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278B1 - 광접속함체 - Google Patents

광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278B1
KR100964278B1 KR1020070113428A KR20070113428A KR100964278B1 KR 100964278 B1 KR100964278 B1 KR 100964278B1 KR 1020070113428 A KR1020070113428 A KR 1020070113428A KR 20070113428 A KR20070113428 A KR 20070113428A KR 100964278 B1 KR100964278 B1 KR 10096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optical
enclosure
holder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092A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07011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2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이 현장에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케이블 연결시 광섬유의 손상 및 광케이블의 경로 혼돈 등으로 인한 작업 오류를 최대한 방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광케이블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광접속함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 광접속함체는, 양측에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를 가지며 내측 바닥면 중앙에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고정함과 동시에 접지가 가능한 인장선접지수단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인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함체내의 수밀을 유지하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입구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고정수단과;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힌지연결되어 구비되고 내부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접속하는 어뎁터를 좌우 이탈없이 고정하고, 인입구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레이와; 상기 함체에 그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는 함체덮개를 포함한다.
함체, 함체덮개, 고정홀더, 트레이, 인장선접지수단, 색인부, 체결안내수단, 걸이구유동방지수단

Description

광접속함체{Fiber optic splice closure}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케이블의 연결작업이 용이한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도 24는 일반적인 광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회사(3)로부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사용자까지 연결되는 광케이블(2)(6)은, 지하를 통해 해당지역의 지하 광접속함체(1)로 연결되고, 상기 광접속함체(1)로부터 해당지역의 인접한 전신주(4)에 구비된 지상 광접속함체(1)로 연결하며, 상기 지상 접속함체(1)에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광케이블(2)(6)은, 최근 들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직경이 점점 가늘어지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2)이 사용된다.
최근에 사용되는 광케이블(2)(6)은 옥외용 광케이블(2)과 옥내용 광케이블(6)로 대분된다. 옥외용 광케이블(2)은 도 25와 같이 중앙에 직경이 대략 250㎛~900㎛ 정도인 광섬유(2a)가 구비되고, 이 광섬유(2a)의 바깥둘레에 외피(2b)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피(2b)와 광섬유(2b) 사이에 케블라(Kevlar)(2c) 가 구비되어 외부의 기계적 충격 및 변화에 대하여 광케이블(2)을 보호시킴으로써 광케이블(2)의 시공시 강한 인장력이나 기계적 충격이 작용하여도 광케이블(2)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옥내용 광케이블(6)은 도 26과 같이 외피(6b)내에 다수의 광섬유(6a)가 구비되고, 중심에는 인장선(6c)이 구비되어 외부의 기계적 충격 및 변화에 대하여 광케이블(6)을 보호시킴으로써 광케이블(6)의 시공시 강한 인장력이나 기계적 충격이 작용하여도 광케이블(6)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2)을 광접속함체(1)의 인입구로 삽입하여 내부의 접속부품과 접속함에 있어서, 도1에서와 같이 광접속함체(1)의 인입구측에 광케이블(2)이 유동하지 않도록 광케이블 고정장치(5)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광케이블 고정장치(5)는, 광케이블(2)의 고정시 광케이블(2)(6)의 직경에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고정장치(5)들로 교체하면서 광케이블(2)을 고정시켜야하므로 광케이블(2)(6)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러우며, 광접속함체(2)를 이용하여 광케이블(2)(6)의 연결시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2)에 맞는 고정장치(5)들을 항시 휴대하여야 하므로 현장에서 고정장치(5)들을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광케이블(2)(6)을 연결하는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케이블(2)(6)을 광접속함체(1)의 인입구로 삽입하여 상기 광케이블(2)(6)을 연결시킬시 광접속함체(1)내의 트레이(미도시)에 상기 광케이블(2)(6)의 광섬유(2a)(6a)들을 상호 접속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는 양측에 인입구를 가지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광섬유(2a)(6a) 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을 가지는 어뎁터고정부재와, 상기 트레이몸체에 체결되는 트레이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레이에는 트레이몸체의 인입구측으로 서로 연결될 두 광섬유(2a)(6a)들을 인입하여 서로 마주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후 각각의 단부를 어뎁터로 접속시키며, 상기 어뎁터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트레이는, 상기 인입구로 광섬유(2a)(6a)들을 인입한 후 트레이몸체에 트레이커버를 체결하면 상기 트레이커버의 양측 단부가 상기 인입구의 단부에 대응되게 체결되며, 이때 상기 광섬유(2a)(6a)들이 상기 인입구의 단부와 상기 트레이커버 양측의 단부 사이에서 물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광섬유(2a)(6a)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2a)(6a)를 접속시키는 어뎁터를 상기 슬롯에 삽입하여 고정시 상기 어뎁터가 상기 슬롯 내에서 좌우 또는 상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트레이몸체 양측의 두 인입구들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접속될 광섬유들이 동시에 인입될시 상기 광섬유(2a)(6a)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러웠다.
한편, 옥내용 광케이블(6)의 경우 다른 두 광케이블(6)을 상호 연결시 인장선(6c)을 광접속함체(1) 내부에 고정하여 접지시키는 과정을 거치는바, 종래의 광접속함체(1)는 그 내부에 다수의 접지볼트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장선(6c)의 고정 및 접지시 상기 인장선(6c)을 고정시키는 작업과 고정된 인장선(6c)을 상기 접 지볼트에 연결하여 접지시키는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인장선(6c)을 접지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광접속함체(1)를 이용하여 광케이블(2)(6)의 연결시 광케이블(2)(6)의 경로 등을 구별하기 위한 구별사항을 광접속함체(1)의 덮개에 매직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상기 광케이블(2)(6)의 구별사항이 표시된 상태에서 덮개를 덮을시 상기 덮개가 덮히는 방향이 일정하지 못하여 덮개에 표시된 구별사항이 해당 광케이블(2)(6)을 지시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지 못하고 뒤바뀌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광케이블(2)(6)의 연결작업시 매우 큰 오류를 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광케이블을 고정, 접지하는 시공과정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광케이블을 모두 하나의 고정홀더로 고정할 수 있고, 광섬유를 접지하는 과정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는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를 가지며 내측 바닥면 중앙에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고정함과 동시에 접지가 가능한 인장선접지수단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인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함체내의 수밀을 유지하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입구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고정수단과;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힌지연결되어 구비되고 내부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접속하는 어뎁터를 좌우 이탈없이 고정하고, 인입구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레이와; 상기 함체에 그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는 함체덮개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선접지수단이, 상기 함체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장방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교차하게 형성되어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인장선접지부와; 상기 체결홈의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향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에 밀착되게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돌출된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접지판을 상기 인장선접지부에 고정시키는 접지볼트와; 상기 인장선접지부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나사체결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인장선을 고정하는 인장선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케이블 고정수단이,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체결되는 제1홀더 및 제2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인입구측에 근접하여 위치되어서 상기 인입구측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부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홀더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체결하는 홀더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홀더가, 상기 인입구의 방향과 평행한 전,후면에 상기 인입구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광접속함체의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홀더와,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의 상부에서 상기 제1홀더를 감싸도록 체결되어서 상기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홀더로 구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홀더는 그 좌우측면에 돌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홀더는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홀더에 그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제1테두리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홀더에 그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제2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테두리부 및 제2테두리부의 전,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홈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홀더체결수단이, 상기 제1홀더의 베이스부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홀더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로 구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가, 양측의 두 인입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두 광섬유가 동시에 인입될시 어느 하나의 광섬유를 다른 하나의 광섬유와 마주하여 접속되는 위치로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내측의 두 여장부 사이에 방향전환수단을 가지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접속될 두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어뎁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어뎁터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어뎁터고정부재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며 양측에 상기 인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의 단부에 더 연장된 날개부를 가지는 트레이덮개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향전환수단이,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측 두 여장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방향전환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어뎁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 및 넓이를 갖도록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덮개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트레이몸체의 양측 인입구의 절반 이상을 덮도록 체결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체덮개의 상면에 상기 함체의 인입구들로 삽입되는 광케이블들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입구측을 지시하여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들이 통과하는 지역의 표시가 가능한 색인부가 더 형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체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함체덮개의 서로 밀착되어 체결되는 체결면들에 상기 함체덮개상의 상기 색인부의 방향이 뒤바뀌지 않도록 상기 함체덮개의 일정한 체결을 안내하는 체결안내수단이 더 구비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안내수단이, 상기 함체의 체결면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함체덮개의 체결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지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돌기들 각각이 상호 이격된 거리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체 및 함체덮개의 체결면 일측의 체결구멍 및 체결돌기는 타측의 체결구멍 및 체결돌기들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체의 체결면의 배면부에 상기 함체를 지주에 고정하는 걸이구가 체결되는 걸이구체결구멍을 가지며, 상기 걸이구체결구멍의 둘레에 상기 걸이구의 좌우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이, 상기 걸이구체결구멍의 양측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걸이구체결구멍에 체결된 걸이구의 양단이 지지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부를 상기 함체내에 삽입하는 중간분기시 상기 광케이블이 저면부에서 관통가능하게 구비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씰링부재의 일측에 외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선을 가지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 사이에서 상기 고정홈 및 안착홈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중앙에 3mm 이하의 지름을 가지는 광케이블삽입구멍이 형성된 소형광케이블고정체가 더 구비되는 광접속함체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에 의하면, 광접속함체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의 고정시 다양한 외경의 광케이블들을 교체없이 즉시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홀더를 광접속함체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없이 제2홀더를 제1홀더에서 이격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동작만으로 광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광케이블의 시공 현장에서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광섬유들이 트레이몸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커버를 체결하여도 광섬유들이 광섬유인입구의 단부와 트레이커버의 단부에 물려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서로 접속될 두 광섬유들이 트레이몸체의 하나의 광섬유인입구로 인입되어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켜서 접속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며, 광섬유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를 트레이몸체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될 두 광케이블 각각의 광섬유들을 접속시킬시 광섬유들을 트레이몸체 내부에서 접속하여 여장 및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접지시 상기 인장선을 고정하는 즉시 상기 인장선이 접지볼트와 연결된 접지판에 접지되므로 상기 인장선을 접지시키는 작업이 매우 신속해지며, 상기 인장선을 접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접지볼트들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광접속함체의 내부 구성이 간단해져서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고, 광케이블의 중간분기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접속함체를 지주 등의 일측에 고정시 광접속함체의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이용하면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이 현장에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케이블 연결시 광섬유의 손상 및 광케이블의 경로 혼돈 등으로 인한 작업 오류를 최대한 방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광케이블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광접속함체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분리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함체(110), 함체덮개(130), 트레이(50), 광케이블 고정수단으로 대분된다.
함체(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양측에 광케이블(140)이 인입되는 인입구(1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111)의 일측에는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부재(112)가 구비되며, 내벽의 일측에는 트레이(50)를 힌지연결할 수 있도록 힌지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13)의 마주하는 전방에는 상기 트레이(50)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편(114)이 구비되며, 상기 함체덮개(130)의 체결면(130a)이 밀착되어 닫히는 체결면(110a)을 가진다.
그리고,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광케이블(140)의 삽입시 인장선(141)을 접지 및 고정하기 위한 인장선접지수단(120)이 구비되는바, 이는 도 1 및 도 2, 도 4 및 도 5와 같이 인장선접지부(121), 접지판(125), 접지볼트(126), 인장선고정판(127)으로 구성된다.
인장선접지부(121)는 상기 함체(11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122a)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부(122)와, 상기 돌출부(122)의 양측에 장방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체결홈(123)과, 상기 체결홈(123)과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140)의 인장선(141)이 안착되는 인장선안착홈(124)으로 이루어진다.
접지판(125)은 상기 체결홈(123)의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향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122)에 밀착되게 상기 체결홈(123)에 체결된다.
접지볼트(126)는 상기 접지판(125)의 돌출된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122)의 구멍(122a)에 체결되고 상기 접지판(125)을 상기 인장선접지부(121)에 고정시킨다.
인장선고정판(127)은 상기 인장선접지부(121)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인장선안착홈(124)에 안착되는 인장선(141)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선접지부(121)의 양측에는 소형광케이블 즉, 3mm의 직경을 가지는 광케이블(140)을 고정시키기위한 소형광케이블고정부(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체결면(110a)의 배면부에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함체(110)를 지주 등에 고정하는 걸이구(118)가 체결되는 걸이구체결구멍(116)을 가지며, 상기 걸이구체결구멍(116)의 둘레에 상기 걸이구(118)의 좌우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을 가진다.
상기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은 상기 걸이구체결구멍(116)의 양측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걸이구체결구멍(116)에 체결된 걸이구(118)의 체결부위 양단이 지지되는 돌출편(117)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함체(110)를 덮는 함체덮개(130)는, 상기 함체(110)의 체결면(110a)과 체결되는 체결면(130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면(110a)(130a)들이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144)체결에 의해 상기 함체(110)에 체결된다.
그리고 함체덮개(130)의 상면에는 상기 함체(110)의 인입구(111)들로 삽입되는 광케이블(140)들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도 1과 같이 상기 인입구(111)측을 지시하여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140)들이 통과하는 지역 등의 표시가 가능한 색인부(13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색인부(131)에 광케이블(140)의 구별사항을 매직 등을 이용하여 써놓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인부(131)에 상기 광케이블(140)의 구별사항을 표기한 상태에서 상기 함체덮개(130)를 함체(110)에 덮을시 상기 색인부(131)에 표기된 구별사항의 내용이 뒤바뀔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함체(110)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함체덮개(130)의 서로 밀착되어 체결되는 체결면(110a)(130a)들에 상기 함체덮개(130)의 항시 일정한 체결을 안내하는 체결안내수단(13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안내수단(134)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10)의 체결면(110a)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33)과, 상기 체결구멍(133)에 대응되게 상기 함체덮개(130)의 체결면(130a)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32)들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체결구멍(133)과 상기 체결돌기(132)들 각각이 상호 이격된 거리를 달리하여 상기 함체(110) 및 함체덮개(130)의 체결면(130a) 일측의 체결구멍(133) 및 체결돌기(132)는 타측의 체결구멍(133) 및 체결돌기(132)들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 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110)의 인입구(61) 일측에 구비되는 씰링부재(112)는 중간분기시 광케이블(140)을 일부를 함체(110) 내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바, 상기 씰링부재(112)는 상기 광케이블(140)의 일부가 저면부에서 관통가능하도록 도 1과 같이 일측에 외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선(11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함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광케이블(140)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고정수단은 고정홀더(10) 및 홀더체결수단(40)으로 대분되는바, 고정홀더(10)는,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체결되는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로 구성되며, 광접속함체(100)의 내부에서 광케이블(140)이 삽입되는 인입구(111)측에 근접하여 위치되어서 상기 인입구(111)측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부 즉, 상기 제1홀더(20)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광케이블(14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홀더(20)는 상기 광접속함체(100)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홀더(30)는 상기 제1홀더(20)의 상측에서 마주하여 상기 제1홀더(20)에 체결되며, 광케이블(140)이 상기 씰링부재(112)를 관통하여 상기 인입구(111)에 삽입된다.
상기 제1홀더(20)는 상기 인입구(111)와 평행한 전,후면에 상기 광케이블(140)이 안착되는 안착홈(21)이 형성되며, 그 안착홈(21)은 최대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140)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홀더(20)의 좌,우측면에는 외향돌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 된 가이드부(23)가 형성되어 그 가이드부(23)가 상기 제2홀더(30)의 높이가 조절될시 상기 제2홀더(30)를 가이드하며, 상면 양측에는 후술할 상기 홀더체결수단(40)이 체결되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홀더(30)는 상기 안착홈(124)에 대응되는 고정홈(31)(31')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20)의 상부에서 상기 제1홀더(20)를 감싸도록 체결되어서 상기 광케이블(140)의 직경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고정홈(31)(31')이 상기 안착홈(124)과 함께 상기 광케이블(140)의 외경에 밀착되면서 상기 광케이블(140)을 고정한다.
이러한 제2홀더(30)는 판상의 베이스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33)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33)에서 하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홀더(20)에 그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제1테두리부(35)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33)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부(33)에서 상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홀더(20)에 그 둘레를 감싸도록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테두리부(3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테두리부(35) 및 제2테두리부(36)의 전,후면에는 상기 고정홈(31)(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31)(31')은 각각 곡률을 달리하여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제2테두리부(36)의 고정홈(31')이 상기 제1테두리부(35)의 고정홈(31)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며, 상기 제1테두리부(35)의 고정홈(31)은 상기 안착홈(21)과 거의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1)(31') 및 안착홈(21)에는 상기 광케이블(140)을 파지하는 파지돌기(22)(32)(32')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제1테두리부(35) 및 제2테두리 부(36)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1홀더(20)의 가이드부(23)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홀더(30)의 높이가 조절될시 상기 가이드부(23)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37)(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3)의 양측에는 상기 제1홀더(20)의 나사구멍(24)과 대응되고 후술할 상기 홀더체결수단(40)이 체결되는 관통구멍(34)이 형성된다.
한편 홀더체결수단(40)은 상기 고정홀더(10)의 양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를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광케이블(140)의 고정시 상기 광케이블(140)의 직경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제2홀더(30)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2홀더(30)를 상기 제1홀더(20)에 체결한다.
이러한 홀더체결수단(40)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체결나사(41) 및 와셔(42)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체결나사(41)는 상기 제2홀더(3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홀더(20)에 체결된다. 즉, 상기 베이스부(33)상의 양측 관통구멍(34)에 관통되어 상기 나사구멍(24)에 체결되어서 상기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를 체결한다.
와셔(42)는 상기 체결나사(41)와 상기 제2홀더(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나사(41)의 조임시 상기 체결나사(41)에 의한 상기 제2홀더(30)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함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광케이블(140)들의 광섬유(142)(142')를 접속시키기 위한 트레이(50)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트레이몸체(60), 어뎁터고정부재(70), 트레이커버(80)로 대분된다.
트레이몸체(60)는, 광접속함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접속함체 내부로 삽입된 두 광케이블의 광섬유(142)(142')를 접속시키기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양측에 광섬유(142)(142')가 인입되는 광섬유인입구(61)가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인입구(61)과 근접한 내부에는 상기 광섬유(142)(142')를 여장할 수 있는 여장부(6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광접속함체(100)의 내부에 힌지연결하여 상하회동되게 구비할 수 있도록 도 12와 같이 제1힌지부(63)가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63)의 상측에는 트레이(50)의 적층이가능하도록 제2힌지부(64)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여장부(62)의 사이에는 방향전환수단을 가지는바,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두 인입구(61)들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접속될 두 광섬유(142)(142')가 동시에 인입될시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와 마주하게 위치시켜서 접속할 수 있도록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두 여장부(62)의 사이의 중앙에 형성되는 방향전환가이드(65)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가이드(65)는 광섬유(142)(142')의 방향전환시 상기 광섬유(142)(142')가 상측으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트레이몸체(60)의 내부에는 광섬유(142)(142')를 접속시키는 어뎁터(90)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 13에 도시된 어뎁터고정부재(70)가 구비되는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70)는 광섬유(142)(142')를 접속시키는 어뎁터(9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73)을 가지며, 상기 슬롯(73)은 중앙에 위치된 다수의 제1슬롯(71)과, 상기 제1슬롯(71)의 외측에 평행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2슬롯(72)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슬롯(71)은 중앙부에 위치되어 제1슬롯(71)에만 삽입되어 고정되는 어뎁터(90)들이 좌우로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바, 이를 방지하기위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 13과 같이 제1슬롯(71)의 바닥면에 어뎁터(90)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74)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턱(74)은 상기 제1슬롯(7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어뎁터(90)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 및 넓이를 달리하게 계단식의 다단으로 형성된다.
트레이몸체(60)에 체결되는 트레이커버(80)는, 상기 트레이몸체(60)의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며 양측에는 상기 트레이몸체(60)의 양측 광섬유인입구(61)에 대응되어 상기 광섬유인입구(61)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 단부에서 더 연장되는 날개부(81)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81)는 트레이커버(80)를 트레이몸체(60)에 체결시 상기 광섬유인입구(61)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광접속함체에 광케이블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케이블(140)을 연결시 두 광케이블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부분 끝단을 일정 길이 만큼 외피를 절단한다. 상기 외피가 절단하여 벗겨내면, 내부에 삽입된 광섬유(142)(142') 및 인장선(141)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광섬유(142)(142')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보호튜브(143)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140)의 끝단부를 함체(110)의 인입구(111)로 삽입하면서 상기 인입구(111) 일측의 씰링부재(112)에 관통시켜서 상기 함체(110)의 내부로 삽입하며, 삽입된 상기 광케이블(140)을 도 14와 같이 고정홀 더(10)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140)은 상기 고정홀더(10)의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에 의해 고정되는바, 작업자는 상기 제2홀더(30)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제2홀더(30)를 높게 유지시킨 후 상기 광케이블(140)을 상기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의 사이로 삽입한다.
이후에 상기 제2홀더(30)를 놓으면 하강되면서 상기 광케이블(140)의 외주면상부 둘레에 상기 제2홀더(30)의 고정홈(31)이 대응되어 밀착되며, 이때 상기 제2홀더(30)는 상기 광케이블(140)의 외경에 따른 높이를 유지하며, 홀더체결수단(40)의 체결나사(41)를 상기 제1홀더(20)의 나사구멍(24)에 조이면 상기 제2홀더(30)가 그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면서 안착홈(21)이 상기 광케이블(140)의 외주면 하부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1홀더(20)와 함께 상기 광케이블(140)을 고정시키며, 상기 광케이블(140)은 도 15와 같이 상기 안착홈(21) 및 고정홈(31)에 다수 형성된 파지돌기(22)(32)들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광케이블(140)은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바, 큰 외경을 가지는 광케이블(140)을 상기 인입구(111)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작은 외경을 가지는 광케이블(140)을 상기 인입구(111)로 삽입하여 고정할시 상기 광케이블(140)이 가지는 외경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홀더(30)의 높이가 자연스럽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면서 즉, 상기 제2홀더(30)의 고정홈(31)(31')과 상기 제1홀더(20)의 안착홈(21)과의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거나 커지면서 상기 제1홀더(20)의 안착홈(21)은 상기 광케이블(140)의 외주면 하부둘레에 대응되고 상기 제2홀더(30)는 상기 광케 이블(140)의 외주면 상부둘레에 대응되어서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기 인입구(111)로 삽입되는 광케이블(140)의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광케이블(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홀더(30)의 제1테두리부(35)에 형성된 고정홈(31) 및 제1홀더(20)의 안착홈(124)들 사이에 광케이블(140)을 위치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광케이블(140)의 직경이 작아질시 도 17과 같이 상기 제2홀더(30)의 제2테두리부(36)에 형성된 작은 곡률을 가지는 고정홈(31')과 상기 제1홀더(20)의 안착홈(21) 사이에 광케이블(140)을 위치시켜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140)이 고정되면 외부로 드러난 인장선(141)을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인장선(141)을 상기 인장선접지수단(120)의 인장선접지부(121)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이로 일부를 절단한 후, 상기 인장선(141)을 당겨서 인장선접지부(121)의 안착홈(124)에 안착시키고 상기 안착홈(124)에 인장선고정판(127)을 나사(144)체결하여 인장선(141)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인장선(141)은 도 4와 같이 상기 인장선고정판(127)에 의해 고정되는 즉시 접지볼트(126)와 연결되어 고정된 접지판(125)에 밀착되어 접지된다.
인장선(141)의 고정이 완료되면,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142)(142')의 일부를 상기 함체(110)내에 여장시키고, 접속될 두 광섬유(142)(142')를 트레이(50)내에 삽입하여 접속시키게 되는바, 먼저 상기 광섬유(142)(142')들을 트레이(50)의 양측 광섬유인입구(61)에 각각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섬유(142)(142')들을 보호하는 보호튜브(143)는 광섬유인입구(61)까지만 삽입되며 보호튜브(143)를 벗어난 상기 광섬유(142)(142')들을 트레이(50)내의 여장부(62)에 감으면서 상기 광섬유(142)(142')들을 서로 마주하여 접속되는 위치로 위치키며, 마주하는 광섬유(142)(142')들의 단부를 어뎁터(90)로 서로 접속시킨 후 어뎁터고정부재(70)의 슬롯(7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142)(142')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90)는 종류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하는바, 예컨대 스플리터, 기계식 접속자, 열수축 슬리브들이 대표적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스플리터, 기계식 접속자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70)의 제1슬롯(7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지며, 상기 열수축 슬리브는 상기 제1슬롯(71) 및 이에 평행한 제2슬롯(72)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플리터 및 기계식 접속자는 그 길이를 달리하는바, 이들 중 작은 길이를 가지는 어뎁터(90)는 도 18과 같이 상기 제1슬롯(71)이 형성된 바닥면의 계단식 이탈방지턱(74) 중 최저면의 단턱에 양단이 대응될 것이며,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어뎁터(90)는 도 19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턱(74) 중 최저면 다음의 단턱에 양단이 대응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롯(71)에 어뎁터(90)가 고정될시 어뎁터(90)의 길이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턱(74)의 단턱에 양단이 대응되어 상기 어뎁터(90)가 제1슬롯(7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레이몸체(60)에 트레이커버(80)를 체결하여 트레이몸체(60)의 내부를 닫게되는데, 이때 트레이커버(80)의 양측 날개부(81)는 트레이몸 체(60)의 양측 광섬유인입구(61)에 대응되어 광섬유인입구(61)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개된다.
즉, 상기 트레이커버(80)를 상기 트레이몸체(60)에 체결하면 상기 날개부(81)는 상기 광섬유인입구(61)의 내측 단부에 대응되지 않고 상기 광섬유인입구(61)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개되어 상기 트레이커버(80)의 양측의 단부가 상기 광섬유인입구(61)의 단부사이에서 상기 광섬유(142)(142')를 물게되는 문제없이 상기 광섬유(142)(142')가 광섬유인입구(61)로 인입되어 안전하게 트레이몸체(60)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두 광케이블(140)의 연결시 서로 접속되어질 두 광케이블(140)의 광섬유(142)(142')들이 트레이몸체(60)의 양측 광섬유인입구(61)들 중 도 20과 같이 어느 하나에 동시에 인입되는 경우라면, 하나의 광섬유인입구(61)에 인입된 광섬유(142)(142')들 중 어느 하나의 광섬유(142)(142')는 반대측의 광섬유인입구(61)와 근접한 여장부(62)에 감아서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광섬유(142)(142')는 상기 반대측의 광섬유인입구(61)와 근접한 여장부(62)를 지나서 인입된 광섬유인입구(61)측으로 방향 전환시킨다. 이때, 두 여장부(62)의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 방향전환가이드(65)의 내측으로 가이드되면서 반대측의 광섬유인입구(61)와 근접한 여장부(62)에 감기면서 접속될 광섬유(142)(142')의 반대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가이드(65)를 통해 상기 트레이몸체(60)의 일측 광섬유인입구(61)로 인입된 두 광섬유(142)(142')를 서로 마주하도록 어느 하나의 광섬유(142)(142')를 반대측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과정으로 광케이블(140)의 접속이 완료되면 함체(110)에 함체덮개(130)를 닫아서 광케이블(140)의 접속부위를 보호하게 되는바, 상기 함체덮개(130)를 함체(110)에 덮을시 상기 함체(110)의 체결면(110a)에 상기 함체덮개(130)의 체결면(130a)을 대응시켜서 서로 밀착시키며, 이때 상기 함체(110)의 체결면(110a)에 형성된 체결구멍(133)과 상기 함체덮개(130)의 체결면(130a)에 형성된 체결돌기(132)를 체결시킨 후, 상기 함체(110) 및 함체덮개(130)의 체결면(110a)(130a)들에 나사(144)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함체덮개(130)를 덮을시 함체덮개(130)의 색인부(131)에 상기 연결되는 두 광케이블(140)의 경로 등의 구별사항을 표기하게 되며, 상기 색인부(131)에 표기된 광케이블(140)의 구별사항은 상기 함체덮개(130)를 덮을시 상기 색인부(131)의 위치가 뒤바뀔 수 있으나, 상기 체결면(110a)(130a)들 양측의 체결돌기(132) 및 체결구멍(133)들은 각각의 위치에서 상호 이격된 거리를 달리하여 체결되므로 항시 함체덮개(130)가 일정한 위치로 체결되어 상기 색인부(131)가 뒤바뀌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색인부(131)에 표기된 상기 광케이블(140)의 구별사항이 뒤바뀌는 경우를 방지하여 광케이블(140)시공시 작업의 오류를 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체(110)에 함체덮개(130)가 덮여서 고정된 상태의 광접속함체(100)는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주 등의 일측에 걸어서 고정하게 되는데, 광접속함체(100)를 지주 등의 일측에 걸어서 고정할시는 상기 함체(110)의 체결면(110a)의 배면측에 형성된 걸이구체결구멍(116)에 별도의 걸이구(118)를 대응시킨 후 나 사(144)를 체결하여 걸이구(118)를 고정하게되며, 이때 상기 걸이구(118)의 하부는 상기 걸이구체결구멍(116)이 형성된 내측방향으로 삽입되게 위치되며 그 양단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걸이구체결구멍(116)에 근접하여 형성된 돌출편(117)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구(118)는 상기 함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구체결구멍(116)에 체결된 부위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걸이구(118)를 통해 상기 광접속함체(100)를 지주 등의 일측에 걸어서 고정할시 상기 광접속함체(100)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케이블(140)의 연결 시공시 앞으로의 광케이블(140)의 연결을 예상하여 중간분기를 실시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 광접속함체(100)를 이용하여 중간분기를 위한 광케이블(140)을 광접속함체(100) 내에 삽입하는 과정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즉, 상기 함체(110)의 인입구(61) 일측에 구비된 씰링부재(112)를 상기 함체(110)내에서 분리한 후, 상기 씰링부재(112)에 형성된 절개선(112a)을 벌려서 개방하고 그 개방된 일측 즉, 상기 씰링부재(112)의 저면에 대응시킨 후 상기 씰링부재(112)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그 씰링부재(112)를 상기 함체(110)내에 결합하면 상기 광케이블(140)을 함체(110) 내부로 간편하게 삽입하여 광케이블(140)의 중간분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 광접속함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사시도 및 결합단면도로써,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의 사이에는 도 21과 같이 소형광 케이블고정체(15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형광케이블고정체(15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다수의 광케이블삽입구멍(150a)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의 안착홈(21) 및 고정홈(31)에 고정되기 어려운 3mm이하의 광케이블(1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홈(31) 및 안착홈(21)에 외주면이 밀착되어 고정되고, 고무재질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광접속함체는, 3mm이하의 광케이블(140)을 광접속함체(100)내에 삽입하여 고정할시 상기 광케이블(140)을 상기 광케이블삽입구멍(150a)에 삽입한 후, 도 22와 같이 상기 소형광케이블고정체(150)를 상기 제1홀더(20) 및 제2홀더(30)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홀더(30)를 상기 제1홀더(20)에 체결하여 제2홀더(30)의 고정홈(31) 및 제1홀더(20)의 안착홈(124)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3mm 이하의 광케이블(140)까지도 고정이 가능하므로 최소 지름의 광케이블(140)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광케이블(140)의 지름에 상관없이 더욱 더 다양한 광케이블(140)을 고정하기에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로써, 도 23에 도시된 트레이(15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트레이(150)의 내부에는 복수의 어뎁터고정부재(160)가 구비되고, 트레이몸체(151)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160)를 기준하여 그 양측으로 복수의 광섬유인입구(153)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섬유인입구(153)는 트레이몸체(151)상의 라운드진 모서리부측 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어뎁터고정부(160)의 양측에는 광섬유의 여장시 상기 광섬유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가이드(1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트레이(150)는 광섬유인입구(153)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광케이블을 함체 내에서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형 형태로 여장시킨 후 함체내에서 상기 트레이(150)로 광섬유를 인입시킬시 함체 내에서 여장시 이미 형성된 곡률 반경을 충분히 지키면서 인입될 수 있다.
즉, 트레이의 광섬유인입구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면 함체 내에서 이미 일정 곡률을 유지하면서 여장된 광섬유를 함체 내에서 유지된 곡률보다 더 큰 곡률로 광섬유를 꺽어서 트레이의 광섬유인입구로 인입시켜야 하는 불편없이 함체 내에서 이미 형성된 곡률 반경을 충분히 지키면서 인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50)를 사용하면 함체 내에서 광케이블을 여장하여 광섬유를 상기 트레이(150)의 광섬유인입구(153)로 인입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해지며, 함체 내부의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광접속함체의 사용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광접속함체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내부를 보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덮개를 보이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선접지수단을 보이는 일부 확대 단면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을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보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홀더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뎁터고정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광접속함체 내에서 광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홀더가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들을 고정한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뎁터고정부재에 어뎁터가 지지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 광접속함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
도 24는 광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구성도.
도 25 및 도 26은 광케이블의 종류 및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홀더 20 ; 제1홀더
30 ; 제2홀더 40 ; 홀더체결수단
50 ; 트레이 60 ; 트레이몸체
70 ; 어뎁터고정부재 80 ; 트레이커버
90 ; 어뎁터 100 ; 광접속함체
110 ; 함체 120 ; 인장선접지수단
130 ; 함체덮개 134 ; 체결안내수단
140 ; 광케이블 141 ; 인장선
142 ; 광섬유 143 ; 보호튜브
150 ; 소형광케이블고정체

Claims (22)

  1. 양측에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를 가지며 내측 바닥면 중앙에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고정함과 동시에 접지가 가능한 인장선접지수단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인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함체내의 수밀을 유지하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인입구로 인입되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고정수단과;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힌지연결되어 구비되고 내부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접속하는 어뎁터를 좌우 이탈없이 고정하고, 인입구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레이와;
    상기 함체에 그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는 함체덮개를 포함하며;
    인장선접지수단이,
    상기 함체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장방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교차하게 형성되어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인장선접지부와;
    상기 체결홈의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향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에 밀착되게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돌출된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접지판을 상기 인장선접지부에 고정시키는 접지볼트와;
    상기 인장선접지부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나사체결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인장선을 고정하는 인장선고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레이가,
    양측의 두 인입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두 광섬유가 동시에 인입될시 어느 하나의 광섬유를 다른 하나의 광섬유와 마주하여 접속되는 위치로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내측의 두 여장부 사이에 방향전환수단을 가지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접속될 두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어뎁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어뎁터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어뎁터고정부재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며 양측에 상기 인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의 단부에 더 연장된 날개부를 가지는 트레이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뎁터고정부재는
    상기 슬롯이 상기 어뎁터고정부재 중앙에 위치된 다수의 제1슬롯과 상기 제1슬롯의 외측에 평행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2슬롯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슬롯들 내의 바닥면에 상기 어뎁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 및 넓이(제1슬롯의 길이방향)를 갖도록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며;
    상기 함체덮개의 상면에 상기 함체의 인입구들로 삽입되는 광케이블들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입구측을 지시하여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들이 통과하는 지역의 표시가 가능한 색인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함체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함체덮개의 서로 밀착되어 체결되는 체결면들에 상기 함체덮개상의 상기 색인부의 방향이 뒤바뀌지 않도록 상기 함체덮개의 일정한 체결을 안내하는 상기 함체덮개의 일정한 체결을 안내하는 상기 함체의 체결면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함체덮개의 체결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로 구성된 체결안내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돌기들 각각이 상호 이격된 거리를 달리하도록 상기 함체 및 함체덮개의 체결면 일측의 체결구멍 및 체결돌기는 타측의 체결구멍 및 체결돌기들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고정수단이,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체결되는 제1홀더 및 제2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인입구측에 근접하여 위치되어서 상기 인입구측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부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홀더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체결하는 홀더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가,
    상기 인입구의 방향과 평행한 전,후면에 상기 인입구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광접속함체의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홀더와,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의 상부에서 상기 제1홀더를 감싸도록 체결되어서 상기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그 좌우측면에 돌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홀더는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홀더에 그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제1테두리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홀더에 그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제2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테두리부 및 제2테두리부의 전,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홈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체결수단이,
    상기 제1홀더의 베이스부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홀더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이,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측 두 여장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방향전환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덮개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트레이몸체의 양측 인입구의 절반 이상을 덮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체결면의 배면부에 상기 함체를 지주에 고정하는 걸이구가 체결되는 걸이구체결구멍을 가지며, 상기 걸이구체결구멍의 둘레에 상기 걸이구의 좌우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유동방지수단이,
    상기 걸이구체결구멍의 양측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걸이구체결구멍에 체결된 걸이구의 양단이 지지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부를 상기 함체내에 삽입하는 중간분기시 상기 광케이블이 저면부에서 관통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일측에 외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 사이에서 상기 고정홈 및 안착홈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중앙에 3mm 이하의 지름을 가지는 광케이블삽입구멍이 형성된 소형광케이블고정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KR1020070113428A 2007-11-07 2007-11-07 광접속함체 KR10096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28A KR100964278B1 (ko) 2007-11-07 2007-11-07 광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28A KR100964278B1 (ko) 2007-11-07 2007-11-07 광접속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92A KR20080046092A (ko) 2008-05-26
KR100964278B1 true KR100964278B1 (ko) 2010-06-16

Family

ID=3966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428A KR100964278B1 (ko) 2007-11-07 2007-11-07 광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72B1 (ko) * 2011-01-12 2013-02-19 (주)럭스콤 다심 광케이블 가변 분기구
KR101442234B1 (ko) * 2012-12-24 2014-09-2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59Y1 (ko) * 2009-10-19 2012-01-16 빛샘전자주식회사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101229845B1 (ko) * 2011-07-28 2013-02-05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KR101249768B1 (ko) * 2011-09-26 2013-04-01 네오마루 주식회사 마이크로덕트용 함체
KR101239896B1 (ko) * 2011-10-17 2013-03-11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
KR101158256B1 (ko) * 2011-12-29 2012-06-19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KR101335461B1 (ko) * 2012-02-10 2013-12-02 (주)대유네트웍스 리모트 노드 광단자함
KR102071425B1 (ko) 2018-07-27 2020-03-02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 함체용 패킹
CN112068265A (zh) * 2020-08-25 2020-12-11 浙江光孚通信科技有限公司 光缆接头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335Y1 (ko) 2003-07-25 2003-10-08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200332528Y1 (ko) 2003-07-26 2003-11-07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JP2004361436A (ja) * 2003-05-30 2004-12-24 Maspro Denkoh Corp 光受信機
KR200380997Y1 (ko) 2005-01-25 2005-04-08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1436A (ja) * 2003-05-30 2004-12-24 Maspro Denkoh Corp 光受信機
KR200329335Y1 (ko) 2003-07-25 2003-10-08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200332528Y1 (ko) 2003-07-26 2003-11-07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KR200380997Y1 (ko) 2005-01-25 2005-04-08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72B1 (ko) * 2011-01-12 2013-02-19 (주)럭스콤 다심 광케이블 가변 분기구
KR101442234B1 (ko) * 2012-12-24 2014-09-2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92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278B1 (ko) 광접속함체
RU2165095C2 (ru) Кожух в виде колпа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US6496638B1 (en) Optical fiber cassette
EP3311210B1 (en) Optical termination enclosure
ES2763963T3 (es) Gabinete de fibra óptica
US7471867B2 (en) Fiber optic splice and distribution enclosure
ES2569855T3 (es) Kit para dispositivo de fijación
RU21643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ростков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US8270797B2 (en) Splice holder for communication socket
US64667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optical fibers
ES2519616T3 (es) Dispositivo de liberación de tensión
MX2015003857A (es) Modulo optico instalable en el campo con anexion de cable.
US20200241229A1 (en) Cable fixation devices and methods
AU2012226724B2 (en) Optical cable terminal box
US20120256526A1 (en) Fiber optic cabinet
US11860437B2 (en) Cable fixation assembly with tie wrap passage having preferred insertion direction
KR100942229B1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KR101229845B1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US6751394B2 (en) Sleeve insert and sleeve for guiding optical waveguide elements and for accommodating a splicing device
JP2005091689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080046091A (ko) 광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장치
KR102641861B1 (ko)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JP2010032579A (ja) ケーブル引込方法
US11294132B2 (en) Splice distributor having a splice compartment
KR100606805B1 (ko) 지하용 광 중간 절체장치의 케이블 및 인장선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