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368B1 -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368B1
KR102195368B1 KR1020200107650A KR20200107650A KR102195368B1 KR 102195368 B1 KR102195368 B1 KR 102195368B1 KR 1020200107650 A KR1020200107650 A KR 1020200107650A KR 20200107650 A KR20200107650 A KR 20200107650A KR 102195368 B1 KR102195368 B1 KR 10219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frame
fram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택규
한종민
이상만
안극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0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저면 양측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고정프레임 및 수직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수직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이동프레임 및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수평 연장 형성되는 수평 고정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 이동프레임 및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이스트 및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호이스트 크레인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적재환경 및 적재물에 대응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의 신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수평프레임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적재물의 이송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Movable type hoist crane}
본 발명은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적재환경 및 적재물에 대응할 수 있고, 수직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수평프레임의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 크레인은 토목 또는 건설, 항만 하역 현장에서 대형 자재(철근 등), 물류 컨테이너 등과 같은 적재물을 들어올려 다른 곳으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호이스트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호이스트 크레인은 구동바퀴(110)가 양단에 설치되는 하부 수평프레임(120, 1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120, 130)의 양단 상부에는 각각 제 1 수직프레임(140, 160)과 제 2 수직프레임(150, 17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수직프레임(140, 160)의 상단부에는 상부 수평프레임(190)이 연결 설치되고, 제 2 수직프레임(150, 170)의 상단부에도 상부 수평프레임(180)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부 수평프레임(180, 190) 상에는 각각 제 1 호이스트(210) 및 제 2 호이스트(2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호이스트(210) 및 제 2 호이스트(220)에는 단부에 고정부(고리 등)가 결합된 와이어(230, 240)가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250은 운전석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은 운전석(250)의 조종에 의하여 구동바퀴(110)를 구동시켜 전후 필요한 이동을 한 후, 제 1 호이스트(210) 및 제 2 호이스트(220)를 이동시켜 하방에 있는 적재물 위치로 맞춘 다음, 와이어(230, 240)를 내려 적재물을 연결한다.
그리고, 다시 와이어(230, 240)를 권취하여 적재물을 들어 올린 다음 이동 장소로 호이스트 크레인을 이동하여 적재물을 내려놓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은 제 1 수직프레임(140, 160), 제 2 수직프레임(150, 170) 및 상부 수평프레임(180, 190)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특정한 장소 또는 특정한 사이즈의 적재물만 이송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한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은 적재물이 놓여진 형태, 적재물의 종류 및 적재장소에 따라 그에 맞는 크레인을 각각 제작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큰 비용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저면 양측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고정프레임 및 수직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수직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이동프레임 및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수평 연장 형성되는 수평 고정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 이동프레임 및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이스트 및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이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 1 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제 1 엔코더로부터 수신한 검출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해지도록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고정프레임은 외주면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은 상기 수직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측방에 이격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바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측에 관통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바의 상하단부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하 이동시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수직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적재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장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 및 상기 수평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 2 엔코더를 더 포함하되, 작업자에 의해 적재물의 폭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엔코더로부터 검출된 검출값과 상기 수평구동모터의 1회전수에 대응되는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에 기초하여 수평 프레임의 폭이 상기 적재물의 폭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한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호이스트 크레인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적재환경 및 적재물에 대응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의 신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수평프레임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적재물의 이송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호이스트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구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리미트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직구동모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구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리미트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1)은 베이스 프레임(10), 수직 고정프레임(20), 수직 이동프레임(30), 수평 고정프레임(40), 수평 이동프레임(50), 호이스트(60), 리미트센서(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사각형의 관체 형상으로서, 한 쌍이 설치대상영역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저면 양측에 이동바퀴(11a)가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은 각각의 저면 양측에 이동바퀴(11a)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11), 메인 프레임(11)의 양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 저면에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수단(12a)이 구비된 서브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은 호이스트(60)에 의해 이송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의 대향하는 일측에는 호이스트(60)에 의해 이송되는 적재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C)가 설치되며, 이러한 감지센서(C)는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로이루어진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센서(C)의 설치높이에서 적재물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위와 같은 감지센서(C)는 이송되는 적재물이 일정 높이 이하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이송과정에서 적재물이 지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수직 고정프레임(20)은 상단이 개방된 관체 형상으로서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고정프레임(20)의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판상의 설치플레이트(21)가 2단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플레이트(21)는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71)의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수직 이동프레임(30)의 가이드바(32)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직 고정프레임(20)의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수직 이동프레임(30)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수직구동모터(M)가 설치된다.
수직 이동프레임(30)은 이송되는 적재물에 따라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메인바(31) 및 가이드바(32)를 포함한다.
메인바(31)는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수직 고정프레임(20)의 상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 일측에 외주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평기어(G)의 내주면이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평기어(G)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동모터(M)에 결합된 윔기어(WG)의 기어치와 치차 결합되고, 수직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윔기어(WG)가 회전하면 이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메인바(31)를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가이드바(32)는 3개가 메인바(31)의 측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단부가 후술하는 수평 고정프레임(40)의 일단부 또는 수평 이동프레임(5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부가 설치플레이트(21)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플레이트(2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바(32)는 메인바(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 고정프레임(40)은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 고정프레임(40)은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레일(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호이스트(60)가 수평 고정프레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수평 이동프레임(50)은 이송되는 적재물에 따라 장치의 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수평 고정프레임(40)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호이스트(60)는 수평 고정프레임(40)의 이송레일에 설치되어 수평 고정프레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재물을 인양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호이스트(6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사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미트센서(70)는 수직 이동프레임(40)의 상하 이동 영역을 제한하여 수직 이동프레임(40)이 정해진 상하 이동 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리미트 스위치(71)와 작동편(72)을 포함한다.
리미트 스위치(71)는 2단으로 설치된 각각의 설치플레이트(21)에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설치브라켓(21a)의 측면에 설치되고, 가이드바(32)의 상하 이동시 일측이 작동편(72)에 의해 가압되어 수직구동모터(M)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편(72)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서 3개의 가이드바(3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바(32)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고,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상하 이동시 각각이 해당하는 리미트 스위치(71)의 일측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리미트센서(70)를 통해 수직 이동프레임(40)이 정해진 상하 이동 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가 동작불능 상태가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수직구동모터(M) 및 장치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적재환경 및 적재물에 대응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직구동모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각각의 수직구동모터(M)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를 제어부(80)로 전송하는 제 1 엔코더(E)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각각의 제 1 엔코더(E)로부터 수신한 검출값을 비교하고, 수신한 각각의 검출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제 1 엔코더(E)의 검출값이 동일해지도록 각각의 수직구동모터(M)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어부(80)은 제 1 엔코더(E)의 검출값이 낮은 쪽은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승위치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수직구동모터(M)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제 1 엔코더(E)의 검출값이 높은 쪽은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승위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수직구동모터(M)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며, 제 1 엔코더(E)의 검출값이 동일해질 때까지 이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승위치를 동일하게 맞춰줌으로써 수평프레임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적재물의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에 의해 수직 고정프레임(40)에 대한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승강 높이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제 1 엔코더(E)로부터 전송된 검출값과 수직 구동모터(M)의 1회전수에 대응되는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승하강 높이에 기초하여 수직 고정프레임(20)에 대한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승강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 1 엔코더(E)로부터 전송된 검출값을 통해 수직 고정프레임(20)에 대한 수직 이동프레임(30)의 현재 승강 높이를 파악하고, 수직 구동모터(M)의 1회전수에 대응되는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승하강 높이에 기초하여 수직 구동모터(M)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수직 고정프레임(20)에 대한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승강 높이를 작업자가 입력한 값과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은 수직 고정프레임(20)에 대한 수직 이동프레임(30)의 승강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은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해 수평 이동프레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와, 수평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출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엔코더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은 작업자에 의해 이송할 적재물의 폭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제 2 엔코더로부터 전송된 검출값과 수평구동모터의 1회전수에 대응되는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에 기초하여 수평 프레임의 폭이 적재물의 폭과 대응되도록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한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어부는 제 2 엔코더로부터 전송된 검출값을 통해 현재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를 파악하고, 수평구동모터의 1회전수에 대응되는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에 기초하여 수평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수평 프레임의 폭이 적재물의 폭과 대응되도록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한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은 수평 프레임의 폭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10 : 베이스 프레임
11 : 메인 프레임 11a : 이동바퀴
12 : 서브 프레임 12a : 지지수단
20 : 수직 고정프레임 21 : 설치플레이트
21a : 설치브라켓 30 : 수직 이동프레임
31 : 메인바 32 : 가이드바
40 : 수평 고정프레임 50 : 수평 이동프레임
60 : 호이스트 70 : 리미트 센서
71 : 리미트 스위치 72 : 작동편
80 : 제어부 C : 감지센서
G : 평기어 WG : 윔기어
M : 수직구동모터

Claims (5)

  1.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저면 양측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고정프레임과;
    수직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수직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이동프레임과;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수평 연장 형성되는 수평 고정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 이동프레임과;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이스트와;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고정프레임은 외주면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은 상기 수직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측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의 일단부 또는 수평 이동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측에 관통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바의 상하단부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의 상하 이동시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수직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 1 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제 1 엔코더로부터 수신한 검출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해지도록 각각의 수직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적재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장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와;
    상기 수평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 2 엔코더를 더 포함하되,
    작업자에 의해 적재물의 폭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엔코더로부터 검출된 검출값과 상기 수평구동모터의 1회전수에 대응되는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에 기초하여 수평 프레임의 폭이 상기 적재물의 폭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프레임에 대한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의 신장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1020200107650A 2020-08-26 2020-08-26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10219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50A KR102195368B1 (ko) 2020-08-26 2020-08-26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50A KR102195368B1 (ko) 2020-08-26 2020-08-26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54A Division KR102210518B1 (ko) 2020-12-16 2020-12-16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368B1 true KR102195368B1 (ko) 2020-12-24

Family

ID=7408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650A KR102195368B1 (ko) 2020-08-26 2020-08-26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871A (ko) * 2006-09-28 2008-04-03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JP2008214056A (ja) * 2007-03-06 2008-09-18 Furukawa Unic Corp 門型リフタ
US20150296105A1 (en) * 2012-11-09 2015-10-15 Camco Technologies Nv Container scan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871A (ko) * 2006-09-28 2008-04-03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JP2008214056A (ja) * 2007-03-06 2008-09-18 Furukawa Unic Corp 門型リフタ
US20150296105A1 (en) * 2012-11-09 2015-10-15 Camco Technologies Nv Container scan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444B1 (ko) 자주식 캐리어
JP5598721B2 (ja) 長尺物品用の搬送装置
KR102093868B1 (ko) 높이 조절형 가공 철근 다단 적재 리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 철근 가공 시스템
JP4947359B2 (ja) 物品搬送装置
JP2008037595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2019014B1 (ko) 구조물 이송장치
KR102210518B1 (ko)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KR102195368B1 (ko)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JP4474445B2 (ja) 送出し工法
CN108086661B (zh) 运输平台系统及其应用施工方法
JP4973927B2 (ja) 物品搬送装置
KR100953165B1 (ko) 수평운반로봇
JP2014001034A (ja) リフト車
EP1384698B1 (en) Lifting vehicle having telescopic arms for transfer of loads
JP2009203028A (ja) 物品搬送装置
JP3178060U (ja) リフト車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JP4399734B2 (ja) 昇降式の物品搬送装置
JP4895095B2 (ja) 荷役作業用の搬送装置
JP4235912B2 (ja) 物品搬送装置
KR20060026332A (ko) 대형 구조물 이동 및 잭킹 장치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JP7130440B2 (ja) 昇降式足場の過傾斜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