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822A - 콤바인의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822A
KR20010064822A KR1019990059158A KR19990059158A KR20010064822A KR 20010064822 A KR20010064822 A KR 20010064822A KR 1019990059158 A KR1019990059158 A KR 1019990059158A KR 19990059158 A KR19990059158 A KR 19990059158A KR 20010064822 A KR20010064822 A KR 2001006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rvesting
suction duct
shaft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영환
Original Assignee
모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영환 filed Critical 모영환
Priority to KR101999005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4822A/ko
Priority to KR2020000002203U priority patent/KR200186288Y1/ko
Publication of KR2001006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4Cha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면 선단에 커터가 설치되고 후면 중앙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예취 프레임과, 상기 예취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를 중앙부로 모으는 스크류 원통과, 흡입덕트의 내부에 3열로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곡물줄기 이송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원통의 중앙부에 프레임의 중앙부로 모아진 곡물줄기를 강제로 상기 배출공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곡물줄기 이송대는 상기 3열로 설치된 체인에 소정간격을 둔채 2열의 체인에 고정된 상태로 지그재그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예취 프레임은 상기 흡입덕트에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예취 프레임의 각도를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여 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베어진 곡물줄기를 원할하게 소정량씩 탈곡장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A GRAIN USED IN A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취 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좌우로 조절하면서 곡물줄기를 베어서 탈곡장치로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무한궤도 주행장치(1)와, 무한궤도 주행장치(1)에 탑재되는 탈곡장치(2)와, 탈곡장치(2)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4) 및 곡물탱크(5)와, 탈곡장치(2)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줄기를 베어서 탈곡장치(2)로 공급하는 예취장치(3)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종래 콤바인의 예취장치(3)는, 예취 프레임(31)의 하면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커터(32)가 설치되어 있고, 하면선단의 양측에는 곡물줄기 나눔봉(3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프레임(31)의 내부에는 상기 커터(32)에 의해서 베어진 곡물줄기를 예취 프레임(31)의 중앙부로 모으기 위한 스크류 원통(3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예취 프레임(31)의 후면 중앙부에는 모아진 곡물줄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 원통(34)은 중앙부를 제외한 양측 외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스크류(34a)(34b)가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예취 프레임(31)의 후면 중앙부에는 흡입덕트(36)의 일측이 배출공(35)과 연통된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흡입덕트(36)의 내부에는 상기 예취 프레임의 배출공을 통해 흡입덕트로 유입된 곡물줄기를 상기 탈곡장치(2)로 이송시키기 위한 체인 컨베이어(3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 컨베이어(37)는 소정간격을 둔채 나란하게 설치되는 3개의 체인(38)과, 이들 3개의 체인(38)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어 이들 3개의 체인(38)을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의 곡물줄기 이송대(39)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콤바인의 예취장치(2)는, 커터(32)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가 예취 프레임(31)의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 원통(34)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류(34a)(34b)에 의해서 예취 프레임(31)의 중앙부로 모아지게 되고, 예취 프레임(31)의 중앙부로 모아진 곡물줄기는 예취 프레임(31)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35)을 통해서 흡입덕트(36)로 밀려서 들어가게 되며, 흡입덕트(36)로 밀려들어간 곡물줄기는 흡입덕트(36)의 내부에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37)의 곡물줄기 이송대(39)를 타고 탈곡장치(2)로 이송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콤바인의 예취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 커터(32)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가 스크류 원통(34)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류(34a)(34b)에 의해서 예취 프레임(31)의 중앙부로 모아지고, 예취 프레임(31)의 중앙부로 모아진 골물줄기는 후속하는 곡물줄기에 의해 밀리면서 예취 프레임(31) 후면의 배출공(35)을 통해 흡입덕트(36)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터(32)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가 배출공(35)을 통해 흡입덕트(36)로 원할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중앙부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 체인 컨베이어(37)의 곡물줄기 이송대(39)가 3개의 체인을 전부 가로지르는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곡물줄기 이송대(39)에 의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곡물줄기가 탈곡장치로 공급되게 되어 탈곡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즉, 곡물의 미탈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째 : 예취 프레임이 흡입덕트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예취 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무한궤도의 일측이 습지에 빠져 차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예취 프레임도 함께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습지에 빠지게 되므로 예취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취 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고, 베어진 곡물줄기를 흡입덕트로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 선단에 커터가 설치되고 후면 중앙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예취 프레임과, 상기 예취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를 중앙부로 모으는 스크류 원통과, 상기 예취 프레임의 후면에 그 일단이 배출공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내부에 3열로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곡물줄기 이송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원통의 중앙부에 모아진 곡물줄기를 강제로 상기 배출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원통의 내부 격벽 중앙부에 각각 베어링 지지되는 제1축 및 제2축과, 상기 제1축과 제2축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어댑터를 통해 이들과 편심으로 고정설치되는 제3축과, 상기 제3축에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타측이 상기 스크류 원통의 중앙부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각각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푸쉬봉과, 상기 제1축을 상기 예취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구비하는 이송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곡물줄기 이송대는 상기 3열로 설치된 체인에 소정간격을 둔채 2열의 체인에 고정된 상태로 지그재그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예취 프레임은 상기 흡입덕트에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좌우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콤바인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예취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채용된 예취 프레임의 각도조절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채용된 예취 프레임 각도조절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탈곡장치 51 : 예취 프레임
54 : 배출공 55 : 스크류 원통
60 : 곡물줄기 이송수단 61 : 제1축
62 : 제2축 64 : 제3축
65 : 푸쉬봉 66 : 고정레버
70 : 흡입덕트 74 : 체인
75 : 곡물줄기 이송대 80 : 각도조절수단
81 : 힌지부 85 : 지지판
85a : 공간형성부 85b : 이탈방지부
86 : 유압실린더 87 : 원호형 장공
88 : 가이드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장치(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취 프레임(51)의 하면 선단에 다수의 커터(52)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커터(52)의 양측에는 곡물줄기 나눔봉(53)이 각각 설치되며, 예취 프레임(51)의 후면 중앙부에는 곡물줄기 배출공(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예취 프레임(51)의 내부에는 커터(52)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를 배출공(54)이 형성된 중앙부로 모으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류 원통(55)이 설치되고, 스크류 원통(55)의 중앙부에는 모아진 곡물줄기를 강제로 예취 프레임(51)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54)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60)이 마련된다.
그리고 곡물줄기 이송수단(60)은, 도 5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스크류 원통(55)의 내부 격벽(55a) 중앙부에 각각 베어링 지지되는 제1축(61) 및 제2축(62)과, 상기 제1축(61)과 제2축(62)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어댑터(63)를 통해 이들과 편심으로 고정설치되는 제3축(64)과, 상기 제3축(64)에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타측이 상기 스크류 원통(55)의 중앙부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각각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푸쉬봉(65)과, 상기 제1축(61)을 상기 예취 프레임(51)의 측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레버(6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취 프레임(51)의 후면 중앙부에는 베어진 곡물줄기를 배출공(54)을 통해 탈곡장치(2)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덕트(70)의 일단이 연결되고, 흡입덕트(70)의 내부에는 곡물줄기를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71)가 설치된다.
그리고 체인 컨베이어(71)는 원통형 롤러(72)와 3개의 체인기어(73)에 3열로 설치되는 체인(74)과, 이 3열로 설치된 체인(74)에 소정간격을 둔채 2열의 체인에 고정된 상태로 지그재그로 다수개 설치되는 곡물줄기 이송대(7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취 프레임(51)은 흡입덕트(70)의 일단에 각도 조절수단(80)에 의해 좌우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예취 프레임(51)의 각도 조절수단(80)은, 흡입덕트(70)의 플랜지 상측 중앙부에 예취 프레임(51)의 중앙부 상측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81)와, 예취 프레임(51)의 후면 하부 양측에 볼트에 의해 각각 설치되며 흡입덕트(70)의 플랜지 양측 하부를 각각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85)과, 흡입덕트(70)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로드 단부가 예취 프레임(51)의 후면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81)를 중심으로 예취 프레임(51)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8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힌지부(81)는 흡입덕트(70)의 플랜지에 돌출설치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축(82)과, 상기 예취 프레임(51)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축(8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83)와, 상기 원통축(82)에 나사결합되어 원통축(82)을 보스(83)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구(8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판(85)은 흡입덕트(70)의 플랜지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흡입덕트(70)의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85a)와, 일측이 흡입덕트(70)의 플랜지와 포개진 상태로 흡입덕트(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85b)로 이루어진다.
도 9는 예취 프레임의 각도조절수단(8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흡입덕트(70)의 플랜지 상측 중앙부에 예취 프레임(51)의 중앙부 상측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81)와, 흡입덕트(70)의 플랜지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호형 장공(87) 및 예취 프레임(5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원호형 장공(87)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핀(88)과, 상기 흡입덕트(70)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로드 단부가 상기 예취 프레임(51)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81)를 중심으로 예취 프레임(51)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86)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장치는 다음과 같이 곡물줄기를 베어서 탈곡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먼저, 예취 프레임(51)의 선단에 설치된 커터(52)에 의해 곡물줄기가 베어지고, 베어진 곡물줄기는 스크류 원통(55)에 의해서 예취 프레임(51)의 중앙부로 이송되어 모아지게 된다.
그리고 중앙부로 모아진 곡물줄기는 스크류 원통(55)의 중앙부에 마련된 곡물줄기 이송수단(60)에 의해서 강제로 예취 프레임(51)의 후면에 설치된 배출공(54)을 통해서 흡입덕트(70)로 배출되게 된다.
즉, 스크류 원통(55)이 회전하게 되면, 곡물줄기 이송수단(60)으로서 스크류 원통(55)의 내부 격벽(55a)에 베어링 지지된 제1축(61)과 제2축(62) 그리고제1축(61)과 제2축(62)의 단부에 어댑터(63)를 통해 이들과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제3축(64)은 제1축(61)을 예취 프레임(51)에 고정하는 고정레버(66)에 의해서 스크류 원통(55)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축(64)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스크류 원통(55)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진 다수의 푸쉬봉(65)이 스크류 원통(55)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 원통(55)의 외부로 출몰되면서 중앙부에 모아진 곡물줄기를 강제로 밀어 배출공(54)을 통해 흡입덕트(70)로 이송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방식에서 발생되던 곡물줄기의 중앙부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입덕트(70)로 공급된 곡물줄기는 체인 컨베이어(71)의 체인(74)에 설치된 곡물줄기 이송대(75)에 의해 탈곡장치(2)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곡물줄기 이송대(75)가 3열로 설치된 체인(74)에 소정간격을 둔채 2열의 체인에 고정된 상태로 지그재그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곡물줄기가 지그재그로 설치된 곡물줄기 이송대(75)에 얹혀진 상태로 소정량씩 지그재그 형태로 탈곡장치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 방식의 문제점인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곡물줄기가 탈곡장치로 공급되어 탈곡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장치는 예취 프레임(51)이 흡입덕트(70)의 일측에 각도조절수단(80)에 의해 좌우로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취 작업중에 무한궤도의 일측이 습지에 빠져 차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예취 프레임(5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예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예취 작업중에 무한궤도의 일측이 습지에 빠져 차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예취 프레임 각도조절수단(80)으로서 흡입덕트(70)와 예취 프레임(51)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86)를 작동시켜 예취 프레임(51)을 힌지부(81)를 중심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예취 프레임(51)은 지지판(85)의 공간형성부(85a)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흡입덕트(7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예취 프레임(51)과 흡입덕트(70)는 지지판(85)의 이탈방지부(85b)에 의해 상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의 경우에는, 흡입덕트(70)의 플랜지 양측에 형성된 원호형 장공(87)과 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가이드핀(88)에 의해서 예취 프레임(51)이 흡입덕트(70)와 간섭으로 일으키기 않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들이 상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의하면, 무한궤도의 일측이 습지에 빠져 차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예취 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어진 곡물줄기가 스크류 원통의 중앙부에서 병목되는 현상과 한꺼번에 많은양의 곡물줄기가 탈곡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베어진 곡물줄기를 원할하게 탈곡장치로 공급할 수 있으며, 탈곡장치에서의 탈곡효율을 향상시켜 곡립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하면 선단에 커터가 설치되고 후면 중앙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예취 프레임과, 상기 예취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베어진 곡물줄기를 중앙부로 모으는 스크류 원통과, 상기 예취 프레임의 후면에 그 일단이 배출공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내부에 3열로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곡물줄기 이송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원통의 중앙부에 모아진 곡물줄기를 강제로 상기 배출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원통의 내부 격벽 중앙부에 각각 베어링 지지되는 제1축 및 제2축과, 상기 제1축과 제2축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어댑터를 통해 이들과 편심으로 고정설치되는 제3축과, 상기 제3축에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타측이 상기 스크류 원통의 중앙부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각각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푸쉬봉과, 상기 제1축을 상기 예취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구비하는 이송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곡물줄기 이송대는 상기 3열로 설치된 체인에 소정간격을 둔채 2열의 체인에 고정된 상태로 지그재그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예취 프레임은 상기 흡입덕트에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프레임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흡입덕트의 플랜지 상측 중앙부에 상기 예취 프레임의 중앙부 상측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예취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볼트에 의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흡입덕트의 플랜지 양측 하부를 각각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2단지지판과,
    상기 흡입덕트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로드 단부가 상기 예취 프레임의 후면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예취 프레임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프레임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흡입덕트의 플랜지 상측 중앙부에 상기 예취 프레임의 중앙부 상측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흡입덕트의 플랜지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호형 장공 및 상기 예취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원호형 장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핀과,
    상기 흡입덕트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로드 단부가 상기 예취 프레임의 후면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예취 프레임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KR1019990059158A 1999-12-20 1999-12-20 콤바인의 예취장치 KR20010064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158A KR20010064822A (ko) 1999-12-20 1999-12-20 콤바인의 예취장치
KR2020000002203U KR200186288Y1 (ko) 1999-12-20 2000-01-27 콤바인의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158A KR20010064822A (ko) 1999-12-20 1999-12-20 콤바인의 예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203U Division KR200186288Y1 (ko) 1999-12-20 2000-01-27 콤바인의 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822A true KR20010064822A (ko) 2001-07-11

Family

ID=1962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158A KR20010064822A (ko) 1999-12-20 1999-12-20 콤바인의 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48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89B1 (ko) * 2014-12-11 2015-05-19 박상길 친환경 다단 농산물 수확기
KR20160069072A (ko) 2014-12-05 2016-06-1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KR20160069767A (ko) 2014-12-09 2016-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72A (ko) 2014-12-05 2016-06-1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KR20160069767A (ko) 2014-12-09 2016-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예취부
KR101521589B1 (ko) * 2014-12-11 2015-05-19 박상길 친환경 다단 농산물 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295A (en) Lateral float mechanism for combines
USRE40604E1 (en) Rotary mower conditioner having improved cut crop flow
US4266391A (en) Header attachment mechanism for combines
US4266392A (en) Header cutt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US4663921A (en) Combine harvester with header-mounted separator
CA2271610A1 (en) Chaff distributor for a combine harvester
CN204377469U (zh) 联合收割机
CN204466286U (zh) 联合收割机
CN204217505U (zh) 全喂入式联合收割机
CN102469767A (zh) 联合收割机
KR20010064822A (ko) 콤바인의 예취장치
KR200186288Y1 (ko) 콤바인의 예취장치
CA2341283A1 (en) Crop feed arrangement for the header of a combine harvester
EP0073179A1 (en) Combine harvester
CA1086595A (en) Adjustable feed clearance means for axial flow type combine
JP3418885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US3731473A (en) Harvesting machine
JPH09248037A (ja) コンバイン
CA1150954A (en) Combine conveyor apparatus
JP2001352825A (ja) コンバイン
JPH064690Y2 (ja) 脱穀機の排藁拡散室における案内羽根構造
JPH0710204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刈取ロ−リング装置
KR880000939B1 (ko) 탈곡장치
JP4427638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構造
KR830000760Y1 (ko) 자동탈곡기에 부착된 볏짚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