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544A - 광 콘센트 - Google Patents

광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544A
KR20080037544A KR1020070107114A KR20070107114A KR20080037544A KR 20080037544 A KR20080037544 A KR 20080037544A KR 1020070107114 A KR1020070107114 A KR 1020070107114A KR 20070107114 A KR20070107114 A KR 20070107114A KR 20080037544 A KR20080037544 A KR 2008003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winding
plu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다나카
히로유키 도요다
요시아키 감베
유키마사 아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identification of connection, e.g. right plug to the right socket or full engagement of the mating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과 광 커넥터의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을 저감한 광 콘센트를 제공한다. 광 콘센트(2)는, 조영재에 매립 배설되는 콘센트 본체(10)와, 콘센트 본체(10) 내에 수납되어, 조영재의 표면측으로부터 광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구(15a) 및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다른 광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구(15b)를 구비한 광 접속구(接續具)(11)와, 플러그 접속구(15b)에 접속되는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이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둘러 감기는 권취 몸통부(측벽부(24) 및 가이드 벽(25)의 일부) 및 측벽부(24)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광 케이블을 협지하는 케이블 유지편(26)을 갖는 권취 부재(13)를 구비하고, 권취 부재(13)에, 플러그 접속구(15b)에 접속된 플러그와 권취 몸통부 사이에서 광 케이블의 외피를 협지하는 케이블 누름편(25a, 25a)을 마련하고 있다.
Figure P1020070107114
배선 장치, 광 콘센트, 모듈러 콘텐트, 부착 틀, 콘센트 본체, 광 접속구, 뒤커버, 권취 부재, 방진 커버, 제1 플러그 접속구, 제2 플러그 접속구, 측벽부, 가이드 벽, 케이블 누름편, 케이블 유지편

Description

광 콘센트{OPTICAL RECEPTACLE}
본 발명은 광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광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면와 같은 조영재(building material)에 매립 배설되어,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의 플러그가 미리 접속됨과 동시에, 조영재의 표면측으로부터 통신 기기측의 광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광 콘센트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광 콘센트는, 예를 들면 조영재에 매설된 매립 박스 내에 배설되는 것이지만,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을 매립 박스 내에 도입하여, 광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를 광 콘센트에 접속한 후에,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을 매립 박스 내의 빈 공간에 수납하는 데 있어서, 광 케이블의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곡률 반경으로 광 케이블을 절곡하면, 광의 전송 손실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을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권취 부재에 둘러 감음으로써, 전송 손실의 악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잔여 길이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광 콘센트가 제공되고 있다.
이 광 콘센트는, JIS 등에서 규격화된 대각형연용 배선 기구용의 부착 프레임에 대하여 부착 가능한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고, 앞면의 대략 전체가 개구함과 동시에, 상측면으로부터 뒷면에 걸쳐서 일부가 개구한 대략 상자 형태의 바디(61)와, 바디(61)의 앞면에 마련한 개구 내에 개폐 가능하게 추지되는 커버(62)와, 커버(62)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SMI형의 광 커넥터(63)(광 접속구)와, 광 커넥터(63)에 대하여 배면측에 위치하도록 바디(61)의 배면에 부착되는 권취 부재(64)를 구비하고 있다.
권취 부재(64)는, 대략 원통 형상의 권취 몸통부(65)를 배면측에 구비함과 동시에, 권취 몸통부(65)의 상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만곡한 단면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66)를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부(66)는 앞면측 만큼 폭이 좁게 되도록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의 (d) 참조). 그리고, 가이드부(66)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상방을 향하여 가이드 벽(67, 67)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 가이드 벽(67, 67)은 배면측으로 갈 수록 양자의 간격이 폭 넓게 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한, 양 가이드 벽(67, 67)은, 좌우 방향에서 권취 몸통부(65)보다도 외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가이드 벽(67)의 하측단에는 권취 몸통부(65)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탄성 유지편(68)이 돌출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의 플러그를 광 콘센트에 접속하는 경우, 이 광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를 광 커넥터(63)에 접속한 후, 광 커넥터(63)에 접속된 플러그로부터 연장하는 광 케이블을 양 가이드 벽(67, 67) 사이의 간극을 지나서 권취 몸통부(65)측에 도입한 후,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을 권취 몸통부(65)에 둘러 감음으로써 잔여 길이 처리를 행하고 있고, 광 케이블이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곡률 반경으로 권회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전송 손실을 악화시키는 일없이, 광 케이블을 조밀하게 수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5-234383호 공보
전술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광 콘센트에서는, 조영재의 뒤쪽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을 광 콘센트에 접속할 때에, 광 커넥터(63)에 접속된 광 케이블을 상측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가이드부(66)를 따르도록 뒤쪽 방향으로 구부려, 가이드 벽(67, 67) 사이의 간극에 삽입한 후, 광 케이블을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비틀어 그 선단측을 권취 몸통부(65)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권취 몸통부(65)에 둘러 감고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을 비튼 상태로 둘러 감고 있었다. 그리고, 이 광 케이블은 권취 몸통부(65)에 감기 시작하는 시점부가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근본(즉 광 커넥터(63)에 접속된 플러그와 케이블 부분의 연결 부위)에 광 케이블을 비트는 힘이나 외력 등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어, 전송 손실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광 접속구에 접속된 플러그와 케이블 부분의 연결 부위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한 광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항의 발명은, 조영재에 마련한 매립 구멍에 매립 배설되는 콘센트 본체와, 콘센트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조영재의 표면측에 개구하여 조영재의 표면측으로부터 광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제1 플러그 접속구 및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다른 광 케이블 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제2 플러그 접속구를 가지며, 양 플러그 접속구에 삽입 접속된 플러그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접속시키는 광 접속구와, 광 접속구에 대하여 배면측에 배치되고, 제2 플러그 접속구에 접속되는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이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둘러 감기는 권취 몸통부 및 해당 권취 몸통부에 둘러 감긴 광 케이블의 외피를 권취 몸통부의 권부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갖는 권취 부재를 구비하고, 권취 부재에, 제2 플러그 접속구에 접속된 플러그와 권취 몸통부와의 사이에서 광 케이블의 외피를 협지하는 케이블 누름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의 발명은,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 누름부가, 권취 부재에 있어서 권취 몸통부의 권부면보다도 내측에 마련되고, 케이블 누름부로부터 권부면에 걸쳐서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케이블 누름부에 대하여 양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항의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발명에 있어서, 권취 부재에, 광 케이블이 둘러 감기는 위치를 따라서 광 케이블의 권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항의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권취 부재에는 광 케이블이 복수 회 감겨 있고, 광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유지부에 유지된 부위보다도 뒤쪽의 권부 부위를 가 유지하는 가 유지 수단을 권취 부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의 발명에 따르면, 광 접속구의 제2 플러그 접속구에 접속된 플러그와, 권취 부재의 권취 몸통부와의 사이에서 광 케이블의 외피를 협지하는 케이블 누름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근본(즉 플러그와의 연결 부위)을 케이블 누름부에서 고정함으로써, 광 케이블과 플러그의 연결 부위에 외력이 가해져, 광 케이블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트레스가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광 전송 손실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 2 항의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누름부는, 권취 부재에 있어서 권취 몸통부의 권부면보다도 내측에 마련되고, 케이블 누름부로부터 권부면에 걸쳐서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벽이 케이블 누름부에 대하여 양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누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광 케이블을 권취 몸통부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둘러 감는 경우이어도, 가이드 벽의 표면을 따라서 구부려 권부면까지 안내할 수 있고, 이때에 광 케이블을 비트는 등의 힘이 광 케이블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광 케이블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광의 전송 손실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항의 발명에 따르면, 표시 수단의 표시에 따라서 광 케이블을 둘러 감음으로써 광 케이블의 권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수 있고, 또한 권부 방향을 잘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 4 항의 발명에 따르면, 권취 부재에 2주째 이후에 권회된 광 케이블의 부위를 가 유지 수단에서 가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이 확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 콘센트를 조영재에 매립 배설할 때에,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부분 이 흐트러져, 수납 작업의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광 콘센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콘센트와 모듈러 콘센트를 구비한 배선 장치를 예로 설명을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방향을 규정하고, 도 3의 (a)에 있어서의 지면 앞쪽을 전방으로 한다. 따라서, 도 3의 (b)에 있어서의 좌단은 후단이 된다.
이 배선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개구창(4a)을 중앙부에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부착 프레임(4)과, 부착 프레임(4)의 개구창(4a)으로부터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부착 프레임(4)에 부착되는 광 콘센트(2) 및 모듈러 콘센트(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착 프레임(4)의 개구창(4a)의 길이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1/3을 차지하는 치수(바꿔 말하면, 개구창(4a)의 길이 방향으로 3개 나란히 부착 프레임(4)에 부착 가능한 치수)를 1개 모듈 치수로 규정한다.
우선, 광 콘센트(2)나 모듈러 콘센트(3) 등의 배선 기구를 벽재 등의 조영재에 부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부착 프레임(4)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착 프레임(4)는, 예를 들면 JIS 규격에서 규격화되어 있는 대각형연용 배선 기구의 1연용의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중앙부에 배선 기구의 앞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4a)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프레임(4)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병행되는 긴 프레임편(40, 40)과, 한 쌍의 프레임편(40, 40)의 한쪽 단부끼리 및 다른 쪽 단부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가로편(41, 41)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편(40, 40) 및 가로편(41, 41)으로 둘러싸인 중앙부가 개구창(4a)으로 되어 있다. 각 프레임편(40, 40)에는, 배선 기구가 부착에 이용되는 2개로 1조의 부착 구멍(42)이 3조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로편(41, 41)의 중앙부에는, 부착 프레임(4)를 조영재에 매설된 매립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삽통되는 박스용 구멍(41a)과, 부착 프레임(4)의 앞면측에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고정되는 플레이트 나사 구멍(4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착 프레임(4)는, 물론, 다른 규격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부착 프레임(4)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개구창(4a)을 갖는 원반 형상의 것이어도 되고, 배선 기구를 부착하기 위한 개구창(4a)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부착 프레임(4)에 부착되는 광 콘센트(2) 및 모듈러 콘센트(3)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듈러 콘센트(3)는, 전화 회선용의 모듈러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기 위한 매립형 배선 기구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 모듈 치수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케이블인 모듈러 케이블용의 삽입구(31)를 앞면측에 갖는 기체(器體)(30)와, 삽입구(31)로부터 기체(30)의 외부에 면하여, 삽입구(31)로 부터 삽입된 모듈러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모듈러 잭(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광 콘센트(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모듈 치수로 형성된 콘센트 본체(10)와, 콘센트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광 접속구(11)(어댑터)와, 콘센트 본체(10)의 이면 사이에서 광 접속구(11)를 유지하는 뒤커버(12)와, 뒤커버(12)에 부착되어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을 권취 유지하는 권취 부재(13)와, 광 접속구(11)가 구비하는 2개의 플러그 접속구(15a, 15b) 중 조영재의 뒤쪽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5)이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구(15b)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보관시나 운반시 등에 플러그 접속구(15b)를 폐색하는 방진 커버(14)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 케이블(5)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용의 페룰(ferrule)(51)을 갖는 플러그(50)를 단부에 구비함과 동시에, 플러그(50)와 케이블부(53)를 고정하여, 케이블부(53)와 플러그(50) 접속 부분에 걸린 응력을 완화하기 위한 각통 형상의 파지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콘센트(2)로서 1심 타입의 것을 예로 설명을 행하지만, 2개의 광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2심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우선, 광 접속구(11)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광 접속구(11)는, 예를 들면 JIS에서 규정된 F04형(SC형이라고도 불림)의 어댑터로서, 양단이 개구한 각통 형상의 하우징(15)과, 양단에 플러그(50)의 페룰(51)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슬리브(16)를 구비하고, 슬리브(16)는 그 양단을 하우징(15)의 양측 개구에 면하게 하도록 하여 하우징(15)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 접속구(11)는, 제1 및 제2 플러그 접속구(15a, 15b)를 양단측에 갖도록 구성되고, 제1 플러그 접속구(이하, 플러그 접속구라고 약칭함)(15a)를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서 콘센트 본체(10)의 삽입구(18b)에 면하게 함과 동시에, 제2 플러그 접속구(이하, 플러그 접속구라고 약칭함)(15b)를 비스듬한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콘센트 본체(10)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콘센트 본체(10)의 배면측에 개구하는 플러그 접속구(15b)에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5)의 플러그(50)가 접속됨으로써 리셉터클(receptacle)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광 접속구(11)의 하우징(15)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플랜지부(15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15c)보다도 상측의 부위는 하측의 부위에 비해서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광 접속구(11)의 한쪽의 플러그 접속구(15a)에는, 조영재의 표면측으로부터 광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플러그 접속구(15a)를 폐색하여, 제2 플러그 접속구(15b)에 접속된 광 케이블의 광이 플러그 접속구(15a)를 통해서 외부에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개폐 도어(17)가 마련되어 있다(도 3의 (a) (c) 참조). 또한, 한 쌍의 개폐 도어(17)는, 플러그 접속구(15a)에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으로 미끄러짐 움직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판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광 접속구(11)에 조영재의 표면측으로부터 플러그를 접속할 때에는, 광 케이블의 플러그에서 한 쌍의 개폐 도어(17, 17)를 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 하여 가압함으로써, 개폐 도어(17, 17)를 밀어서 열고, 또한 플러그를 광 접속구(11)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플러그의 페룰이 슬리브(16)에 끼워 맞추어져, 이에 따라 광 케이블의 플러그가 광 접속구(11)에 접속되게 된다. 한편, 광 케이블을 광 접속구(11)로부터 뽑을 때에는, 한 쌍의 개폐 도어(17, 17)가 판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플러그 접속구(15a)를 폐색하게 된다.
콘센트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2개 모듈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뒤면이 개구한 상자 형상으로서, 그 앞면의 중앙부에는, 콘센트 본체(10)를 부착 프레임(4)에 부착되었을 때에, 부착 프레임(4)의 개구창(4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팽출부(1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18)의 하부에는, 도 3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 방향이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되는 아래 방향 경사면(1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아래 방향 경사면(18a)의 중앙부에는, 광 접속구(11)의 플러그 접속구(15a)에 연통하는 삽입구(18b)가 관설되어 있다. 또한 팽출부(18)의 이면측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5)의 앞면측과 접촉하여, 광 접속구(11)를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리브(19)가 일체적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10)의 좌우 양측면에는, 부착 프레임(4)의 한 쌍의 부착 구멍(42)과 각각 요철 끼워 맞추는 2개로 1조의 부착 클로우(10a)가 2조씩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10)의 상측면에는, 광 케이블(5)의 파지부(52)가 삽입되는 리세스부(10b)가 형성되어 있고, 콘센트 본체(10)의 내면에 있어서의 리세스부(10b)의 근방에는, 광 케이블(5)의 파지부(52)가 끼워 넣어져, 파지부(52)를 고정하는 고정용 리브(10c)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10)의 하측부에서의 좌우 내측면에는, 계지 구멍(10d)를 갖는 계지용 리브(10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센트 본체(10)에 광 접속구(11)를 수납할 때에는, 광 접속구(11)를 콘센트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해서, 뒤커버(12)가 이용된다. 뒤커버(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져,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평판부(20)와, 평판부(20)의 앞면측에 돌출 마련되어, 콘센트 본체(10)의 위치 결정 용리브(19)와의 사이에서 광 접속구(11)의 하우징(15)을 협지하는 맞닿음부(21)와, 평판부(2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권취 부재(13)를 지지하는 각통 형상의 지지대부(22)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평판부(20)의 뒷면측에서의 좌우 방향 양측부에는, 콘센트 본체(10)의 계지 구멍(10d)에 끼워 맞추어지는 계지부(2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21)에는, 하우징(15)의 플랜지부(15c)와 걸어 맞추는 단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20)의 앞면측의 좌우 방향 양단측에는, 광 접속구(11)의 플랜지부(15c)와 맞닿음으로써, 콘센트 본체(10) 내에서의 삽입구(18b)의 주연부와의 사이에서 광 접속구(11)를 협지하고, 광 접속구(11)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동 방지용 리브(20b, 20b)가 각각 일체적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이동 방지용 리브(20b, 20b)는, 좌우 방향에서 광 접속구(11)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광 접속구(1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지지대부(22)의 좌우 양측편의 후부에는, 후단측에 개방된 리세스를 형성 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하게 되는 탄성 계지편(22a)을 마련하고 있고, 각 탄성 계지편(22a)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계지조(22b)를 돌출 마련하고 있다.
권취 부재(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본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서 하측부의 좌우의 각부를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한 기판부(23)와, 기판부(23)의 외주연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측벽부(24)와, 상측의 측벽부(24)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측으로 돌출하는 단면 반원형의 가이드 벽(25, 25)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가이드 벽(25, 25)은 기판부(23)보다도 앞측으로 내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양 가이드 벽(25, 25)의 앞측 가장자리의 내측부으로부터는, 가이드 벽(25)과 동일한 곡률 반경의 케이블 누름편(25a, 25a)(케이블 누름부)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블 누름편(25a, 25a)은, 권취 부재(13)에 있어서 권취 몸통부(측벽부(24)와 가이드 벽(25)의 일부로 이루어짐)의 권부면보다도 내측에 마련되고, 케이블 누름편(25a, 25a)으로부터 상기 권부면에 걸쳐서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벽(25, 25)을 케이블 누름편(25a, 25a) 에 대하여 양측에 마련하고 있다. 또한 권취 부재(13)에 있어서, 광 케이블(5)이 둘러 감기는 곡면 부분(측벽부(24)의 곡면 부분 및 가이드 벽(25))의 곡률 반경은, 광 케이블(5)의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2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좌우의 측벽부(24)와 병행하여 배치되는 각 한 쌍의 단책형의 케이블 유지편(26)이 연결부(26a)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23)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측벽부(24)의 하측부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단책형의 케이블 유지편(28)이 연결부(28a)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고, 케이블 유지편(26, 28)과 측벽부(24) 사이의 간극은 광 케이블(5)의 케이블부(53)가 삽입 가능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26a)의 선단측으로부터는 단책형의 가 유지편(27)(가 유지 수단)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23)의 하측부에는, 전술한 뒤커버(12)의 한 쌍의 탄성 계지편(22a)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계지 구멍(23a)을 관설하고 있다.
광 콘센트(2)는 상기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접속구(11)를, 한쪽의 플러그 접속구(15a)를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삽입구(18b)로부터 콘센트 본체(10) 밖으로 면하게 한 상태에서, 콘센트 본체(10)의 내부에 수납한다. 이때, 콘센트 본체(10)의 내측면에 마련한 위치 결정용 리브(19)가, 광 접속구(11)의 하우징(15)의 앞면측에 맞닿는다. 그 후, 뒤커버(12)를 콘센트 본체(10)의 배면측으로부터 콘센트 본체(10)에 접근시켜, 뒤커버(12)의 계지부(20a)를 콘센트 본체(10)의 계지 구멍(10d)에 끼워 맞춤으로써, 뒤커버(12)가 콘센트 본체(10)에 부착된다. 이때, 광 접속구(11)의 하우징(15)은, 콘센트 본체(10)의 위치 결정용 리브(19)와, 뒤커버(12)의 맞닿음부(21)에 의해 끼워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15)이 전후 방향에서 위치 결정되고, 하우징(15)이 콘센트 본체(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뒤커버(12)의 이동 방지용 리브(20b, 20b)가 광 접속구(11)의 플랜지 부(15c)에 맞닿음으로써, 콘센트 본체(10)의 하향 경사면(18a)에서의 삽입구(18b)의 주연부와의 사이에서 광 접속구(11)가 협지되어, 광 접속구(11)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고, 또한 이동 방지용 리브(20b, 20b)가, 하우징(15)의 좌우의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하우징(15)이 좌우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광 접속구(11)에 광 케이블(5)을 접속할 때에, 광 접속구(11)가 흔들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광 케이블(5)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뒤커버(12)의 배면측에는 권취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즉, 뒤커버(12)의 배면측으로부터, 가 유지편(27)을 전측으로 하여 권취 부재(13)를 뒤커버(12)에 접근시켜, 뒤커버(12)의 지지대부(22)에 마련한 탄성 계지편(22a, 22a)을 권취 부재(13)의 기판부(23)에 마련한 계지 구멍(23a, 23a) 내에 각각 삽입시키고, 탄성 계지편(22a)의 선단부의 계지조(22b)를 계지 구멍(23a)의 배면측의 구멍 가장자리에 대하여 계지시킴으로써, 권취 부재(13)를 뒤커버(12)에 부착한다. 이때, 지지대부(22)의 하측면(22c) 및 상측면이 각각 기판부(23)의 앞면측에 마련한 리브(23b, 23b)와 걸어 맞춤과 동시에, 지지대부(22)의 상측면에 마련한 리세스홈(22d)이 기판부(23)의 앞면에 마련한 리브(23c)와 계합함으로써, 권취 부재(13)가 뒤커버(12)에 대하여 덜컹거림 없이 부착된다. 또한, 권취 부재(13)는 뒤커버(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계지 구멍(23a)을 통해서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탄성 계지편(22a)의 선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 계지편(22a)을 서로 가까이하는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탄성 계지편(22a)의 계지조(22b)와 계지 구멍(23a)의 계지 상태를 해제하여, 권취 부재(13)를 뒤커버(12)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광 콘센트(2)와 모듈러 콘센트(3)를 부착 프레임(4)에 부착함으로써 배선 장치(1)가 구성되어 있고, 광 콘센트(2) 및 모듈러 콘센트(3)는 부착 프레임(4)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하여 부착된다. 즉 모듈러 콘센트(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30)의 좌우 양측부에 마련한 각 한 쌍의 부착 클로우(32)를, 부착 프레임(4)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각 한 쌍의 부착 구멍(42)에 각각 요철 끼어 맞추게 함으로써, 앞면의 보스부(33)를, 부착 프레임(4)의 개구창(4a)으로부터 전방으로 도출시킨 상태(바꿔 말하면 보스부(33)를 개구창(4a)으로부터 앞면에 노출시킴)에서 부착 프레임(4)에 부착된다. 그리고, 부착 프레임(4)의 개구창(4a)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공간을 이용하여 광 콘센트(2)가, 콘센트 본체(10)의 좌우 양측부에 2조씩 마련한 부착 클로우(10a)를, 부착 프레임(4)의 나머지의 4조의 부착 구멍(42)에 각각 요철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팽출부(18)를 부착 프레임(4)의 개구창(4a)으로부터 전방으로 둘출시킨 상태(바꿔 말하면 팽출부(18)를 개구창(4a)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부착 프레임(4)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배선 장치(1)가 얻어지고, 이 배선 장치(1)의 조영재(70)에 매립 배설은, 아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우선, 예를 들면 벽재와 같은 조영재(70)에 적당한 크기의 매립용 구멍(71)을 형성한 후, 조영재(70)의 배면측에 매립용 구멍(71)에 면하게 하여 매립 박스(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한다. 다음으로 매립 박스에 형성된 녹 아웃(knock-out) 구멍을 통해서, 조영재(70)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전화선(도시하지 않음)을 매립 박스 내에 도입하 고, 또한 이 전화선을 매립용 구멍(71)으로부터 조영재(70)의 표면측에 인출한 후, 모듈러 콘센트(3)의 기체(30)의 배면에 마련한 전선 삽통 구멍에 삽입하여, 기체(30)의 내부에 수납된 속결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또한 매립 박스에 형성된 녹 아웃 구멍을 통해서, 조영재(70)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광 케이블(5)을 매립 박스 내에 도입하고, 또한 이 광 케이블(5)을 매립용 구멍(71)으로부터 조영재(70)의 표면측으로 인출하여, 광 케이블(5)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50)를 광 접속구(11)의 플러그 접속구(15b)에 접속한다. 여기에서, 광 케이블(5)의 플러그(50)를 광 접속구(11)에 부착할 때에는 권취 부재(13)를 미리 떼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광 접속구(11)의 플러그 접속구(15b)에는, 보관시나 운반시 등 시공전의 시점에서 하우징(15) 내부에 진애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커버(14)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방진 커버(14)를 떼어낸 후에, 플러그 접속구(15b)에 광 케이블(5)의 플러그(50)를 접속하고, 그 후 뒤커버(12)의 지지대부(22)에 권취 부재(13)를 고정한다. 이때, 플러그 접속구(15b)에 접속된 광 케이블(5)은, 그 파지부(52)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10)의 리세스부(10b) 및 고정용 리브(10c)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파지부(52)의 후방에 가이드 벽(25, 25)이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광 케이블(5)의 뽑힘 방지가 도모된다.
여기에서, 광 콘센트(2) 및 모듈러 콘센트(3)를 부착한 부착 프레임(4)를 조영재(70)에 고정하기 전에, 광 케이블(5)의 잔여 길이 처리를 행한다. 즉, 플러그(50)로부터 연장하는 케이블부(53)의 근본(케이블부(53)에 있어서의 플러그(50)와의 연결 부위)을 케이블 누름편(25a, 25a)의 사이의 간극(25b)에 도입하여, 케이 블부(53)의 근본을 케이블 누름편(25a, 25a)의 사이에서 협지시킴으로써, 케이블부(53)를 고정한다. 그 후, 케이블 누름편(25a, 25a)의 사이의 간극(25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케이블부(53)를 어느 하나의 가이드 벽(25)의 외주면을 따라서 측벽부(24)까지 인도하여, 측벽부(24)의 외주면을 따라서 케이블부(53)를 1회 둘러 감는다. 이때, 케이블부(53)가 케이블 유지편(26, 28)과 측벽부(24) 사이에 삽입되어, 케이블부(53)의 뽑힘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 부재(13)의 상부에서 케이블부(53)를 크로스시켜서, 케이블부(53)를 가 유지편(27)의 내측으로 통과하여, 케이블부(53)의 잔여 길이 부분을 권취 부재(13)에 복수 회 권회함으로써, 케이블부(53)의 잔여 길이 처리를 행하는 용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5)의 잔여 길이 처리를 행한 후에는, 부착 프레임(4)의 박스용 구멍(41a, 41a)에 각각 삽통시킨 박스 나사를 매립 박스의 나사 구멍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배선 장치(1)가 조영재(70)에 매립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부착 프레임(4)의 앞면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이 플레이트의 창 구멍으로부터 광 콘센트(2) 및 모듈러 콘센트(3)의 앞면이 노출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광 콘센트(2)로서는, 광 접속구(11)의 플러그 접속구(15b)에 접속된 플러그와, 권취 부재(13)의 측벽부(24)와의 사이에서 광 케이블(5)의 외피(케이블부(53))를 협지하는 케이블 누름편(25a, 25a)을 마련하고 있고, 케이블부(53)의 근본을 케이블 누름편(25a, 25a)으로 고정하고 있 기 때문에, 케이블부(53)와 플러그(50)의 연결 부위에 외력이 가해져, 광 케이블(5)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누름편(25a, 25a)은, 권취 부재(13)에 있어서 권취 몸통부(측벽부(24)와 가이드 벽(25)의 일부로 이루어짐)의 권부면보다도 내측에 마련되고, 케이블 누름편(25a, 25a)으로부터 권부면에 걸쳐서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벽(25, 25)이 케이블 누름편(25a, 25a)에 대하여 어느 권부 방향으로도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누름편(25a, 25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케이블부(53)를 가이드 벽(25)의 표면을 따라서 구부려, 측벽부(24)까지 안내할 수 있어, 케이블부(53)의 잔여 길이 부분을 측벽부(24)에 둘러 감을 때에 케이블부(53)를 비트는 등의 힘이 케이블부(53)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부(53)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광의 전송 손실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벽(25)의 표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부(53)의 권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표시 라인(25c)(표시 수단)이, 금형 각인이나 인쇄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위치 표시 라인(25c)을 따라서 케이블부(53)를 둘러 감음으로써 케이블부(53)의 권부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부재(13)에 둘러 감긴 케이블부(53) 중, 측벽부(54)에 둘러 감긴 부위는 케이블 유지편(26, 28)과 측벽부(54) 사이에 유지되기 때문에 케이블부(53)가 권취 몸통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부재(13)에 2주째 이후에 권회된 케이블부(53)의 부위는, 가 유지편(27, 27)의 내측으로 통과됨으로써, 케이블부(53)가 확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콘센트(2)를 매립 박스 내 부에 수납시킬 때에, 케이블부(53)의 잔여 길이 부분에 흩어져, 수납 작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광범하게 서로 다른 실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광 콘센트를 이용한 배선 장치를 전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한 배선 장치를 후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한 배선 장치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하면도,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한 배선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한 배선 장치를 도시하고, 도 3의 (a)의 A-A 단면도,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한 배선 장치를 도시하고, (a)는 후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b)는 전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한 배선 장치의 상면도,
도 8은 종래의 광 콘센트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B-B 단면도, (c)는 배면도, (d)는 상면도,
도 9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의 광 콘센트를 도시하고, (a)는 후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b)는 전방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선 장치 2 : 광콘센트
3 : 모듈러 콘센트 4 : 부착 프레임
10 : 콘센트 본체 11 : 광 접속구
12 : 뒤 커버 13 : 권취 부재
14 : 방진 커버 15a : 제1 플러그 접속구
15b : 제2 플러그 접속구 24 : 측벽부(권취 몸통부)
25 : 가이드 벽 25a : 케이블 누름편(케이블 누름부)
26 : 케이블 유지편(케이블 유지부)

Claims (4)

  1. 조영재에 마련한 매립 구멍에 매립 배설되는 콘센트 본체와, 콘센트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조영재의 표면측에 개구하여 조영재의 표면측으로부터 광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제1 플러그 접속구 및 조영재의 이면측에 선행 배선된 다른 광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한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제2 플러그 접속구를 가지며, 양 플러그 접속구에 삽입 접속된 플러그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접속시키는 광 접속구와, 광 접속구에 대하여 배면측에 배치되고, 제2 플러그 접속구에 접속되는 광 케이블의 잔여 길이 만큼이 허용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둘러 감기는 권취 몸통부 및 그 권취 몸통부에 둘러 감긴 광 케이블의 외피를 권취 몸통부의 권부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갖는 권취 부재를 구비하고,
    권취 부재에, 제2 플러그 접속구에 접속된 플러그와 권취 몸통부 사이에서 광 케이블의 외피를 협지하는 케이블 누름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누름부가, 상기 권취 부재에 있어서 상기 권취 몸통부의 권부면보다도 내측에 마련되고, 케이블 누름부로부터 권부면에 걸쳐서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케이블 누름부에 대하여 양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광 콘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부재에, 광 케이블이 둘러 감기는 위치를 따라서 광 케이블의 권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콘센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부재에는 광 케이블이 복수 회 둘러 감겨져 있고, 광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유지부에 유지된 부위보다도 뒤쪽의 권부 부위를 가 유지(假保持)하는 가 유지 수단을 권취 부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콘센트.
KR1020070107114A 2006-10-25 2007-10-24 광 콘센트 KR20080037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0352 2006-10-25
JP2006290352A JP4305490B2 (ja) 2006-10-25 2006-10-25 光コンセ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544A true KR20080037544A (ko) 2008-04-30

Family

ID=3944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114A KR20080037544A (ko) 2006-10-25 2007-10-24 광 콘센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05490B2 (ko)
KR (1) KR20080037544A (ko)
TW (1) TWI3534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491A (ja) * 2010-07-29 2012-02-16 Sekisui Chem Co Ltd メディアコンバータ
JP6134934B2 (ja) * 2011-12-02 2017-05-3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光レセプタ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JP6455712B2 (ja) * 2015-02-03 2019-01-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セ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3462B (en) 2011-12-01
JP4305490B2 (ja) 2009-07-29
TW200831969A (en) 2008-08-01
JP2008107572A (ja)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2953A (ko) 광섬유용 배선기구
JP3731795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プラグの組み立て方法
JP5386411B2 (ja) 収納ケース、光モジュール及び光アダプタ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080037544A (ko) 광 콘센트
JP4381348B2 (ja) 光コンセント
JP2008170743A (ja) アウトレット及びその光配線方法
JP4980658B2 (ja) 光受信機
JP4886360B2 (ja) 光受信機
US7190873B2 (en) Wiring device for optical fiber
JP2005227330A (ja) 光コネクタ保持器
JP5178628B2 (ja) 光接続箱の配線保持構造
JP3963776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JP4889592B2 (ja) 光ケーブル機器筐体の光ケーブル収容部
JPH10133030A (ja) 光ケーブル接続用収納ケース
JP4777833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ケース取付構造
JP2001051153A (ja) 光コネクタ
JP4589842B2 (ja) 光ファイバ収納ケースの取付機構
JP2007057806A (ja) 光受信機の光ファイバ収容部におけるwdmフィルターホルダ
JP2000347070A (ja) 光モジュール
JP4112480B2 (ja) 光部品の固定構造、光ファイバ用トレイ、光部品用ホルダ
JP2007086737A (ja) 光受信機
JP4293551B2 (ja) 光コンセント
JP2006301099A (ja) 光端末装置の光ファイバ接続構造
JP5584544B2 (ja) 取付枠並びにそれを用いた枠部材及び光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