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871A -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871A
KR20080029871A KR1020070097691A KR20070097691A KR20080029871A KR 20080029871 A KR20080029871 A KR 20080029871A KR 1020070097691 A KR1020070097691 A KR 1020070097691A KR 20070097691 A KR20070097691 A KR 20070097691A KR 20080029871 A KR20080029871 A KR 2008002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variable
fixed
loa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0774B1 (ko
Inventor
이호건
Original Assignee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2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58Hydraulically controlled couplings 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이나 건설, 항만하역 현장 등에서 적재물을 이송하는 리프트의 상하좌우 프레임의 길이가 신축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환경)에 따라 높이, 폭,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동시에 전후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엔진식 구동 및 전기식 구동 형태를 필요에 따라 절환 하여 사용할 있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양단 저부에 종속바퀴가 마련된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며, 저부에 구동바퀴가 마련된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 상기 각 하부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각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상부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사이와, 제2수직프레임 사이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2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와이어 및 고정부를 통해 적재물을 승하강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윈치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어, 리프트, 호이스트, 적재, 화물, 이송, 운반

Description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Multi function lift for conveying cargo}
본 발명은 토목이나 건설, 항만 하역 현장 등에서 적재물, 컨테이너 등을 이송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구성을 이루는 상하좌우측 프레임의 길이가 각각 신축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 리프팅하기 위한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그 높이, 폭,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동시에 전후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엔진식 구동 및 전기식 구동 형태를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할 있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적재물 이송 리프트는 토목 또는 건설, 항만하역 현장에서, 대형 자재(철근 등), 물류 컨테이너 등과 같은 적재물을 들어올려 다른 곳으로 옮기는 기능을 수행하는 대형 리프트이다.
상기와 같은 대표적인 리프트는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가 대표적으로서, 2개의 역U자형의 주출입문 구조를 상하쪽으로 해서 프레임에 연결, 독립현가식(현가식)의 고무, 타이어 차량을 장착한 캐리어, 화물의 적재는 화물을 다리 를 벌리고 넘는 포크 혹은 스프레더에 의해서 감싸쥐거나 끌어내는 것처럼 해서 주행하면서, 강철재, 원재 등의 장축물과 컨테이너의 이송, 트레일러의 적재, 재고, 야드로 스톡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적재물 이송 리프트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리프트(10)는 구동바퀴(11)가 양단에 설치되는 하부수평프레임(12,13)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13)의 양단 상부에는 각각 제1수직프레임(14,16)과 제2수직프레임(15,17)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4)과 제1수직프레임(15)의 상단부에는 상부수평프레임(19)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15)과 제2수직프레임(17)의 상단부에도 상부수평프레임(18)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8,19) 상에는 각각 제1윈치(21) 및 제2윈치(22)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8,19) 상을 이동하면서, 와이어(13,24) 단부에 연결된 고정부(고리 등)를 적재물 등에 고정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7은 운전석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10)는 운전석(25)의 조종에 의하여 구동바퀴(11)를 구동시켜 전후 필요한 이동을 한 후, 제1윈치(21) 및 제2윈치(22)를 이동시켜 하방에 있는 적재물 위치로 맞춘 다음, 와이어(23,24)를 내려 적재물에 연결한 후, 다시 윈치를 구동 와이어를 권취하여 적재물을 들어 올린 다음, 이동 장소로 리프트(10)를 이동하여 적재물을 내려놓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10)는 상,하부수평프레임이나 제1 및 제2수직프레임 등의 길이가 고정되어 특정한 장소, 또는 특정한 적재물만 이송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대단히 고가인 상기 대형 리프트는 적재물이 놓여 진 형태, 적재물의 종류 및 적재장소의 환경에 따라 필요한 리프트를 사용하여야 하는 관계로 그 비용부담이 매우 크다.
또한, 리프트 구동원을 엔진방식으로만 사용하여 유류비용에 대한 부담이 컸다.
또한, 운전석이 한 방향에만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동시 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이나 건설, 항만하역 현장 등에서 적재물을 이송하는 리프트의 상하좌우 프레임의 길이가 신축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환경)에 따라 높이, 폭,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동시에 전후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엔진식 구동 및 전기식 구동 형태를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할 있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 저부에 종속바퀴가 마련된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며, 저부에 구동바퀴가 마련된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 상기 각 하부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각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상부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사이와, 제2수직프레임 사이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 및 고 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2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와이어 및 고정부를 통해 적재물을 승하강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윈치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특징이다.
본 발명은 토목이나 건설, 항만하역 현장 등에서 적재물을 이송하는 리프트의 상하좌우 프레임의 길이를 신축 가변가능하게 하여, 적재물의 크기, 작업공간(환경)에 따라 높이, 폭,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동시에 전후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엔진식 구동 및 전기식 구동 형태를 필요에 따라 절환 하여 사용할 있는바, 특정한 장소, 또는 특정한 적재물만 이송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가인 대형 리프트를 적재물이 놓여 진 형태, 적재물의 종류 및 적재장소의 환경에 따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 구동원을 엔진방식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방식으로 사용할 수 도 있어, 유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운전석이 양 방향에만 설치되어, 전후방 이동시 조정이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윈치프레임의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100)는, 양단 저부에 종속바퀴(111)가 마련된 고정프레임(113) 및 고정프레임(113)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며, 양단 저부에 구동바퀴(112)가 마련된 가변프레임(114)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110)과, 상기 각 하부수평프레임(110,110)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각 고정프레임(121,131) 및 고정프레임(121,131)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123,133)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51) 및 고정프레임(151)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153)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상부수평프레임(150)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사이와, 제2수직프레임(130) 사이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61) 및 고정프레임(161)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163,165)으로 구성되어 프레임 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2상부수평프레임(160)과,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150)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와이어 및 고정부를 통해 적재물을 승하강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윈치프레임(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에는 각각 제1조정석(210) 및 제2조정석(220)이 설치되고, 상기 제1조정석(210) 및 제2조정석(220)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다리(211,22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바퀴(112)는 구동력전달축(118)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전 후진 동작하게 된다.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0)은, 고정프레임(113)으로부터 가변프레임(114)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실린더(115)가 설치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은, 고정프레임(121,13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23,133)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실린더(122,1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150)은, 상기 고정프레임(15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53)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실린더(15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160)은, 상기 고정프레임(16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63,165)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프레임실린더(162,164)가 설치된다.
상기한 리프트(100)를 구성함에 있어, 각 고정프레임(113,121,131,151,161) 에 대해 가변프레임(114,123,133,153,163,165)은 이들을 각 연결하고 있는 프레임실린더(115,122,132,152,162,164)의 작동로드 전진에 따라 가변프레임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 내부에 가변프레임의 출몰 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실린더(115,122,132,152,162,164)의 설치는 첨부된 도 8 내지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13,121,131,151,161)과 가변프레임(114,123,133,153,163,16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할 수 있는 구조로도 설계가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실린더(115,122,132,152,162,164)이 설치되는 상기 고정프레임(113,121,131,151,161)과 가변프레임(114,123,133,153,163,165) 내부에는 실린더의 일측은 로드측이 타측은 실린더본체가 고정 설치된 구조로서, 각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된 프레임 실린더는 동조방식으로서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리프트(100)의 구성에 있어, 상기 윈치프레임(170)은 제1상부수평프레임(150)에는 적재물을 승하강 시키는 제1윈치부(180) 및 제2 윈치부(190)가 설치되기 위한 윈치프레임 지지구(181,19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윈치부(180)는 유압윈치(182)와, 상기 유압윈치(182)로부터 제공되는 와이어(184)를 하방으로 늘어뜨리기 위한 풀리(183)와, 상기 와이어(184)의 단부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8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윈치부(190) 역시 유압윈치(192)와, 상기 유압윈치(192)로부터 제공되는 와이어(194)를 하방으로 늘어뜨리기 위한 풀리(193)와, 상기 와이어(194)의 단부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9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본 발명 리프트(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는 엔진 이외에 전기구동방식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의 제공이 가능한 장소에서의 작업시에는 전기동력으로 리프트의 모든 장치(유압이나 모터 구동 등)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초기 상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의 고정프레임 내에 가변프레임이 삽입된 상태로 가장 최소의 높이, 폭 및 길이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가변프레임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게 되는데, 도 5 내지 도 7과 도 10 및 도 11은 확장된 길이, 폭, 높이를 표현한 도면이다.
따라서, 리프트(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고정프레임(113,121,131,151,161)들과 상기 가변프레임(114,123,133,153,163,165)들에 있어, 각각의 프레임실린더(115,122,132,152,162,164)는 외측 또는 일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의 내측에서 작동됨에 따라 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켜 적재물 혹은 리프트의 작업공간에서 효율적인 크기로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부수평프레임(110)은 프레임실린더(115)의 작동로드를 전진시킴으로 써, 고정프레임(123)으로부터 가변프레임(114)을 직선이동시켜 전체적인 고정프레임에 대한 가변프레임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한다.
제1수직프레임(120)은 프레임실린더(122)가 이완되면서 고정프레임(12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23) 길이를 인출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수직 프레임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130) 역시 프레임실린더(132)가 작동로드 전진동작에 따라 고정프레임(13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33)을 인출시키는 동작형태로 그 길이를 신장하여 전체적인 수직 프레임 길이를 동시에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제1상부수평프레임(150)은 프레임실린더(151)가 이완되면서 고정프레임(15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53)을 인출시켜 전체적인 상부 수평 프레임 길이가 확장된다.
제2상부수평프레임(160)은 프레임실린더(162,164)가 이완되면서 고정프레임(16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63,165)을 인출시켜 전체적인 수평 프레임 길이가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160)이 확장되면서, 윈치프레임(170)의 양단은 윈치프레임지지구(181)에 걸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의 확장 동작이 완료되면, 제1 윈치부(180) 및 제2 윈치부(190)를 동작하여 와이어(184,194)를 통해 고정구(185,195)를 하방으로 내려준다.
상기 고정구(185,195)를 이송할 적재물에 고정시킨 후, 다시 제1 윈치 부(180) 및 제2 윈치부(190)를 동작시켜 적재물을 일정 높이 상승시킨 다음, 구동바퀴(112)를 구동시켜 리프트(100)를 이동시킨다.
상기 리프트(100)에 이동 위치에 다다르면, 제1 윈치부(180) 및 제2 윈치부(190)를 구동시켜 적재물을 하강시킨 후, 고정구(185,195)를 풀어주면 된다.
같은 방식으로 적재물의 환경이나, 장소에 따라 상기 리프트의 폭, 길이, 높이 등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송 리프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윈치프레임의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각 프레임이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 내부에 프레임실린더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의 상부측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의 내부에 프레임 실린더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에서 각각 프레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의 높이와 폭, 길이가 확장된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다기능 이송 리프트 111: 종속바퀴
112: 구동바퀴 113,121,131,151,161: 고정프레임
114,123,133,153,163,165: 가변프레임
115,122,132,152,162,164: 프레임실린더
116,117: 조정실린더 118: 구동력전달축
120: 제1수직프레임 130: 제2수직프레임
150: 제1상부수평프레임 160: 제2상부수평프레임
170: 윈치프레임 171: 지지구
180: 제1윈치부 190: 제2윈치부
181,191: 윈치프레임지지구 182,192: 유압윈치
183,193: 풀리 184,194: 와이어
185,195: 고정구 210: 제1조정석
220: 제2조정석 211,221: 사다리
212,222: 사다리가이드

Claims (14)

  1. 양단 저부에 종속바퀴(111)가 마련된 고정프레임(113) 및 고정프레임(113)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며, 양단 저부에 구동바퀴(112)가 마련된 가변프레임(114)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110);
    상기 각 하부수평프레임(110,110)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각 고정프레임(121,131) 및 고정프레임(121,131)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123,133)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51) 및 고정프레임(151)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153)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상부수평프레임(150);
    상기 한 쌍의 대응되는 제1수직프레임(120) 사이와, 제1수직프레임(120)에 대해 한 쌍으로 상호 대응되는 제2수직프레임(130) 사이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61) 및 고정프레임(161)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가변프레임(163,165)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2상부수평프레임(160); 및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150)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와이어 및 고정부를 통해 적재물을 승하강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윈치프레임(17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에는 각각 제1조정석(210) 및 제2조정석(220)이 설치되고, 상기 제1조정석(210) 및 제2조정석(220)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다리(211,2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바퀴(112)는 구동력전달축(118)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전 후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3)으로부터 가변프레임(114)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 기 위한 프레임실린더(115)가 구비되고, 프레임실린더(115)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13)측에, 타단은 가변프레임(114)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실린더(115)는 고정프레임(113)과 가변프레임(114)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및 제2수직프레임(130)은, 고정프레임(121,13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23,133)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실린더(122,132)가 구비되고, 프레임실린더(122,132)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21,131)측에, 타단은 가변프레임(123,133)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실린더(122,132)는 고정프레임(121,131)과 가변프레임(123,133)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150)은, 상기 고정프레임(151)으로부터 가변프레임(153)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실린더(152)가 구비되고, 프레임실린더(152)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51)측에, 타단은 가변프레임(153)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실린더(152)는 고정프레임(151)과 가변프레임(153)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160)은, 상기 고정프레임(161)으로부터 제1 및 제2 가변프레임(163,165)을 신축 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프레임실린더(162,164)가 구비되고, 프레임실린더(162,164)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61)측에, 타단은 가변프레임(163,165)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실린더(162,164)는 고정프레임(161)과 가변프레임(163,165)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프레임(170)은 제1상부수평프레임(150)에 설치되는 윈치프레임 지지구(181)와, 와이어 및 고정부를 통해 적재물을 승하강 시키는 제1윈치부(180) 및 제2 윈치부(19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윈치부(180,190)는 유압윈치(182,192)와, 상기 유압윈치(182,192)로부터 제공되는 와이어(184,194)를 하방으로 늘어뜨리기 위한 풀리(183,193)와, 상기 와이어(184,194)의 단부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85,195)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리프트(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은 엔진 이외에 전기구동방식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KR1020070097691A 2006-09-28 2007-09-28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KR100920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4874 2006-09-28
KR1020060094874 2006-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871A true KR20080029871A (ko) 2008-04-03
KR100920774B1 KR100920774B1 (ko) 2009-10-08

Family

ID=3953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691A KR100920774B1 (ko) 2006-09-28 2007-09-28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7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178A (ko) *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장치 및 그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
KR102195368B1 (ko) * 2020-08-26 2020-12-24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WO2020258400A1 (zh) * 2019-06-27 2020-12-30 苏州迈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移动架
KR102210518B1 (ko) * 2020-12-16 2021-02-01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20230037399A (ko) * 2021-09-09 2023-03-16 김재찬 유가금속 회수시스템의 이송장치
KR102515651B1 (ko)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142A (ja) 1985-05-13 1986-11-19 Toshiba Corp 吊上搬送装置
JPH082874A (ja) * 1994-06-21 1996-01-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搬送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178A (ko) *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장치 및 그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
WO2020258400A1 (zh) * 2019-06-27 2020-12-30 苏州迈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移动架
KR102195368B1 (ko) * 2020-08-26 2020-12-24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102210518B1 (ko) * 2020-12-16 2021-02-01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20230037399A (ko) * 2021-09-09 2023-03-16 김재찬 유가금속 회수시스템의 이송장치
KR102515651B1 (ko)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774B1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774B1 (ko)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CN204529229U (zh) 全方位作业履带式叉车
CN102359385A (zh) 隧道防水板铺挂装置
CN203624960U (zh) 一种新型叉车
CN203624963U (zh) 高稳定性轻型叉车
CN202808301U (zh) 用于移动胶带运输设备的移设机
CN203624974U (zh) 叉车
CN203794558U (zh) 码垛机执行机构总成
CN204224145U (zh) 履带式蛙腿起重机
CN202187714U (zh) 新型履带式钻机的自起升及起吊装置
CN204571885U (zh) 一种伸缩井架式连续油管作业车
CN102094652A (zh) 煤矿井下多功能搅拌装卸装置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CN202322262U (zh) 可行走的翻卷小车
CN105460810A (zh) 一种内置三液压缸随车起重机用伸缩臂
CN105236314A (zh) 组合叉臂的自动装置
CN204552614U (zh) 一种车载式钻机、钻机桅杆总成及辅助吊锚架装置
CN205099284U (zh) 组合叉臂的自动装置
CN205089005U (zh) 一种三车位停车装置
CN209322338U (zh) 一种超低净空工况下作业的可翻身箱涵吊机
CN203820090U (zh) 车载式提升运输装置
CN207346529U (zh) 一种e型框架自动上线系统
CN203172512U (zh) 一种汽车车厢雨篷覆盖装置
CN107601268B (zh) 门式起重机
CN116902817B (zh) 一种全向自适应门式重载搬运机器人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