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53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532A
KR20080021532A KR1020070086696A KR20070086696A KR20080021532A KR 20080021532 A KR20080021532 A KR 20080021532A KR 1020070086696 A KR1020070086696 A KR 1020070086696A KR 20070086696 A KR20070086696 A KR 20070086696A KR 20080021532 A KR20080021532 A KR 2008002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wire
wire support
electrical
electric wir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467B1 (ko
Inventor
마코토 후카마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전기 와이어를 결합하기 위해 전기 와이어 지지부 (21)에 신축적으로 실장되는 타이 밴드(31)를 포함한다. 외경의 공차 중 최대 값과 최소 값에 해당하는 외경을 각각 가진 전기 와이어는 각각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와 최소 전기 와이어로서 설정된다.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 및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가 개별적으로 인접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된다고 가정하면,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의 수직 위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수직 위치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방식으로, 공통 접선이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 및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의 각 상부 코드 측면에서 그어질 수 있는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Figure P1020070086696
전기 커넥터, 와이어, 지지 표면, 공차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 제11-329575호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가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표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 제11-329575호에 기술된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전기 와이어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타이 밴드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전기 와이어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과 타이 밴드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전기 와이어를 고정한다. 전기 와이어 지지부와 타이 밴드에 의하여 전기 와이어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포함한 외력은 전기 와이어 지지부 및 타이 밴드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의해, 과도한 힘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단자 설비에서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3개 이상의 전기 와이어가 유닛을 형성하고, 3개의 전기 와이어는 일렬로 배열된 3개의 대략 수평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가 공차 범위 내에서 중앙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상에 배치되고, 2개의 최 대 직경 전기 와이어가 공차 범위 내에서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의 양측에 위치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상에 배치된다고 가정하자. 전기 와이어가 타이 밴드에 의해 단단히 결합된 경우, 타이 밴드는, 중앙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배치된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의 양측에 위치된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 사이에 교차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타이 밴드의 조임력은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 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달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전기 와이어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전기 와이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며, 이 전기 커넥터는 3개 이상의 전기 와이어가 그 전기 커넥터 내에 일렬로 배열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일렬로 배열된 전기 와이어를 개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을 갖고 그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표면에 형성된 전기 와이어 지지부; 및 전기 와이어를 아래쪽으로 고정함으로써 전기 와이어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까지, 전기 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된 방향을 따라 신축적으로 놓여 있는 상태로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 상에 마련된 밴드 부재를 포함한다. 이 전기 와 이어의 외경의 공차(D)의 최대값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진 전기 와이어가 최대 직경의 전기 와이어로서 설정되고, 상기 전기 와이어의 외경의 공차의 최소값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진 전기 와이어가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로서 설정된다고 가정하고,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까지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는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서 상기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인접한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는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서 상기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인접한 (N-2)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고 가정하면, 이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수직 위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수직 위치가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타단까지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방식으로, 공통 접선이 일렬로 배열된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 및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의 각각의 상부 코드 측면에서 그어질 수 있는 위치에, 또는 상기 공통 접선이 그어질 수 있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밴드 부재는 굽혀진 상태로 전기 와이어를 밴드 부재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사이에 고정하기 위하여 전기 와이어를 단단히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인출되고,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와이어에 대하여, 밴드 부재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까지 신축적으로 놓여있다. 그 결과, 모든 전기 와이어들은 밴드 부재와 접촉하는 동시에, 전기 와이어들이 각각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 공차 범위 내에서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은 공차 범위 내에서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양측에 배치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는 밴드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전기 와이어 사이의 헤드가 가장 크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들이 전술한 경우와 같이 일렬로 배열될지라도,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타단 측면에 배치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이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 배치된 인접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인)의 위치보다 아래쪽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수직 위치는, 공동 접선이 3개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개별적으로 위치된 전기 와이어들의 상부-코드 측면에서 그어질 수 있는 위치에, 또는 공통 접선이 그어질 수 있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조임력이 밴드 부재로부터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들 사이에 끼인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에 확실하게 인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차 범위 내에서 전기 와이어의 직경에 관계없이, 모든 전기 와이어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과 밴드 부재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기 와이어들은 밴드 부재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 사이에 굽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기 와이어가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기 와이어의 굽혀진 부분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된 단자 설비(terminal fitting)에 인장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단자 설비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우발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이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타단 측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하는 방식으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을 배치함으로써 자동으로 형성된다. 특정 구성을 가진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그 내부에 각각 단자 설비(61)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11)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10)과, 그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전기 와이어 지지부와, 그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에 장착된 타이 밴드(31)(본 발명의 밴드 부재)로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10)은 합성수지(synthetic resin)로 제작된다. 커넥터 하우징(10)은 도시되지 않은 결합용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대다수는 커넥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다. 캐비티(11)는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다. 캐비티(11)는 상단과 하단의 각각에서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킹에 의해 전기 와이어(50)의 터미널에 접속된 단자 설비(61)는 후방 측면에서부터 각 캐비티(11) 내부로 삽입된다. 캐비 티(11)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된 단자 설비(61)는 캐비티(11)의 내벽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랜스(lance; 12)에 의해 제거할 수 없는 상태로 탄성적으로 체결된다. 전기 와이어(50)는 그 중심에 배치되는 코어 와이어(51)와 그 코어 와이어(51)의 주변을 덮은 코팅(52)으로 구성된다. 단자 설비(61)에 마련된 절연 배럴(62)은 전기 와이어(50)의 코팅(52)의 주위에 감겨진다. 단자 설비(61)에 마련된 와이어 배럴(63)은 전기 와이어(50)의 터미널에서 코팅(52)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된 코어 와이어(51)의 주위에 감겨진다.
또한 전기 와이어 지지부(21)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전기 와이어 지지부(21)는 가로방향으로 길고, 블록 형상이다. 전기 와이어 지지부(21)는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와이어 지지부(21)는 하단에 배치된 모든 캐비티(11)들 중 한가운데에 배치된 5개의 캐비티에 상응하여 배치되고, 전기 와이어 지지부(21)는 캐비티(11)가 하단에 배치된 캐비티(11)의 레벨보다 약간 낮은 레벨에 배열된 방향(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5개의 캐비티(11)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 것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이고,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 와이어(50)가 배열된 가로 방향으로 전기 와이어(50)가 일정하게 간격을 지키도록 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되는 전기 와이어(50)를 지지할 수 있다.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단면적 으로 각 전기 와이어(50)의 대략 아래쪽 절반을 따라 반원형 아크 형상으로 되고, 전기 와이어(50)가 인출되는 방향(종방향)을 따라서는 반원형 홈 형상으로 된다. 인접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분할벽(23)에 의해 서로 분할된다. 또한, 분할벽(23)의 돌출 단부(상단부)는 단면적으로 반원형 아크 형상을 하고, 따라서 곡면이다.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전기 와이어(50)는 동일한 외경(전기 와이어의 직경)을 갖는 것이다. 이 경우, 공차(D)가 허용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에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과 이어진 테이퍼진 표면(19)이 5개의 캐비티(11)의 개구부 에지의 아래쪽 표면상에 형성되고, 테이퍼진 표면(19)은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으로 기울어진다.
타이 밴드(31)가 삽입되는 오목한 홈(25)은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좌측 표면과 우측 표면상에 형성된다. 타이 밴드(31)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한 제거 방지벽(26)이, 오목한 홈(25)은 제거 방지벽(26)과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 사이에 끼여 있게,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에 면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타이 밴드(31)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인장된 상태에서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주위에 감겨진다. 또한, 타이 밴드(31)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신축성 있는 벨트 형상을 하고 있다. 타이 밴드(31)는 그 일단에 형성된 체결 구멍(32)을 가진 절두형 콘 형상 체결부(33)와, 이 체결부(33)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하는 밴드 부재(34)를 갖는다. 수많은 톱니(35)가 밴드 부재(34) 의 표면(밴드 부재(34)의 만곡부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타이 밴드(31)는 밴드 부재(34)를 (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전기 와이어 지지부(21) 주위에 돌리는 한편, 밴드 부재(34)를 오목한 홈(25) 내에 삽입되고, 체결부(33)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측면 아래쪽에 배치되며, 타이 밴드(31)는 제거 방지벽(26)과 접촉하고, 밴드 부재(34)가 한번 감기면 상부로부터 밴드 부재(34)의 선도 단부를 체결부(33)의 체결 구멍(32) 내부로 삽입하고, 타이 밴드(31)를 체결 구멍(32)에 체결하여, 톱니(35)를 체결 구멍(32)의 벽과 결합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와이어(50)가 타이 밴드(31)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5개의 캐비티(11)에 상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인출된 전기 와이어(50)는 캐비티(11)의 테이퍼진 표면(19)을 따라 가이드 되어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구부려진다. 이 상태에서, 전기 와이어(50)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고정되는 동시에, 전기 와이어(50)가 들려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전기 와이어(50)는 상응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대하여 가압된다. 전기 와이어(50)는 구부러진 채로 타이 밴드(31)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기 와이어들이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에서 멀리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출되더라도, 인장력은 와이어의 굽힘 부분에 가해진다. 따라서 이 구성은, 인장력이 커넥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단자 설비(61)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지된 타이 밴드가 타이 밴드(3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 측면[타이 밴드(31)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되기 시작한 측면, 즉 타이 밴드(31)를 감는 동안 밴드 부재(34)의 돌림부의 포인트 측을 지지하는 측면]으로부터 타단 측면[타이 밴드(31)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되는 것이 끝나는 측면, 즉 체결부(33)가 위치되는 측면]으로 점진적으로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상에 위치된 전기 와이어(50)는 캐비티(11)로부터 더 큰 헤드로 굽혀져서, 전기 와이어(50)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다른 측면에 접근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이 소정 반경의 곡률을 가진 원형 아크를 따라 배치되고,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캐비티(11)로부터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타단을 향해 비율 지정보다 더 큰 헤드로 굽혀진다(도 1에서 참조 번호 21 참조).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의 각 헤드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에서, 각 전기 와이어(50)의 공차(D)는 편의상 실제 치수보다 좀 더 큰 치수로 얻어진다.
전기 와이어의 직경의 공차(D)의 범위 내에서 최대 외경을 가진 전기 와이어(50)(공차(D)의 최대값에 해당하는 전기 와이어)가 최대 직경의 전기 와이어(56)로서 설정된다. 전기 와이어의 직경의 공차(D)의 범위 내에서 최소 외경을 가진 전기 와이어(50)(공차(D)의 최소값에 해당하는 전기 와이어)가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6)로서 설정된다.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까지의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 또는 다음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위치된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 측면에서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인접한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서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인접한 (N-2)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공통 접선(T1, T2, T3)은 양쪽 전기 와이어(56, 57)의 상부 코드 측면에서 (N-2)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되는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로부터,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되는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까지 그어진다. 이 공통 접선(T1, T2, T3)에 대하여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되는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의 상부 코드 측면에서 또한 공통 접선(T1, T2, T3)을 구성하기 위하여,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되는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수평면 아래에 배치되고,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를 지지하는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에 의해 지지되고 수평면 아래에 배치된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가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와이어 지지부(21)(도 1의 참조 번호 21 참조)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의 헤드(G1)[헤드(G1)는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의 수직 위치와 제2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2)의 수직 위치 사이의 편차량]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에 의해 지지되 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는 제2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2)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제1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1)에 지지된다고 가정한다.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더 아래쪽 위치,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타단 측면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공통 접선(T1)이 일렬로 배열된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 제2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에 그어질 수 있는 위치인 헤드(G1)에 배치되어,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이 헤드(G1)에 설정된다. 그 후에 예를 들어,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의 헤드(G2)(헤드(G2)는 즉,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의 수직 위치와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의 수직 위치 사이의 편차량)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4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는 더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에 의해 지지되며, 또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제2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2)에 지지된다고 가정한다. 제4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더 아래쪽 위치, 공통 접선(T2)이 일렬로 배열된 제2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 제4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에 그어질 수 있는 위치인 헤드(G2)에 배치되어,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이 헤드(G2)에 설정된다.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은 제2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2) 아래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용 헤드(G2)를 설 정함에 있어서, 공통 접선(T2)의 경사는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용 헤드(G1)를 설정하면서 그어진 공통 접선(T1)의 경사보다 더 크다. 그 때문에,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용 헤드(G2)는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용 헤드(G1)보다 더 크다. 유사하게, 공통 접선(T2)보다 더 큰 경사를 가진 공통 접선(T3)에 기초하여, 제5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5)를 위하여 제5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5)의 수직 위치와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의 수직 위치 사이에 헤드(G3)가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으로의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3)용 헤드(G1), 제4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4)용 헤드(G2), 및 제5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 S5)용 헤드(G3)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으로 각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이유에 따라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더 낮게 배치된다.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경우, 더 큰 공차(D)를 가진 전기 와이어(50)가 더 작은 공차(D)를 가진 전기 와이어(50)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타이 밴드(31)의 밴드 부재(34)가 더 큰 공차(D)를 가진 전기 와이어(50) 사이에 신축적으로 교차 결합된다. 더 작은 공차(D)를 가진 전기 와이어(50)는 타이 밴드(31)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타이 밴드(31)의 조임력이 더 작은 공차(D)를 가진 전기 와이어(50) 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 인접 전기 와이 어(50)는 매우 큰 헤드를 갖고, 즉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 및 또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가 매우 큰 헤드를 갖고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를 지지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을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타단 측면에 낮은 위치로 배치함으로써, 개별적으로 큰 경사를 가지고,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의 일단 측면으로 그어진 공통 접선(T1, T2, T3)은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의 타단 측면의 공통 접선(T1, T2, T3)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3개의 전기 와이어(50)가 공통 접선(T1, T2, T3)에 기초하여 선택된 타이 밴드(31)의 밴드 부재(34)에 견고하게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차(D) 범위 내에서 전기 와이어(50)의 직경에 상관없이, 모든 전기 와이어(50)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와 타이 밴드(31)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 실시형태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N번째(예를 들어 제3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 또는 후속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서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인접한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서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인접한 (N-2)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고 가정하면,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수직 위치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수직 위치가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그 타단 측면으로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하는 방법으로, 일렬로 배열된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들과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의 각 상부 코드 측면에서 공통 접선이 그어질 수 있는 위치보다 아래쪽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정될 것이다. 즉,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은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과 (N-2)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그어진 공통 접선보다 낮게 위치된 위치에 위치된 전기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으로의 제2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은 제1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보다는 낮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와이어는 공차를 넘어서는 다른 전기 와이어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타이 밴드는 전기 와이어 지지부에 일체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와이어 지지부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와이어 지지부는 힌지를 통해서 커넥터 하우징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와이어의 수는 3개 미만이 되지 않으나, 특정 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후면도.
도 2는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커넥터의 주요 부분들이 제거된 평면도.
도 4은 각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의 높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캐비티
21 : 전기 와이어 지지부 31 : 타이 밴드
22 :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 50 : 전기 와이어
56 :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 57 :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

Claims (2)

  1. 3개 이상의 전기 와이어(50)가 전기 커넥터 내에 일렬로 배열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3개 이상의 전기 와이어(50)를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일렬로 배열된 상기 전기 와이어(50)를 개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22)을 갖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 표면에 형성된 전기 와이어 지지부(21), 및
    전기 와이어(50)를 아래쪽으로 고정함으로써 전기 와이어(50)가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까지 상기 전기 와이어(50)가 일렬로 배열된 방향을 따라 신축적으로 놓여 있는 상태로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21) 상에 마련된 밴드 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와이어의 외경의 공차(D)의 최대값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진 전기 와이어가 최대 직경의 전기 와이어(56)로서 설정되고, 상기 전기 와이어의 외경의 공차(D)의 최소값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진 상기 전기 와이어가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까지 N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는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21)의 일단 측면에서 상기 N번째 전기 와이 어 지지 표면(S3)에 인접한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S2)에 의해 지지되고, 또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는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에서 상기 (N-1)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S2)에 인접한 (N-2)번째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S3)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S1 내지 S3)의 수직 위치는,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S1 내지 S3)의 수직 위치가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부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타단까지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방식으로, 공통 접선이 일렬로 배열된 상기 제1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 상기 최소 직경 전기 와이어(57), 및 상기 다른 최대 직경 전기 와이어(56)의 각각의 상부 코드 측면에서 그어질 수 있는 위치에, 또는 상기 공통 접선이 그어질 수 있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정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34)는 상기 전기 와이어(50)를 굽혀진 상태로 상기 밴드 부재(34)와 상기 전기 와이어 지지 표면(S1~S3) 사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 와이어(50)를 단단히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KR1020070086696A 2006-08-28 2007-08-28 전기 커넥터 KR100918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0576A JP4816332B2 (ja) 2006-08-28 2006-08-28 コネクタ
JPJP-P-2006-00230576 200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532A true KR20080021532A (ko) 2008-03-07
KR100918467B1 KR100918467B1 (ko) 2009-09-24

Family

ID=3904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696A KR100918467B1 (ko) 2006-08-28 2007-08-28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16332B2 (ko)
KR (1) KR100918467B1 (ko)
FR (1) FR2905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3300A (ja) * 2015-10-08 2017-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918B2 (ja) * 1991-05-13 1998-12-16 富士電機株式会社 付属装置のリード線引留め構造
JPH05328573A (ja) * 1992-05-18 1993-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ールドケーブルのクランプ構造
JP3066713B2 (ja) * 1995-02-09 2000-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11329575A (ja) 1998-05-13 1999-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541683B2 (ja) 1998-07-30 2004-07-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スプライス形成具およびスプライス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05203A1 (fr) 2008-02-29
KR100918467B1 (ko) 2009-09-24
JP2008053146A (ja) 2008-03-06
JP4816332B2 (ja)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US625443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utomotive lamp
US20200232636A1 (en) Waterproof decorative lamp
CN111509643A (zh) 保护管连接结构
US7234669B2 (en) Clamp
ES2231947T3 (es) Estructura de cableado y metodo de cableado para motocicleta.
KR20080021532A (ko) 전기 커넥터
US6116944A (en) Ornamental bulb socket
US6494413B1 (en) Wire harness-fixing clamp
JPH0230146B2 (ko)
JP2003516616A (ja) シールドされたハウジングおよびシールドされた電線
JP6622034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1073259A1 (en) Cable connector
JP2013152884A (ja) 電線カバー
US20200381849A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used in vehicle antenna device
KR200421637Y1 (ko) 원형 밴드 케이블
KR200405978Y1 (ko) 밴드케이블의 보강구조
KR200376372Y1 (ko)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329335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CN218386526U (zh) 便于梳理的汽车连接线
JP4387872B2 (ja) 吊り下げ式照明装置
JP4771991B2 (ja) 光ケーブル固定具および光ケーブル固定方法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