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335Y1 -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35Y1
KR200329335Y1 KR20-2003-0024069U KR20030024069U KR200329335Y1 KR 200329335 Y1 KR200329335 Y1 KR 200329335Y1 KR 20030024069 U KR20030024069 U KR 20030024069U KR 200329335 Y1 KR200329335 Y1 KR 200329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support
connection terminal
lower suppor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20-2003-0024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을 접속단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인입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인입구에 삽입된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수용하도록 지지홈(53)이 형성된 하부지지체(51); 상기 하부지지체(5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하부지지체(51)의 지지홈(53)에 대응되도록 지지홈(53)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두 고정홈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부지지체(52);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51)와 상부지지체(52)를 가압하여 상기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7):로 구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apparatus fixing optical cable in the optical cable box}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을 접속단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광케이블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제작될 때 그 길이가 통상 일정한 길이(약 2km)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그 설치 길이에 따라 중간 중간을 연결해야 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연결한다. 또한, 광케이블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광케이블을 분지(分枝)할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분지시킨다.
한편, 광케이블 설치업자는 향후 일정한 기간 동안에 소정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수요가 증대될 것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광케이블 매설량과 기타의 광케이블 접속단자 등의 제반시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의 접속단자에 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광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이 접속단자에 삽입되기 전의 작업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연결하거나 광케이블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광케이블(20)을 분지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연결하려고 하는 광케이블의 개수와 광케이블의 용량에 따라 그 용량이 정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장치를 보호하는 단자함(1)과, 상기 단자함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3)와, 상기 단자함의 양측에 설치되어 인입된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광케이블 고정장치(40)와, 상기 단자함의 틈새와 고정장치(40) 주위에 설치되는 씰링부재(16,17)와, 상기 단자함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트레이(3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1)은 내부에 트레이(30) 및 고정장치(40) 등이 설치되는본체(11)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미도시)와, 상기 본체(11)와 커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3)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1)은 지하 매설시 일정한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자함은 용량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인입구와 내부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씰링부재는 본체(11) 테두리 상단부에 설치되는 테두리 가스켓(17)과, 상기 본체의 광케이블 인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인입구 가스켓(1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씰링부재(16,17)는 습기나 물이 단자함(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씰링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함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형 트레이(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하나로 단일화 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개가 적층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레이(30)는 후단부에 힌지부(31)를 형성하여 상기 각 트레이(30)가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30)에는 광섬유 클러스터(23)를 안정되게 원형으로 감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됨과 아울러 원형으로 감긴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30)의 양측에는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인입되도록 인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소정 부분에는 직선홈 형상의 슬롯(3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각 슬롯(33)에는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접속된 부분인 어뎁터부(28)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20)의 중심부에는 강선(21)이 설치되고, 상기 강선을 둘러싸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복체(22)가 설치된다. 상기 내피복체의 외경부에는 광케이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내피복체(22)의 각 수용홈에는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피복체(22)를 감싸도록 외피복체(24)가 설치된다.
상기 내피복체(22)의 수용홈에는 소정 가닥의 광섬유를 단위로 하여 구성된 다수개의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적층된 상태로 삽입 설치된다. 즉, 상기 광케이블(20)의 내피복체(22)에는 광케이블(20)의 용량에 따라 소정 개수의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에는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소정 개수 단위로 그룹을 이루어 각각 삽입된다.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40)는 도 2와 같이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고정하도록 인입구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40)는 광케이블(20)에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광케이블(2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40)는 크게 하부지지체(41), 상부지지체(43), 직경조절편(45a,45b), 철심(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41)는 단자함 인입구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지지체(41)는 단자함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광케이블(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철심(46)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너트(47)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철심(46)은 그 중심부가 접속단자에 고정되고, 그 양단부가 하부지지체(41)의 양측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철심(46)은 양측이 하부지지체의 지지부(4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상부지지체(43)는 하면부가 하부지지체의 지지부(42)와 거의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체(43)의 양측에는 상기 철심(46)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41)의 지지부(42) 상면부 및 상부지지체의 하면부에는 소정 곡률 반경의 내측면을 갖는 직경조절편(45a,45b)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각 직경조절편(45a,45b)의 외측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체(41)의 상/하면부에는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각 직경조절편(45a,45b)을 상/하부지지체(41,4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지지체(41,43)의 상하면에 삽입할 광케이블(20)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의 내측면을 갖는 직경조절편(45a,45b)을 설치한 후에 상기 너트(47)를 체결하면, 상기 고정장치(40)에 광케이블(20)의 일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케이블(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광케이블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부분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외피복체(24)를 절단하여야 한다. 이렇게 외피복체(24)를 절단하면, 상기 내피복체(22)의 외경부에 삽입된 광섬유 클러스터(23)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어, 상기 내피복체(22)는 소정 길이를 남겨둔 채 절단하고, 상기 강선(21)은 내피복체(22)의 남겨진 길이보다 길게 남겨둔 채 절단한다.
이어, 상기 내피복체(22)의 수용홈 외측면에 커버편(25)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내피복체(22) 부분을 절연테이프(26)를 수회에 걸쳐 감는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 클러스터(23)를 소정 길이의 보호튜브(27)에 끼운다.
이와 같이 제작된 광케이블(20) 끝단부를 단자함(1)의 일측 인출구에 설치된 고정장치(4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20)과 연결시킬 광케이블(20) 역시 상기와 같은 제작과정을 수행한 후 단자함(1)의 타측 인출구에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시킬 광케이블(20)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내측면을 갖는 직경조절편(45a,45b)을 상기 하부지지체(41)의 지지부(42)에 체결하고, 고정시킬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하부지지체에 위치시킨다. 이어, 상기 상부지지체(43)에도 동일한 곡률 반경의 내측면을 갖는 직경조절편(45a,45b)을 체결한 다음, 상기 상부지지체(43)를 철심(46)의 양단부에 끼운다. 계속해서, 상기 철심(46)의 양단부에 너트(47)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체(51)와 상부지지체(43)가 가압되면서 광케이블(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고정장치(40)는 직경조절편(45a,45b)만을 교체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보호튜브(27)에 끼워진 광섬유 클러스터(23) 그룹을 단자함(1) 내부에 감고, 이렇게 광섬유 클러스터(23) 그룹이 끼워진 보호튜브(27)를 트레이(30)의 인입홈(32)에 끼움으로써, 상기 트레이(30)에 광섬유 클러스터(23)를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광섬유 클러스터(23) 그룹은 커버편(25)으로부터 트레이(30)의 인입홈(32)까지 보호튜브(27)에 의해 끼워지며, 상기 트레이(30)의 인입홈(32)을 통과한 부분 이후에는 보호튜브(27)가 끼워지지 않는다.
이렇게 트레이(30)에 인입된 광섬유 클러스터(23)를 도 2와 같이 트레이(30) 내부에 감은 다음, 대응되는 광섬유 클러스터(23)의 양끝단부에서 대응되는 광섬유끼리 광섬유 접속공법에 의해 접속시킨다. 이렇게 접속된 어뎁터부(28)에 보호튜브(27)를 끼운 다음에 상기 트레이(30)의 해당 슬롯(33)에 어뎁터부(28)를 끼워 고정시킨다. 따라서, 하나의 슬롯(33)에는 하나의 광섬유 클러스터(23)의 어뎁터부(28)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 클러스터(23)가 필요한 만큼 모두 접속되면, 상기 트레이(30)의 상부에 커버(미도시)를 닫는다. 이어, 상기 단자함(1) 커버(미도시)를 닫은 후에 고정볼트(13)를 체결하여 광케이블(20) 접속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는 고정시킬 광케이블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의 내측면을 갖는 직경조절편을 설치한 후에 상기 광케이블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고정시킬 광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짐에 따라 적당한 내측면을 갖는 직경조절편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직경조절편은 광케이블의 외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상기 고정장치의 생산단가도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설치현장에서도 해당광케이블의 직경에 맞는 다양한 직경조절편을 확보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을 접속단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광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이 접속단자에 삽입되기 전의 작업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광케이블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직경이 큰 광케이블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도 5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직경이 작은 광케이블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고정장치 51 : 하부지지체
52 : 상부지지체 53 : 지지홈
53a : 고정돌기 54 : 체결홀
55 : 안내홈 56 : 안내가이드
57 : 체결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인입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인입구에 삽입된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수용하도록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하부지지체의 지지홈에 대응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두 고정홈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부지지체;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를 가압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대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의 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광케이블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큰 직경의 광케이블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5의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작은 직경의 광케이블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50)는 본체(11)의 각 인입구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고정장치(50)는 하부지지체(51), 상부지지체(52) 및 체결부재(57)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51)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인입구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지지체(51)에는 인입구에 삽입된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수용하도록 지지홈(5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51)의 지지홈(53)은 하부지지체(51)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52)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지지체(51)에 체결된다. 이러한 상부지지체(52)에도 상기 하부지지체(51)에 대응되도록 지지홈(53)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지지체(51)에 상부지지체(52)가 체결된 상태를 보면, 상/하부지지체(51,52)의 지지홈(53)은 서로 대향됨에 따라 광케이블(2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체(52)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지지홈(53)에 의해 형성된 고정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57)는 하부지지체(51)와 상부지지체(5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51)와 상부지지체(52)의 지지홈(53)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두 지지홈(5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5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기(53a)는 광케이블(20)이 외력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두 지지홈은 장방경이 중력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반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작은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을 고정시킬 경우, 상기 광케이블은 원형 지지홈에 비해 타원형 지지홈(53)에 보다 많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한 지지홈은 상술한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51)와 상부지지체(52)의 지지홈(53) 양측에는 체결부재(57)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즉, 상기 각 지지체(51,52)의 지지홈(53) 양측에는 각각 체결홀(54)이 형성되고, 이러한 각 체결홀(54)에는 볼트, 너트(47)와 같은 체결부재(57)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지지체(51)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체(52)의 양측에는 안내홈(55)에 체결되도록 안내가이드(56)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지지체(51)의 안내홈(55)은 체결홀(54)의 전후방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체(52)의 안내가이드(56) 역시 체결홀(54)의 전후방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해당 안내홈(55)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지체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56)는 안내홈(55)을따라 안정되게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상부지지체(52)의 체결구조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고정장치에 광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도 3과 같이 외피복체를 벗겨 낸 후 상기한 작업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광케이블 끝단부를 상기 상/하부지지체(51)에 의해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시킨다. 이어, 상기 상부지지체(52)를 상부로 올린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고정장치(50)의 고정홀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고정장치에 도 7과 같이 외경이 큰 광케이블(20)을 삽입하든지 또는 도 8과 같이 외경이 작은 광케이블(20a)을 삽입하든지 관계없이, 상기 고정장치의 고정홀에 광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상기 체결부재(57)를 조임이면 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체(52)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양측에 있는 체결부재(57)를 균일하게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57)를 조이면 상기 고정장치는 광케이블(20)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홈의 고정돌기(53a)가 광케이블 외피복체를 꽉 잡아준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단자함 내부로 밀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고정장치는 다양한 굵기의 광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는 체결부재만을 조임임으로써 다양한 외경을 갖는 광케이블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광케이블의 외경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량을 갖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사용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인입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인입구에 삽입된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수용하도록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하부지지체의 지지홈에 대응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두 고정홈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부지지체;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를 가압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의 지지홈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의 지지홈 양측에는 체결부재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체의 양측에는 지지홈에 체결되도록 안내가이드가 형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20-2003-0024069U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200329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069U KR200329335Y1 (ko)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069U KR200329335Y1 (ko)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35Y1 true KR200329335Y1 (ko) 2003-10-08

Family

ID=4933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069U KR200329335Y1 (ko)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78B1 (ko) 2007-11-07 2010-06-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KR20160001573U (ko) * 2014-10-31 2016-05-1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인입부
KR20210049500A (ko) * 2019-10-25 2021-05-06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78B1 (ko) 2007-11-07 2010-06-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KR20160001573U (ko) * 2014-10-31 2016-05-1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인입부
KR200481988Y1 (ko) 2014-10-31 2016-12-06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인입부
KR20210049500A (ko) * 2019-10-25 2021-05-06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KR102350854B1 (ko) * 2019-10-25 2022-01-1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367B1 (ko) 광섬유접속장치
US20190204523A1 (en) Optical termination enclosure
CN101981760B (zh) 通信电缆入口设备
US3557299A (en) Sealed cable closure
US8304653B2 (en) Protector for wire harness and method for fixing protector to wire harness
CN101384938A (zh) 光纤分路器模块
AU2012226724B2 (en) Optical cable terminal box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US5825960A (en) Fiber optic management system
KR200329335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US5908180A (en) Symmetrical cable bracketing and strain relieving mechanism and method
WO1997041474A1 (en) Grommet for a fiber optic enclosure
KR20100024599A (ko)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KR200422298Y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KR102350854B1 (ko) 단자함
JP4104513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1179100B1 (ko) 도난방지용 케이블 트로프
CN212258045U (zh) 一种便于排线的高压进线柜
KR200350838Y1 (ko)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JP2003139964A (ja) メディア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33252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WO2000073835A1 (en) Handling of optical fibres in confined or limited spaces
KR20033252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WO2011129991A2 (en) Cable splice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