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179A -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179A
KR20080027179A KR1020070095898A KR20070095898A KR20080027179A KR 20080027179 A KR20080027179 A KR 20080027179A KR 1020070095898 A KR1020070095898 A KR 1020070095898A KR 20070095898 A KR20070095898 A KR 20070095898A KR 20080027179 A KR20080027179 A KR 2008002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 lever
door
circuit breaker
extern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764B1 (ko
Inventor
타케시 에무라
마코토 오사와
히데키 이시도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01H9/281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making use of a pad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 H01H2071/565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using a add on unit, e.g. a separate rotary actuator unit, mounted on lever actuated circuit br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푸시(push) 조작으로 핸들 로크 레버(handle lock lever)의 인출(pulling out)/되돌림 전환이 수행되며, 또한 상기 핸들 로크 레버의 핸들 로크 기능을 이용하여 배전반의 도어 패널(door panel)의 로크/언로크(unlock) 조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배전반 등에 배치된 회로 차단기를 보드 바깥에서 개폐 조작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로서, 인출 방식의 핸들 로크 레버(8)를 구비한 로터리(rotary)식 핸들(4) 및 배전반의 도어 패널 사이를 인터로크(interlock)하는 도어 로크 레버(9)를 구비하고, 핸들 조작에 의해 회로 차단기의 ON, OFF 및 OPEN 위치에서 보드 도어의 언로크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보드 도어를 언로크시키는 OPEN 위치에서 핸들에 설치된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시켜 유지함과 동시에, 이 OPEN 위치에서는 핸들에 연계(link)한 도어 로크 레버를 언로크 위치에 구속(拘束)시켜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전환 조작 수단으로서, 하트(heart)형 단붙이 홈 캠(cam)(16), 제어 바(bar)(17), 압박 스프링(18)을 구비하고, 1회째의 푸시 조작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8)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시켜 유지하고, 2회째의 푸시 조작으로 대기 위치로 돌아가는 얼터네이트(altenate) 동작 방식의 캠 기구(15)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EXTERNAL OPERATION HANDLE DEVICE}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 등의 회로 차단기에 적용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 등의 부속 장치로서, 배전반, 제어 보드 등의 보드 내에 배치된 회로 차단기를 보드 바깥에서 개폐 조작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외부 조작 핸들 장치는, 그 설치 베이스에 로터리식의 핸들 및 상기 로터리식 핸들과 회로 차단기의 로커(locker)식 핸들을 연계하는 드라이브 기구를 탑재한 구조로 되어 있고, 보드 내에 배치된 회로 차단기에 상기 외부 조작 핸들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보드 바깥에서 상기 로터리식 핸들을 회전 조작하여 회로 차단기의 로터리식 핸들을 ON, OFF 위치로 구동한다.
또한, 상기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대해, 핸들과 보드의 도어 패널과의 사이를 인터로크하고, 항상 도어 패널을 폐쇄 위치로 로크하여 부주의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하는 도어 로크 기구를 구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의 핸들에 인출 방식의 핸들 로크 레버를 장착하고, 핸들의 OFF 위치(또는 ON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한 로크 레버에 패드로크(padlock)를 걸어 핸들을 이 위치로 로크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다음으로, 상기 도어 로크 기구, 핸들 로크 기구를 구비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의 종래 구조를 도 7, 도 8에 도시한다. 각 도면에서, 1은 회로 차단기, 2는 회로 차단기(1)의 전면(前面)에 장착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이다. 여기서, 회로 차단기(1)는, 본체 케이스(1a)에 고정 접촉자(1b), 가동 접촉자(1c), 토글 링크(toggle link)식 개폐 기구(1d), 케이스(1a)의 꼭대기부에 배치된 로커식 개폐 핸들(1e) 및 과전류 트립핑(tripping) 장치(1f) 등의 기능 부품을 내장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 차단기(1)의 개폐 동작은 공지된 바와 같이, 로터리식 핸들(1e)을 도 7에 도시하는 ON 위치로부터 우측의 OFF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기구(1d)의 토글 링크가 반전 동작하고, 그 개폐 스프링의 압박력(urging force)을 받아 가동 접촉자(1c)가 개극(開極) 동작한다. 또한, 주회로에 과전류가 흘러 과전류 트립 장치(1f)가 작동하면 개폐 기구(1d)가 트립 동작하고,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1c)가 개극하여 전류를 자동 차단한다. 또한, 상기 트립 동작에 의해 핸들(1e)은, 개폐 기구(1d)의 토글 링크 움직임에 따라 ON 위치와 OFF 위치의 중간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한편, 외부 조작 핸들 장치(2)는, 특허문헌 1에도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 베이스(3)에 로터리식의 핸들(4), 턴 베이스(turn base)(5), 슬라이드 베이스(6)를 조합한 드라이브 기구 및 핸들 커버(7)를 탑재한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의 턴 베이스(크랭크 암(crank arm))(5)는 핸들(4)의 축에 직접 결합하거나 래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 베이스(6)는 설치 베이스(3)의 이면측에 결합되어, 회로 차단기(1)의 핸들(1e)의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있고, 그 판(板)면 중앙에는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구멍을 개구하고, 상기 긴 구멍에 상기 턴 베이스(5)에 설치된 핀(크랭크 핀)(5a)을 끼움결합하여 핸들(4)과 연계하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6)에는, 상기 핸들(1e)의 그립(grip)을 앞뒤로 끼움지지하도록 핸들 암(6a)이 돌출되어 있고, 회로 차단기(1)에 장착한 상태(도 7 참조)에서는, 핸들 암(6a)의 사이에 핸들(1e)이 맞물려 있다. 또한, 핸들 커버(7)의 단면에는 명판(銘板)을 부착하여 핸들(4)의 위치(ON, TRIP, OFF, OPEN)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핸들(4)을 ON 또는 OFF 위치로 회전 조작하면, 그 회전 운동이 턴 베이스(5), 슬라이드 베이스(6)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6)의 핸들 암(6a)을 통해 회로 차단기(1)의 핸들(1e)이 ON 또는 OFF 위치로 구동되어 주회로 접점이 개폐 동작한다.
또한, 상기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에는, 핸들(4)을 OFF(또는 ON) 위치로 로킹하는 핸들 로크 수단으로서 인출 방식의 핸들 로크 레버(8), 및 보드 도어 사이의 인터로크 수단으로서 도어 로크 레버(9)를 구비한다.
도 9는 회로 차단기(1)에 장착된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와 배전반 등의 도어 패널 사이의 인터로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10은 배전반의 도어 패널, 11은 도어 패널(10)에 개구한 핸들 구멍(10a)에 맞추어 패널 전면에 부착된 화장판(化粧板), 12는 패널(10)의 이면에 부착되어 화장판(11)과 함께 조여지는 래치 플레이트(latch plate), 12a는 래치 플레이트(12)의 내주측 가장자리에 형성한 래치이며, 상기 래치(12a)에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에 설치한 도어 로크 레버(9)를 걸어 도어 패널(10)을 폐쇄 위치로 로킹하도록 인터로크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 로크 기구의 상세 구조 및 동작을 도 10에서 설명한다. 즉, 도어 로크 레버(9)는 도 9에 도시한 래치(12a)와 대향하도록 외부 조작 패널 장치(2)의 핸들 커버(7)와 설치 베이스(3)와의 사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도어 로크 레버(9)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커버(7)의 이면측에 샤프트(해제 핀)(9a)를 통해 회동(回動)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캠부가 상기 핸들(4)의 샤프트(4a)에 연결한 턴 베이스(5)의 돌기부(5b)의 이동 경로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도어 로크 레버(9)의 하측에는 상기 로크 레버를 로크, 언로크 위치로 구속시켜 유지하는 릿지(ridge)형 돌기가 부착된 판 스프링(13)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도어 로크 레버(9)에 의한 도어 패널(10)의 로크, 언로크 조작은 상기의 특허문헌 2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도어 로크 레버(9)가 도 10의 로크 위치에 정지하여 도어 패널의 래치(12a)에 결합하고, 도 9의 도어 패널(10)이 열리지 않도록 폐쇄 위치로 로크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 패널(1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우선 핸들(4)(도 8 참조)을 OFF 위치로 돌려 회로 차단기(1)를 개극시킨 후, 핸들(4)을 OFF 위치로부터 OPEN 위치를 향하여 더 돌린다. 이에 의해, 도 10의 턴 베이스(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턴 베이스(5)의 돌기(5b)가 도어 로크 레버(9)의 캠부를 누른다. 그 결과, 도어 로크 레버(9)는 샤프트(9a)를 지지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스윙(swing)하여 래치(12a)로부터 이탈한다. 동시에 도어 로크 레버(9)가 상기 판 스프링(13)에 형성한 릿지형 돌기(13a)를 타고 넘어가 언로크 위치에 자기 유지된다(held by itself). 이 상태로 되면 도어 패널(10)과의 인터로크가 해제되어 도어를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핸들(4)을 OPEN 위치로 돌린 후에 손을 떼면, 핸들(4)은 OFF 위치로 되돌려진다. 또한, 개방되어 있는 도어 패널(10)을 폐쇄하면, 상기 래치(12a)에 대향하여 도 9의 래치 플레이트(12)에 설치한 복귀 탭(return tab)(도시하지 않음)이 도어 로크 레버(9)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부딪혀 상기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로 향해 되밀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 로크 레버(9)는 상기 판 스프링(13)의 릿지형 돌기(13a)를 타고 넘어가 래치 위치에 자기 유지된다.
또한, 도어 로크 레버(9)의 복귀 동작에 대해, 상기 판 스프링(13)의 설치 시트(seat)를 2군데 설치하고, 판 스프링(13)의 설치 시트를 선택함으로써 수동 복귀 또는 자동 복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방식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4 참조).
한편, 도 8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에 설치된 핸들 로크 레버(8)의 기능, 동작은 특허문헌 3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즉, 핸들(4)을 OFF(또는 ON) 위치로 돌린 위치에서, 도 11의 (a),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로크 레 버(8)에 손가락을 걸어 핸들(4)의 외주측(화살표 방향)으로 인출한 후에, 상기 핸들 로크 레버(8)에 패드로크(14)를 걸음으로써, 핸들(4)이 이 위치에 로크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5-149918호 공보(도 5 내지 도 7)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05-6742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2-25411호 공보(도 14)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09-312119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는, 도어 패널 로크 기구, 핸들 로크 기구의 조작, 기능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4)을 OPEN 위치로 돌려 언로크시킨 도어 로크 레버(9)를 언로크 위치에 자기 유지시키기 위해, 종래 구조에서는 도어 로크 레버(9)의 캠부에 대향하여 배치한 판 스프링(13)의 릿지형 돌기(13a)를 이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도어 로크 레버(9)를 로크/언로크 위치에 자기 유지시키는 조정범위가 좁아서 판 스프링(13)의 형상, 치수 정밀도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판 스프링(13)이 변형하거나 하면 도어 패널의 언로크/로크 위치에서의 자기 유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어 로크 레버(9)와 보드 측에 설치된 래치(12a) 사이의 조정도 미소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회로 차단기(1)를 배전반 내에 배치한 현장(現場)에서,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의 도어 로크 레버(9)와 도어 패널(10)(도 9 참조)에 부착된 래치 플레이트(12)와의 관련 위치를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해, 그 조정 작업에 상당한 수고와 시간을 요하며, 그 개선책이 사용자로부터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또한, 핸들(4)에 설치된 핸들 로크 레버(8)에 대해서도, 그 로크/언로크를 위해 매번 로크 레버(8)에 손가락을 걸어 인출하고, 밀어넣도록 하기 때문에, 그 조작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간단한 푸시(push) 조작으로 핸들 로크 레버의 인출/되돌림 전환을 행하여, 핸들 로크 레버의 핸들 로크 기능을 더 정교하게 이용하여 배전반의 도어 패널의 사이를 인터로크하는 도어 로크 레버의 로크/언로크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개량한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 등의 보드 내에 배치된 회로 차단기를 보드 바깥에서 개폐조작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로서, 설치 베이스에 인출방식의 핸들 로크 레버를 구비한 로터리식의 핸들, 상기 핸들과 회로 차단기의 로커식 핸들과의 사이를 연계하는 드라이브 기구 및 상기 핸들과 보드의 도어 사이를 인터로크하는 도어 로크 레버를 탑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핸들 조작에 의해 회로 차단기의 ON, OFF 및 OPEN 위치에서 보드 도어의 언로크를 수행하도록 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있어서,
보드 도어를 언로크시키는 OPEN 위치에서 핸들에 설치한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시켜 유지하고, 상기 OPEN 위치에서 핸들에 연계한 도어 로크 레버를 언로크 위치에 구속시켜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 하고(청구항 1),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양태로 구성한다.
(1) 상기 핸들의 ON, OFF 및 OPEN 위치에서, 핸들에 설치한 핸들 로크 레버를 수동으로 인출/대기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 수단으로서, 1회째의 푸시 조작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시켜 유지하고, 2회째의 푸시 조작에 의해 대기 위치로 되돌리는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의 캠 기구를 설치한다(청구항 2).
(2) 상기 (1)에서, 핸들 로크 레버에 설치된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 캠 기구가, 하트 형상의 캠 경로를 갖는 단붙이(stepped) 홈 캠과, 핸들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압박 스프링(urging sprin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 캠은 하트 형상의 캠 경로로 방향성이 있는 래치트(ratchet) 톱니 형상의 단차(段差)를 형성한다(청구항 3).
(3) 상기 (2)에서, 단붙이 홈 캠은, 핸들 로크 레버의 측면에 새겨져서(carve) 형성된다(청구항 4).
(4) 상기 (2)에서, 제어 바(bar)가 선(線) 스프링이고, 선 스프링의 선단을 예각으로 굴곡시켜 갈고리부를 형성하고, 후단을 C자 형상으로 구부려 핸들에 형성된 고정 홈에 밀어넣어 유지한다(청구항 5).
상기 구성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의하면, ON, OFF 위치 외에, 핸들을 OFF 위치로부터 OPEN 위치로 돌려 핸들 로크 레버를 수동으로 푸시 조작하면, 캠 기구의 얼터네이트 동작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가 OPEN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되어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핸들 로크 레버를 다시 한번 푸시 조작하면, 로크 레버는 원래의 대기 위치로 돌아간다.
따라서, 배전반의 도어 패널과의 인터로크를 해제하여 도어 패널을 개방하는 경우에, 핸들을 OPEN 위치로 돌려 도어 로크 레버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핸들 로크 레버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핸들이 상기 OPEN 위치에 걸림 고정되어 핸 들에 연계하는 도어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구속되어 유지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핸들로부터 손을 떼어도 도어 로크 레버가 복귀하지 않고 언로크 위치를 계속 유지한다. 이에 의해, 보드 패널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되돌림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 수단으로서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의 캠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핸들 레버의 전환이 간단한 푸시 조작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핸들을 ON, OFF, OPEN의 각 위치에서 로크하는 핸들 로크 레버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도 2는 핸들의 구조도, 도 3은 핸들 로크 레버에 설치된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 캠 기구의 전개도, 도 4는 핸들 커버의 평면도, 도 5는 핸들 커버의 이면측에 설치된 도어 로크 레버의 구조도, 도 6은 회로 차단기에 결합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의 전체 구조도이고, 실시예의 도면 중에서 도 7 내지 도 10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외부 조작 핸들 장치는, 도 7, 도 8의 종래 구조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태이지만, 도시 실시예의 핸들(4)에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의 캠 기구(15)가 새롭게 추가되어 있다. 또한, 핸들(4)을 놓은 핸들 커버(7)의 꼭대기 면에 개구된 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도 4 참조), 핸들(4)의 ON, OFF 위치 외에 도어 패널을 언로크시키는 OPEN 위치에 대응하여 핸들 로크 레버(8)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하도록 로크 홈(19a ~ 19c)이 형성되어 있고, 이하에 그 각부의 상세구조, 기능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2에서, 핸들(4)의 그립부에는 핸들 로크 레버(8)를 화살표(P) 방향으로 인출하고, 밀어넣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 로크 레버(8)는 가이드 핀(8b)을 통해 핸들(4)에 안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측 단부에는 패드로크의 걸림 구멍(8a)이, 또한 핸들 로크 레버의 바닥부에는 핸들 커버(7)에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용 리브(8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 고정용 리브(8c)는 핸들(4)의 원반 형상 플랜지부(4b)에 절결된 반경 방향의 여유 홈(clearance groove)(4b-1)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핸들(4)에는 다음의 구조로 되는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의 캠 기구(15)가 구축되어 있다. 상기 캠 기구(15)는, 핸들 로크 레버(8)의 측면에 새겨진 단붙이 홈 캠(16)과, 선단을 L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홈 캠(16)의 캠 면에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어 바(17)와, 핸들 로크 레버(8)를 인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박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1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 바(17)는 선 스프링으로 제작되고, 선 스프링의 선단을 L자형(예각)으로 굴곡하고, 타단을 C자 형상으로 구부려 핸들(4)의 내부에 형성한 슬릿 형상의 고정 홈(4c)에 밀어넣어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붙이 홈 캠(16)의 상세한 형상을 도 3의 (a), (b)에 도시한다. 상기 홈 캠(16)은 A부를 기점으로 하여 B, C, D, E, F, G, H부를 경유하여 A부로 돌아가는 캠 경로가 도 3의 (a)와 같이 하트 형상을 이루고, 그 경로를 따른 코너부에는 방향성을 갖는 래치트 톱니 형상의 단붙이 B, D, F, H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캠 기구(15)에서, 핸들 로크 레버(8)가 핸들(4)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 바(17)의 선단 갈고리부가 도 3에 도시된 캠 경로의 E부에 정지하고, 이 위치를 대기 위치(P1)로 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 로크 레버(8)의 외측단에 손가락을 누르고 핸들(4)의 내측으로 푸시하면(1회째의 푸시 조작), 제어 바(17)의 선단 갈고리부가 단차부 F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 G부로 이동한다(역방향에서는 단차부 D에 막혀 C부에 역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핸들 로크 레버(8)로부터 손을 떼면, 로크 레버는 압박 스프링(18)의 스프링력을 받아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그 이동 과정에서 제어 바(17)의 선단 갈고리부가 G부로부터 단차부 H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 A부로 이동한다. 상기 위치를 로크 위치(P2)라 하고, 이 상태에서는 핸들 로크 레버(8)의 외측단부가 핸들(4)의 외주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핸들 로크 레버(8)를 다시 한번 핸들(4)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2회째의 푸시 조작), 제어 바(17)의 선단 갈고리부가 단차부 B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 C부로 이동한다(역방향에서는 단차부 H에 막혀 G부로 역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핸들 로크 레버(8)로부터 손을 떼면, 로크 레버는 압박 스프링(18)의 스프링력을 받아 되밀리고, 상기 이동 과정에서 제어 바(17)의 선단 갈고리부가 C부로부터 단차부 D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 E부(대기 위치 P1)로 돌아간다. 이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8)는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술한 핸들 로크 기구에 관련하여, 핸들(4)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핸들 커버(7)의 꼭대기 면에는 다음과 같은 로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에서 핸들 커버(7)의 꼭대기 면에 개구된 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핸들(4)의 ON, OFF 및 OPEN 위치에 대응하여 핸들(4)로부터 인출한 상기 핸들 로크 레버(8)의 걸림 고정용 리브(8c)를 걸림 고정(회전 방지)하는 로크 홈(19a, 19b 및 19c)이 절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의 ON, OFF 위치에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 로크 레버(8)에 패드로크(14)를 걸기 때문에, ON, OFF 위치에 대응하는 로크 홈(19a, 19b)은 홈의 깊이가 크다. 이에 대해 OPEN 위치에서는 핸들 로크 레버(8)에 패드로크를 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로크 홈(19c)은 얕은 홈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도어 로크 기구에서, 도어 로크 레버(9)는 도 10의 종래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지지축 핀(9a)에 피봇 지지되고, 그 레버 캠부가 핸들 축(4a)에 연결된 턴 베이스(5)의 돌기(5b)의 이동 경로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 로크 레버(9)에는 종래 구조에서의 자기 유지용 판 스프링(13)(도 10 참조)이 설치되지 않고, 그 대신에 압박 스프링(장력 코일 스프링)(20)으로 도어 로크 레버(9)를 로크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되어 있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의 조작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핸들(4)을 ON, OFF 위치로 로크하기 위해, 핸들(4)을 ON 위치 또는 OFF 위치로 돌린 후에, 핸들 로크 레버(8)의 단부에 손가락을 눌러 핸들(4)의 내측 방향으로 일단 밀어넣은 다음에 손을 뗀다(1회째의 푸시 조작). 이에 의해, 도 3에서 설명한 캠 기구(15)의 얼터네이트 동작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8)가 인출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걸림 고정용 리브(8c)가 핸들 커버(7)에 형성한 로크 홈(19a 또는 19b)에 끼움결합되어 이 위치에서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 고, 이 상태에서 핸들 로크 레버(8)에 패드로크(14)를 걸음으로써(도 11 참조), 핸들(4)이 ON 또는 OFF 위치로 로크된다. 또한, 핸들(4)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패드로크(14)를 제거한 후에 핸들 로크 레버(8)의 단부를 핸들(4)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넣은 다음 손을 뗀다(2회째의 푸시 조작). 이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8)는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핸들(4)의 내측 방향으로 수납되고, 핸들(4)을 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배전반의 도어 패널(1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의 핸들(4)을 OFF 위치로 돌려 회로 차단기(1)를 개극한 후에, 핸들(4)을 OFF 위치로부터 OPEN 위치로 더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5에서의 턴 베이스(5)의 돌기(5b)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 로크 레버(9)의 캠부를 누른다. 그 결과, 도어 로크 레버(9)는 지지축 핀(9a)을 지지점에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보드 패널의 래치(12a)로부터 이탈하여 도어 패널이 언로크된다. 또한, 핸들(4)을 OPEN 위치로 돌리면, 도 4에 도시한 로크 홈(19c)에 핸들 로크 레버(9)의 걸림 고정용 리브(8c)가 마주보게 된다. 그래서, 도어 패널의 언로크 조작에 병합하여 핸들 로크 레버(8)를 OPEN 위치로 푸시 조작하면, 캠 기구(15)의 얼터네이트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 고정용 리브(8c)가 로크 홈(19c)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위치에 걸림 고정된다. 이 상태로 되면, 외부 조작 핸들 장치(2)와 보드 도어 사이의 인터로크가 해제되게 되어, 핸들(4)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도 도어 로크 레버(9)가 언로크 위치에 자기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10)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보드 도어를 폐쇄하여 로크하기 위해 개방하는 도어 패널(10) 을 폐쇄 위치로 되돌리고, 이어서 핸들 로크 레버(8)를 푸시 조작하여 대기 위치로 되돌린 후, 핸들(4)을 OPEN 위치로부터 OFF 위치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도어 로크 레버(9)는 언로크 위치에서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또한 압박 스프링(20)의 스프링력을 받아 로크 위치로 복귀하고, 보드 도어를 폐쇄 위치로 로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의 핸들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X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캠 기구의 상세 구조도로, (a)는 단붙이 홈 캠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b)는 (a)의 캠 경로에 따라 전개한 홈 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핸들의 ON, OFF, OPEN 위치에 대응하여 핸들 커버의 개구 내주 가장자리에 형성한 핸들 로크 레버 걸림 고정용 로크 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장착한 도어 로크 레버의 구성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를 회로 차단기에 결합한 상태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7은 종래 구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를 회로 차단기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와 배전반의 보드 도어와의 인터로크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장착한 도어 로크 레버의 구성 배치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로부터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하여 패드 로크를 건 핸들 로크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회로 차단기 1e 로커식 핸들
2 외부 조작 핸들 장치 3 설치 베이스
4 로터리식 핸들 5 턴 베이스
6 슬라이더 베이스 7 핸들 커버
8 핸들 로크 레버 8c 걸림 고정용 리브
9 도어 로크 레버 10 배전반의 도어 패널
12 래치 플레이트 12a 래치
14 패드로크 15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 캠 기구
16 단차 홈 캠 17 제어 바
18 압박 스프링 19a ~ 19c 로크 홈

Claims (5)

  1. 배전반(配電盤) 등의 보드 내에 배치된 회로 차단기를 보드 바깥에서 개폐조작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로서, 그 설치 베이스에 인출(pulling out) 방식의 핸들 로크 레버를 구비한 로터리(rotary)식의 핸들, 상기 핸들과 회로 차단기의 로커(locker)식 핸들과의 사이를 연계(連繫)하는 드라이브 기구 및 상기 로터리식 핸들과 보드 도어의 사이를 인터로크(interlock)하는 도어 로크 레버를 탑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핸들 조작에 의해 회로 차단기의 ON, OFF 및 OPEN 위치에서 보드 도어의 언로크(unlock)를 행하도록 한 외부 조작 핸들 장치에 있어서,
    보드 도어를 언로크시키는 OPEN 위치에서 핸들에 설치된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시켜 유지하고, 상기 OPEN 위치에서 핸들에 연계된 도어 로크 레버를 언로크 위치에 구속(拘束)시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의 ON, OFF 및 OPEN 위치에서 핸들 로크 레버를 수동으로 인출/대기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 수단으로서, 1회째의 푸시(push) 조작에 의해 핸들 로크 레버를 인출 위치에 걸림 고정시켜 유지하고, 2회째의 푸시 조작에 의해 대기 위치로 되돌리는 얼터네이트(alternate) 동작 방식의 캠(cam)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핸들 로크 레버에 설치된 얼터네이트 동작 방식의 캠 기구가, 하트(heart) 형상의 캠 경로를 갖는 단붙이(stepped) 홈 캠과, 선단의 갈고리부를 단붙이 홈 캠의 면에 누르고 타단을 핸들에 고정한 제어 바(bar)와, 핸들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압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 캠은 하트 형상의 캠 경로에 방향성이 있는 래치트(rachet) 톱니 형상의 단차(段差)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단붙이 홈 캠이 핸들 로크 레버의 측면에 새겨져(carve)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 바가 선(線) 스프링이고, 선 스프링의 선단을 예각(銳角)으로 굴곡시켜 갈고리부를 형성하며, 후단을 C자 형상으로 구부려 핸들에 형성된 고정 홈에 밀어넣어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핸들 장치.
KR1020070095898A 2006-09-21 2007-09-20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KR101010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5923 2006-09-21
JP2006255923A JP4923907B2 (ja) 2006-09-21 2006-09-21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79A true KR20080027179A (ko) 2008-03-26
KR101010764B1 KR101010764B1 (ko) 2011-01-25

Family

ID=3916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898A KR101010764B1 (ko) 2006-09-21 2007-09-20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99934B2 (ko)
JP (1) JP4923907B2 (ko)
KR (1) KR101010764B1 (ko)
CN (1) CN101150023B (ko)
FR (1) FR2906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1445B2 (ja) * 2009-07-03 2012-11-1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5359926B2 (ja) * 2010-02-23 2013-12-0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質量分析装置
US8796568B2 (en) 2010-12-29 2014-08-05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ing assembly having an interlock device for a selector switch
CN102683128B (zh) * 2012-04-27 2016-02-03 贵州泰永长征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万能断路器操作机构的省力操作装置
US9484163B2 (en) 2014-02-06 2016-11-01 Eaton Corporation Disconnect operating handles suitable for circuit breakers and related bucket assemblies
US9496101B2 (en) 2014-02-06 2016-11-15 Eaton Corporation Disconnect operating handles suitable for circuit breakers and related bucket assemblies and handle interlocks
USD762593S1 (en) 2014-03-24 2016-08-02 Eaton Corporation Switch handle for circuit breakers
USD751516S1 (en) 2014-03-24 2016-03-15 Eaton Corporation Switch handle for circuit breakers
USD765045S1 (en) 2014-03-24 2016-08-30 Eaton Corporation Switch handle for circuit breakers
USD750577S1 (en) * 2014-03-24 2016-03-01 Eaton Corporation Switch handle for circuit breakers
CN105225867B (zh) * 2015-10-26 2017-09-12 常州阿斯博开关有限公司 一种环网柜断路器联锁机构
US9828789B2 (en) 2015-12-22 2017-11-2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Locking and sealing arrangement for a load switch handle
US10157721B2 (en) 2016-04-07 2018-12-18 DEA Incorporated Electrical breaker rear side actuator
US10312046B1 (en) * 2018-01-19 2019-06-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Rotary motion switching apparatus usable with circuit interrupter
US10312037B1 (en) * 2018-01-19 2019-06-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Rotary motion switching apparatus usable with circuit interrupter
US10319541B1 (en) * 2018-01-19 2019-06-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Rotary motion switching apparatus usable with circuit interrupter
CN109920675B (zh) * 2019-03-12 2022-01-07 杭州英纬特科技有限公司 按钮开关的自锁结构以及采用这种结构的按钮开关
US11282664B2 (en) * 2019-05-13 2022-03-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Handle mechanisms for circuit break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10112020B (zh) * 2019-05-18 2024-01-23 山西汾西电气有限公司 防爆箱上的自复位式隔离联锁操作手柄机构及操作方法
CN111430197B (zh) * 2020-05-12 2022-05-10 泉州七星电气有限公司 断路器复位锁定机构
EP3955401A1 (en) * 2020-08-12 2022-02-16 ABB Schweiz AG An interlock system for a low,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gear
US20230274895A1 (en) * 2022-02-25 2023-08-3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otary lockout tagout latc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9555A (en) * 1956-10-31 1958-08-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Operating mechanism for enclosed circuit breakers or switches
US2907840A (en) * 1957-10-14 1959-10-06 Fed Pacific Electric Co Front operated enclosed switching apparatus
FR2133125A5 (ko) * 1971-04-08 1972-11-24 Alexander Percy
US3697714A (en) * 1971-07-28 1972-10-10 Ite Imperial Corp Rotary handle operator with reversible cover latch
JPS6021159A (ja) * 1983-07-15 1985-02-02 Nisshin Steel Co Ltd 薄板連続鋳造装置
JPS6471830A (en) * 1987-09-11 1989-03-16 Rikagaku Kenkyusho Monofluorocyclobutanes and production thereof
JPH0416836A (ja) * 1990-05-11 1992-01-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946858B2 (ja) * 1990-10-09 1999-09-06 富士電機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US5243157A (en) * 1992-05-06 1993-09-07 Hubbell Incorporated Lockable handle
FR2701617B1 (fr) * 1993-02-16 1995-04-14 Merlin Gerin Disjoncteur à télécommande et à fonction de sectionnement.
US5302925A (en) * 1993-06-11 1994-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rotary handle operator with positive on indication
DE19603238C1 (de) * 1996-01-30 1997-04-10 Kloeckner Moeller Gmbh Abschließbar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Drehschalter
JP3593789B2 (ja) 1996-05-23 2004-11-2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US5902973A (en) * 1996-07-10 1999-05-1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handle operator apparatus and system
JPH11167855A (ja) 1997-12-04 1999-06-22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DE19939717A1 (de) * 1999-08-21 2001-02-22 Moeller Gmbh Handbetätigungsvorrichtung mit Drehgriff für elektrische Schaltgeräte
JP2002025411A (ja) 2000-07-07 2002-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4058890B2 (ja) 2000-08-11 2008-03-1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のロータリーハンドル機構
JP4058895B2 (ja) * 2000-10-02 2008-03-1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のハンドル操作機構
US6949711B1 (en) * 2003-10-14 2005-09-27 Cooper Industries, Inc. Selector switch knob with lock ring assembly
JP4215621B2 (ja) 2003-11-17 2009-01-28 富士電機アセッツ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US6797903B1 (en) * 2004-02-11 2004-09-2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xtended rotary handle operator
US6974922B2 (en) * 2004-03-30 2005-12-1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otary service switch for the interior of electrical enclosures having a disconnect switch
JP4396370B2 (ja) * 2004-04-13 2010-01-13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KR20060068578A (ko) * 2004-12-16 2006-06-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장치
JP2006235393A (ja) * 2005-02-25 2006-09-07 Kyocera Corp 撮像装置
FR2886756B1 (fr) * 2005-06-02 2007-07-20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actionnement d'un appareil electrique interrupteur avec dispositif de verrouil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0023A (zh) 2008-03-26
CN101150023B (zh) 2011-02-02
FR2906399B1 (fr) 2014-11-07
US20080073188A1 (en) 2008-03-27
US7399934B2 (en) 2008-07-15
KR101010764B1 (ko) 2011-01-25
JP4923907B2 (ja) 2012-04-25
FR2906399A1 (fr) 2008-03-28
JP2008077972A (ja)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764B1 (ko)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EP0450699B1 (en) Enabling means for locking, by a padlock, hand control devices of electromechanical equipments
US4754367A (en) Electric switchboard cell having a positioning drive for a movably arranged switchgear and locking device for switchboard cell door
KR20070057023A (ko) 차량에 있어서의 도어 랫치의 조작 장치
JP4396478B2 (ja) キースイッチ
JP5123817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4018005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4904608B2 (ja) ロック装置
KR20210015797A (ko)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안전 스위치
JP2009074347A (ja) 施解錠装置
CN114388283B (zh) 一种旁路型双电源自动转换开关
WO2009090981A1 (ja) 施解錠装置
KR102362325B1 (ko) 안전 손잡이 잠금 장치
KR100201059B1 (ko) 래치로크장치
CN216698144U (zh) 一种自动转换开关
JP4096110B2 (ja) パチンコ機開閉装置
JP2001098817A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JP3957984B2 (ja) 食器洗い機の扉開閉装置
JP4119699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ボタンロック装置
KR100866179B1 (ko) 단일 케이블을 이용한 차량용 도어래치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100568723B1 (ko) 푸시형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JP4126180B2 (ja) 電気錠の切換え装置
JPH10309363A (ja) パチンコ機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