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437A -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437A
KR20080031437A KR1020087004128A KR20087004128A KR20080031437A KR 20080031437 A KR20080031437 A KR 20080031437A KR 1020087004128 A KR1020087004128 A KR 1020087004128A KR 20087004128 A KR20087004128 A KR 20087004128A KR 20080031437 A KR20080031437 A KR 20080031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ehicle
driver
excit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128B1 (ko
Inventor
히로시 이마이
시게까즈 오꾸마
마사히로 마쯔하시
Original Assignee
클라리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타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타치에스 filed Critical 클라리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주행 중에 진동하고 있는 차내에 운전자가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알아차리기 쉬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차량(20)의 주행 중에, 운전자(10)의 상태 혹은 차량(20)의 주행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하여 검출하는 검출부(2)와, 상기 검출부(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4)와,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운전자(10)에 대하여 소정의 진동 패턴의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부(8)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8)는 이상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P1020087004128
운전자, 파형 처리 회로, 판정 회로, 기억 회로, 증폭기

Description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MALFUNCTION INFORM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이상을 알리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운전석에 가진 장치(가진부)를 매립하여, 운전자에게 이상을 알리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것에서는,예를 들어, 운전자가 졸음 운전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가진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켜, 이 진동에 의해 운전자를 각성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일본 특개평5-33036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가진 장치에 의해, 운전자에게 연속적인 진동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 중에 항상 진동하고 있는 차량의 차내에 있는 운전자에게는 가진 장치에 의한 진동을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행 중에 진동하고 있는 차내에 운전자가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이상을 알리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의 상태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운전자에 대하여 소정의 진동 패턴의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이상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상기 진동의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상기 진동의 진폭을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진동 패턴에 의해 얻어지는 진동은, 단발적인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운전자의 졸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차량의 백선 이탈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운전자가 착석하는 좌석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전기 신호를 상기 진동으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검출한 상기 속도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검출한 상기 속도가 느리면 초기의 구동 간격을 길게 하고, 검출한 상기 속도가 빠르면 초기의 구동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검출한 상기 속도에 따라 초기의 진동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의 상태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운전자에 대하여 소정의 진동 패턴의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부를 구비한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를 컴퓨터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운전자의 상태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시키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시켜, 이상 상태라고 판정했을 때에, 상기 가진부를 소정의 진동 패턴으로 진동시키는 동시에, 이상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가진부에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진동을 부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중에 진동하고 있는 차내에 운전자가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알아차리기 쉬운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이상을 알릴 수 있다.
도1은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단발적인 각성용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단속적인 각성용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가진 장치의 구동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변형예에 의한,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7은 차량의 백선 이탈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운전석(좌석)
2 : 심박 센서(검출부)
4 : 판정 장치(판정부)
8 : 가진 장치(가진부)
10 : 운전자
11 : 차속 센서(차속 검출부)
12 : 차속 검출 회로
20 : 차량
22 : 백선
100 :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SP : 스피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고, 운전자(10)에게 생긴 여러가지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운전자(10)에게 알리기 위한 이상 경보 장치이다. 이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는, 심박 센서(검출부)(2), 파형 처리 회로(3), 판정 장치(판정부)(4), 구동 회로(5), 가진 장치(가진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운전자(10)가 졸음 상태가 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박 센서(2)와 가진 장치(8)는, 운전자(10)가 착석하는 운전석(좌석)(1)에 수납되어 있다. 심박 센서(2)는, 운전자(10)의 심장에 가까운 부위에 수납되고, 가진 장치(8)는, 운전자(10)의 등에 가까운 부위에 수납되어 있다.
심박 센서(2)는, 운전자(10)의 심박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운전자(10)로부터 검출한 심박을 심박 신호로서 파형 처리 회로(3)에 출력한다.
파형 처리 회로(3)는, 심박 센서(2)로부터 취득한 심박 신호에 신호 처리를 행하여, 심박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노이즈를 제거하고 판정 장치(4)에 출력한다.
판정 장치(4)는, 파형 처리 회로(3)로부터 취득한 심박 신호에 기초하는 심박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운전자(10)가 졸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장치(4)는, 운전자(10)가 졸음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 구동 회로(5)에 대하여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5)는, 소정의 펄스 전류값, 펄스 주기로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킨다. 구동 회로(5)는, 기억 회로(6), 신호 생성 회로(9), 증폭기(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억 회로(6)에는, 각성 효과가 있는 신호 파형이 각성용 신호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증폭기(7)는, 각성용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이다. 판정 장치(4)로부터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받은 구동 회로(5)는, 기억 회로(6)에 수납되어 있는 각성용 신호를 증폭기(7)에 출력한다. 다음에 구동 회로(5)는, 각성용 신호를 증폭기(7)에서 증폭하고나서 가진 장치(8)에 출력한다.
가진 장치(8)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스피커(SP)를 구비하고 있다. 가진 장치(8)는, 구동 회로(5)로부터의 신호 파형을 충실하게 재현하여, 운전자(10)에게 각성을 재촉하는 진동으로서 전달한다.
도2는 기억 회로(6)에 수납되어 있는 단발적인 각성용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종축이 진폭이며, 횡축이 시간(초)이다. 이 파형의 기본 주파 수는 100msec로 3.5파 정도이기 때문에, 35㎐ 전후이다. 이 파형에서는, 진폭 및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진동하고 있으며, 이 파형에서의 포락선에서는,140msec 정도에서 피크값이 된다. 다음에 이 파형은, 피크값이 된 후에 급격하게 감쇠하여, 400msec 전후에서는 진폭이 거의 0(제로)로 되어 있다. 가진 장치(8)는, 이러한 단발적인 입력 파형을 진동으로서 충실하게 재현함으로써, 사람을 각성시킬 때에 등을 순간적으로 밀었을 때와 비슷한 각성 효과를 운전자(10)에게 부여할 수 있다.
도3은 기억 회로(6)에 수납되어 있는 단속적인 각성용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하는 파형에서는,3 발의 단속적인 입력 파형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1 발의 파형은, 상술한 단발적인 입력 파형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100msec 정도에서 진폭이 피크가 된 후, 300msec 정도에서 진폭이 거의 0(제로)까지 감쇠하고 있다. 이 파형은, 진폭이 거의 0까지 감쇠한 후, 200msec에서 약간 모자라는 인터벌이 있다. 이 파형은, 인터벌 후에, 다시 1 발째와 마찬가지의 입력 파형이 되고, 2 발째의 파형이 시작되고나서 300msec 정도에서 감쇠하고 있다. 3 발째의 파형도, 1 발째 및 2 발째와 마찬가지이며, 2 발째의 파형으로부터 200msec에서 약간 모자라는 인터벌이 있다. 이 3 발째의 파형도, 인터벌 후에, 1 발째 및 2 발째와 마찬가지의 파형이 되고, 3 발째의 파형이 시작되고나서 300msec 정도에서 감쇠하고 있다.
이러한 단속적인 입력 파형을 구동 회로(5)가 가진 장치(8)에 출력함으로써, 가진 장치(8)는, 단속적으로 두드리고 있는 큰 북옆에서 듣고 있는 것처럼, 배에 울려 각성되는 듯한 효과를 운전자(10)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속적인 입력 파형의 응용예는, 그 외에도, 차량(20)을 운전 중에 노상의 캐츠아이(주행 차선의 범위를 나타내는 돌기물)를 밟았을 때와 같은 진동을 모의하여, 이 진동을 운전자(10)에게 부여하여, 운전자(10)를 각성시킬 수도 있다.
도4는 진동의 진폭 및 구동 간격을 단속적으로 변화시켰을 때의 가진 장치(8)에 의한 구동 패턴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4는,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가 졸음 상태라고 판정하고나서(졸음 검출이 ON),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할 때(졸음 검출 OFF)까지의, 가진 장치(8)가 생성하는 진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구형파 형상으로 나타낸 것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덩어리의 입력 파형 패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3에 도시하는 파형을 이 구형파 형상으로 나타낸 것이 도4의 (a)이다.
도4의 (a)는 구동 회로(5)가, 동일한 진동 강도, 또한 구동 간격을 초기 간격으로부터 동간격으로,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의 구동 패턴이다. 구동 회로(5)는,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의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할 때까지, 가진 장치(8)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진동을 반복한다.
도4의 (b)는, 구동 회로(5)가 동일한 진동 강도, 또한 구동 간격을 초기 간격으로부터 서서히 짧게 하여,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의 구동 패턴이다. 이 구동 패턴에서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구동 간격이 서서히 짧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구동 간격이 입력 파형 하나당 길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간격이 되면, 구동 회로(5)는 이 간격으로,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의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할 때까지, 가진 장치(8)의 구동을 반복한다.
도4의 (c)는 구동 회로(5)가 진동 강도를 서서히 강하게 하고, 또한 구동 간격을 초기 간격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의 구동 패턴이다. 이 구동 패턴에서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진동 강도가 서서히 강해지고 있다. 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 회로(5)는, 일정한 진동 강도로 가진 장치(8)를 구동시켜,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의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할 때까지 가진 장치(8)의 구동을 반복한다.
도4의 (d)는, 구동 회로(5)가, 진동 강도를 서서히 강하게 하고, 또한 구동 간격을 초기 간격으로부터 서서히 짧게 하여, 가진 장치(8)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의 구동 패턴이다. 이 구동 패턴에서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진동 강도가 서서히 강해지는 동시에, 구동 간격도 짧아지고 있다. 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 회로(5)는 일정한 진동 강도, 또한 구동 간격이 입력 파형 하나당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간격으로,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의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할 때까지, 가진 장치(8)의 구동을 반복한다.
또한, 진동 패턴으로서, 단발적인 진동과 단속적인 진동을 조합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발적인 신호 1 발로는 운전자(10)가 각성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에, 단발적인 신호에 계속하여 단속적인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각성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5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에 의한 운전자(10)에게 각성을 재촉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가 작동하면, 우선 심박 센서(2)가 운전자(10)의 심박을 검출하여, 심박 신호로서 파형 처리 회로(3)에 출력한다(스텝 S1).
다음에 파형 처리 회로(3)는, 심박 센서(2)로부터 취득한 심박 신호에 신호 처리를 행하여, 심박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노이즈를 제거한 후의 심박 신호를 판정 장치(4)에 출력한다(스텝 S2).
판정 장치(4)는, 파형 처리 회로(3)로부터 심박 신호를 취득하면, 취득한 심박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10)가 졸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스텝 S3에서,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가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면(스텝 S3:"아니오"),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는 가진 장치(8)가 진동하지 않을 때에는 무진동 상태를 유지하고, 가진 장치(8)가 진동하고 있을 때에는 진동을 정지시키고(스텝 S4), 스텝 S1의 처리부터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3에서, 판정 장치(4)가, 운전자(10)가 졸음 상태라고 판정하면(스텝 S3:"예"), 판정 장치(4)는, 구동 회로(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5).
다음에 구동 회로(5)는 기억 회로(6)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 파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신호 파형 데이터를 신호 생성 회로(9)가 각성용 신호로 변환한다(스텝 S6).
그리고, 구동 회로(5)는, 신호 생성 회로(9)가 생성한 각성용 신호를 증폭기(7)에 의해 증폭한다(스텝 S7).
구동 회로(5)는, 증폭한 각성용 신호를 가진 장치(8)에 출력하고, 가진 장치(8)가 각성용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을 개시한다(스텝 S8).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100)는, 스텝 S8까지의 처리를 끝내면, 다음에 스텝 S1의 처리로 복귀하여,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3에서, 운전자(10)가 졸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면(스텝 S3:"아니오"), 구동 회로(5)는 가진 장치(8)의 진동을 정지시키고(스텝 S4), 스텝 S1의 처리부터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진 장치(8)가 구동하여, 운전자(10)에 대하여,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진동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주행 중에 진동하고 있는 차내에 운전자가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알아차리기 쉬운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이상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가진 장치(8)가 운전자(10)에 대하여 부여하는 진동이, 단발적 혹은 단속적인 진동이다. 이 때문에, 연속적인 진동을 부여할 경우에 비하여, 운전자(10)에 대하여 아픔이나 상처 혹은 불쾌감을 수반하지 않고, 운전자(10)에게 각성을 재촉할 수 있다.
또한, 차량(20)이 주행 중에 캐츠아이와 같은 노상 설치물을 밟았을 때와 같은 진동을 모의하여, 이 진동을 운전자(10)에게 부여하여 운전자(10)를 각성시키도록 하면, 음성 경보로 운전자(10)에게 알릴 때와 같이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적다.
이상, 일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심박 센서(2)에 의해 운전자(10)의 심박을 검출함으로써 운전자(10)에게 이상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운전자(10)에 의한 핸들 조작의 변화를 계측하는 방법이나, 운전자(10)의 눈의 개폐를 계측하는 방법에 의해, 운전자(10)에게 생긴 이상을 판정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심박 센서(2) 및 파형 처리 회로(3)를 구비하고, 운전자(10)에게 생긴 이상을 검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CCD 카메라 및 그 화상 처리 장치, 운전자의 핸들 조작을 검출하는 조타 센서를 구비하고, 차량(20)의 백선 이탈 상태를 운전자(10)에게 생긴 이상 대신에, 혹은 운전자(10)에게 생긴 이상 외로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차량(20)이 주행 차선을 넘어 갈 것 같을 정도로, 주행 차선의 범위를 나타내는 선인 백선(22)에 근접했다고 판정 장치가 판정했을 때에, 가진 장치가 운전자에 대하여, 차량(20)이 캐츠아이를 밟았을 때를 모의한 진동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반사적으로 조타 조작 실수라고 느끼기 때문에, 신속하게 수정 조타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20)의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운전자(10)로부터 검출한 심박에만 기초하여 가진 장치를 구동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0)의 속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한 차량(20)의 속도를 차속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속 센서(차속 검출부)(11)와, 차속 센서(11)가 출력한 차속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차속 신호에 신호 처리를 행하여, 차속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노이즈를 제거하고 판정 장치(4)에 출력하는 차속 검출 회로(12)를 구비하고, 구동 회로(5)는, 검출한 속도에 따라 가진 장치(8)를 제어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가진 장치(8)의 구동 개시 시에서의 초기의 구동 간격을, 속도가 느리면 구동 간격이 길게, 속도가 빠르면 구동 간격이 짧게 설정하여도 된다. 이 때, 구동 회로(5)는, 속도에 따라 설정한 초기의 구동 간격을 기준으로, 서서히 진동 간격을 짧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초기의 진동 강도도, 차량(20)의 속도에 따라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속도가 느릴 때에는 진동 강도가 약하고, 속도가 빠를 때에는 진동 강도가 강해지도록 설정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검출한 차량(20)의 속도에 따라 가진 장치(8)를 제어하는 구성에 의하면, 긴박감이 있어 운전자가 알아차리기 쉬운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이상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검출한 차량(20)의 속도에 따라 가진 장치(8)를 제어하는 구성 외에, 상술한 CCD 카메라 및 그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차량(20)의 백선 이탈 상태를 운전자(10)에게 생긴 이상 대신에, 혹은 운전자(10)에게 생긴 이상 외로 검출하도록 하여, 차량(20)이 주행 차선을 넘어 갈 것 같을 정도로 백선(22)에 근접했다고 판정 장치(4)가 판정했을 때에, 가진 장치(8)가 운전자에 대하여, 예를 들어 도4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진동 패턴의 진동이나, 차량(20)이 캐츠아이를 밟았을 때를 모의한 진동을 속도에 따라 진동을 변화시키면서 부여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속도에 따라 진동이 변화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알아차리기 쉬운 긴박감이 있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해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선 이탈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속도에 따라 설정한 초기의 구동 간격을 기준으로, 도4의 (b)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진동 간격을 짧게 하거나, 서서히 진동 강도를 강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차량(20)이 일정 속도로 주행 중이어도, 더욱 긴박감이 있어서 운전자가 알아차리기 쉬운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이상을 알릴 수 있다.

Claims (13)

  1.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의 상태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운전자에 대하여 소정의 진동 패턴의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이상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상기 진동의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상기 진동의 진폭을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에 의해 얻어지는 진동은, 단발적인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운전자의 졸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차량의 백선 이탈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이상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운전자가 착석하는 좌석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전기 신호를 상기 진동으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검출한 상기 속도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검출한 상기 속도가 느릴 때에는 초기의 구동 간격을 길게 하고, 검출한 상기 속도가 빠를 때에는 초기의 구동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킬 때,
    검출한 상기 속도에 따라 초기의 진동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13.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의 상태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운전자에 대하여 소정의 진동 패턴의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부를 구비한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를 컴퓨터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운전자의 상태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시키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시키고,
    이상 상태라고 판정했을 때에, 상기 가진부를 소정의 진동 패턴으로 진동시키는 동시에, 이상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가진부에 상기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진동을 부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KR1020087004128A 2005-08-22 2006-07-19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KR100988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0257 2005-08-22
JP2005240257A JP4981279B2 (ja) 2005-08-22 2005-08-22 車両用異常報知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662A Division KR101013232B1 (ko) 2005-08-22 2006-07-19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437A true KR20080031437A (ko) 2008-04-08
KR100988128B1 KR100988128B1 (ko) 2010-10-18

Family

ID=37771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128A KR100988128B1 (ko) 2005-08-22 2006-07-19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KR1020107016662A KR101013232B1 (ko) 2005-08-22 2006-07-19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662A KR101013232B1 (ko) 2005-08-22 2006-07-19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41484B2 (ko)
EP (1) EP1918892B1 (ko)
JP (1) JP4981279B2 (ko)
KR (2) KR100988128B1 (ko)
CN (1) CN101243477B (ko)
WO (1) WO20070236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2892B2 (en) 2009-11-18 2015-01-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aptic feedback system for vehicle seating
WO2017065498A1 (ko) * 2015-10-14 2017-04-20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9798B2 (ja) * 2007-05-22 2013-04-10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座席構造
JP5228970B2 (ja) * 2009-02-11 2013-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居眠り防止装置
US20140349622A1 (en) * 2009-10-09 2014-11-27 George Cessna Graham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Device Allowing Escalation Through Notification Levels
US20110084818A1 (en) * 2009-10-09 2011-04-14 George Cessna Graham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device allowing escalation through notification levels
KR101219826B1 (ko) * 2010-09-28 2013-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컨트롤 유닛 평가용 신호제어장치 및 그 평가 방법, 차량의 평가용 에어백 컨트롤 유닛 및 그 신호처리방법, 차량의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평가 시스템 및 그 평가 방법
US9286773B2 (en) 2012-06-22 2016-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with improved actuator installation
US9545879B2 (en) 2012-06-22 2017-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back haptic alert systems and methods
US9421908B2 (en) 2012-06-22 2016-08-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with improved actuator placement
WO2014010568A1 (ja) * 2012-07-09 2014-01-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覚醒維持装置
US10022931B2 (en) 2012-10-15 2018-07-17 Avure Technologies Ab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a load for isostatic pressure treatment
WO2015145606A1 (ja) * 2014-03-26 2015-10-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情報呈示装置及び情報呈示方法
US9539944B2 (en) * 2014-06-11 2017-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of improving driver experience
JP6079761B2 (ja) * 2014-12-04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6447226B2 (ja) * 2015-02-20 2019-0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刺激付与装置
JP6212067B2 (ja) * 2015-03-31 2017-10-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椅子
US10486571B2 (en) 2015-03-27 2019-11-26 Ts Tech Co., Ltd. Chair
JP6511353B2 (ja) * 2015-07-07 2019-05-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報知装置および報知方法
JP6517101B2 (ja) 2015-07-10 2019-05-2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06408874B (zh) * 2015-07-28 2019-02-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疲劳驾驶的提醒系统及疲劳驾驶的提醒方法
JP6576225B2 (ja) 2015-11-27 2019-09-1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用報知装置および車両用報知方法
JP6591879B2 (ja) * 2015-11-30 2019-10-1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用報知装置および車両用報知方法
JP6716990B2 (ja) 2016-03-24 2020-07-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運動誘導装置
JP6737875B2 (ja) * 2016-03-30 2020-08-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用処理装置
WO2017221603A1 (ja) * 2016-06-21 2017-12-28 株式会社デンソー 覚醒維持装置
JP6876400B2 (ja) * 2016-09-30 2021-05-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振動制御装置
US10710594B2 (en) 2016-12-28 2020-07-1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Occupant-status prediction system
JP6511486B2 (ja) * 2017-05-30 2019-05-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および振動発生方法
JP7014951B2 (ja) * 2017-06-20 2022-02-0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DE102017113781B4 (de) * 2017-06-21 2023-10-05 SMR Patents S.à.r.l.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 sowie Kraftwagen
DE102017212195A1 (de) * 2017-07-17 2019-01-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ystem,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Vibrationseinheiten und Verwendung von Vibrationseinheiten eines Fahrzeugsystems
JPWO2019230545A1 (ja) * 2018-05-30 2021-06-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振動装置、振動装置の駆動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507838B1 (en) 2018-06-12 2019-12-17 Ahmad Abdullah M. J. Al-Qanaei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vehicle speed
JP7018979B2 (ja) * 2020-02-05 2022-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検査装置、車両検査方法
CN113192225B (zh) * 2021-04-29 2022-09-30 重庆天智慧启科技有限公司 社区安全巡更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478B2 (ja) * 1992-05-29 2001-06-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居眠り運転防止装置
JPH05330360A (ja) * 1992-06-02 1993-12-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居眠り防止装置
JPH0664458A (ja) * 1992-06-16 1994-03-08 Isuzu Motors Ltd 居眠り運転防止装置
CN1113862A (zh) * 1994-05-23 1995-12-27 福冈化学株式会社 座椅振动设备
US6077238A (en) * 1996-02-29 2000-06-20 Homedics, Inc. Massaging apparatus with micro controller using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JPH10291435A (ja) * 1997-04-21 1998-11-04 Kansei Corp 衝突防止装置
JPH1178591A (ja) * 1997-09-09 1999-03-23 Purotsupu:Kk 居眠り防止装置
FR2773521B1 (fr) * 1998-01-15 2000-03-31 Carlus Magnus Limited Procede et dispositif pour surveiller en continu l'etat de vigilance du conducteur d'un vehicule automobile, afin de detecter et prevenir une tendance eventuelle a l'endormissement de celui-ci
US6623435B2 (en) * 2000-07-03 2003-09-23 Seiko Instruments Inc. Pulse wave detecting apparatus
JP4563619B2 (ja) * 2001-06-28 2010-10-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03118421A (ja) 2001-10-12 2003-04-23 Pioneer Electronic Corp 生体状態測定装置及び方法、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ライブラリ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47055B2 (ja) * 2003-05-21 2009-04-02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運転席用座席システム
JP2011078591A (ja) 2009-10-07 2011-04-21 Ined Business Fashion Planning:Kk 乾燥用ハンガ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2892B2 (en) 2009-11-18 2015-01-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aptic feedback system for vehicle seating
KR101487694B1 (ko) * 2009-11-18 2015-01-29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시트용 햅틱 피드백 시스템
WO2017065498A1 (ko) * 2015-10-14 2017-04-20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9721A1 (en) 2009-04-16
US8041484B2 (en) 2011-10-18
EP1918892A4 (en) 2010-04-07
KR100988128B1 (ko) 2010-10-18
CN101243477B (zh) 2011-04-13
KR101013232B1 (ko) 2011-02-08
CN101243477A (zh) 2008-08-13
KR20100088168A (ko) 2010-08-06
EP1918892B1 (en) 2013-07-03
JP4981279B2 (ja) 2012-07-18
WO2007023624A1 (ja) 2007-03-01
EP1918892A1 (en) 2008-05-07
JP2007055321A (ja)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32B1 (ko) 차량용 이상 경보 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
US91390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 alertness of a driver
JP5538777B2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10814886B2 (en) System of optimizing activation degree of occupant of vehicle
WO2019211990A1 (ja) 振動制御装置
JP6876400B2 (ja) 振動制御装置
KR101047210B1 (ko) 운전자 졸음운전 방지장치
JP2009031905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JP2009137336A (ja) 車載警報装置
KR101447060B1 (ko) 운전자의 뇌파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5853442B2 (ja) 警報音生成装置
JP2018116381A (ja) 警告出力装置及び警告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7034348A (ja) 音声感知システム
WO2018163497A1 (ja) 覚醒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362664B2 (ja) 状態監視装置
JP7062356B2 (ja) 振動制御装置
JP6937259B2 (ja) 報知装置および報知方法
KR20190068715A (ko) 초음파 물리자극을 이용한 차량용 위험감지 시스템
JPH049141A (ja) 車両用居眠り防止装置
WO2023074269A1 (ja) 報知装置、報知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シートシステム
CN112193157A (zh) 歇脚板信息提醒装置及其控制方法、车载控制端
WO2018163532A1 (ja) 覚醒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11006A (ja) 車両用監視装置
JP2019193699A (ja) 振動制御装置
JP2001091634A (ja) 障害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