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82B1 -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82B1
KR101989182B1 KR1020120080513A KR20120080513A KR101989182B1 KR 101989182 B1 KR101989182 B1 KR 101989182B1 KR 1020120080513 A KR1020120080513 A KR 1020120080513A KR 20120080513 A KR20120080513 A KR 20120080513A KR 101989182 B1 KR101989182 B1 KR 10198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guide
blade
clearan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479A (ko
Inventor
고광호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14Knife-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135Cutting apparatus having oppositely movable cooperating knife-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17Holding-down devices for the knif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취장치는, 고정날과 가동날, 그리고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이탈 없는 상대 운동을 안내하는 요동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되, 요동가이드에는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 후 간격 조절을 위한 유격조절대가 구비됨으로써, 마모로 인해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의 전, 후 간격이 벌어졌을 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Cutting device with blade gap adjust function}
본 발명은 작물을 베어내기 위해 콤바인에 장치되는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마모로 인해 예취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날 사이가 벌어져 유격이 발생했을 때 그 유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벼, 보리 등의 예취·탈곡·선별·짚처리 등을 한번에 처리하는 능률적인 농작업 기구를 자탈형 콤바인이라 한다. 자탈형 콤바인은 예취부의 기립장치에 의해 소정의 자세로 기립한 복수조의 작물 밑동을 예취장치를 이용해 베어내고, 반송장치를 통해 베어진 작물줄기의 아래쪽을 기계적으로 붙들어 탈곡부 측으로 손실 없이 반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자탈형 콤바인에서 상기 예취부에 적용되는 예취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2007-000353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장치가 예취부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맞대어 배치되고, 각각의 예취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예취날의 슬라이딩 방향 상대 운동에 기인한 예취동작에 의해 목적하는 예취가 행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두 개의 예취날은 구체적으로, 고정날과 이 고정날 위로 밀착 배치되어 슬라이딩 방향 상대 운동을 하는 가동날로 구분되며,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슬라이딩 방향 상대 운동은 요동가이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요동가이드는 가동날을 고정날 측으로 구속함으로써, 예취 동작 시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들뜸 및 틀어짐을 억제하여 원활한 예취 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가동날의 좌우 안정적인 요동을 안내하는 기능상의 이유로 상기 요동가이드는 가동날과 지속적으로 마찰되고 마멸된다. 요동가이드가 마멸되면, 상하방향으로 두 날 사이의 들뜸 또는 전후방향으로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틀어짐이 생기는데, 그중에서도 기체 주행으로 예취대상물이 예취날 전방을 통해 진입되는 작동 특성상 예취날의 좌우 요동을 안내하는 부분에 마멸이 더욱 크다.
예취날의 좌우 요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부분에 생긴 마멸은, 도 1의 파선의 도시와 같이 상하로 겹쳐진 두 날(100)(200)을 평면에서 봤을 때 두 날 사이의 틀어짐의 원인이 된다. 이때 예취날의 전후방향 틀어짐은 즉,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후 유격으로 인한 틀어짐은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상하방향 들뜸에 비하여 예취 작업 성능에 보다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두 날의 요홈날(凹部)이 일치했을 때 그 사이로 예취대상물의 줄기가 끼이고, 그 상태에서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좌우 요동으로 요홈날이 교차함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으로 절단이 구현되는 작동 특성상, 두 날이 틀어지면 두 날이 같은 위치에 있더라도 대상물이 진입할 수 있는 요홈날 사이 간격이 극히 줄어 들게 되고, 따라서 온전한 절단이 행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요동가이드의 좌우 요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부분에 마멸이 생기면, 요동가이드의 위치 재조정을 통해 그 마멸에 따른 유격이 보상될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치 재조정을 위해 종래에는, 요동가이드를 구속하고 있는 복수의 너트를 일일이 풀어 전후방향 마멸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요동가이드의 위치를 재조정하고 다시 너트를 죄어 고정하는 것과 같이, 번잡함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7-000353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요동가이드를 통한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후방향 유격조절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고, 따라서 가동날에 대한 유격조절 작업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장착대에 고정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 상에서 좌, 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는 가동날로 구성된 예취장치이며, 요동가이드를 통해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의 요동이 안내되고, 요동가이드에는 상기 가동날이 접촉하는 부분이 있으며, 가동날이 접촉하는 부분 중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이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후방향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요동가이드는, 장착대에 장착되고 가동날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대와, 가동날을 덮는 상기 받침대 상의 덮개와, 받침대로부터 이격된 덮개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이 되는 유격조절대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안정된 지지구에 대한 누름판의 흔들림 없는 안정된 변위를 위해 상기 유격조절대는, 나이프 바를 향하는 지지구에 대한 상기 누름판의 안정된 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나이프 바를 향하는 지지구에 대한 상기 누름판의 변위 량을 조절하는 변위조절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는, 지지구와 대면하는 누름판 일면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구와, 상기 가이드구가 요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구의 가이드홀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위조절구는,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는 볼트구멍과, 회전조작에 의해 누름판을 지지구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볼트구멍 내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변위조절구만으로 누름판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틀어짐 없이 가동날의 나이프 바를 향하는 변위가 구현될 수 있도록, 변위조절구는 유격조절대 중앙에 배치시키고, 그 변위조절구를 사이에 두고 변위조절구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가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에 의하면, 요동가이드 마멸에 따른 요동가이드의 누름판과 가동날 사이의 유격조절을 위한 조정 작업 시, 종래와 같이 너트를 일일이 풀거나 하지 않고도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해 조절볼트를 죄어 누름판을 가동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의 전후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요동가이드를 구성하는 유격조절대는 중앙의 변위조절구(조절볼트)를 기준으로 같은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누름판의 안정적 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조절볼트의 조작만 가지고도 누름판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틀어지지 않고 가동날의 나이프 바를 향해 정확하게 변위되며, 따라서 간단하면서도 누름판 마멸에 따른 가동날과 사이의 갭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예취장치를 구성하는 요동가이드의 마모로 인해 두 개의 날이 틀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요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에 나타난 예취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요동가이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요동가이드의 유격조절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격조절대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유격조절대에 의해 가동날의 유격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요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취장치는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구성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연속된 산(山) 모양으로 된 두 개의 예취날(4)이 겹쳐지게 배치되고 그 중 하나의 날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목적하는 절단이 구현된다. 예취장치는 예취날(4)의 작동방향을 기준으로,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두 개의 조로 나뉘고, 두 개의 조로 나뉜 예취장치는 예취날(4)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일렬로 배치된다.
두 개의 예취날(4)은 고정날(5)과 이 고정날(5) 위로 밀착 배치되는 가동날(6)로 구분된다. 고정날(5)은 장착대(3)에 고정되며, 가동날(6)은 고정날(5) 위에서 이 고정날(5)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한다. 좌, 우 두 개조 각각의 가동날(6)에는 나이프 바(60)가 결합되고, 이 나이프 바(60)에 일체 형성되는 나이프 헤드(52)를 매개로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아암(2) 일측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아암(2)은 중앙의 피봇점(P)을 중심으로 일정 스트로크로 좌우 요동되고, 피봇점(P)을 기준으로 구동아암(2)의 타측은 회전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크랭크아암(1)과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크랭크아암(1)을 통해 좌, 우 구동아암(2) 각각으로 힘이 입력되면, 피봇점(P)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구동아암(2)의 좌우 요동으로 가동날(6)이 고정날(5)에 대해 날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장착대(3)에는 상기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상대 운동 즉, 좌우방향 요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요동가이드(7)가 여러 개소에 설치된다. 요동가이드(7)는 좌우로 요동되는 가동날(6)을 고정날(5) 측으로 구속하며, 따라서 두 달의 상대 운동에 의한 예취 동작 시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들뜸이나 전후 이탈을 억제하여 원활한 예취 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요동가이드(7)에는 안정적인 요동의 가이드를 위해 상기 가동날(6)이 접촉하는 부분이 있다. 가동날(6)이 접촉하는 부분은 크게,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상향 이탈을 저지하기 위해 접촉하는 부분(후술될 덮개 저면부)과,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후술될 누름판)으로 구분되며, 그 중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은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전후방향 유격을 조절하는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날(6)과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요동가이드(7)를 구성하는 상기 가동날(6)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과 상기 가동날(6) 사이에 틈새가 생긴 경우, 상기 가동날(6)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에 대한 조절을 통해 그 틈새를 보상할 수 있다.
요동가이드(7)는 구체적으로, 장착대(3)에 장착되고 가동날(6)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대(70)와, 받침대(70) 상의 덮개(72)와, 받침대(70)로부터 이격된 덮개(72)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유격조절대(74)로 구성되며, 유격조절대(74)와 받침대(70) 사이로 가동날(6)이 요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예취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6은 요동가이드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요동가이드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대(70)는 고정날(5)이 장착되는 장착대(3) 상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받침대(70)에는 둘 이상의 볼트부재(7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72) 외측 상부에서 볼트부재(71)와 결합하는 너트부재(부호 생략)에 의해 간격유지구(73)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70) 상에 덮개(72) 일측이 견고히 고정되어,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상향 이탈을 저지한다.
받침대(70)와 이격된 상기 덮개(72) 전단에 상기 유격조절대(74)가 결합된다. 유격조절대(74)는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70)와 사이에 상기한 가동날(6)이 위치하여 좌우 요동 가능하게 구속될 수 있도록, 도면과 같이 상기 가동날(6)의 나이프 바(60) 전후 폭 방향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받침대(70)와 이격된 위치의 상기 덮개(72) 전단부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덮개(72)는 유격조절대(74)를 견인하는 견인체 역할뿐 아니라,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받침대(70)와 유격조절대(74)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 가동날(6)이 상기 고정날(5)로부터 상향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덮개(72)는 가동날(6)의 상방 이탈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면서 나이프 바(60)와의 마찰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내마모성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의 판상체임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요동가이드의 유격조절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이하 유격조절대의 구성에 대해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유격조절대(74)는 누름판(75)과 이 누름판(75)이 변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구(76)로 구성된다. 누름판(75)에는 가동날(6)의 나이프 바(60) 전단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고(도 5참조), 누름판(75)은 상기 나이프 바(60)의 전단면에 밀착되어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전후방향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구(76)에 결합된다.
나이프 바(60)를 향하는 지지구(76)에 대한 상기 누름판(75)의 변위 량은 변위조절구(78)를 통해 조절되며, 유격조절대(74)에는 나이프 바(60) 전단면을 향해 변위되는 상기 누름판(75)의 안정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77)가 마련된다. 따라서 변위조절구(78)를 통해 상기 누름판(75)을 가동날(6)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 누름판(75)은 지지구(7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흔들림 발생 없이 안정되게 이동된다.
가이드(77)는 바람직하게, 지지구(76)와 대면하는 누름판(75) 일면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구(77a)와, 상기 가이드구(77a)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구(76)의 가이드홀(77b)로 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변위조절구(78)는, 상기 지지구(76)에 형성되는 볼트구멍(78a)과, 회전조작에 의해 누름판(75)을 지지구(76)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상기 볼트구멍(78a) 내에 체결되는 조절볼트(78b)로 된 구성일 수 있다.
지지구(76)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구멍(78a)의 개구단에는 예취작업 중 토사나 검불 등의 이물이 끼이지 않도록 마개(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조절볼트(78b)는 유격조절 작업의 용이함을 위해 볼트구멍(78a) 개구단을 통해 노출되는 방향에 일자형, 십자형 또는 다각형의 홈이 형성된 두부(頭部)를 갖는 볼트부재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나, 육각형의 렌치 홈이 형성된 육각렌치볼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구(76)에 대해 누름판(75)이 위와 같이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에 있어, 유격조절대(74) 중앙에 변위조절구(78)를 배치시키고, 그 변위조절구(78)를 사이에 두고 양 옆으로 변위조절구(78)로부터 같은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77)가 배치되도록 구성하면,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변위조절구(78) 조절만으로 도 8과 같이 누름판(75)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틀어지지 않는 안정된 변위를 구현할 수 있다.
도면(도 5)에서 미설명 부호 62는 요동가이드의 덮개(72) 접촉하는 위치의 나이프 바(60) 상면으로 결합되는 마찰판을 가리킨다. 상기 마찰판은 고정날(5)에 대한 가동날(6)의 좌우 슬라이딩 요동 시 가동날(6)의 나이프 바(60)와 덮개 저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가동날의 좌우방향 스트로크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동가이드 마멸에 따른 요동가이드의 누름판과 가동날 사이의 유격조절을 위한 조정 작업 시, 종래와 같이 너트를 일일이 풀거나 하지 않고도 도 9의 도시와 같이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해 조절볼트를 죄어 누름판을 가동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의 전후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요동가이드를 구성하는 유격조절대는 중앙의 변위조절구(조절볼트)를 기준으로 같은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누름판의 안정적 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조절볼트의 조작만 가지고도 누름판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틀어지지 않고 가동날의 나이프 바를 향해 정확하게 변위되며, 따라서 간단하면서도 누름판 마멸에 따른 가동날과 사이의 갭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3 : 장착대 4 : 예취날
5 : 고정날 6 : 가동날
7 : 요동가이드
60 : 나이프 바 70 : 받침대
72 : 덮개 73 : 간격유지구
74 : 유격조절대 75 : 누름판
76 : 지지구 77 : 가이드
78 : 변위조절구

Claims (7)

  1. 장착대에 고정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 상에서 좌, 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는 가동날로 구성된 예취장치로서,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 요동을 안내하는 요동가이드를 구비하며, 요동가이드는 상기 가동날의 일부와 접촉하며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유격조절대를 포함하되, 상기 유격조절대의 일부가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후방향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가이드는,
    장착대에 장착되고 가동날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대와,
    가동날을 덮는 상기 받침대 상의 덮개와,
    받침대로부터 이격된 덮개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날에 대한 가동날의 전방 이탈을 저지하는 부분이 되는 유격조절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대는,
    가동날을 구성하는 나이프 바의 전단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누름판과,
    덮개 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나이프 바 전단면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구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구에 대한 누름판의 변위 가능한 연결을 위해 상기 유격조절대는,
    나이프 바를 향하는 지지구에 대한 상기 누름판의 안정된 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나이프 바를 향하는 지지구에 대한 상기 누름판의 변위 량을 조절하는 변위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지지구와 대면하는 누름판 일면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구와,
    상기 가이드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구의 가이드홀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조절구는,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는 볼트구멍과,
    회전조작에 의해 누름판을 지지구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볼트구멍 내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대 중앙에 변위조절구가 배치되고, 상기 변위조절구 양 옆으로 변위조절구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KR1020120080513A 2012-07-24 2012-07-24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KR10198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13A KR101989182B1 (ko) 2012-07-24 2012-07-24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13A KR101989182B1 (ko) 2012-07-24 2012-07-24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479A KR20140014479A (ko) 2014-02-06
KR101989182B1 true KR101989182B1 (ko) 2019-06-13

Family

ID=5026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513A KR101989182B1 (ko) 2012-07-24 2012-07-24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6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대동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769A (zh) * 2017-12-18 2018-07-24 潍坊友容实业有限公司 盐碱地杂草清理切割机构
CN113785712B (zh) * 2021-09-24 2022-09-06 山东沃华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循环转动割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506A (ja) 2005-12-15 2007-06-28 Kubota Corp 収穫機用のバリカン型刈取り装置
JP2008113616A (ja) 2006-11-06 2008-05-22 Kubota Corp バリカン型刈取装置
JP2008125398A (ja) 2006-11-17 2008-06-05 Kubota Corp バリカン型刈取装置
JP5100742B2 (ja) 2009-12-16 2012-12-19 ナシモト工業株式会社 バリカン型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65B1 (ko) 2005-07-01 2007-03-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506A (ja) 2005-12-15 2007-06-28 Kubota Corp 収穫機用のバリカン型刈取り装置
JP2008113616A (ja) 2006-11-06 2008-05-22 Kubota Corp バリカン型刈取装置
JP2008125398A (ja) 2006-11-17 2008-06-05 Kubota Corp バリカン型刈取装置
JP5100742B2 (ja) 2009-12-16 2012-12-19 ナシモト工業株式会社 バリカン型切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6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대동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KR102386411B1 (ko) 2020-06-03 2022-04-15 주식회사 대동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479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6165C (en) Adjustable gaurd assembly for a sickle knife
US7730914B2 (en) Feeding mechanism for a woodworking machine
US20090049969A1 (en) Workpiece-Advancing Device for a Wood Cutting Apparatus
KR101989182B1 (ko)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US10828708B2 (en) Band saw machine
JP2014007979A (ja) 刈刃装置
US20180186022A1 (en) Food product slicing apparatus including a pivotal gate associated with a food product tray
KR100639511B1 (ko) 절단용 작두
US5343682A (en) Adjustable hold down clip
US20130312582A1 (en) Cutting-Angle Adjustable Bandsaw
US9687923B2 (en) Cutting-angle adjustable bandsaw
JP2011188747A (ja) コンバイン
US7681384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rop materials in a forage harvester
US20020157264A1 (en) Portable bandsaw
JP2008113616A (ja) バリカン型刈取装置
US4112654A (en) Rotary knife adjuster assembly
JP5513557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US20240065145A1 (en) Mower Knife Device
US11247361B2 (en) Adjustable trimming mechanism
JP5182654B2 (ja) コンバイン
AU2017340550B2 (en) Band saw for sawing a rail of a track
JP2660286B2 (ja) 刈刃機構における刈刃保持構造
FI12196U1 (fi) Pilkekone
JP4765181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AU2013389951A1 (en) Adjustable guard assembly for a sickle kn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