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337A -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337A
KR20080031337A KR1020087002234A KR20087002234A KR20080031337A KR 20080031337 A KR20080031337 A KR 20080031337A KR 1020087002234 A KR1020087002234 A KR 1020087002234A KR 20087002234 A KR20087002234 A KR 20087002234A KR 20080031337 A KR20080031337 A KR 2008003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tegrated speaker
resin
fiber structure
excit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오리 구로다
히토시 야노
구니오 고사카
미키히코 츠치다
히로시 기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센틱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244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434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3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65482A/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센틱쿠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5Screens allowing free passage of sou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9Diaphragms comprising fib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멀티 채널 구성 아래에서 채널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기 어렵고, 고음질ㆍ광음역에서 유연성이 풍부하고 경량이며, 감기나 전개가 용이하기 때문에 수납시의 소형화나 운반이 용이한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는, 섬유구조체를 주체로 하는 스크린(S)과, 이 스크린(S)의 이면에 부착된 여진기(EX)를 구비하고 있다. 매우 적합하게는 여진기(EX)와 스크린(S)의 사이에 여진판(EP)을 개재시킬 수 있다.
스크린, 스피커, 액추에이터, 여진기, 여진판, 섬유구조체, 차광층, 광반사층

Description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SPEAKER FORMED WITH SCREEN AS A UNITARY BLOCK}
본 발명은 회의나 강연회, 또는 홈시어터 등에 이용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화용 등의 스크린을 겸한 스피커 일체식의 패널형 스피커가 본 출원인에 의해서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 패널형 스피커는 스크린을 겸한 패널의 이면에 가동선륜형 등의 액추에이터(여진기)를 부착함으로써, 패널에 고품질의 휨진동을 여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크린 일체식의 패널형 스피커를 가요성의 시트로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작게 접기 가능하게 하여, 수납시의 소형화나 운반을 용이하게 한, 접는 구조의 스크린 일체식 패널형 스피커도 본 출원인에 의해서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 전자형 스피커의 콘 등의 진동판의 소재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직물을 이용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등).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1253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0-23659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005-10188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스크린 일체식의 패널형 스피커에서는, 스크린을 겸한 패널(진동판)이 큰 강성을 갖는 것으로부터 소리의 감쇠가 발생하기 어려운 허니캠 구조(벌집 구조) 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른 주파수대역의 여진기를 공통의 패널에 복수 부착하는 멀티채널형의 패널형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채널 상호의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이 채널간의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여진기가 부착되는 각 영역의 경계의 패널에 랜싱(lancing) 등을 형성함으로써 음향적으로 분리한다고 하는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 패널형 스피커에서는 스피커가 고정형으로 되어있으므로 수납이나 운반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폴더형의 스크린 일체식 패널형 스피커에서는, 수납시의 소형화나 운반의 편리는 상당한 정도 개선되는데, 아직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소재는 비교적 소형의 전자형 스피커의 콘 등에의 응용에 대해서는 충분히 큰 강성의 진동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용의 스크린을 겸한 진동판에 응용할 경우, 스크린의 치수가 크기 때문에 강성이 부족한 경향으로 된다. 스크린의 강성을 높이는데다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 비율을 높이면, 스크린 전체로서의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그 강성의 증가에 동반하여 유연성이 없어져 전개나 감기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기 어렵고, 고음질의 멀티채널의 스피커의 구성에 적합한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시의 소형화나 운반이 용이한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로서 경량이고, 유연성이 풍부하여 전개나 감기가 용이한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는, 섬유구조체를 주체로 하는 스크린과, 이 스크린의 이면에 부착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는 여진판을 개재시키면서 상기 스크린의 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스크린의 한쪽 면에 차광층과 광반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스크린의 차광층과 광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의 면에 추가로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스크린은 섬유의 직물 또는 편물을 포함하는 섬유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의 커버 팩터는 1000 내지 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의 기본중량(目付; METSUKE)이 50 내지 400g/㎡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를 구성하는 섬유의 외관 영률(Young's modulus)이 3000N/㎟ 내지 150000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에는 중량비로 0.1∼30%의 수지가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에 함침되는 수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섬유구조체는 캘린더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여진판은 적층한 섬유구조체에 수지를 함침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여진판에 이용하는 섬유구조체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여진판에 이용되는 수지가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여진판의 두께는 400∼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는 스크린상에 형성된 표시영역 내의 이면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는 스크린상에 형성된 비표시영역 내의 이면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스크린의 하단부에는 스크린에 장력을 부여하는 뿔체(錐體)를 겸하고 서브우퍼로서의 스피커 시스템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스크린의 상단부에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앰프가 고정 또는 내장되는 헤드 프레임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2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여진판에 분산해서 부착된 복수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상기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크린 이면의 좌우 및 중앙에 분산해서 부착되어 좌우 및 중앙의 소리를 발생하는 여진판과 여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A), 측면도(B) 및 부분 확대 측면도(C).
도 2는 도 1의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여진판을 사 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서 나타내는 실험데이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과 도 4에 나타낸 각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양자를 비교하면서 나타내는 실험데이터.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스크린 Sa: 표시영역
Sb: 비표시영역 S0: 섬유구조체
S1: 차광층 S2: 광반사층
S3: 흑색의 인쇄층 EP: 여진판
EX: 액추에이터 H: 홀딩체
F: 헤드 프레임 A: 앰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최량의 형태에 따르면, 강성이 작은 섬유구조체의 스크린을 직접 여진하는 것은 아니고, 섬유구조체와 여진기의 사이에 섬유구조체에 비해 큰 강성을 갖는 여진판을 개재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고음역의 고능률의 여진과, 광대역 또한 고품질의 소리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최량의 형태에 따르면, 섬유구조체는 직물, 편물, 부직포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구조체, 바람직하게는 직물 또는 편물을 포함하는 섬유구조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최량의 형태에 따르면, 액추에이터가 여진판에 분산해서 부착된 복수의 것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전자형 등의 액추에이터의 두께가 감소하는 동시에, 여진의 효율이 향상하는 동시에 광대역화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최량의 형태에 따르면, 여진판과 액추에이터가 스크린 이면의 좌우 및 중앙에 분산해서 부착되고, 좌우 및 중앙의 소리를 여진하는 여진판 및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패널(진동판)에 비해 강성이 작고 전파감쇠량이 큰 기포(基布)의 스크린을 발음체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끼리를 이간시켜 부착함으로써, 액추에이터끼리의 간섭이 경감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또 다른 최량의 형태에 따르면, 섬유구조체의 스크린의 아래쪽 단부에는 스크린에 최적의 장력을 부여하는 뿔체가 부착되고, 이 뿔 체가 서브우퍼로서의 원통형 스피커 시스템을 겸하고 있다. 이 뿔체는 원통형 이외의 형상(예를 들면 네모기둥, 원뿔, 각뿔, 구(球))의 스피커 시스템이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A), 측면도(B) 및 부분 확대 측면도(C)이다. 150인치의 직사각형상의 스크린(S)의 아래쪽에 표시영역(Sa)이 형성되고, 그 주변부에 비표시영역(Sb)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S)의 상단부에는 감기용의 파이프(P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뿔체(Pb)가 부착되어 있다.
스크린(S)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섬유의 직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190㎛, 20개/인치의 섬유구조체로 구성되는 시트 형상의 섬유구조체(S0)의 표면에 두께 90㎛의 차광층(S1)이 형성되고, 이 차광층(S1)의 위에 두께 130㎛의 광반사층(S2)이 형성되어 있다. 비표시영역(Sb)에 대해서는 광반사층(S2)의 위에 흑색의 인쇄층(S3)이 형성되어 있다. 섬유구조체(S0)의 기본중량(目付; METSUKE)은 175g/㎡, 커버 팩터는 1075, 섬유의 외관 영률은 3000N/㎡이다. 이 섬유구조체(S0)의 위에 차광층(S1)이나 광반사층(S2)이 형성된 스크린의 기본중량은 530g/㎡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섬유구조체(S0)의 두께를 190㎛로 했는데, 사용주파수대 등에 따라서 그 두께를 50 내지 2000㎛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섬유구조체(S0)를 구성하는 섬유의 외관 영률의 매우 적합한 범위로서는 3000N/㎟ 내지 150000N/㎟로 설정된다. 섬유구조체(S0)가 부직포인 경우나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인 경우, 단사섬도는 1∼15dtex의 범위가, 또 섬유구조체(S0)가 모노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인 경우, 단사섬도는 50 내지 20000dtex의 범위가 매우 적합하게 선택된다. 매우 적합하게는, 섬유구조체(S0)를 구성하는 섬유구조체(S0)의 커버 팩터로서 1000 내지 3000의 범위, 기본중량으로서 50 내지 400g/㎡의 범위, 직물밀도로서 15개/인치 이상의 범위로 선택된다.
여기에서, 섬유구조체(S0)의 커버 팩터가 1000 미만에서는 차광층(S1)이나 광반사층(S2)으로서 수지를 이용하면 진동을 전하는 섬유의 양이 부족하여, 스크린이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발현하지 않는다. 한편, 커버 팩터가 3000보다 커져도 현장감의 점에서는 그만큼 향상하지 않고, 무거운 스크린이 되어 운반이나 설치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더욱 바람직한 커버 팩터는 1000∼2500이다.
또, 상기 섬유구조체(S0)를 구성하는 섬유는 진동을 전하기 쉽게 하여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발생하는데 있어서 영률이 3000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똑같은 관점으로부터 비중이 1.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라미드 섬유, 카본 섬유,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6나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초분자량 폴리에틸렌 등 폴리올레핀 섬유의 어느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라고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라미드 섬유, 카본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가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발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섬유를 혼섬, 복합, 혼방해서 이용해도 좋다.
섬유구조체(S0)에는 그 영률이나 밀도 등 음향 특성에 영향을 부여하는 기계적인 물성값을 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중량비로 0.1∼30%의 범위(더욱 매우 적합하게는 0.1∼20%의 범위)로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수지가 함침되고, 그 중에서도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침된다. 스피커로서 충분히 섬유구조체(S0)를 진동시키는 점에서는 포백(布帛)에 수지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한데, 섬유구조체(S0)를 구성하는 섬유의 수속성(收束性)을 높여 스크린으로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는 섬유구조체(S0)에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양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7%이다. 수지의 양이 섬유구조체(S0)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를 넘으면 섬유구조체(S0)가 충분히 진동하지 않으며, 목적으로 하는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섬유구조체(S0)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섬유구조체(S0)에는, 매우 적합하게는 그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발생시킬 목적으로 캘린더 가공이 시행된다. 이 캘린더 가공으로서 금속 롤러, 고무 롤러, 페이퍼 롤러 등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롤러 접압(接壓), 온도를 적절한 범위로 조정해서 실행하면 좋다. 예를 들면, 금속 롤러끼리를 조합하거나, 금속 롤러와 페이퍼 롤러를 조합하거나 하여 접압을 높게 설정하고, 롤러 온도를 150℃ 내지 220℃의 범위로 설정해서 실행한다.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섬유구조체(S0)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1) 일본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상 품명 「테오넥스(Teonex)」1100dtex/ 250필라멘트, 외관 영률 31500N/㎟)를 경사(經絲) 및 위사(緯絲)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20개/인치의 평직물
(2) 일본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상품명 「테크노라(Technora)」1100dtex/ 100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100000N/㎟)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20개/인치의 평직물
(3) 일본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상품명 「트와론(Twaron)」1100dtex/ 100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100000N/㎟)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20개/인치의 평직물
(4) 일본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상품명 「테트론(Tetoron)」1100dtex/ 25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17000N/㎟)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20개/인치의 평직물
섬유구조체(S0)의 위에 형성되는 차광층(S1)은 중량비 30%의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두께 90㎛의 흑색의 폴리염화비닐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폴리염화비닐층은 라미네이트 가공 또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형성한다. 폴리염화비닐층의 형성은 스크린 기본중량이 가벼워지고, 음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 점으로부터 라미네이트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측한 차광률은 99.99%였다.
또한, 섬유 자체에 카본 섬유나, 염색이나 원착(原着)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차광층(S1)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때도 마찬가지로 스크린에서 측정한 상기 차광률이 99.9 이상 이도록 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섬유에 유색을 시행할 경우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 이트 섬유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경우, 안료나 분산 염료 및/ 또는 양이온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원착의 경우는, 특히 내열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의 내승화(耐昇華)ㆍ분해 특성을 가진 안료가 바람직하고, 함유량으로서는 섬유를 기준으로 하여 0.1∼5.0중량%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차광층(S1)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섬유구조체(S0)의 이면 측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S1)에는 차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은폐성을 갖는 안료 또는 염료가 0.03∼30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되는 안료로서는, 은폐성이 높은 것으로서는 카본 블랙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염료로서는 분산 염료, 양이온 염료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분산 염료가 바람직하다. 이때, 스크린에서 측정한, 조도 5만 룩스에 대한 차광률이 99.9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차광층(S1)의 위에 형성되는 광반사층(S2)은 중량비 30%의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두께 130㎛의 백색의 폴리염화비닐층으로 구성되고, 이 폴리염화비닐층은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실측한 광반사율은 93%였다. 이 백색의 폴리염화비닐층에 무기입자(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산화티탄, 유리가루, 탄산칼슘, 황산바륨)를 첨가하면, 스크린의 반사율이 향상하여 더욱 영사 특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스크린 전체에 차지 하는 섬유구조체(S0)의 중량비는 30%였다. 또한, 상기 직물에는 멜라민 수지가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 함침한 것을 이용했다.
광반사층(S2)은 상기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외에,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스크린에서 측정한 380∼780㎚의 가시광 평균 반사율이 9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반사층(S2)에는 안료 및 염료를 함유해도 상관없다. 관련되는 안료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크롬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또, 염료로서는 분산 염료, 양이온 염료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반사층(S2)이 구(球) 형상 무기입자를 섬유구조체(S0)에 고착하여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광반사층(S2)에는 스크린 반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백색 등의 안료, 염료 또는 무기입자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7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광반사층(S2)이 구 형상 무기입자를 섬유구조체(S0)에 고착하여 형성된 것인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우레탄, 아크릴계 수지가 섬유구조체(S0)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70중량% 섬유구조체(S0)에 코팅 또는 라미네이트 가공되고, 또한, 해당 수지의 표면에 섬유구조체(S0)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35중량%의 구 형상 무기입자가 고착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차광층(S1) 및/ 또는 광반사층(S2)이 되는 필름을 섬유구조체(S0)에 직접 라미네이트 가공이나 다른 수지로 접착한 층이라도 좋다. 관련되는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 지는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섬유구조체의 중량은 스크린 전체 중량의 20∼95%, 바람직하게는 25∼7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이다. 이에 따라, 섬유구조체(S0)가 액추에이터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현장감이 있는 소리를 낼 수 있다.
섬유구조체(S0)의 이면(차광층(S1), 광반사층(S2)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면)에, 예를 들면 중량비 30%의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두께 90㎛의 흑색의 폴리염화비닐층으로 구성되는 차광층을 설치하면 좋다. 이 차광층은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S)의 표시영역(Sa)의 이면에는, 구 형상의 여진판(EP)이 부착된다. 이 여진판(EP)은 스크린(S)을 구성하는 섬유구조체(S0)와 똑같은 섬유구조체(소재)를 4장 적층하고, 4장 겹쳐진 섬유구조체의 중량에 대해 1.35배 중량의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켜서 두께 1000㎛의 판 형상의 구조를 작성한다. 이 여진판의 가로 세로의 치수는 120㎜×120㎜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S)의 이면에 에폭시 수지계의 접착제층을 통하여 부착된 여진판(EP) 위에, 같은 에폭시 수지계의 접착제층을 통하여 액추에이터(여진기, EX)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EX)는 출력 3W의 가동선륜형의 전기/음향변환기이며, 그 구조는 본 출원인의 선원에 관련되는 일본국 특개평 10-243491호 공보나, 특개평 11-331969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똑같다.
이 액추에이터(EX)의 전단면(前端面)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보빈의 선단면은 여진판(EP)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EX)의 후단 부분을 형성 하는 자기회로의 후부 단면은 탄성홀딩체(h)를 개재시키면서 여진판(EP)에 고정되는 방진 커버와 방열기도 겸하는 금속제의 홀딩체(H)에 의해서 홀딩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신호선을 통하여 액추에이터(EX)에 음성주파수대역(수십㎐∼수십㎑)의 음성신호가 공급되면,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진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보빈이 전후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진동이 보빈의 선단면을 통하여 여진판(EP)에 전달되고, 여진판(EP)에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전후방향의 진동성분과,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휨 진동성분이 여진된다. 낮은 주파수의 전후방향의 진동성분은 여진판(EP)으로부터 스크린(S)에 전달되고, 스크린(S)에 전후방향의 진동을 여진한다. 이에 대해, 높은 주파수의 휨 진동성분은 약간의 부분만이 강성이 작은 스크린(S)에 전달되고, 스크린(S)에 휨 진동을 여진한다. 이와 같이, 저주파 성분은 주로 스크린(S)의 전후 진동에 의해서 발생되고, 고주파 성분은 주로 여진판(EP)의 휨 진동자에 의해서 발생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차광층(S1)과 광반사층(S2)을 갖는 스크린은, 섬유구조체(S0)에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를 함침시킬 경우는, 가교제 등과 함께 멜라민 수지 2∼40중량부 수분산용액을 섬유구조체(S0)에 도포한 후, 100∼180℃로 건조하고, 150∼220℃로 열처리(큐어링)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수지의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섬유구조체(S0)의 한쪽의 면에만 차광층(S1) 및 광반사층(S2)을 가진,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이 포함된 폴리우레탄 및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2층 코트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이때, 일반 스크린용의 섬유구조체(S0)에서는, 커버 팩터가 1000 미만의 메시(mesh)가 있는 직물에서는 직물의 차광층의 수지가 다른 쪽의 면에도 함침하여 버려, 한쪽의 면에만 수지를 도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차광층(S1) 및/ 또는 광반사층(S2)이 되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섬유구조체(S0)에 라미네이트 가공할 경우는, 플랫 금속, 페이퍼, 및/ 또는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한쪽의 롤러를 30∼220℃로 하고, 접압 2㎏/㎝ 이상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적층시킬 수 있다.
또, 광반사층(S2)은 구 형상 무기입자가 포백 표면에 고착되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구 형상 무기입자를 포백에 고착시키려면, 해당 입자를 15∼75%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구 형상 무기입자 지름의 1∼2배의 클리어런스를 설치한 코터로 코팅시키고, 이어서 100∼150℃로 건조 및 140∼210℃로 열처리를 시행함으로써 고착시킬 수 있다. 또는, 구 형상 무기입자가 포함된 수지액을 분사해도 상관없는데, 최상층에 균일 분산하여 구 형상 무기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적어도 광반사층(S2), 바람직하게는 차광층(S1) 및 광반사층(S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로서 이용한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자기회로와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크린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 하중을 가하던지, 하부를 잡아당기던지, 프레임 등에 고정함으로써 적당한 장력을 걸어 이용하는 것이, 현장감의 소리를 발현시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그때, 스크린의 세로방향(중량방향)에서 측정한 장력이 0.5㎏/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며, 가로축은 주파수, 세로축은 음향 출력의 진폭(음압)이다.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곡선이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이다. 가는 선으로 나타내는 곡선은 비교를 위해 도 1의 구성으로부터 여진판(EP)을 제거하여, 액추에이터(EX)를 직접 스크린(S)의 이면에 부착한 것의 음향 특성이다. 양자의 음향 특성을 비교하면, 여진판(EP)을 사용함으로써, 고음역의 성분이 조장(助長)되고, 저음역에서 고음역에 걸치는 넓은 음역에 걸쳐서, 양호한 음향 특성이 실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진판(EP)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감기나 전개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크린(S)의 강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고음역의 특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에 있는, 현장감, 감기성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현장감
스크린(사이즈 20인치)의 이면(광반사층(S2)과 반대면)에 자기회로와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일본 (주)오센틱쿠제:액추에이터 3W×1개)를 설치하고, 소리를 울려, 실청ㆍ실감상에 의해 소리의 현장감이 가장 우수한 것을 5점, 나쁜 것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평가했다. 또 실청은 언어의 명확성 및 고주파영 역(고음역)의 명료성에 대해 실행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이때, 스크린은 장력 1.0㎏의 가중을 가하여 매달았다.
(2) 감기성
수납, 반송성, 설치성의 평가로서, 스크린 및 액추에이터를 부착한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를 직경 20㎝의 원통 형상으로 롤 감기하고, 가장 감기가 용이했던 것을 3점, 감기성이 곤란한 것을 1점으로 하여 3단계로 평가했다.
(3) 차광률
JIS R3106에 준거하여, 조도 5만 룩스에 대한 차광성을 측정했다.
(4) 가시광 반사율
마크베스(Macbeth)사제 CE3100를 이용하여 가시광영역의 380∼780㎚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했다.
[ 실시예 1]
일본국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상품명 「테오넥스」1100dtex/ 25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31500N/㎟)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20개/인치의 평직물을 제직(製織)했다. 이때, 커버 팩터는 1265였다.
이어서, 스코어 롤 #400(다이이치공업(주)제) 및 소다회를 각각 0.5g/ℓ 제공하고, 원사 및 제직시에 부여된 여분의 유제를 제거(정련)했다.
그 후, 멜라민 수지(벡카민(BEKKAMIN) J101(다이니폰잉크)) 150g/ℓ와 촉매 50g/ℓ를 디핑하고, 신속하게 130℃로 건조 및 180℃로 큐어링을 실행했다. 멜라 민 수지의 부착량은 상기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였다. 그 후, 평면 금속 롤/페이퍼 롤의 캘린더에 의한 표면 평활화 처리를, 온도 200℃, 접압 3ton/㎝로 실행했다.
직물의 한쪽 면에 표시용 스크린으로서 필요한 차광층(S1)과 광반사층(S2)의 2층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코팅을 각각 100g/㎡, 200g/㎡가 되도록 시행했다(이하, 표시용 스크린 가공이라 칭할 일이 있다). 차광층(S1)은 카본 블랙을 30중량% 함유한 흑색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하고, 광반사층(S2)은 TiO2를 30중량% 함유한 백색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7중량%였다. 현장감은 5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2]
일본국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상품명 「테크노라」1100dtex/ 100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100000N/㎟)를 제공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5중량%였다. 현장감은 5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3]
일본국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상품명 트와론) 1100dtex/ 100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100000N/㎟)를 제공한 이외는, 실 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5중량%였다. 현장감은 5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4]
일본국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 폴리에스테르 섬유(상품명 테토론, 비중 1.38, 외관 영률 17000N/㎟) 1100dtex/ 250필라멘트)를 제공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5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5]
멜라민 수지를 함침시키지 않았던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하여 스크린을 작성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7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6]
캘린더 가공을 시행하지 않았던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7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7]
표시용 스크린 가공을 폴리우레탄 수지와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2층 코팅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차광층(S1)은 블랙 카본을 30중량% 함유한 흑색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하고, 광반사층(S2)은 TiO2를 30중량% 함유한 백색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5%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5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8]
표시용 스크린 가공을 구 형상 그라스비드(입경 평균 30㎛) 30g/㎡ 제공한 우레탄 수지 100g/㎡에 의해 고정시킨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차광층(S1)은 실질적으로 구 형상 그라스비드에 의한 확산반사광에 의해 발생하고, 그라스비드는 차광층(S1)과 광반사층(S2)의 양쪽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6%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45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9]
표시용 스크린 가공을 차광 폴리에스테르 필름(일본국 데이진사제, 두께 90㎛) 및 가시광 반사 폴리에스테르 필름(일본국 데이진사제, 두께 45㎛)을 붙여 합친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7%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40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10]
멜라민 수지에 대신하여 일본국 고오화학공업(주)제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상품명 「프라스코트 Z565」)를 이용하고, 이것을 물/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촉매를 60중량부/ 50중량부/ 2.5중량부로 혼합한 액에 디핑하여, 신속하게 200℃로 건조를 실행했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부착량은 상기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2중량%이며, 그 후의 캘린더 가공을 실행하지 않았다. 이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3%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43중량%였다. 현장감은 5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똑같은 제직물을 에폭시 수지에 함침 후, 상법(常法)에 의해 건조ㆍ반경화시켜 에폭시 프리프레그를 얻은 이외는, 실시예와 똑같이 처리해서 평가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5%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28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1점이었다.
[ 실시예 12]
일본국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상품명 「테오넥스」1100dtex/ 25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30000N/㎟)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15개/인치의 평직물을 제직했다. 이때, 커버 팩 터는 948이었다. 이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5%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25중량%였다. 현장감은 2점, 감기성은 3점이었다.
[ 실시예 13]
일본국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주)제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상품명 「테오넥스」1100dtex/ 250필라멘트, 비중 1.38, 외관 영률 30000N/㎟)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한 경위 직물 밀도 48개/인치의 평직물을 제직했다. 이때, 커버 팩터는 3033이었다. 이 이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했다. 스크린에서 측정한 차광률은 99.99%, 가시광 반사율은 95%였다. 또한, 스크린 전체 중량에 대한 직물의 중량 비율은 37중량%였다. 현장감은 4점, 감기성은 1점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의 표시영역의 이면에 1장의 진동판(EP)이 부착되고, 이 진동판의 이면에 합계 4개의 액추에이터(EX)가 부착되어 있다. 4개의 액추에이터(EX)는 각각을 여진판(EP)의 중심에 가능한 한 접근시킨 상태에서, 중심의 둘레에 회전대칭인 위치에 부착된다.
도 5는 도 1과 도 4에 각각 나타낸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비교해서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며, 가로축은 주파수, 세로축은 음향 출력의 진폭(음압)이다.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곡선이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이다. 가는 선으로 나타내는 곡선은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음향 특성이다. 외부로부터 액추에이터(EX)에 공 급하는 여진 전력의 합계는 1개의 경우와 4개의 경우로 동일한 값(1와트)이다. 즉, 도 4의 경우는 도 1의 경우의 전력을 4개의 액추에이터(EX)로 나누어 공급하고 있다.
도 5 중의 양자의 음향 특성을 비교하면, 액추에이터(EX)를 복수 사용함으로써 100㎐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출력이 증가하는 동시에, 주파수 특성이 평탄한 상태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0㎑에서 20㎑까지의 고음역 성분이 증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여진판(EP)과 그 위에 부착된 4개의 액추에이터(EX)가 스크린(S)의 표시영역(Sa)에는 아니고, 상부의 비표시영역(Sb)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진판(EP)과 단일 또는 복수의 액추에이터(EX)를 스크린(S)의 표시영역(Sa)에 부착하는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저주파 성분의 전후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스크린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표시화면의 화질이 약간이지만 열화했다. 제 3 실시형태는 여진판(ET)과 액추에이터(EX)를 스크린(S)의 비표시영역(Sb)에 부착함으로써, 스크린의 흔들림에 동반하는 표시화면의 화질의 열화를 회피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 1장의 여진판(EP) 위에 4개의 액추에이터(EX)를 부착한, 오른쪽 채널용의 여진부(Er), 왼쪽 채널용의 여진부(El), 센터 채널용의 여진부(Ec)가 스크린(S)의 비표시영역(Sb) 이면의 좌측, 우측 및 중앙 부 분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S)에 상하방향의 장력을 부여하는 뿔체(Pb)가 서브우퍼로서의 원통 형상의 스피커시스템을 겸하고 있다. 원통 형상의 뿔체(Pb) 속은 서브우퍼 외에, 관련의 앰프나 전원도 내장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 4개의 액추에이터(EX)를 부착한 여진판(EP)을 9장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오른쪽 채널용의 여진부(Er), 왼쪽 채널용의 여진부(El), 센터 채널용의 여진부(Ec)가 스크린(S)의 비표시영역(Sb) 이면의 좌측, 우측 및 중앙 부분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의 구성을 스피커 (S)의 배면(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각 1장의 여진판(EP) 위에 4개의 액추에이터(EX)를 부착한, 오른쪽 채널용의 여진부(Er) 및 왼쪽 채널용의 여진부(El)가 제 1∼5 실시형태와 똑같이 스크린(S)의 위쪽에 설치한 비표시영역(미도시) 이면의 좌측 및 우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피커(S)는 헤드 프레임(F)에 의해서 상단면이 지지되고, 이 헤드 프레임(F)의 이면 대략 중앙에는 여진부(Er) 및 여진부(El)를 진동시키기 위해서 이용하는 앰프(A)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앰프(A)는 헤드 프레임(F)에 내장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앰프(A)에 덧붙여서 전원도 헤드 프레임(F)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프레임(F)에 대신해서 감기용의 파이프(Pa)에 앰프(A)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 섬유구조체(S0)나 여진판을 형성하는 섬유구조체용의 섬유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나, 영률이나 밀도 나 음향감쇠율 등의 음향 특성을 결정하는 기계적인 물성값을 상기한 매우 적합한 범위로 조정 가능한 것으로만 하면, 필요에 따라서 다른 균등적인 섬유의 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섬유로서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아미드, 카본,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파라페닐렌벤즈옥사졸, 폴리에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올레핀, PBO, 비닐론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섬유에는 다른 섬유를 복합, 혼직, 혼방해도 좋고, 또, 직물, 편물, 부직포라고 하는 섬유구조체에는 다른 섬유를 교직, 교편, 혼합해도 좋다. 상기의 다른 섬유는, 면, 울 등의 천연섬유라도 좋다.
또, 음향 특성을 최적값으로 미조정하는 목적 등으로, 복수 종류의 섬유를 교직한 다중 직물의 구조나, 다른 섬유의 직물이나 편물을 적층시키는 다층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진판에 함침시키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했는데, 필요에 따라서 다른 적당한 균등적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적절한 섬유를 짜는 것에 의해서 섬유구조체(S0)를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직물 대신에 편물을 섬유구조체(S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편물의 경우는 경위편(환편, 트리코니트)의 어느 하나라도 좋고, 또, 다중 편물이라도 좋다. 편물 밀도는,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0개/인치 이상의 고밀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음향 특성의 향상을 우선할 경우에는 이것 미만의 편물 밀도라도 좋다.
섬유구조체(S0)로서는 편물이나 직물 외에,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식 부직포가 습식 부직포보다 바람직하다. 그때 두께는 100㎛ 내지 500㎛의 범위가 매우 적합하다.
섬유구조체(S0)로서 편물이나 직물이나 부직포 등의 섬유구조체 외에, 수지 필름 등의 막 형상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필름의 경우,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매우 적합한데, 그 밖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 필름의 두께의 매우 적합한 범위는 50㎛ 내지 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에 따르면, 진동에 의한 발음체로서 강성이 작고 전파감쇠량이 큰 섬유구조체의 스크린이 사용된다. 이로 인해, 각 채널의 액추에이터를 복수개 스크린의 이면에 부착함으로써, 채널간의 분리를 위한 각별한 구조를 스크린상에 형성하는 일 없이, 채널간의 상호 간섭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고음질의 멀티채널의 스피커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에 의한 발음체로서 강성이 작고 감기가 용이한 섬유구조체의 스크린을 이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수납시의 치수가 작고, 운반이 용이하며, 설치나 회수작업이 용이한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2)

  1. 섬유구조체를 주체로 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이면에 부착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여진판을 개재시키면서 상기 스크린의 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한쪽 면에 차광층과 광반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차광층과 광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의 면에 추가로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5. 제 1 항에서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섬유의 직물 또는 편물을 포함하는 섬유구조체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의 커버 팩터는 1000 내지 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의 기본중량이 50 내지 400g/㎡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8. 제 5 항에서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를 구성하는 섬유의 외관 영률이 3000N/㎟ 내지 15000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9. 제 5 항에서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0. 제 5 항에서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에는 중량비로 0.1∼30%의 수지가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에 함침되는 수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2. 제 1 항에서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구조체는 캘린더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3. 제 2 항에서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은 적층한 섬유구조체에 수지를 함침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에 이용하는 섬유구조체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에 이용되는 수지가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6. 제 2 항에서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의 두께는 400∼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7. 제 2 항에서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크린 위에 형성된 표시영역 내의 이면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8. 제 2 항에서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크린 위에 형성된 비표시영역 내의 이면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19. 제 1 항에서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상단부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앰프가 고정 또는 내장되는 헤드 프레임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20. 제 1 항에서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부여하는 뿔체를 겸하고 서 브우퍼로서의 스피커 시스템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21. 제 1 항에서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여진판에 분산해서 부착된 복수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22. 제 1 항에서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판과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크린 이면의 좌우 및 중앙에 분산해서 부착되어 좌우 및 중앙의 소리를 발생하는 여진판과 여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KR1020087002234A 2005-08-02 2006-08-02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KR20080031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4403 2005-08-02
JP2005224403A JP2007043412A (ja) 2005-08-02 2005-08-02 スピーカー機能を有するスクリーン
JP2005253700A JP2007065482A (ja) 2005-09-01 2005-09-01 スクリーン一体型スピーカ
JPJP-P-2005-00253700 2005-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337A true KR20080031337A (ko) 2008-04-08

Family

ID=3770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234A KR20080031337A (ko) 2005-08-02 2006-08-02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85778A1 (ko)
EP (1) EP1912469A4 (ko)
KR (1) KR20080031337A (ko)
TW (1) TW200738035A (ko)
WO (1) WO2007015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280A1 (en) * 2005-03-10 2006-09-14 Nxp B.V. Membrane with high resistance against buckling and/or crinkling
JP4655243B2 (ja) * 2008-09-09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駆動方法
US8879771B2 (en) 2010-04-08 2014-11-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reproduction
WO2011132012A1 (en) 2010-04-20 2011-10-27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8831248B2 (en) 2010-08-04 2014-09-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directivity pattern
CN103154857B (zh) 2010-08-23 2019-03-1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在触摸感应的用户接口中提供触觉和音频反馈的装置和方法
ITFI20110192A1 (it) * 2011-09-06 2013-03-07 Texe Srl Struttura di altoparlante e attrezzatura di sospensione. metodo di tesatura di membrana di altoparlante
FR2991063B1 (fr) * 2012-05-25 2016-12-09 Centre Scient Et Technique Du Batiment Ecran de projection courbe
MX359653B (es) 2014-01-03 2018-10-0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 Accionadores de pantalla acoplados de forma movible.
GB2551723B (en) 2016-06-27 2018-11-28 Amina Tech Limited Speaker Panel
EP3528510B1 (en) * 2016-10-13 2022-0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lat speaker and display device
KR102380627B1 (ko) * 2017-05-29 2022-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889640B (zh) * 2019-02-28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发声装置、方法及移动终端
KR20200114915A (ko) * 2019-03-29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WO2022064953A1 (ko) * 2020-09-25 2022-03-31
JPWO2022196353A1 (ko) * 2021-03-19 2022-09-22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484B2 (ja) * 1992-05-13 1996-10-3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シアター装置
US6327369B1 (en) * 1995-09-02 2001-12-04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s comprising panel-form acoustic radiating elements
KR19990044170A (ko) * 1995-09-02 1999-06-25 헨리 에이지마 패널형 라우드스피커
US6389935B1 (en) * 1996-09-02 2002-05-21 New Transducers Limited Acoustic display screen
JP3929541B2 (ja) 1997-02-27 2007-06-13 株式会社オーセンティック パネル型スピーカの取付け構造
JPH11331969A (ja) 1998-05-14 1999-11-30 Oosenteikku:Kk 表示装置用パネル型スピーカ
JP3892159B2 (ja) 1998-10-14 2007-03-14 株式会社オーセンティック パネル型スピーカ
JP3877031B2 (ja) 1999-02-12 2007-02-07 株式会社オーセンティック パネル型スピーカ
JP3512087B2 (ja) * 1999-06-15 2004-03-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ネルスピーカ
TW507465B (en) * 2000-12-28 2002-10-21 Tai-Yan Kam Transparent planar speaker
CN1535556A (zh) * 2001-05-11 2004-10-06 ����ת�������޹�˾ 扬声器
JP3599699B2 (ja) * 2001-10-16 2004-12-08 株式会社ジャムコ フラットスピーカー
JP3858981B2 (ja) * 2001-12-25 2006-12-2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繊維
JP3837617B2 (ja) * 2002-03-19 2006-10-25 オーエス工業株式会社 映写用スクリーン
CN100456128C (zh) * 2002-07-11 2009-01-28 索尼公司 图像显示器屏幕、图像显示器屏幕的制造方法和图像显示器
JP3873960B2 (ja) 2003-09-25 2007-01-3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63269B2 (ja) * 2002-12-09 2007-08-22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
JP4158511B2 (ja) * 2002-12-17 2008-10-01 ソニー株式会社 遮光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40240687A1 (en) * 2003-05-30 2004-12-02 Graetz Michael L. Flat panel speaker
US20070253051A1 (en) * 2003-09-29 2007-11-01 Kunihiko Ishihara Optical Device
US7356229B2 (en) * 2005-02-28 2008-04-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polarizers containing polymer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8035A (en) 2007-10-01
EP1912469A1 (en) 2008-04-16
US20080285778A1 (en) 2008-11-20
WO2007015518A1 (ja) 2007-02-08
EP1912469A4 (en)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1337A (ko)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CN101233785A (zh) 屏幕一体型扬声器
KR101160529B1 (ko) 직편물, 스피커용 진동판 및 스피커
JP6510653B2 (ja) 防音構造
EP1513369B1 (en) Speaker diaphragm and speaker using the diaphragm
WO2011077560A1 (ja) スピーカ用振動体、スピーカ装置
JP2007187976A (ja) 映写用スクリーン
PL191378B1 (pl) Głośnik
JP2007006435A (ja) スピーカー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ー構造体
US4377617A (en) Loudspeaker diaphrag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20050185809A1 (en) Audio frequency speaker
CN109314821B (zh) 扬声器用振动部件、包含其的扬声器、及搭载有该扬声器的移动体装置
WO2018051797A1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WO2019138969A1 (ja) 防音箱
JP4630436B2 (ja) 投影スクリーン
JP2007065482A (ja) スクリーン一体型スピーカ
JP2002078077A (ja) 平面型スピーカー
WO2019138884A1 (ja) 防音構造、防音囲構造、及び防音箱
JP2009239589A (ja) スピーカ用振動板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とスピーカ用振動板の製造方法
JP2005303909A (ja) スピーカ用振動板及びスピーカ
JP6446561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スピーカ装置、および、移動体
US20220076653A1 (en) Control method of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oundproof material
JP2008005119A (ja) スピーカ装置
JP2005260869A (ja) 発音用振動板
EP1209656B1 (en) Surface material and method of suppressing influence of surface wa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