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365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365B1
KR100688365B1 KR1020060020759A KR20060020759A KR100688365B1 KR 100688365 B1 KR100688365 B1 KR 100688365B1 KR 1020060020759 A KR1020060020759 A KR 1020060020759A KR 20060020759 A KR20060020759 A KR 20060020759A KR 100688365 B1 KR100688365 B1 KR 100688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conveyance
conveying
combine
confl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535A (ko
Inventor
가즈히꼬 니시다
료오스께 히라이
야스히꼬 가따야마
다모쯔 소야
마사루 이께다
도모야 마쯔바야시
유끼 후꾸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938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12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938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068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241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468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71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957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7000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예취부의 전방부에 복수의 기립 장치를 좌우로 병렬 배치하는 동시에, 소정의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 콤바인에 있어서, 기립 장치를 요동시킨 유지 보수 작업을 한층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한다.
인접하는 복수의 기립 장치(13)를 일체로 하여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예취부, 기립 장치, 콤바인, 가이드 레버, 반송 체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도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예취부의 평면도.
도3은 중계 반송 기구의 평면도.
도4는 중계 반송 기구의 종단 배면도.
도5는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개방한 예취부의 측면도.
도6은 기립 장치 구동 구조의 종단 측면도.
도7은 기립 장치 구동 구조의 종단 정면도.
도8은 기립 장치의 배면도.
도9는 기립 장치 고정용 결합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O은 기립 장치 구동용 구동 스프로킷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통상 구동시의 정면도, (b)는 기립 장치 들어올림시의 정면도.
도11은 예취 장치 구동 구조의 전체 평면도.
도12는 예취 장치 구동 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은 예취 장치 구동 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4는 다른 제1 실시 형태의 합류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15는 유지 보수용으로 위치 이동시킨 합류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16은 유지 보수용으로 위치 이동시킨 합류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17은 합류 반송 장치의 위치 이동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8은 다른 제2 실시 형태의 합류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19는 유지 보수용으로 위치 이동시킨 합류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20은 다른 제2 실시 형태의 합류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이삭끝 반송 기구의 평면도.
도21은 유지 보수용으로 위치 이동시킨 이삭끝 반송 기구의 평면도.
도22는 기립 장치 고정용 결합 로크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3은 기립 장치 고정용 결합 로크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4는 결합 로크 기구의 정면도.
도25는 결합 로크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6은 결합 로크 기구의 평면도.
도27은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개방한 예취부의 측면도.
도28은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개방한 예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9는 융통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0은 융통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예취부
13 : 기립 장치
17 : 합류 반송 장치
17A : 밑둥부 반송 기구
17B : 이삭끝 반송 기구
17c :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
17d : 협지 레일
17f : 반송 체인
17g : 가이드 레버
18 : 합류 반송 장치
18A : 밑둥부 반송 기구
18B : 이삭끝 반송 기구
18c :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
18d : 협지 레일
18f : 반송 체인
18g : 가이드 레버
19 : 합류 반송 장치
19a : 밑둥부 반송 기구
19b : 이삭끝 반송 기구
19c :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
19d : 협지 레일
19f : 반송 체인
19g : 가이드 레버
20 : 공급 반송 장치
31 : 구동 스프로킷
34 : 구동 스프로킷축
35 : 카운터축
41 : 기립 구동축
48 : 분초 프레임
50 : 결합 로크 기구
55 : 분초구
C : 합류 반송 경로
L : 합류 반송 경로
R : 합류 반송 경로
Q : 축심
α : 들어올림 각도
s : 회전 융통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1006호 공보
본 발명은 예취부의 전방부에 복수의 기립 장치를 좌우로 병렬 배치하는 동시에, 소정의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자탈형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기립 장치에서 소정의 자세로 기립한 복수조의 곡식 줄기를 예취하고, 곡식 줄기를 예취 폭의 중간 부위로 합류 반송한 후, 공급 반송 장치로 송입하고, 공급 반송 장치에서 후방으로 반송한 옆으로 쓰러진 자세의 곡식 줄기를 탈곡 장치에 구비된 이송 체인의 시단부에 전달하여 공급하는 곡식 줄기 반송 형태가 채용되어 있다.
상기 곡식 줄기 반송 형태에 있어서는, 곡식 줄기의 합류 반송 경로나 예취 장치가 기립 장치의 배면부에 있으므로, 곡식 줄기의 막힘을 제거 작업이나, 예취 장치의 점검 정비 작업이 행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10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취부의 전방부에 병렬로 수직 설치된 복수의 기립 장치 중 중앙측의 일부를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기립 장치의 들어올림에 의해 개방된 넓은 공간으로부터 막힘 제거 작업이나 각종 점검 정비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개방하는 상기 구조는 곡식 줄기의 합류 반송 경로나 예취 장치에 있어서의 막힘 제거나 점검 정비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수단이지만, 각 기립 장치를 1대씩 들어올림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많은 기립 장치를 병렬 배치한 다수조 예취 사양의 콤바인에서는 유지 보수시에 수많 은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해야만 해 조작이 번거로웠다.
또한, 들어올림 요동되는 기립 장치의 구동 구조에 있어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즉, 병렬 배치된 복수의 기립 장치는 그 상부에 가로로 걸쳐져 지지된 카운터축에 각각 기어 연동되어 있고, 상기 종래 구조에서는 기립 장치의 들어올림 요동 지지점이 카운터축의 축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베벨 기어 연동된 기립 구동축의 연동계에 회전 축심 방향으로 결합 이탈 가능한 핀 결합식 클러치가 개재되어,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하면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카운터축과의 연동이 끊어지고, 기립 장치를 원래의 위치까지 내려 클러치를 연결함으로써 카운터축에 다시 연동 연결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분리된 상기 클러치를 구성하는 전동 부재끼리를 적절하게 중심 맞춤하여 결합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정밀도 및 강성이 높은 접속 분리 구조가 필요하여 제작 비용이 높아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립 장치를 들어올렸을 때에 내장된 기립 체인이 회전되면, 기립 장치를 내렸을 때에 클러치에 있어서의 전동 부재끼리의 회전 위상이 어긋나 소정의 결합 연결이 불가능해지는 것으로, 클러치에 있어서의 전동 부재끼리의 회전 위상에 주의하여 기립 장치를 내림 조작할 필요가 있어 취급성의 면에서도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개방하는 상기 구조는 예취 곡식 줄기의 합류 반송 경로나 예취 장치에 있어서의 막힘 제거나 점검 정비 작업을 넓은 작업 공간으로부터 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지만, 합류 반송 경로에서 단단히 막힌 볏짚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는 작업 그 자체에는 또 수고가 드는 것으로, 더욱 개량 고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립 장치를 요동시킨 유지 보수 작업을 한층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구성은, 예취부의 전방부에 좌우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기립 장치와, 상기 기립 장치의 후방에 좌우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합류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 장치 중 소정의 기립 장치가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합류 반송 기구는 밑둥부 반송 기구와 이삭끝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수확된 곡식 줄기를 예취 폭의 중간 위치에 합류 반송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기립 장치가 일체로 하여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4대의 기립 장치를 요동 개폐하는 경우, 인접하는 2대를 일체로 요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4대 각각을 요동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조작 회수는 반감된다.
따라서, 기립 장치를 요동시킨 유지 보수 작업이 한층 행해지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기립 장치가 그 기립 장치의 상부에 가로로 걸쳐져 지지된 카운터축으로 기어 연동되는 동시에, 상기 기립 장치가 상기 카운터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카운터축과 상기 기립 장치의 구동 스프로킷축이 기어 연동되고, 이 기어 전동계는 상기 기립 장치의 들어올림 각도 이상의 회전 융통을 구비한 결합 전동 수단을 갖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시켜도 전동계에서 분리되는 부위는 없어, 특별한 중심 맞춤 구조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시키면, 기립 장치와 함께 들어올림 이동되는 종동측 기어가 정지되어 있는 카운터축에 고착된 구동측의 기어에 의해 상대적으로 역회전되게 되지만, 카운터축과 기립 장치의 구동 스프로킷축의 전동계에 개재한 회전 융통이 그 역회전을 흡수하여 구동 스프로킷이 역회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기립 장치가 원래의 위치까지 내려져 운전이 재개되면, 회전 융통이 흡수되어 정회전 방향으로의 전동이 재개된다.
따라서, 기립 장치의 요동 지지점의 설정 및 전동계의 개조에 의해 전동계에의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일이 적어 기립 장치를 간단히 들어올림 및 내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결합 전동 수단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축과 이 구동 스프로킷축에 외부 끼움 장착된 구동 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구동 스프로킷축에 박아 넣은 키를 구동 스프로킷의 보스 내주에 형성한 키 홈에 결합시키는 키식의 결합 전동 수단을 채용하여, 그 키 홈의 주위 방향 폭을 키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원하는 범위의 회전 융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특징 구성을 갖는 발 명을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기립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초구(分草具)가 기립 장치와 일체로 들어올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하였을 때의 예취부 전단부가 더 넓게 개방되게 되어, 막힘 제거 작업이나 점검 정비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상기 합류 반송 장치가 상기 기립 장치와 일체로 들어올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비울 수 있는 동시에, 곡식 줄기 막힘 부위의 일부도 개방되게 되어 막힘 제거 작업이 한층 용이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예취부의 하부에 전방 방향 외팔보 지지 형상으로 고정 배치된 분초 프레임과 상기 기립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 로크 기구가 상기 분초 프레임과 상기 기립 장치의 하부 배면 사이에 설치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로크 기구를 후크식이나 핀 로크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할 때의 기립 장치 하부의 고정 해제 및 내린 기립 장치 하부의 고정을 공구 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상기 합류 반송 장치의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상기 합류 반송 장치의 일 부위가 다른 부위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취 폭 중앙측 소정의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함으로써, 예취부의 전방부를 크게 개방하여 기립 장치 배면부의 합류 반송 장치를 크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예취 폭 중앙측의 합류 반송 장치의 일 부위를 전방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여 막힘의 제거 작업 등을 행한다. 이 경우, 합류 반송 장치의 전방 이동 조작이나 작업 후의 후방 이동 조작을, 기립 장치를 들어올려 크게 개방된 넓은 작업 공간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립 장치의 배면부에 있어서의 청소나 점검 정비를 한층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상기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밑둥부 반송 기구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이 상기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협지 레일에 대해 후퇴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이삭끝 반송 기구의 반송 체인이 상기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버에 대해 후퇴 이동 가능한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취 폭 중앙측의 소정의 기립 장치를 들어올림 요동하여, 노출된 합류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과 이삭끝 계지 반송 기구의 반송 체인을 후퇴 이동 조작함으로써,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여 막힘의 제거 작업 등을 행한다. 이 경우, 합류 반송 장치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과 반송 체인 후퇴 이동 조작이나 작업 후의 복귀 이동 조작을, 기립 장치를 들어올려 크게 개방된 넓은 작업 공간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립 장치의 배면부에 있어서의 청소나 점검 정비를 한층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특징 구성은, 상기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밑둥부 반송 기구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협지 레일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이삭끝 반송 기구의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버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협지 레일 및 가이드 레버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합류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여 막힘의 제거 작업 등을 행한다. 이 경우, 협지 레일 및 가이드 레버의 전방 이동 조작이나 작업 후의 복귀 이동 조작을, 기립 장치를 들어올려 크게 개방된 넓은 작업 공간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1에 자탈형의 콤바인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또한 도2에 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자탈형의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비한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6조 예취 사양의 예취부(3)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주행 기체(2)에 운전부(4), 탈곡 장치(5) 및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곡립(grain) 회수 탱크 등이 탑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예취부(3)에는 예취부 프레임(10)이 전방 하향 경사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이 예취부 프레임(10)의 후단부 베이스부가 주행 기체(2)의 전단부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11)의 상부에 횡방향의 지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 결 지지되는 동시에, 유압 실린더(12)에서 상하로 구동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예취부 프레임(10)에는 식립 곡식 줄기를 소정의 예취 자세로 기립하는 6개의 기립 장치(13), 기립한 식립 곡식 줄기를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4), 예취 곡식 줄기를 후방으로 가볍게 긁어 모으는 보조 반송 벨트(15), 예취 곡식 줄기의 밑둥부를 후방으로 긁어 모아 반송하는 회전 패커(packer)(16), 예취 곡식 줄기를 2조씩 예취 폭 내의 중간 부위에 반송하여 합류하는 3조의 합류 반송 장치(17, 18, 19) 및 합류된 곡식 줄기를 탈곡 장치(5)의 횡외측에 구비된 이송 체인(6)의 시단부까지 반송하는 공급 반송 장치(20) 등이 지지되어 있다.
좌측의 상기 합류 반송 장치(17)는 좌측 2조의 예취 곡식 줄기의 밑둥부를 협지 반송하는 밑둥부 반송 기구(17a)와 이삭끝을 계지 반송하는 이삭끝 반송 기구(17b)로 구성된다. 중앙부의 상기 합류 반송 장치(18)는 중간 2조용 밑둥부 반송 기구(18a)와 이삭끝 반송 기구(18b)로 구성되고, 우측의 상기 합류 반송 장치(19)는 우측 2조용 밑둥부 반송 기구(19a)와 이삭끝 반송 기구(19b)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밑둥부 반송 기구(17a, 18a, 19a)의 전단부에 상기 보조 반송 벨트(15) 및 회전 패커(16)가 각각 장비되는 동시에, 2조 단위로 마주보고 설치하는 회전 패커(16)끼리가 맞물려 연동되어 있다.
상기 공급 반송 장치(20)는 우측 2조의 이삭끝 반송 기구(19b)를 이송 체인(6)의 전방까지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이삭끝 계지 반송 기구(21)와, 상기 합류 반송 장치(17, 18, 19)에 의한 곡식 줄기 합류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밑둥부 협지 반송 기구(22)와, 이송 체인(6)의 전방에 배치된 횡회전형의 중계 반송 기구(23)로 구성되어 있다. 합류 반송 장치(17, 18, 19)에서 합류된 기립 자세의 곡식 줄기는 공급 반송 장치(20)의 시단부에 받아들여지고, 후방 상방으로 반송되면서 곡식 줄기가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변경되어 이송 체인(6)의 시단부에 전달되는 것이다.
밑둥부 협지 반송 기구(22)는 전방부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요동하여 반송 종단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이송 체인(6)으로의 곡식 줄기 전달 위치를 줄기 길이 방향으로 변경하여 탈곡 장치(5)로의 곡식 줄기 삽입 길이를 변경 조절하는 기능, 이른바 취급 깊이 조절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반송 기구(23)는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24)과 이에 대향하는 탄성 후퇴 가능한 환봉재로 된 협지 레일(25)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 체인(24)의 반송 돌기(24a)는, 체인 하측에 있어서는 각 체인 링크마다 설치되는 데 반해 체인 상측에서는 체인 링크 1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반송 체인(24)의 반송 경로 상방을 따라 환봉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버(26)가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체인(24)의 체인 링크 상측에 있어서의 반송 돌기(14a)의 전후 간격을 크게 하여 곡식 줄기 협지 공간을 다소 크게 하여, 반송 체인(24)의 체인 링크 상측에 있어서 곡식 줄기에 절곡 자국이 생기는 것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모서리가 없는 가이드 레버(26)에 의한 안내로 곡식 줄기가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곡식 줄기가 중계 반송 기구(23)에 의한 협지 부위에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곡된 곡식 줄기가 탈곡 장치(5)에 공급되어 잔류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예취부 프레임(10)은 내부에 전동축을 삽입 관통한 통형의 전동 케이스로서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상세한 전동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지지점(P)에 전달된 엔진 동력이 예취부 프레임(10)을 거쳐서 예취부 전방부로 전달되어, 상기 기립 장치(13), 예취 장치(14), 보조 반송 벨트(15), 회전 패커(16), 합류 반송 장치(17, 18, 19) 및 공급 반송 장치(20)의 밑둥부 협지 반송 기구(2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공급 반송 장치(20)의 이삭끝 계지 반송 기구(21)와 중계 반송 기구(23)는 지지점(P)에서 분기된 동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11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장치(14)는 예취날 작동 방향이 상반되는 2세트의 바리캉 기구(14A, 14B)가 횡일렬로 맞대어 배치되어, 예취날 왕복 작동에 기인하는 구동 진동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즉, 좌우의 각 바리캉 기구(14A, 14B)의 예취날(14a, 14b)은 예취 폭의 중앙 근방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구동 아암(67a, 67b)에 각각 나이프 헤드(68a, 68b)를 거쳐서 결합 연동되어 있고, 양 구동 아암(67a, 67b)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로 좌우 요동함으로써 좌우의 예취날(14a, 14b)이 상반되는 방향에서 좌우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구동 아암(67a, 67b)은 한 쌍의 기어(69a, 69b)를 거쳐서 맞물림 연동되는 동시에, 한쪽의 구동 아암(67a)이 예취부 프레임(10)의 전단부에 있어서 종방향 축심 x 주위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크랭크 아암(27)에 연계 로드(70)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고, 크랭크 아암(27)이 일정 방향으로 연속 회전함으로써 한쪽의 구동 아암(67a)이 소정 각도로 왕복 요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다른 쪽 구동 아암(67b)이 반대 위상에서 왕복 요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크랭 크 아암(27)은 상기 합류 반송 장치(17, 18, 19)의 합류 부위의 하방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크랭크 아암(27)의 회전 작동에 의해 곡식 줄기 반송 경로의 하부에서 볏짚 부스러기나 쓰레기가 체류하기 어렵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크랭크 아암(27)의 상단부에는 우산 형상의 플랜지부(27a)가 구비되어 있어, 떨어지는 볏짚 부스러기 등이 권취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장치(13)는 기립 케이스(30)의 상부에 배치한 구동 스프로킷(31), 텐션 휠(28) 및 케이스 하부에 배치한 아이들링 휠(29)에 걸쳐서 권취 설치한 기립 체인(32)에 다수개의 기립 갈고리(33)를 기복 가능하게 피봇 부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구동 스프로킷(31)을 연결한 구동 스프로킷축(34)이 기립 장치(13)군의 상부 근처에 가로로 걸쳐져 지지된 카운터축(35)에 이하와 같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 프레임(10)의 전단부에 직교하여 가로로 걸쳐져 연장 설치된 가로로 긴 구동 케이스(36)의 좌우 양단부 근방으로부터 파이프 지지 기둥(37)이 수직 설치되고, 이 파이프 지지 기둥(37)의 상단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통 형상의 카운터 케이스(38)에 상기 카운터축(35)이 삽입 관통 지지되어 있어, 예취부 프레임(10)의 내장 전동축(9)에 의해 구동 케이스(36)의 내장 전동축(8)에 전달된 동력이 한쪽 지지 기둥(37)의 내장 전동축(39)을 거쳐서 카운터축(3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케이스(30)의 상단부 배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통 형상의 기립 구동 케이스(40)가 연장 돌출되고, 이 기립 구동 케이스 (40)의 상단부가 상기 카운터 케이스(38)에 연결되어, 기립 구동 케이스(40)에 삽입 관통된 기립 구동축(41)의 상단부와 상기 카운터축(35)이 베벨 기어(42, 43)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는 동시에, 기립 구동축(41)의 하단부와 기립 케이스(30)의 구동 스프로킷축(34)이 베벨 기어(44, 45)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기립 장치(13)의 배면부에 있어서의 곡식 줄기 반송 경로에서의 막힘 제거 작업이나 반송 수단의 점검 정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병렬 배치된 6개의 상기 기립 장치(13) 중, 양단부의 기립 장치[13(L), 13(R)]를 제외하는 내측 4대의 기립 장치(13)를 들어올림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축(35)을 삽입 관통한 상기 카운터 케이스(38)는 그 길이 방향으로 4분할되어 있고, 좌우의 외측 카운터 케이스 부분(38a, 38b)은 지지 기둥(37)에 연결 고정되는 동시에, 좌측 내측 카운터 케이스 부분(38c)과 우측 내측 카운터 케이스 부분(38d)은 카운터축(35)의 축심(Q) 주위로 약 90°의 범위에서 상방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측 4대의 기립 장치(13) 중, 인접하는 좌측 2대의 기립 장치(13)에 있어서의 기립 구동 케이스(40)가 좌측 내측 카운터 케이스 부분(38c)에 연결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우측 2대의 기립 장치(13)에 있어서의 기립 구동 케이스(40)가 우측 내측 카운터 케이스 부분(38d)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좌측 2대의 기립 장치(13)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우측 2대의 기립 장치(13)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고, 내측 4대의 기립 장치(13)가 인접하는 2대 단위로 카운터축(35)의 축심(Q) 주위로 상방으로 각각 들어올림 요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좌우의 외측 카운터 케이스 부분(38a, 38b)은 지지 프레임(46)으로 서로 연결되어, 합류 반송부로부터 수직 설치된 지지 기둥 프레임(47)에 지지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케이스(30)의 하부는 상기 구동 케이스(3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분초 프레임(48)의 전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48)에는 연결 브래킷(48a)이 수직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 브래킷(48a)과 기립 케이스(30)의 하부 배면에 설치된 연결 부재(30a)가 버클(51)을 이용한 결합 로크 기구(50)를 거쳐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분초 프레임(48)의 전단부에 삽입 연결된 분초구(49)를 제거하여 결합 로크 기구(50)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2대 일체의 기립 장치(13)를 크게 들어올림 요동할 수 있다. 들어올려진 기립 장치(13)는 가스 댐퍼(52)에 의해 들어올림 자세로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기립 장치(13)의 들어올림 요동에 의해 전방이 크게 개방된 예취부(3)를 용이하게 점검 정비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31)은 구동 스프로킷축(34)에 키 연결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31)에 있어서의 보스부(31a)의 내주에 형성된 키 홈(55)의 주위 방향 폭은 구동 스프로킷축(34)에 박아 넣은 키(56)의 폭보다도 충분히 크게 설정되고, 정규의 회전 방향(F)으로의 전동 상태에서는 역전 방향에서의 회전 융통(s)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융통(s)은 기립 장치(13)의 들어올림 각도(α)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축(35)이 회전 정지된 상태에서 기립 장치(13)가 카운터축(35)의 축심(Q) 주위로 들어올림 요동되면, 고정된 구동측의 베벨 기어(42)에 대해 종동측의 베벨 기어(43)가 들어올림 각도만큼 정규의 기립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대 회전되게 되지만, 구동 스프로킷축(34)과 구동 스프로킷(31) 사이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회전 융통(s)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31)의 역회전은 없어, 기립 체인(32)이 역전 회전되는 일은 없다.
[다른 제1 실시 형태]
적어도 일부의 상기 합류 반송 장치의 일 부위가 다른 부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위치 부위를 이동함으로써 합류 반송 장치의 합류 반송 경로가 개방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일예를 도14 내지 도17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14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우측의 합류 반송 장치(19)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19a)의 협지 레일(19d)과, 중앙측의 합류 반송 장치(18)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18a)의 협지 레일(18d)이 보조 반송 벨트(15) 및 회전 패커(16)가 장비된 지지 프레임(61)에 장착되어 있고, 이 지지 프레임(61)이 안내 기구(62)를 거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중앙측의 합류 반송 장치(18)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18a)의 반송 체인(18c)과, 기체 좌측의 합류 반송 장치(17)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17a)의 협지 레일(17d)이 보조 반송 벨트(15) 및 회전 패커(16)가 장비된 지지 프레임(65)에 장착되어 있고, 이 지지 프레임(65)이 안내 기구(62)를 거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17에 상기 지지 프레임(65)의 안내 기구(62)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안내 기구(62)는 상기 지지 프레임(65)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각이진 통 형상의 지지 아암(65a)을 예취부 프레임(10)에 연속 설치 고정된 통 형상의 지지 브래킷(63)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 끼움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나사 잭 기구(64)에 있어서의 나사 축(64a)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지지 프레임(61)을 안내 기구(62)를 거쳐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류 반송 장치(18, 19)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61)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협지 레일(19d, 18d)(「일 부위」의 일예)을 반송 체인(19c, 18c)(「다른 부위」의 일예)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기체 우측과 중앙측의 합류 반송 경로(R, C)를 개방하여 막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류 반송 장치(17, 18)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65)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협지 레일(17d)(「일 부위」의 일예)을 반송 체인(17c)(「다른 부위」의 일예)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기체 좌측의 합류 반송 경로(L)를 개방하여 막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삭끝 반송 기구(17b, 18b, 19b)에 대해서도, 상술한 밑둥부 반송 기구(17a, 18a, 19a)와 마찬가지로 합류 반송 경로(L, R, C)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예취 폭 중앙측의 기립 장치 등, 소정의 기립 장치가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면 된다. 반드시, 인접하는 복수의 기립 장치가 일체로 들어올림 요동 가능할 필요는 없다.
[다른 제2 실시 형태]
다른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예를, 도18 내지 도21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우측의 합류 반송 장치(19)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19a)의 협지 레일(19d)과, 중앙측의 합류 반송 장치(18)에 있어서의 밑둥부 반송 기구(18a)의 협지 레일(18d)이 우측 제2 조와 제3 조의 보조 반송 벨트(15) 및 회전 패커(16)가 장비된 지지 프레임(61)에 장착되어 있고, 이 지지 프레임(61)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기체 우측의 합류 반송 경로(R)와 중앙측의 합류 반송 경로(C) 사이에 배치된 상기 지지 프레임(61)의 이동 방향(T)이 양 합류 반송 경로(R, C)의 방향에 대한 중간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우측의 합류 반송 장치(19)에 있어서의 이삭끝 반송 기구(19b)의 가이드 레버(19g)와, 중앙측의 합류 반송 장치(18)에 있어서의 이삭끝 반송 기구(18b)의 가이드 레버(18g)가 전후로 위치 변경 가능한 상기 지지 프레임(6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보조 반송 벨트 지지용 지지 아암(61a)에 후방 방향 외팔보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19,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6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협지 레일(19d, 18d)(「일 부위」의 일예)을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19c, 18c)(「다른 부위」의 일예)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하는 동시에, 가이드 레버(19g, 18g)(「일 부위」의 일예)를 반송 체인(19f, 18f)(「다른 부위」의 일예)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하여, 기체 우측과 중앙측의 합류 반송 경로(R, C)가 개방 된다. 이로 인해, 합류 반송 경로(R, C)에서의 막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중앙측의 합류 반송 장치(18)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65)이 위치 고정되어 있는 데 반해, 기체 좌측의 합류 반송 장치(17)에 있어서는 밑둥부 반송 기구(17a)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17c) 및 이삭끝 반송 기구(17b)의 반송 체인(17f)을 권취 지지한 반송 프레임(66)이 구동축 축심(y)을 중심으로 하여 횡외방으로 후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19,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프레임(66)을 구동축 축심(y)을 중심으로 횡외방으로 후퇴 요동시킴으로써,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17c)(「일 부위」의 일예) 및 반송 체인(17f)(「일 부위」의 일예)을 협지 레일(17d)(「다른 부위」의 일예) 및 가이드 레버(17g)(「다른 부위」의 일예)로부터 각각 이격 이동시켜, 기체 좌측의 합류 반송 경로(L)를 개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합류 반송 경로(L)에서의 막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예취 폭 중앙측의 기립 장치 등, 소정의 기립 장치가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면 된다. 반드시, 인접하는 복수의 기립 장치가 일체로 들어올림 요동 가능할 필요는 없다.
[다른 제3 실시 형태]
기립 장치(13)의 하부를 고정하는 상기 결합 로크 기구(50)로서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케이스(30)의 배면에 고착한 로크 핀(57)에, 분초 프레임(48)의 브래킷(48a)에 수동으로 지지점(a) 주위로 상하 회전 조작 가능하게 부착한 후크(58)를 계지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다른 제4 실시 형태]
상기 결합 로크 기구(50)로서, 도23 내지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초 프레임(48)의 브래킷(48a)에 고정 설치한 지지 부재(59)에 좌우 한 쌍의 홈이 형성된 로크 핀(60)을 전방 방향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기립 케이스(30)의 배면에 수동으로 지지점(b) 주위로 상하 회전 조작 가능하게 부착한 후크(75)를 장비하고, 이 후크(75)를 홈이 형성된 로크 핀(60)의 계지 홈(76)에 상방으로부터 거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크(75)로부터 연장 돌출된 조작 레버(61a)를 식립 곡식 줄기를 상기 보조 반송 벨트(15)로 유도하는 가이드에 겸용하면 된다.
[다른 제5 실시 형태]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장치(13)의 하부 전방에 배치한 분초구(55)를 기립 장치(13)와 일체로 들어올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분초구(55)의 탈착 시간이 없어지는 동시에, 기립 장치(13)를 들어올림 요동하였을 때의 예취부 전단부가 더 넓게 개방되게 된다. 이로 인해, 막힘 제거 작업이나 점검 정비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제6 실시 형태]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장치(13)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합류 반송부, 즉 중간 2조의 보조 반송 벨트(15)와 회전 패커(16) 및 중간 2조의 합류 반송 장치(18)를 기립 장치(13)와 일체의 들어올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기립 장치(13)를 들어올림 요동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비울 수 있는 동시에, 곡식 줄기 막힘 부위의 일부도 개방되게 된다. 이로 인해, 막힘 제거 작업이 한층 용이한 것이 된다.
[다른 제7 실시 형태]
융통 기구(s)는 상술한 구성 대신에, 이하의 구성이라도 좋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구동축(41)에 장착된 종동측의 베벨 기어(43)는 기립 구동축(41)에 헐겁게 끼움 지지되는 동시에, 베벨 기어(43)와 기립 구동축(41) 사이에는 융통이 형성된 갈고리 클러치(71)가 개재되어 있다. 이 갈고리 클러치(71)는 베벨 기어(43)에 있어서의 보스부 단부면의 대각 위치에 돌출 설치된 한 쌍의 갈고리(72)와, 기립 구동축(41)의 단부에 키 연결한 클러치 부재(73)의 외주 대각 위치에 돌출 설치된 한 쌍의 갈고리(74)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갈고리 클러치(71)는 정규의 회전 방향(F)으로의 전동 상태에서는 역전 방향에서의 맞물림 회전 융통(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물림 회전 융통(s)은 기립 장치(13)가 들어올림 각도(α)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축(35)이 회전 정지된 상태에서 기립 장치(13)가 카운터축(35)의 축심(Q) 주위로 들어올림 요동되면, 고정된 구동측의 베벨 기어(42)에 대해 종동측의 베벨 기어(43)가 들어올림 각도만큼 정규의 기립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대 회전되게 되지만, 갈고리 클러치(71)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회전 융통(s)에 의해 기립 구동축(41)의 역회전은 없어 기립 체인(32)이 역전 회전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 장치를 요동시킨 유지 보수 작업을 한층 행하기 쉬운 콤바인이 제공된다.

Claims (9)

  1. 예취부의 전방부에 좌우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기립 장치와, 상기 기립 장치의 후방에 좌우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합류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 장치 중, 소정의 기립 장치가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합류 반송 기구는 밑둥부 반송 기구와 이삭끝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수취된 곡식 줄기를 예취 폭의 곡식 줄기 중간 위치에 합류 반송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기립 장치가 일체로 하여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가 그 기립 장치의 상부에 가로로 걸쳐져 지지된 카운터축으로 기어 연동되는 동시에, 상기 기립 장치가 상기 카운터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들어올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카운터축과 상기 기립 장치의 구동 스프로킷축이 기어 연동되고,
    이 기어 전동계는 상기 기립 장치의 들어올림 각도 이상의 회전 융통을 구비한 결합 전동 수단을 갖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전동 수단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축과 이 구동 스프로킷축에 외부 끼움 장착된 구동 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초구가 기립 장치와 일체로 들어올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 반송 장치가 상기 기립 장치와 일체로 들어올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취부의 하부에 전방 방향 외팔보 형상으로 고정 배치된 분초 프레임과 상기 기립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 로크 기구가 상기 분초 프레임과 상기 기립 장치의 하부 배면 사이에 설치되는 콤바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 반송 장치의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상기 합류 반송 장치의 일 부위가 다른 부위에 대해 이동 가능한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밑둥부 반송 기구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이 상기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협지 레일에 대해 후퇴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이삭끝 반송 기구의 반송 체인이 상기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버에 대해 후퇴 이동 가능한 콤바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 반송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밑둥부 반송 기구의 돌기가 형성된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협지 레일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이삭끝 반송 기구의 반송 체인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버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콤바인.
KR1020060020759A 2005-07-01 2006-03-06 콤바인 KR100688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3835 2005-07-01
JP2005193835A JP4551286B2 (ja) 2005-07-01 2005-07-01 コンバイン
JP2005193836A JP2007006823A (ja) 2005-07-01 2005-07-01 コンバイン
JPJP-P-2005-00193836 2005-07-01
JPJP-P-2005-00224163 2005-08-02
JP2005224163A JP4546893B2 (ja) 2005-08-02 2005-08-02 コンバイン
JPJP-P-2005-00267133 2005-09-14
JP2005267133A JP4659570B2 (ja) 2005-09-14 2005-09-14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35A KR20070003535A (ko) 2007-01-05
KR100688365B1 true KR100688365B1 (ko) 2007-03-02

Family

ID=3787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759A KR100688365B1 (ko) 2005-07-01 2006-03-06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8365B1 (ko)
CN (1) CN1026129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591A (ko) 2012-07-06 2014-01-16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182B1 (ko) 2012-07-24 2019-06-13 대동공업주식회사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KR101699513B1 (ko) 2014-05-23 2017-01-24 엄성만 콤바인용 예취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32145Y (zh) * 1996-10-21 1999-08-04 洋马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H11113371A (ja) * 1997-10-17 1999-04-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591A (ko) 2012-07-06 2014-01-16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KR101954276B1 (ko) * 2012-07-06 2019-03-05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12928B (zh) 2015-12-09
KR20070003535A (ko) 2007-01-05
CN102612928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9570B2 (ja) コンバイン
JP4551286B2 (ja) コンバイン
KR100688365B1 (ko) 콤바인
JP2016185110A (ja) コンバイン
CN103781344A (zh) 联合收割机
JP2006296441A (ja) コンバイン
JP4659570B2 (ja) コンバイン
JP4546893B2 (ja) コンバイン
JP2017225410A (ja) コンバイン
CN203597083U (zh) 联合收割机的谷粒排出结构
CN202354116U (zh) 联合收割机
CN203243709U (zh) 联合收割机
CN104938139B (zh) 联合收割机
KR102430801B1 (ko) 콤바인
JP2007068403A (ja) コンバイン
CN104394682B (zh) 联合收割机
JP2020168030A (ja) コンバイン
JP5324845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4903507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08295406A (ja) コンバイン
JP2003284421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構造
JP2007006823A (ja) コンバイン
JP2011055744A (ja) コンバイン
JP2007289045A (ja) コンバインの穀稈移送装置
JP6619371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