 예취 곡간을 후방측의 합류 개소로 반송하는 제2 중간 반송부(42), 우측으로부터 5번째 조와 6번째 조의 2조분의 예취 곡간을 합류 개소로 반송하는 제3 중간 반송부(43), 우측으로부터 7번째 조와 8번째 조의 2조분, 즉, 좌측 단부 2조분의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제4 중간 반송부(44), 제4 중간 반송부(44)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이어받아 합류 개소로 반송하는 본 발명에 관한 곡간 반송 장치로서의 좌측 합류 반송부(45), 합류 개소에서 합류한 8조의 예취 곡간을 탈곡 피드 체인(8)의 시단부까지 반송하는 공급 반송부(46), 제1 중간 반송부(41)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 및 합류 개소에서 합류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작용하여 이삭 끝측을 걸어 안내하는 제1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47)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긁어 모음부(40)는, 절단 장치(12)의 상방 부근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위치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곡간 긁어 모음용 회전식 패커(48, 49)(외형이 대략 별 형상으로 형성된 긁어 모음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와, 그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돌기를 갖는 무단 회전 벨트로 이루어지는 상측 긁어 모음 장치(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긁어 모음부(40)가 좌우 방향(예취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4세트 구비되어 있다.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는, 절단 장치(12)에 의해 예취 처리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한 쌍의 패커(48, 49) 사이로 긁어 모아 패커 사이로부터 기체 후방을 향해 송출한다. 이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는, 한 쌍의 패커(48, 49) 중 어느 한쪽의 패커(48)가 동력 전달되는 구동측 패커로서 구성되고, 다른 쪽의 패커(49)가 구동측 패커(48)에 맞물려 종동하는 종동측 패커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측 긁어 모음 장치(52)에 있어서의 한 쌍의 무단 회전 벨트(51)는, 좌우의 패커(48, 49)로부터 각각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걸림 반송에 의해 긁어 모아 후방으로 송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 및 우측으로부터 3번째의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 및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중간 반송부(41)는, 가장 우측의 긁어 모음부(4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면서 좌측 후방측을 향해 반송하는 제1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53)와, 제1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47)의 전반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53)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무단 회전 체인에 대향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구비되고, 무단 회전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제1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47)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걸림 돌기를 갖는 무단 회전 체인(57)과, 예취 곡간의 이삭 끝부를 적재하면서 안내하는 이삭 끝 안내판(58)(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무단 회전 체인(57)에 소정 피치를 두고 걸림 돌기(59)가 구비되고, 무단 회전 체인(57)이 회전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면서, 또한 예취 곡간의 이삭 끝부를 이삭 끝 안내판(58)에 의해 적재 안내하면서 좌측 후방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47)의 후반 부분은, 합류 개소에서 합류된 8조분의 예취 곡간에 대한 이삭 끝측의 걸림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중간 반송부(42)는, 우측 단부로부터 2번째의 긁어 모음부(4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제2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1)와,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면서 후방측을 향해 반송하는 제2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6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1)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무단 회전 체인에 대향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구비되고, 무단 회전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제2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62)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걸림 돌기를 갖는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무단 회전 체인이 회전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제3 중간 반송부(43)는, 우측 단부로부터 3번째의 긁어 모음부(4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제3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7)와,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면서 후방측을 향해 반송하는 제3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68)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7)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무단 회전 체인에 대향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구비되고, 무단 회전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제3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68)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걸림 돌기를 갖는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무단 회전 체인이 회전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제4 중간 반송부(44)는, 가장 좌측의 긁어 모음부(4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면서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제4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4)와,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면서 후방측을 향해 반송하는 제4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5)를 구비하고 있다.
제4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4)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무단 회전 체인에 대향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구비되고, 무단 회전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
제4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5)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걸림 돌기를 갖는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무단 회전 체인이 회전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좌측 합류 반송부(45)는, 제4 중간 반송부(44)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이어받아, 밑동을 끼움 지지하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좌측 합류용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7)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면서 후방측을 향해 반송하는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좌측 합류 반송부(45)는, 반송 도중에, 제3 중간 반송부(43)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합류시킨다. 제4 중간 반송부(44)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 및 제3 중간 반송부(43)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제1 중간 반송부(41) 및 제2 중간 반송부(42)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과 합류시키는 합류 개소까지 반송한다. 그 결과, 좌측 합류 반송부(45)는, 긴 반송 경로를 구비하는 대형의 반송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합류용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7)는, 밑동측 구동륜으로서의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과, 다른 안내륜으로서의 3개의 종동 스프로킷(77B)과, 그것들에 걸쳐 권회된 밑동측 무단 회전대로서의 밑동측 무단 회전 체인(77C)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밑동측 무단 회전 체인(81)에 대향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구비되고, 밑동측 무단 회전 체인(81)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는, 이삭 끝측 구동륜으로서의 이삭 끝측 구동 스프로킷(78A)과, 다른 안내륜으로서의 2개의 종동 스프로킷(78B)과, 그것들에 걸쳐 권회된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로서의 걸림 돌기를 갖는 이삭 끝측 무단 회전 체인(78C)을 구비하고 있다. 이삭 끝측 무단 회전 체인(78C)이 회전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면서, 후방측의 합류 개소로 반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중간 반송부(41), 제2 중간 반송부(42), 제3 중간 반송부(43) 및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은, 합류 개소에서 합류한 후, 공급 반송부(46)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반송부(46)는, 합류 개소에서 합류한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탈곡 피드 체인(8)을 향해 반송하는 훑기 깊이용 반송 장치(84)와, 그 훑기 깊이용 반송 장치(84)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8)의 시단부에 예취 곡간을 전달하는 전달 공급 장치(85)를 구비하고 있다. 훑기 깊이용 반송 장치(84) 및 전달 공급 장치(85)는 모두, 복수의 스프로킷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무단 회전 체인에 대향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구비되고, 무단 회전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훑기 깊이용 반송 장치(84)는, 반송 시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반송 종단부측이 볏짚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합류 개소로부터 이어받은 예취 곡간을 볏짚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하여, 탈곡 장치(6)에 대해 들어가는 깊이를 변경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예취부(2)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2)는, 지지 프레임체(F)에 의해 전체가 지지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심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기체측의 지지대(9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F)는, 이하에 설명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2) 전체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 형상의 지지 프레임(9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91)은, 후방 상부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횡방향의 피봇 지지부(92)(도 19 참조)가 기체측의 지지대(90)에 횡축심 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91)은, 지지대(90)로부터 기체 전방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91)의 전단부에 좌우 방향, 즉 예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후방부 횡프레임(93)이 연결되어 있다. 이 후방부 횡프레임(93)의 기체 가로 폭 방향 양단부에, 기체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좌우 양측의 분초 프레임(94)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좌우 양단부의 분초 프레임(94)의 전후 도중부끼리에 걸쳐 가설되는 상태에서, 기체 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 형상의 중간부 횡프레임(95)(횡방향 프레임의 일례)이 연결되어 있다. 절단 장치(12)는, 이 중간부 횡프레임(95)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 양단부의 분초 프레임(94)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초 프레임(94)이 구비되고, 그것들 중간부의 분초 프레임(94)은 후단부가 중간부 횡프레임(95)에 연결되고, 기체 전방을 향해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94)은 합계 9개 구비되고, 각 분초 프레임(94)의 전단부에는 각각 분초구(10)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횡프레임(93)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원통 형상의 좌측 상하 방향 프레임(96)이 연장되어 있다. 후방부 횡프레임(93)의 우측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봉 형상의 우측 상하 방향 프레임(97)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상하 방향 프레임(96)의 상단부와 우측 상하 방향 프레임(97)의 상단부에 걸쳐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이 연결되어 있다. 이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은, 8개의 기립 장치(11) 각각의 상단부끼리에 걸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각 기립 장치(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8개의 기립 장치(11)는 각각, 상측이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에 연결되고, 하측이 분초 프레임(94)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 기립 장치(11)는,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과 분초 프레임(94)을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기능한다.
각 기립 장치(11)는, 상세하게는 서술하지 않지만, 중계 전동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에 대해 횡방향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94)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면, 기립 장치(11) 전체를 횡방향 축심 주위로 회전시켜, 예취부(2)의 전방부를 크게 개방시킬 수 있다.
기립 장치(11)를 요동 개방시키면,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에 하중이 가해지므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과 분초 프레임(94)을 연결하는 종방향의 보조 연결 로드(100)가 복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종방향 반송 장치(13)의 상방을 우회하는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91)의 상단부와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의 횡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상부 우회 프레임(101)이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 종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예취부(2)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 프레임체(F)에 있어서는, 기체 가로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94)과, 좌우의 상하 방향 프레임(96, 97)과, 기체 가로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기립 장치(11)가, 기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것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기체 가로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강고한 지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 구조〕
다음으로, 예취부(2)에 대한 전동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출력을 예취용 무단 변속 장치(102)에 의해 변속한 후의 동력이, 지지 프레임(91)의 피봇 지지부(92)(도 19 참조)의 내부에 구비된 횡방향 전동축(103)에 전달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전동축(103)으로부터 지지 프레임(91)의 내부에 구비된 전후 방향의 입력축(104)을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상술한 변속 후의 동력이, 전후 방향의 입력축(104)으로부터 후방부 횡프레임(93)의 내부에 구비된 횡방향의 동력 전달축(105)에 전달된다. 이 동력 전달축(105)은, 예취부(2)의 예취 폭 방향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 동력 전달축(105)의 양 측단부 및 좌우 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분기부(106)를 통해, 절단 장치(12)의 우측 절단부(12B)의 2세트의 예취날(25)과 좌측 절단부(12A)의 1세트의 예취날(38)에 각각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동력 전달축(105)의 도중의 분기부(107)로부터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동력이 전달되고, 동력 전달축(105)의 좌측에 구비된 분기부(108)로부터 좌측 상하 방향 프레임(96)의 내부에 구비된 종방향의 중계축으로서의 종방향 전동축(109)을 경유하여, 8개의 기립 장치(11), 제4 중간 반송부(44) 및 가장 좌측의 긁어 모음부(40)의 각각에 동력이 전달된다.
다음으로, 좌측 합류 반송부(45)의 구동 구조에 대해 설명을 추가한다.
도 6, 도 7, 도 8,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있어서는, 좌측 합류용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7)의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과,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의 이삭 끝측 구동 스프로킷(78A)이,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상이한 개소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합류용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7)는, 반송 상류측에 1개의 종동 스프로킷(77B)이 위치하고, 반송 하류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2개의 종동 스프로킷(77B)이 위치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 합계 3개의 종동 스프로킷(77B)이 구비되고, 그것들에 걸쳐 밑동측 무단 회전 체인(77C)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반송 상류측의 종동 스프로킷(77B)과, 반송 하류측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종동 스프로킷에 걸치는 긴장 설치 개소에 걸림 작용하는 1개의 구동 스프로킷(77A)이 구비되어 있다.
밑동측 무단 회전 체인(77C)은, 반송 상류측의 종동 스프로킷(77B)과 반송 하류측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종동 스프로킷(77B)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되는 개소에서,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반송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77A)은 예취 곡간에 대해 반송 작용하지 않는 복귀 경로의 도중부에 맞물려 연동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77A)의 양측에는, 구동 스프로킷(77A)의 권취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 스프로킷(77D)이 구비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는, 반송 상류측에 1개의 종동 스프로킷(78B)이 위치하고, 반송 하류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1개의 종동 스프로킷(78B)과 구동 스프로킷(78A)이 위치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 합계 3개의 스프로킷(78A, 78B)에 이삭 끝측 무단 회전 체인(78C)가 권회되어 있다.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는, 반송 상류측의 스프로킷(78B)과 반송 하류측 중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스프로킷(78B)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되는 개소에서, 예취 곡간을 걸어 반송하는 반송 경로(Q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상류측의 스프로킷(78B)과 반송 하류 종단부측 중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구동 스프로킷(78A)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되는 개소에는, 예취 곡간의 걸림 반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반송 경로의 시단부로 복귀되는 복귀 경로(Q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반송 지지체(78D)를 구비하고, 구동 스프로킷(78A) 및 2개의 종동 스프로킷(78B)은 각각, 반송 지지체(78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삭 끝측 무단 회전 체인(78C)은, 반송 지지체(78D)의 상면측에 구비되어 있다.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과 이삭 끝측 구동 스프로킷(78A)에 걸쳐 설치되고,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과 이삭 끝측 구동 스프로킷(78A) 사이에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중계용 동력 전달 기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구(130)는,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을 구동하는 구동축(131)과 동일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구동측 회전체로서의 중계용 구동 스프로킷(132), 이삭 끝측 구동 스프로킷(78A)을 구동하는 구동축(133)과 동일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종동측 회전체로서의 중계용 종동 스프로킷(134) 및 중계용 구동 스프로킷(132)과 중계용 종동 스프로킷(134)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대로서의 중계용 무단 회전 체인(135)을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130)는, 반송 지지체(78D)의 하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을 구동하는 구동축(131)은, 동력 전달축(105)의 도중의 분기부(107)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밑동측 구동 스프로킷(77A)이 외부 끼움 장착된다. 구동축(131)은, 반송 지지체(78D)의 하면측에 이르기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반송 지지체(78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축(131)에 중계용 구동 스프로킷(132)이 장착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삭 끝측 구동 스프로킷(78A)을 지지하는 구동축(133)은, 반송 지지체(78D)를 삽입 관통하여 반송 지지체(78D)의 하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구동축(133)의 반송 지지체(78D)보다 하방측으로의 돌출 부분에 중계용 종동 스프로킷(1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지지체(78D)의 하면측에 있어서, 중계용 구동 스프로킷(132)과 중계용 종동 스프로킷(134)에 걸쳐 중계용 무단 회전 체인(135)이 권회 긴장 설치되어 있다. 중계용 무단 회전 체인(135)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식 타이트너(136)가 구비되어 있다. 타이트너(136)는, 일단부측이 반송 지지체(78D)의 하면측에 고정된 핀(136a)에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수용체(136b)에 접촉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구(130)는,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에 있어서의 복귀 경로(Q2)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130)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휘감김 방지 커버(14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김 방지 커버(140)는, 동력 전달 기구(130)에 있어서의 중계용 종동 스프로킷(134)이 구비되는 반송 종단부측을 덮는 후방부측 개소가 단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계용 구동 스프로킷(132)이 구비되는 반송 시단부측을 덮는 전방부측 개소가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는, 반송 시단부가 전방 하방측에 위치하고, 반송 종단부가 후방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휘감김 방지 커버(140)의 후방부측 개소가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짚 부스러기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대략 U자형으로 형성하여 외측에 면하는 개소를 넓게 덮도록 하고 있다.
휘감김 방지 커버(140)의 전방부측 개소는, 좌측면(141)이 동력 전달 기구(130)의 좌측 횡방향 외측의 대략 전역을 덮도록 폭넓게 형성되고, 또한 중계용 무단 회전 체인(135)의 외측에 면하는 개소를 하측으로부터도 덮도록 폭이 좁은 하면(142)을 구비하여,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개소는, 타이트너(136)에 대한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및 침입한 진애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크게 개방시키고 있다.
휘감김 방지 커버(140)는, 반송 지지체(78D)의 하면측에 복수 개소가 볼트 연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감김 방지 커버(140)의 후방부측 개소의 우측부(안쪽)에는, U자 형상의 노치(143)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지지체(78D)에 있어서의 노치(143)가 대응하는 개소에는, 브래킷(144)이 일체 연결되고, 이 브래킷(144)에 볼트(146)가 미리 장착된다. 노치(143)에 볼트(146)가 들어가도록, 하방측으로부터 휘감김 방지 커버(140)를 장착하여, 외측으로부터 볼트(146)를 체결할 수 있다.
휘감김 방지 커버(140)의 좌측면(141)의 전단부측 개소 및 후단부측 개소에는, 각각 볼트(148)가 미리 장착된다. 반송 지지체(78D)에 있어서의 볼트(148)가 대응하는 개소에는, 브래킷(149)이 일체 연결되고, 이 브래킷(149)에 U자 형상의 노치(150)가 형성되어 있다. 미리 장착되어 있는 볼트(148)가 노치(150)에 들어가도록, 하방측으로부터 휘감김 방지 커버(140)를 장착하여, 외측으로부터 볼트(148)를 체결할 수 있다.
즉, 휘감김 방지 커버(140)는, 3개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 볼트(146, 148)가 노치(143, 150)에 들어가도록 반송 지지체(78D)의 하방측으로부터 장착시켜, 볼트(146, 148)를 체결함으로써 반송 지지체(78D)에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전동축(109)의 상하 도중으로부터 동력이 분기되어, 제4 중간 반송부(44)에 동력이 전달되고, 제4 중간 반송부(44)로부터 가장 좌측(우측으로부터 4번째)의 긁어 모음부(40)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을 따라 좌우 방향의 전체 폭에 걸치는 상태에서, 기립 장치(11)의 상부끼리에 걸치는 횡방향의 기립 구동축(2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종방향 전동축(109)으로부터의 동력이, 기어 시프트식 기립 변속 기구(110)에 의해 변속된 후, 기립 구동축(20)에 전달된다. 기립 구동축(20)으로부터 8개의 기립 장치(11) 각각에 동력이 전달된다.
기립 변속 기구(110)는, 상세하게는 서술하지 않지만,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조작 축(110A)을 조작함으로써, 저속, 중속, 고속의 3단계로 전환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5)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 변속 조작구(도시하지 않음)가 링크 기구(111)를 통해 조작 축(110A)에 연동 연계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111)는, 기립 변속 기구(110)의 전동 케이스(110B)의 하부에 전후 축심 P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L자형의 요동 링크(111A)와, 요동 링크(111A)의 상단부와 변속 조작구를 연동 연결하는 푸시풀 로드(111B)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04)의 전동 도중부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3세트의 긁어 모음부(40), 제1 중간 반송부(41), 제2 중간 반송부(42), 제3 중간 반송부(43), 공급 반송부(46) 각각에 동력이 전달된다. 제1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47)에 있어서의 무단 회전 체인(57)에 대해서는, 횡방향 전동축(103)으로부터 동력 전달된다.
입력축(104)의 전동 도중부에 설치된 제1 분기부(112)에서 제1 분기 전동축(113)에 동력이 분기 전달되고, 그 제1 분기 전동축(113)으로부터 제2 중간 반송부(42)에 있어서의 제2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1) 및 제2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62) 각각에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제2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1)의 동력이 우측으로부터 2번째 긁어 모음부(40)에 전달된다.
제1 분기 전동축(113)의 도중부로부터 제2 분기 전동축(114)에 동력이 분기되고, 제2 분기 전동축(114)으로부터 제3 중간 반송부(43)에 있어서의 제3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7) 및 제3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68) 각각에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제3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67)의 동력이 우측 단부로부터 3번째 긁어 모음부(40)에 전달된다.
입력축(104)의 전동 도중부에 설치된 제2 분기부(117)에서 제3 분기 전동축(118)과 제4 분기 전동축(119)에 동력이 분기되고, 제3 분기 전동축(118)으로부터 제1 중간 반송부(41)에 있어서의 제1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53)에 동력이 전달되고, 제1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53)의 동력이 가장 우측의 긁어 모음부(40)에 전달된다. 제4 분기 전동축(119)으로부터 훑기 깊이용 반송 장치(84)로 동력이 전달된다.
〔예취부 분할 구조〕
예취부(2)는, 예취 폭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대해 자세 변경하여, 가로 폭이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폭보다 짧은 수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좌측 2조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방측 분할 예취부(2A)를 구성하고, 우측 6조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타방측 분할 예취부(2B)를 구성하고,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일련으로 나열되는 상태(도 1∼도 4, 도 6 참조)(통상 사용 상태에 대응)와,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의 전방면과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전방면이 대향하는 상태에서 겹쳐져 수납되는 상태(도 5, 도 7 참조)(수납 상태에 대응)에 걸쳐, 상하 방향 축심 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예취 폭 방향에 있어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 사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종방향 자세의 회전 지지축(지지 핀)이 구비되고,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대해 회전 지지축의 상하 방향 축심 X 주위로 회전하여, 예취부(2)는 통상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로 전환된다.
설명을 추가하면, 예취부(2)는, 상하 방향 축심 X 주위에서, 기립 장치(11), 절단 장치(12) 및 종방향 반송 장치(13) 각각이 일체적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측 단부로부터 6번째 기립 장치(11)와 7번째 기립 장치(11) 사이에 회전용 축심 X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단부로부터 6번째 기립 장치(11)와 7번째의 기립 장치(11)는, 비작용 복귀 경로(H2)끼리가 근접하는 상태에서 인접하므로, 그들 사이에 설정된 축심 X 주위로 회전시켜 절첩하면, 기립 갈고리(19)끼리가 간섭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다.
좌측 절단부(12A)와 우측 절단부(12B)는, 각각, 가동날(28) 및 고정날(27) 뿐만 아니라 받침대(29)도 각각 개별로 형성되어 있어, 그것들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종방향 반송 장치(13)는,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에 대응하는 일방측 반송부(13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대응하는 타방측 반송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중간 반송부(44) 및 가장 좌측의 긁어 모음부(40)가 일방측 반송부(13A)에 대응하고 있고, 그 이외의 반송용 장치, 즉, 좌측 합류 반송부(45), 우측에 위치하는 3세트의 긁어 모음부(40), 제1 중간 반송부(41), 제2 중간 반송부(42), 제3 중간 반송부(43), 공급 반송부(46) 각각이, 타방측 반송부(13B)에 대응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좌측의 긁어 모음부(40)로부터 긁어 모아져, 제4 중간 반송부(44)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된 좌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은,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의한 수취 위치까지 반송되고, 그 후에는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의해 합류 개소를 향해 반송된다. 따라서, 일방측 반송부(13A)(제4 중간 반송부(44) 및 가장 좌측의 긁어 모음부(40))는, 타방측 반송부(13B)에 의해 반송되는 위치(수취 위치)까지 독립적으로 예취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제4 중간 반송부(44)에 있어서의 제4 중간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4)는,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있어서의 좌측 합류용 밑동 끼움 지지 반송 장치(77)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일부 중복되도록, 하방측으로 들어가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4 중간 반송부(44)에 있어서의 제4 중간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는, 좌측 합류 반송부(45)에 있어서의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일부 중복되도록, 하방측으로 들어가는 상태로 설치된다.
후방부 횡프레임(93)은,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분리 개소에 대응하는 경계부에 있어서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그것들을 분리 가능하게 플랜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상태에서는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고,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일체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부 횡프레임(95)은,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분리 개소에 대응하는 경계부에 있어서, 예취 폭 방향을 따라 일방측 프레임체(95A)와 타방측 프레임체(95B)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상태에서는 일방측 프레임체(95A)와 타방측 프레임체(95B)가 분리되고,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일방측 프레임체(95A)와 타방측 프레임체(95B)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부(2)의 지지 프레임체(F)는, 기체 가로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분초 프레임(94), 상하 방향 프레임(96, 97) 및 기립 장치(11)가 기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것들이 연결됨으로써, 강고한 지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지지 프레임체(F)를, 상기한 분리 개소에서 분리해도, 일방측 분할 예취부(2A) 및 타방측 분할 예취부(2B) 각각에 있어서, 강고한 프레임 구조체가 형성되어, 지지 강도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취부(2)의 지지 프레임체(F)에 있어서의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에 대응하는 일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와, 다른 예취부 분할체에 대응하는 타방측 분할 지지 프레임체(FB)는, 기립 장치(11)의 경사면과 평행하고, 또한 기립 장치(11)보다 기체 전방측에 설정되어 있는 축심 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4∼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 및 타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B) 각각에 있어서, 분할 개소의 근방에,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과 분초 프레임(94)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용 프레임(121, 122)이 구비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B)측의 연결용 프레임(121)은, 상하 방향에 걸쳐 연장되어,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의 분할 개소와, 우측 단부로부터 7번째 분초 프레임(9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용 프레임(121)은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프레임(121)의 상부측 개소는, 측면에서 보아 기립 장치(11)의 기립 케이스(14)의 전방면과 대략 평행한 후방 상향 경사 상태의 기립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의 연결용 프레임(122)은 상하 방향에 걸쳐 연장되고,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의 분할 개소와, 후방부 횡프레임(93)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전후 방향 지지 로드(12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전후 방향 지지 로드(123)의 전단부와 상부측 횡방향 프레임(98)이 종방향 보조 연결 로드(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지지 로드(123)가 전후 방향 프레임에 대응하고 있고, 종방향 보조 연결 로드(124)에 의해, 상기 연결용 프레임(122)에 대한 지지 강도의 보강이 행해져 있다.
일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에 구비되는 연결용 프레임(122)도, 타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측의 연결용 프레임(121)과 마찬가지로,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측 개소는, 측면에서 보아 기립 장치(11)의 기립 케이스(14)의 전방면과 대략 평행한 후방 상향 경사 상태의 기립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연결용 프레임(121, 122)에는 각각, 일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를 타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B)에 대해 상기 축심 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지지부는, 기립 장치(11)보다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축심 X가 기립 장치(11)의 경사면과 평행하고, 또한 기립 장치(11)보다 기체 전방측에 설정되어 있다.
도 17, 도 18,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의 연결용 프레임(121)에는, 상하에 간격을 두고 2개소에, 브래킷(125)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축으로서의 상향의 지지 핀(126)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125)과 지지 핀(126)에 의해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4, 도 16,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의 연결용 프레임(122)에는, 상하의 지지 핀(126)이 끼움 삽입되는 결합 구멍(127)이 형성된 측면에서 보아 L형의 결합 부재(128)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부재(128)가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 지지축으로서의 지지 핀(126)은, 기립 장치(11)보다 기체 전방측에 있어서, 기립 장치(11)의 전방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
결합 부재(128)의 결합 구멍(127)에 지지 핀(126)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합 부재(128)를 브래킷(125)에 의해 받아내어 지지함으로써, 타방측의 분할 지지 프레임체(FA)가 지지 핀(126)의 축심 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서는,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의 전방면과,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전방면이 대향하는 상태에서 겹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의 분초구(10)는,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타방측의 분초구(1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분리되어 있다.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에 구비되는 분초 프레임(94)과,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구비되는 분초 프레임(94)이, 수납 상태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예취 폭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됨과 함께, 측면에서 보아 중복되는 상태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동축 분할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후방부 횡프레임(93)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축(105)은, 예취 폭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측의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측의 타방측 축부(105B)로 분할 형성됨과 함께,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축 연결부로서의 맞물림식 클러치(105C)를 통해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가 일직선상으로 연속되는 상태에서 연동 연결되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로 분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0,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횡프레임(93)은,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분리 개소에 대응하는 경계부에 있어서, 일방측 프레임부(93A)와 타방측 프레임부(93B)로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각 프레임부(93A, 93B)가 축심 방향을 따라 플랜지 접속되어 있다. 일방측 프레임부(93A)의 플랜지부(170)에는, 그 접합면(171)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72)가 형성되고, 타방측 프레임부(93B)의 플랜지부(173)에는, 돌출부(172)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접합면(174)으로부터 주위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 홈(175)이 형성되어 있다. 접합 상태에서는, 돌출부(172)와 오목 홈(175)이 끼워 맞추어져 직경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동력 전달축(105)에 있어서의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의 접속 분리 개소에는, 축 단부에 서로 맞물려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맞물림 갈고리(176, 177)가 형성되어 있다. 타방측 축부(105B)의 맞물림 갈고리(176)는, 타방측 프레임부(93B)의 플랜지부(173)의 접합면(174)보다 축심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방측 축부(105A)의 맞물림 갈고리(177)는, 돌출부(172)의 돌출측 단부보다 축심 방향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세 변경에 수반하여 크게 이동하는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에 있어서, 일방측 축부(105A)의 맞물림 갈고리(177)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어, 다른 부품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일방측 프레임부(93A)와 타방측 프레임부(93B)가 플랜지부(170, 173)의 접합면(171, 174)끼리를 맞대고 볼트에 의해 연결되면, 일방측 축부(105A)의 맞물림 갈고리(176)와 타방측 축부(105B)의 맞물림 갈고리(177)가 맞물려 연동 상태로 된다. 일방측 프레임부와 타방측 프레임부의 플랜지 연결을 해제하면,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가 분리된다.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구동축(20)도 동력 전달축(105)과 마찬가지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의 분할 대응 개소에 있어서, 일방측 축부(20A)와 타방측 축부(20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측 축부(20A)와 타방측 축부(20B)가, 그것들에 걸쳐 외부 끼움 장착되는 단면 육각형의 모난 구멍을 갖는 전동용 통체(20C)를 통해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동용 통체(2C)는,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어 있다. 수납 상태에서는, 좌우 어느 한쪽의 축부(20A, 20B)로부터 전동용 통체(20C)를 빼 두고,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전동용 통체(20C)를,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좌우 양측의 축부(20A, 20B)에 모두 끼워 맞추어지는 연동 상태로 전환하여, 빠짐 방지 핀(20D)에 의해 축심 방향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통상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동력 전달축(105)과 기립 구동축(20)은 분리시킬 수 있다.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되면, 동력 전달축(105)은 분리되어 있는 좌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가 접근하여 맞물림식 클러치(105C)에 의해 연동 상태로 전환된다. 기립 구동축(20)은 전동용 통체(151)에 의해 연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가이드 기구〕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동력 전달축(105)의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를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160)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기구(160)는, 기립 장치(11)의 기체 후방부측이며 또한 절단 장치(12)의 기체 후방부측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기구(160)는, 중간부 횡프레임(95)의 일방측 프레임체(95A)와 타방측 프레임체(95B)의 접속 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기구(160)는,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의 축심 X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되므로,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 기능을 발휘할 때, 완만한 원호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안내할 수 있어, 무리 없이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5,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기구(160)는, 타방측 프레임체(95B)에 구비된 통 부재로서의 원통 형상의 보스 부재(161)와, 일방측 프레임체(95A)에 구비된 축 부재로서의 위치 결정 핀(162)을 구비함과 함께, 수납 상태로부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위치 결정 핀(162)이 보스 부재(161)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162)은, 일방측 프레임체(95A)의 전방부 측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 연결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162)은, 보스 부재(161)에 끼워 맞추어지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회전 지지축으로서의 지지 핀(126)의 축심 X(도 5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 즉, 기체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 핀(162)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162)은, 환봉 부재로 이루어지고, 일방측 프레임체(95A)에 있어서의 접속 개소에 대응하는 단부면으로부터 타방측 프레임체(95B)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측 단부(162a)가 선단측일수록 순차 소직경으로 되도록 끝이 가느다란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스 부재(16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타방측 프레임체(95B)의 전방부 측면에 일체 연결되어 있고, 접속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핀(162)의 축심과 동일 축심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162)의 대직경부(162b)의 외경과 보스 부재(161)의 내경은, 덜걱거림이 적은 상태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162)이 보스 부재(161)에 끼움 삽입될 때, 기체적인 덜걱거림에 기인하여 위치 결정 핀(162)과 보스 부재(161)가 반경 방향으로 약간 위치 어긋남 되어 있어도, 돌출측 단부(162a)의 테이퍼면이 보스 부재(161)에 접하여 서서히 위치 결정 핀(162)의 대직경부(162b)와 보스 부재(161)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되도록 안내된다. 위치 결정 핀(162)의 대직경부(162b)와 보스 부재(161)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되면, 동력 전달축(105)의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가 적정 연결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가 접근하여 맞물림식 클러치(105C)에 의해 연동 상태로 전환될 때, 일방측 축부(105A)와 타방측 축부(105B)가 회전 축심이 대략 일치하여 양호한 회전 구동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가이드 기구(160)의 안내 작용에 의해,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적정한 상태에서 위치 정렬되어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일방측 프레임체(95A)와 타방측 프레임체(95B)가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도 25,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측 프레임체(95A)의 하면측에 연결판(163)이 용접 고정되고, 그 연결판(163)이 타방측 프레임체(95B)의 하방측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연결판(163)의 연장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는 2개의 삽입 관통 구멍(1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측 프레임체(95B)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통 형상체(165)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연결판(163)의 하면측으로부터 삽입 관통 구멍(164) 및 통 형상체(165)의 내부를 통해 2개의 볼트(166)를 장착하고, 통 형상체(165)의 상측으로부터 너트(167)에 의해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일방측 프레임체(95A)와 타방측 프레임체(95B)가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160)가, 일방측 프레임체(95A)의 전방부 측면에 용접 고정된 위치 결정 핀(162)(축 부재)과, 타방측 프레임체(95B)의 전방부 측면에 용접 고정된 보스 부재(161)(통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일방측 프레임체(95A) 및 타방측 프레임체(95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체의 단부에, 다른 쪽 프레임체의 개구 단부에 직접적으로 끼움 삽입되어 결합되는 대형의 안내용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기립 장치(11)의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하 축심 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일방측 분할 예취부(2A)가, 횡방향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수납 상태와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의 분초구(10)는, 다른 분초구(1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거하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에 구비되는 분초 프레임(94)과,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구비되는 분초 프레임(94) 사이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의 예취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량을 크게 함으로써,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의 분초구(10)를 제거하는 일 없이, 수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3세트의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 중 중간에 위치하는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를, 다른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우측에 위치하는 3세트의 하측 긁어 모음 장치(50)는, 각 패커(48, 49)가 동일한 상하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조식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2)에 있어서의 좌측 2조분을 일방측 분할 예취부(2A)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방측 분할 예취부(2A)는, 2조분에 한정되지 않고, 1조 혹은 3조 이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조식 콤바인을 나타냈지만, 7조식이나 9조식 등이어도 되며, 예취 조수가 8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130)가, 무단 회전대로서 무단 회전 체인(135)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무단 회전대로서 무단 벨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130)로서는, 무단 회전대를 구비하는 구성 대신에, 기어 기구와 회전축을 구비한 축 전동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130)가 좌측 합류용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78)에 있어서의 복귀 경로(Q2)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반송 경로(Q1)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130)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권취 방지 커버(140)의 전방부측 개소가,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크게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권취 방지 커버(14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후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 대략 U자형의 형상으로 하여, 동력 전달 기구(130)의 전역을 폐색 상태로 덮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권취 방지 커버(140)를 구비하지 않고, 동력 전달 기구(130)를 개방 상태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조식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2)에 있어서의 좌측 2조분에 대응하는 절첩측의 일방측 분할 예취부(2A)와, 나머지 6조분에 대응하는 다른 타방측 분할 예취부(2B)에 절첩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일방측 분할 예취부(2A)는, 2조분에 한정되지 않고, 1조 혹은 3조 이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분할되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 예취부(2)가 모든 조에 걸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콤바인이어도 된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조식 콤바인을 나타냈지만, 7조식이나 9조식 등이어도 되며, 예취 조수가 8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8조식 등의 예취 조수가 많은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 전방부의 예취부에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2 : 예취부
2A : 일방측 분할 예취부
2B : 타방측 분할 예취부
11 : 기립 장치
12 : 절단 장치
13 : 반송 장치
45 : 곡간 반송 장치
77 : 밑동 반송 장치
77A : 밑동측 구동륜
77B : 다른 안내륜
77C : 밑동측 무단 회전대
78 : 이삭 끝 반송 장치
78A : 이삭 끝측 구동륜
78B : 다른 안내륜
78C :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
78D : 반송 지지체
95 : 횡방향 프레임
95A : 일방측 프레임체
95B : 타방측 프레임체
105 : 동력 전달축
105A : 일방측 축부
105B : 타방측 축부
105C : 축 연결부
126 : 회전 지지축
130 : 동력 전달 기구
131 : 구동축
132 : 구동측 회전체
133 : 구동축
134 : 종동측 회전체
135 : 무단 회전체
140 : 커버
160 : 가이드 기구
161 : 통 부재
162 : 축 부재
Q1 : 반송 경로
Q2 : 복귀 경로

Claims (17)

  1. 기체 전방부에, 예취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타방측 분할 예취부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해 자세 변경하여, 가로 폭이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폭보다 짧은 수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예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예취부에,
    예취 조수에 대응한 복수의 기립 장치와,
    예취 대상이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예취 폭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측의 일방측 축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의 타방측 축부로 분할 형성됨과 함께, 상기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축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일방측 축부와 상기 타방측 축부가 일직선상으로 연속되는 상태에서 연동 연결되고,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축부와 상기 타방측 축부로 분리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예취부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일방측 축부를, 상기 타방측 축부에 적정하게 연결되는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예취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에, 종방향 자세의 회전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에 대해 상기 회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고,
    상기 예취부는, 상기 통상 사용 상태와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되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축은, 상기 기립 장치보다 기체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전방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기립 장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기립 장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절단 장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에,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 및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중 한쪽에 구비된 통 부재와,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 및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중 다른 쪽에 구비된 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통 부재 및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통상 사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축 부재가 상기 통 부재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상기 일방측 축부를 상기 적정 연결 상태로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 부재 및 상기 통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상기 통상 사용 상태일 때, 상기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궤적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 부재 및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상기 통상 사용 상태일 때, 예취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의 접합면보다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예취 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의 경계부에 있어서, 예취 폭 방향을 따라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분리되고, 상기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의 접속 개소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예취 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의 경계부에 있어서, 예취 폭 방향을 따라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분리되고, 상기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의 접속 개소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예취 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일방측 분할 예취부와 상기 타방측 분할 예취부 사이의 경계부에 있어서, 예취 폭 방향을 따라 일방측 프레임체와 타방측 프레임체로 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분리되고, 상기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일방측 프레임체와 상기 타방측 프레임체의 접속 개소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예취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에 상기 절단 장치가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예취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에 상기 절단 장치가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예취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프레임에 상기 절단 장치가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3.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와, 상기 밑동 반송 장치의 상방에 설치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 장치와, 상기 밑동 반송 장치와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갖고, 상기 밑동 반송 장치 및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의해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밑동 반송 장치에, 동력이 입력되는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는 별도의 다른 안내륜과,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밑동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에 걸쳐 권회된 밑동측 무단 회전대가 구비되고,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동력이 입력되는 이삭 끝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과는 별도의 다른 안내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에 걸쳐 권회된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가 구비되고,
    상기 밑동측 구동륜은, 상기 밑동측 구동륜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과 상이한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밑동측 구동륜과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콤바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상기 밑동측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축과 동일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구동측 회전체와,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을 구동하는 구동축과 동일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종동측 회전체와, 상기 구동측 회전체와 상기 종동측 회전체에 걸쳐 권회된 무단 회전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의 이동 경로에,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걸어 반송하는 반송 경로와, 예취 곡간의 걸림 반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반송 경로의 시단부로 복귀되는 복귀 경로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복귀 경로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 및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판상의 반송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반송 지지체의 하면측에 지지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상기 이삭 끝측 구동륜 및 상기 이삭 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안내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이삭 끝측 무단 회전대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판상의 반송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반송 지지체의 하면측에 지지되고,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70066015A 2016-06-23 2017-05-29 콤바인 KR102430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4847A JP7045788B2 (ja) 2016-06-23 2016-06-23 コンバイン
JPJP-P-2016-124846 2016-06-23
JPJP-P-2016-124847 2016-06-23
JP2016124846A JP6740030B2 (ja) 2016-06-23 2016-06-23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75A true KR20180000675A (ko) 2018-01-03
KR102430801B1 KR102430801B1 (ko) 2022-08-10

Family

ID=6097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15A KR102430801B1 (ko) 2016-06-23 2017-05-29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0801B1 (ko)
CN (1) CN107535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4489B2 (ja) * 2018-12-21 2022-11-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733A (ja) 2000-09-28 2002-04-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取り穀稈搬送構造
JP2004275033A (ja) * 2003-03-13 2004-10-07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引起し装置
JP2010119369A (ja) * 2008-11-21 2010-06-03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0273611A (ja) * 2009-05-29 2010-12-09 Iseki & Co Ltd 刈取装置
JP2012085550A (ja) 2010-10-18 2012-05-10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多条刈りコンバイン
KR101693899B1 (ko) * 2008-10-31 2017-01-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329B2 (ja) * 1994-06-20 2003-05-1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FR2885483B1 (fr) * 2005-05-10 2007-06-15 Kuhn Sa Sa Faucheuse avec des ensembles de fauche repliables
JP4874702B2 (ja) * 2006-04-20 2012-02-15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0004841A (ja) * 2008-06-30 2010-01-14 Iseki & Co Ltd 多条刈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装置
JP5139900B2 (ja) * 2008-07-02 2013-02-06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刈り取り搬送構造
CN101884270B (zh) * 2009-05-15 2014-09-1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733A (ja) 2000-09-28 2002-04-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取り穀稈搬送構造
JP2004275033A (ja) * 2003-03-13 2004-10-07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引起し装置
KR101693899B1 (ko) * 2008-10-31 2017-01-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JP2010119369A (ja) * 2008-11-21 2010-06-03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0273611A (ja) * 2009-05-29 2010-12-09 Iseki & Co Ltd 刈取装置
JP2012085550A (ja) 2010-10-18 2012-05-10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多条刈り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5186A (zh) 2018-01-05
CN107535186B (zh) 2022-04-26
KR102430801B1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9570B2 (ja) コンバイン
JP6437361B2 (ja) コンバイン
JP2009240211A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への動力伝達装置
KR101749034B1 (ko) 콤바인의 예취부
KR20180000675A (ko) 콤바인
JP2006296441A (ja) コンバイン
JP7045788B2 (ja) コンバイン
JP2006262870A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4546893B2 (ja) コンバイン
JP7486369B2 (ja) コンバイン
JP2004275014A (ja) 刈取部の詰まり解除装置
KR20160115673A (ko) 콤바인
KR100688365B1 (ko) 콤바인
JP6740030B2 (ja) コンバイン
JP2008278802A (ja) コンバイン
JP2009011235A (ja) コンバイン
JP2008206461A (ja) コンバイン
JP2017153448A (ja) 結球野菜収穫機
JP200512458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の補助搬送装置
JP4054546B2 (ja) コンバイン
JP4844327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4171328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09011237A (ja) コンバイン
JP2010094082A (ja) コンバイン
JP2019146517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