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25B1 - 광접속 함체용 패킹 - Google Patents

광접속 함체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25B1
KR102071425B1 KR1020180087920A KR20180087920A KR102071425B1 KR 102071425 B1 KR102071425 B1 KR 102071425B1 KR 1020180087920 A KR1020180087920 A KR 1020180087920A KR 20180087920 A KR20180087920 A KR 20180087920A KR 102071425 B1 KR102071425 B1 KR 10207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hole
disposed
optical connec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8008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접속 함체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으로서, 상기 패킹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의 경도(hardness)는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보다 작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일체인 광접속 함체용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접속 함체용 패킹{Packing for fiber optic splice closure}
실시예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기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 방식보다 전송속도 및 전송된 신호의 품질에 있어 훨씬 우수하므로, 통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광섬유는 석영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유전체를 가늘고 길게 뽑아 제작되므로, 재질의 특성상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섬유의 외면을 완충성 커버 등으로 피복하여 케이블 형태로 제작된다.
광접속 함체는 외부 광선로와 가입자 전송장치 간의 연결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입된 광섬유의 일부가 광어댑터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되면, 광케이블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6092호(2008.05.26.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광접속 함체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광접속 함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와 함체를 덮는 함체 덮개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함체 내부에는 트레이가 힌지 결합되고, 함체 내부로 인입 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본 문헌의 광접속 함체는 인입구에 패킹이 삽입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패킹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 홀은 광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광접속 함체 또는 패킹이 여러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6092호(2008.05.26.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패킹을 통해서도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 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의 경도(hardness)는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보다 작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일체인 광접속 함체용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배치되는 인서트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모두 포함하여 상기 상기 인서트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부재만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는 일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겔(gel) 타입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의 홀의 폭은 상기 홀을 관통하는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는 상기 몸체의 경도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홀은 상기 제1 부재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부재의 상면에 개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제1 부재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의 폭은 상기 상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의 측면은 곡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패킹을 통해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방수부재의 도포 없이, 패킹과 광케이블 사이에서 방수 성능을 확보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용 패킹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하우징의 측벽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킹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제1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킹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용 패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접속 함체의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몸체(100)을 덮는 덮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의 내부에는 트레이(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300)는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300)에는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들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패킹(400)은 몸체(100)와 덮개(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킹(400)은 몸체(100)와 덮개(200) 사이에 배치되어, 몸체(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도 2는 몸체(100)의 측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몸체(10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00)에는 제1 슬롯(110,120)과 제2 슬롯(130)이 배치된다. 제1 슬롯(110,120)은 몸체(100)의 양 측벽(100A)에 배치된다. 제2 슬롯(130)은 몸체(100)의 전벽(100B)과 후벽(10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롯(110,120)과 제2 슬롯(13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슬롯(110,120)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롯(110,120)은 제1-1 슬롯(110)과 제1-2 슬롯(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슬롯(11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다. 제1-2 슬롯(120)은 제1-1 슬롯(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다.
상대적으로 크기 큰 제1-1 슬롯(110)은 2개가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복수 개의 제1-2 슬롯(120)은 2개의 제1-1 슬롯(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롯(110,120)은 U자형태로 측벽(100A)이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슬롯(110,12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킹(4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킹(400)은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는 이중 사출로 성형되어 일체일 수 있다. 제1 부재(410)의 경도(hardness)는 제2 부재(420)의 경도보다 작다. 제1 부재(410)는 겔(gel)형 부재일 수 있다.
한편, 패킹(400)은 제1 파트(401)와 제2 파트(402)로 구분될 수 있다. 패킹(400)을 사각틀 형태로 볼 때, 제1 파트(401)는 제1 슬롯(110,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파트(401)는 사각틀의 양 측면부에 해당한다. 제2 파트(402)는 제2 슬롯(130)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각틀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해당한다.
제1 파트(401)는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파트(402)는 제2 부재(420)만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파트(401)에서, 제1 부재(410)는 제2 부재(4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 부재(410)는 홀(413)을 포함한다. 홀(413)은 제1 부재(410)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홀(413)은 제1 부재(410)의 상면(411a)에 개방되어 배치된다.
도 6은 제1 부재(41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재(410)는 상부(411)와 하부(412)를 포함한다. 상부(411)는 상면(411a)을 포함한다. 상부(411)의 상면(411a)은 덮개(200)와 압착되는 탄성면에 해당한다. 하부(412)는 하면을 포함한다. 홀(413)은 상부(411)와 하부(412)를 걸쳐 배치된다. 홀(413)은 상부(411)의 상면(411a)에서 시작하여 하부(412)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홀(413)의 폭(W1)은 홀(413)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외경(D)보다 작다. 예를 들어, 홀(413)의 폭(W1)은 케이블의 외경(D)보다 3mm이상 작을 수 있다.
제1 부재(410)는 겔(gel)형 부재이고, 홀(413)에 케이블이 삽입되면, 홀(413)이 확장된다. 이때, 제1 부재(410)를 이루는 소재의 특성 상, 케이블과 홀(413)의 접촉부위는 밀착된다.
하부(412)의 폭(W3)은 상부(411)의 폭(W2)보다 넓을 수 있다. 하부(41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을 수 있다. 하부(412)는 케이블이 위치하는 곳으로, 상부(411)보다 체적이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의 진입 공간을 확보하고, 케이블과 제1 부재(410) 사이에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패킹(400)이 몸체에 결합되면, 패킹(400)의 탄성력으로 패킹(400)에 가압력이 부가된다. 상대적으로 몸체에 접촉하는 제2 부재(420)에 가압력이 전달되고, 이후, 제1 부재(410)에 가압력이 전달된다. 그 결과, 제1 부재(410)가 변형되면서 케이블과 제1 부재(410) 사이의 밀착성을 높인다.
제2 부재(420)는 제1 부재(4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부재(420)는 정면에서 바로볼 때,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 배치된다. 제2 부재(420)는 하부(412)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패킹(400)이 몸체(100)에 결합될 때, 몸체(100)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가압력의 방향을 다양화할 수 있다. 제2 부재(420)에서 전달받는 가압력의 방향성이 다양하면, 제2 부재(420)에서 제1 부재(410)로 전달되는 가압력의 방향성도 다양해진다. 제2 부재(420)로 전달되는 가압력의 방향성이 다양해지면,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다향한 방향에서, 제1 부재(410)가 케이블을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홀(413)에 배치된 케이블과 제1 부재(410)의 밀착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킹(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킹(600)은 제1-1 슬롯(110)에만 배치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킹(600)은 제1 부재(610)와 제2 부재(62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킹(600)의 제1 부재(610)와 제2 부재(620)의 소재, 형상 기능은, 제1 변형례에 따른 패킹(400)의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와 동일하다. 제2 부재(610)의 상단에는 제2 슬롯(130)과 대응하는 제1 수용홈(611)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부재(620)의 상단에도 제2 슬롯(130)과 대응하는 제2 수용홈(621)이 배치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용 패킹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00A: 측벽
100B: 전벽
100C: 후벽
110,120: 제1 슬롯
130: 제2 슬롯
140: 브라켓 고정부
200: 덮개
300: 트레이
400: 패킹
401: 제1 파트
402: 제2 파트
410: 제1 부재
411: 상부
412: 하부
413: 홀
420: 제2 부재

Claims (10)

  1.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접속 함체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으로서,
    상기 패킹은 상기 덮개와 접촉하는 제1 부재와,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와 접촉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겔(gel)타입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의 경도(hardness)는 상기 제1 부재의 경도보다 크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덮개에 의해 압착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상면에 개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일체이되,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부재에 전달된 가압력이 상기 제1 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홀의 폭이 변형되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배치되는 인서트홀에 배치되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구분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모두 포함하여 상기 인서트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부재만을 포함하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는 일체인 광접속 함체용 패킹.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홀의 폭은 상기 홀을 관통하는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은 광접속 함체용 패킹.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는 상기 몸체의 경도보다 작은 광접속 함체용 패킹.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홀은 상기 제1 부재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부재의 상면에 개방되어 배치되는 광접속 함체용 패킹.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제1 부재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케이블은 상기 하부에 위치하고, 상시 하부의 체적은 상기 상부의 체적보다 큰 광접속 함체용 패킹.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의 측면은 곡면인 광접속 함체용 패킹.
KR1020180087920A 2018-07-27 2018-07-27 광접속 함체용 패킹 KR10207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20A KR102071425B1 (ko) 2018-07-27 2018-07-27 광접속 함체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20A KR102071425B1 (ko) 2018-07-27 2018-07-27 광접속 함체용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425B1 true KR10207142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920A KR102071425B1 (ko) 2018-07-27 2018-07-27 광접속 함체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092A (ko) 2007-11-07 2008-05-2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KR20140082441A (ko) * 2012-12-24 2014-07-02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
KR20180028274A (ko) * 2016-09-08 2018-03-16 빛샘전자주식회사 가스켓 및 이를 갖는 광 접속함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092A (ko) 2007-11-07 2008-05-2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KR20140082441A (ko) * 2012-12-24 2014-07-02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
KR20180028274A (ko) * 2016-09-08 2018-03-16 빛샘전자주식회사 가스켓 및 이를 갖는 광 접속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6913B2 (en) Fiber optic connectors and connectorization employing adhesive admitting adapters
CN107636505B (zh) 具有应变消除组件的光纤连接器
US9513451B2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US5037175A (en) Clip for dressing of fiber optic cable within confined space
AU2011223281B2 (en) Connection box for glass fiber cables
US7744290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WO2016155463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optical path direction changer
ZA200506070B (en) Unitary splice and drop wire closure
CN111630424A (zh) 用于光纤模块的环氧树脂过渡件
KR102071425B1 (ko) 광접속 함체용 패킹
KR101963311B1 (ko)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CN110998396B (zh) 光纤连接器和采用粘合剂导入适配器的连接器装配
US6471418B1 (en) Optical connector
US6644865B2 (en) Fiber optical terminal with strain relief boot
US9618706B2 (en) Optical connector
KR101953836B1 (ko) 광단자함
KR200487139Y1 (ko) 광접속 함체
EP3717945B1 (en) Fiber optic connectors and connectorization employing adapter extensions and/or flexures
US20190196115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1662188B1 (ko) 광단자함
KR20180107918A (ko) 광 커넥터
CN212658860U (zh) 一种分线盒及光纤连接器
KR20220000846U (ko) 광단자함
EP4220261A1 (en) Fiber optic connectors and connecotrization employing adapter extensions and/or flexures
KR101820427B1 (ko)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