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39Y1 - 광접속 함체 - Google Patents

광접속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39Y1
KR200487139Y1 KR2020150007862U KR20150007862U KR200487139Y1 KR 200487139 Y1 KR200487139 Y1 KR 200487139Y1 KR 2020150007862 U KR2020150007862 U KR 2020150007862U KR 20150007862 U KR20150007862 U KR 20150007862U KR 200487139 Y1 KR200487139 Y1 KR 200487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ot
front surface
coup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029U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2020150007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3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브라켓이 삽입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는 광접속 함체를 제공하여, , 광접속 함체와 브라켓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 구성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접속 함체{Fiber optic splice closure}
실시예는 광접속 함체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기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 방식보다 전송속도 및 전송된 신호의 품질에 있어 훨씬 우수하므로, 통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광섬유는 석영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유전체를 가늘고 길게 뽑아 제작되므로, 재질의 특성상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섬유의 외면을 완충성 커버 등으로 피복하여 케이블 형태로 제작된다.
광접속 함체는 외부 광선로와 가입자 전송장치 간의 연결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입된 광섬유의 일부가 광어댑터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되면, 광케이블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3-0002625호(2013.05.02.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광접속 함체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광접속 함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와 함체를 덮는 덮개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함체 내부에는 트레이가 힌지 결합되고, 함체 내부로 인입 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함체는 고정 시설물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함체에는 별도의 가설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문헌의 광접속 함체는 가설부재가 구비되어 가설 지선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문한의 함체는 가설부재와 같은 설치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정 시설물에 대응한 브라켓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 시설물에 별도의 브라켓이 있는 경우, 고정 시설물과 함체의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이 중복되는 경우, 결합구성이 복잡해 지고 부품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3-0002625호(2013.05.02.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접속 함체를 고정 시설물에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브라켓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구성을 간소화하는 광접속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브라켓이 삽입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는 광접속용 함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측벽에서 관통되어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은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은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의 입구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몸체의 아래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 중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입구와 연결되는 상기 브라켓의 진입공간을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에 브라켓 결합부를 구비하여, 광접속 함체와 브라켓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 구성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고정 시설물에 대응한 결합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시설물에 적용된 브라켓을 함체에 바로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어, 체결 부품을 간소화시키고 설치 작업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접속 함체의 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브라켓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브라켓 결합부의 슬롯과 체결홀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케이블 인입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브라켓 결합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과 몸체(100)를 덮는 덮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의 내부에는 트레이(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10)는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10)에는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들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접속 함체의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00)는 바닥부(110)와 측벽(120,130,140,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와 측벽(120,130,140,150)은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몸체(100)의 내부공간에는 외부에서 인입된 광섬유가 위치하며, 트레이(10)가 위치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측벽(120,130,140,150)은 전면(120)과 우측면(130)과 좌측면(140)과 후면(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120)이라 함은 덮개(200)의 회동축이 형성된 후면(150)을 마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측벽(120,130,140,150)에는 브라켓 결합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결합부(160)는 브라켓이 삽입되는 곳이다. 여기서, 브라켓이란, 고정 시설물과 몸체(100)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이다.
실시예는. 전면(120)과 후면(150)에 브라켓 결합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브라켓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브라켓 결합부의 슬롯과 체결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 결합부(160)는 슬롯(16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62)은 전면(120) 내부에 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120)의 하단부가 절개되어 절개부(111)를 형성하고, 절개부(111)에 슬롯(162)의 입구(161)가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입구(161)는 브라켓이 몸체(100)의 아래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하여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62)은 브라켓이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브라켓 결합부(160)는 체결홀(16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163)은 전면(120)에 관통되어 슬롯(162)까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슬롯(162)에서 관통되어 전면(120) 내부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63)은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부분이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나사와 같이 브라켓과 몸체(100)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회전체결 방식의 체결부재일 수 있다.
체결부재가 나사인 경우, 체결홀(16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63)은 전면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162) 방향과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슬롯(16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케이블 인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우측면(130)에는 케이블 인입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인입부(101)는 몸체(100)의 좌측면(140)에도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인입부(101)에 대응한 몸체(100)의 구조는 이하 우측면(13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몸체(100)의 좌측면(140)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 인입부(101)는 우측면(130)의 일부가 절개되어 케이블의 인입공간을 형성하고, 케이블 인입공간에는 케이블 인입블록(102)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인입부(101)가 마련되는 우측면(130) 또는 좌측면(140)은 몸체(100)의 내부공간 확보에 영향이 없는 부분으로서, 케이블 인입부(101)의 아래 측 일부를 절개하여 전면(120)에 마련된 슬롯(162)의 입구(161)를 개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인입부(101)가 위치한 전면(120)의 하부에 절개부(111)를 형성하여 브라켓이 슬롯(162)에 삽입되기 위한 진입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브라켓을 보다 용이하게 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브라켓 결합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 결합부(160)는 바닥부(110)의 모서리 부근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모두 4개의 브라켓 결합부(160)가 바닥부(110)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라켓 결합부(160)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 함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01: 케이블 인입부
102: 케이블 인입블록
110: 바닥부
111: 슬롯
120,130,140,150: 측벽
160: 브라켓 결합부
161: 입구
162: 슬롯
163: 체결홀

Claims (7)

  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브라켓이 삽입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측벽의 상기 전면에서 관통되어 상기 슬롯과 연통되어 상기 전면의 내부까지 연통되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케이블 인입부가 위치한 하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의 입구는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롯의 입구는 하향하여 배치되는 광접속 함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장착되는 케이블 인입블록을 포함하는 광접속 함체.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후면에는 상기 덮개의 회동축이 배치되는 광접속 함체.
KR2020150007862U 2015-12-01 2015-12-01 광접속 함체 KR200487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62U KR200487139Y1 (ko) 2015-12-01 2015-12-01 광접속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62U KR200487139Y1 (ko) 2015-12-01 2015-12-01 광접속 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29U KR20170002029U (ko) 2017-06-09
KR200487139Y1 true KR200487139Y1 (ko) 2018-08-09

Family

ID=5909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62U KR200487139Y1 (ko) 2015-12-01 2015-12-01 광접속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494B1 (ko) * 2021-04-22 2023-06-28 이명길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광분배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20B1 (ko) * 2007-11-19 2010-06-07 주식회사 영산시스템 가입자계 광케이블 접속함
KR200472023Y1 (ko) 2013-02-19 2014-04-01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29U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282B2 (en) Holder and structure for organizing excess length
ES2375926T3 (es) Envolvente de comunicación integrada.
US8989548B2 (en) Connection box for glass fiber cables
US20150253528A1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CN101617253B (zh) 插座装置
WO2008118603A3 (en) Drop terminal with anchor block for retaining a stub cable
EP3482241A1 (en) Fiber splitter and connection module
KR101540837B1 (ko) 스플리터 모듈
KR200487139Y1 (ko) 광접속 함체
KR101963311B1 (ko)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JP5432469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RU170478U1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терминал
KR200410218Y1 (ko) 광분배함
KR101662188B1 (ko) 광단자함
KR200322654Y1 (ko) 인입 광케이블 여장함이 구비된 광분배함
KR101953836B1 (ko) 광단자함
JP6663800B2 (ja) 光受信機の筐体
CN206710647U (zh) 光纤连接器
KR20080037544A (ko) 광 콘센트
KR102071425B1 (ko) 광접속 함체용 패킹
US20190196115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WO2016156524A1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with hingeable input
JP2007256762A (ja) 光ファイバ心線余長収納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光接続箱
JPH1090525A (ja) 光ファイバの分岐接続装置
KR20100001164A (ko) 광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