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28Y1 -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528Y1
KR200332528Y1 KR20-2003-0024199U KR20030024199U KR200332528Y1 KR 200332528 Y1 KR200332528 Y1 KR 200332528Y1 KR 20030024199 U KR20030024199 U KR 20030024199U KR 200332528 Y1 KR200332528 Y1 KR 200332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optical cable
slot
jacket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20-2003-0024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 몸체에 규격화된 슬롯 패널을 교체함으로써 상기 트레이를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연결 혹은 분지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광섬유 재킷의 접속부인 어뎁터부가 고정되도록 트레이가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몸체(51)에는 소정 크기의 슬롯(56,56a)을 갖는 슬롯 패널(55,55a)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슬롯 패널(55,55a)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tray of optical cable terminal box}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광케이블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제작될 때 그 길이가 통상 일정한 길이(약 2km)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그 설치 길이에 따라 중간 중간을 연결해야 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연결한다. 또한, 광케이블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광케이블을 분지(分枝)할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분지한다.
한편, 광케이블 설치업자는 향후 일정 기간 동안에 소정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수요가 증대될 것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광케이블 매설량과 이에 대응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 등 제반시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2는 단자함 내부 구조와 단심형 광섬유 재킷이 설치되는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단자함 내부 구조와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 설치되는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복심형 광섬유 재킷을 갖는 광케이블을 고정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작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외관을 형성하는 단자함(1)과, 상기 단자함의 인입구(12)에 설치되어 인입된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5)와, 상기 단자함의 테두리와 인입구(12)에 설치되는 씰링부재(16,17)와, 상기 단자함(1)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트레이(3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1)은 내부에 광섬유 재킷(23)를 수용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미도시)와, 상기 본체(11)와 커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3)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자함(1)은 지하 매설시 일정한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함(1)은 광케이블(20)을 연결하는개수에 따라 인입구(12)와 내부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고정장치(15)는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고정하도록 본체(11)의 각 인입구(12)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장치(15)는 광케이블(20)에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광케이블(20)이 단자함에서 빠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씰링부재(16,17)는 본체의 테두리와 각 인입구(12)에 설치되어, 습기나 물이 단자함(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씰링부재(16,17)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단자함(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형 트레이(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하나로 단일화 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개가 적층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레이(30)에는 후단부에 힌지부(31)를 형성하여 상기 각 트레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에는 광섬유 재킷(23)이 접속된 후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기 광섬유 재킷(23)은 내부에 한 가닥의 광섬유가 수용된 단심형 광섬유 재킷(이하, "단심형 재킷"이라 함)과, 재킷 내부에 여러 가닥의 광섬유가 수용되는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하, "복심형 재킷"이라 함)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자함 내에 설치되는 트레이의 종류도 변경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단심형 재킷이 고정되는 단심형 트레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심형 트레이(30)에는 단심형 재킷(23)이 인입되도록 인입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단심형 재킷를 안정되게 원형으로 감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소정 부분에는 다수개의 리브 사이에 직선홈 형상의 슬롯(33)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 리브의 상단부에는 고정용 후크(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롯들은 두 개의 대응되는 그룹을 이루고, 상기 두 슬룻 그룹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광섬유 접속공법에 의해 두개의 단심형 재킷(23)의 끝단부를 접속시킨 다음, 접속된 어뎁터를 보호튜브에 끼운 상태(이하, "어뎁터부"라 함)로 하나의 슬롯에 끼운다. 이때,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된 후크(34)는 어뎁터부(25)의 양측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복심형 재킷이 고정되는 복심형 트레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심형 트레이(30)의 양측에는 인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복심형 재킷(23)을 안정되게 감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소정 부분에는 다수개의 리브 사이에 직선홈 형상의 슬롯(33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복심형 재킷의 어뎁터부(25a)는 수용된 광섬유의 가닥수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복심형 트레이의 슬롯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가장 큰 어뎁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리브의 상단부에는 고정용 후크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심형 트레이(30)에는 두개의 슬롯 그룹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두 슬롯 그룹 사이에는 삽입부(36a)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된 어뎁터부(25a)를 해당 슬롯에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삽입부(36a)에 고정판(34)을 체결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광케이블(20)의 중심부에는 강선(21)이 설치되고, 상기 강선을 둘러싸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복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내피복체의 각 수용홈에는 광섬유 재킷(23)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피복체를 감싸도록 외피복체(24)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 재킷(23)은 내부에 여러 가닥의 광섬유가 수용된 복심형 재킷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을 단자함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케이블(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광케이블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부분 끝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외피복체(24)를 절단하여야 한다.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내피복체에는 소정 길이의 커버편(41)을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내피복체에 커버편(41)이 설치되면, 상기 외부로 노출된 내피복체 부분을 절연테이프(43)로 수회에 걸쳐 감는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 재킷(23)를 소정 길이의 보호튜브(44)에 끼워 인출한 다음, 상기 보호튜브(44)의 끝단부를 커버편(41)에 삽입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단자함(1)의 인입구(12)에 끼운 다음 도 3과 같이 고정장치(15)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과 접속시킬 광케이블 역시 상기와 같은 제작과정을 수행한 후 단자함의 인입구(12)에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보호튜브(44)에 끼워진 광섬유 재킷 그룹을 단자함(1) 내부에 감고, 이렇게 광섬유 재킷 그룹이 끼워진 보호튜브(44)를 트레이(30)의 인입홈(32)에 끼움으로써, 상기 트레이에 광섬유 재킷(23)를 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광섬유 재킷 그룹은 커버편(41)으로부터 트레이(30)의 인입홈(32)까지 보호튜브(44)에 의해 끼워진다. 그러나, 상기 트레이의 인입홈(32) 이후의 광섬유 재킷(23)에는 보호튜브(44)를 끼우지 않는다.
이렇게 트레이(30)에 인입된 광섬유 재킷(23)를 도 2 및 도 3과 같이 트레이 내부에 감은 다음, 대응되는 광섬유 재킷(23)의 끝단부를 광섬유 접속공법에 의해 접속시킨다. 이렇게 접속된 어뎁터부에 보호튜브를 끼운 다음에 상기 트레이의 해당 슬롯에 어뎁터부를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단심형 재킷의 어뎁터부(25)는 일정한 직경을 갖기 때문에 상기 리브의 상단부에 형성된 후크에 끼우는 것만으로 고정된다.
이에 비해, 상기 복심형 재킷의 어뎁터부(25a)는 내부에 수용된 광섬유의 가닥수에 따라 직경이 변경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해당 슬롯(33a)에 일정한 크기의 복심형 재킷의 어텝터부(25a)를 삽입한 다음에 상기 삽입부(36a)에 고정판(34)을 끼움으로써, 상기 복심형 어뎁터부가 슬롯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섬유 재킷을 고정시킨 다음 투명커버(35)를 체결하고, 상기 단자함 커버를 닫은 후에 고정볼트(13)를 체결하여 광케이블의 접속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 광케이블 단자함의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광섬유 재킷를 광섬유 접속공법에 의해 접속시킬 경우, 상기 광섬유 재킷를 이루는 광섬유의 개수에 따라 어뎁터부의 직경이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단심형 재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단심형 트레이와, 복심형 재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심형 트레이가 별도로 제작되어야 한다.
둘째, 상기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종류의 트레이를 설치해야 하며, 트레이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 현장에서는 필요한 종류의 트레이를 모두 확보해야 하며, 작업시에도 트레이 전체를 설치 및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레이에 설치되는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
도 2는 단자함 내부 구조와 단심형 광섬유 재킷이 설치되는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단자함 내부 구조와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 설치되는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복심형 광섬유 재킷을 갖는 광케이블을 고정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작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 몸체와 단심형 광섬유 재킷이 접속되는 슬롯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 몸체와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 접속되는 슬롯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 설치되는 슬롯 패널을 상부에서 나타낸 상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트레이 51 : 트레이 몸체
52 : 힌지부 53 : 인입홈
54 : 체결홀 55 : 슬롯 패널
56 : 슬롯 57 : 고정용 후크
58 : 체결용 후크 61 : 투명커버
55a : 슬롯 패널 56a : 슬롯
59a : 삽입부 60a : 고정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광케이블을 연결 혹은 분지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광섬유 재킷의 접속부인 어뎁터부가 고정되도록 트레이가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몸체에는 소정 크기의 슬롯을 갖는 슬롯 패널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슬롯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하여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에 관해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 몸체와 단심형 광섬유 재킷이 접속되는 슬롯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 몸체와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 접속되는 슬롯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 설치되는 슬롯 패널을 상부에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트레이(50)는 크게 트레이 몸체(51), 슬롯 패널(55,55a) 및 투명커버(61)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 몸체(51)는 후단부에 힌지부(51)가 형성되어 단자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측에 광섬유 재킷(23)이 인입되도록 인입홈(53)이 형성되며, 소정 부분에 광섬유 재킷을 감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트레이의 몸체(51)에는 소정 크기의 슬롯(56,56a)을 갖는 슬롯 패널(55,55a)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슬롯 패널(55,55a)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 몸체(51)에는 소정 개수의 체결홀(54)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 패널(51)의 하면에는 각 체결홀(54)에 삽입되도록 체결용 후크(55)가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슬롯 패널(55)의 하면 양측에는 소정 개수씩의 체결용후크(58)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몸체(51)에는 슬롯 패널(55,55a)의 각 체결용 후크(58)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체결홀(5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슬롯 패널에는 다양한 형상의 체결용 후크를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용 후크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체결홀 역시 대응되는 형상과 위치로 변경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슬롯 패널의 슬롯에는 광섬유 재킷의 어뎁터부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광섬유 재킷(23)은 내부에 한 가닥의 광섬유가 수용된 단심형 광섬유 재킷(이하, "단심형 재킷"이라 함)과, 재킷 내부에 여러 가닥의 광섬유가 수용되는 복심형 광섬유 재킷(이하, "복심형 재킷"이라 함)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트레이 몸체에 소정 규격의 슬롯 패널을 각각 체결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몸체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슬롯 패널에 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단심형 재킷이 고정되는 단심형 슬롯 패널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심형 슬롯 패널(55)의 상면 양측에는 슬롯 그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슬롯 패널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각 슬롯 그룹에는 다수개의 리브 사이에 직선홈 형상의 슬롯(56)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두 슬롯 그룹의 슬롯(56)들은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각 리브의 상단부에는 고정용 후크(5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심형 슬롯 패널의 슬롯은 단심형 재킷의 어뎁터부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폭(W1)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섬유 접속공법에 의해 두개의 단심형 재킷(23)의 끝단부를 접속시킨 다음, 접속된 어뎁터를 보호튜브에 끼운 상태(이하, "어뎁터부"라 함)로 하나의 슬롯에 끼운다. 이때,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된 후크(56)는 어뎁터부의 양측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복심형 재킷이 고정되는 복심형 슬롯 패널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55a)의 상면 양측에는 슬롯 그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슬롯 패널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각 슬롯 그룹에는 다수개의 리브 사이에 직선홈 형상의 슬롯(56a)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 슬롯 그룹의 슬롯들은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두 슬롯 그룹 사이의 공간부에는 소정 개수의 삽입부(59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고정판(60a)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55a)의 양측에는 소정 개수씩의 체결용 후크(58)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의 체결용 후크(58)들은 단심형 슬롯 패널의 체결용 후크들(58)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몸체(51)에 단심형 또는 복심형 슬롯 패널(55,55a)을 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몸체(51)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55a)에는 단심형 슬롯 패널(55)과는 달리 상기 각 리브의 상단부에 고정용 후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심형 슬롯 패널(55a)에 있어서, 상기 슬롯(56a)들은 소정 범위 내에서 최대 크기의 어뎁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폭(W2)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심형 재킷에 수용된 광섬유의 가닥수에 따라 어뎁터부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심형 재킷의 어뎁터부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삽입부(59a)에 고정판(60a)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어뎁터부의 크기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어뎁터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론,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의 슬롯들의 폭(W2)은 단심형 슬롯 패널의 슬롯들의 폭(W1)에 비해 보다 크게 형성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55a)은 도 7과 같이 슬롯 폭(D)을 일정한 단위의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55a)의 종류를 보다 세분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6가닥 범위의 광섬유와 7-12가닥 범위의 광섬유가 수용된 복심형 재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심형 슬롯 패널을 단위별로 규격화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복심형 슬롯 패널을 광섬유 개수의 범위에 따라 보다 세분화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에 소정 크기의 슬롯이 규격화된 슬롯 패널을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슬롯 패널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트레이를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광케이블의 용량이나 광케이블에 맞게 트레이의 형상이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기 트레이 몸체에 형성된 후크홀을 슬롯 패널과 동일한 위치에만 형성한다면 슬롯 패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의 설계 변경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트레이의 설계 변경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광케이블 설치현장에서도 규격화된 몇 종류의 단위 슬롯 패널만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광케이블을 연결 혹은 분지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광섬유 재킷의 접속부인 어뎁터부가 고정되도록 트레이가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몸체에는 소정 크기의 슬롯을 갖는 슬롯 패널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슬롯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에는 소정 개수의 후크홀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 패널의 하면에는 각 후크홀에 삽입되도록 후크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 패널을 광섬유 재킷의 종류에 따라 규격화하고, 상기 슬롯 패널의 하면에는 트레이 몸체의 후크홀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후크를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KR20-2003-0024199U 2003-07-26 2003-07-26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KR200332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199U KR200332528Y1 (ko) 2003-07-26 2003-07-26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199U KR200332528Y1 (ko) 2003-07-26 2003-07-26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528Y1 true KR200332528Y1 (ko) 2003-11-07

Family

ID=4941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199U KR200332528Y1 (ko) 2003-07-26 2003-07-26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5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29B1 (ko) 2007-11-07 2010-02-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KR100964278B1 (ko) 2007-11-07 2010-06-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29B1 (ko) 2007-11-07 2010-02-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KR100964278B1 (ko) 2007-11-07 2010-06-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367B1 (ko) 광섬유접속장치
CA2750171C (en) A system for an internal rotating storage spool combined with top and bottom cable access in a fiber distribution terminal
US9513451B2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US7120347B2 (en) Multi-port optical connection terminal
US8903215B2 (en) Enclosure-less fiber optic terminals
CN100592122C (zh) 用于通信线路和接头的护套
US8208779B2 (en) Optical box and method of connecting optical fibres
KR101406662B1 (ko) 아우트렛 장치
JP2008502946A (ja) 一体型ケーブル処理シール特徴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クロージャ
JP2010527463A (ja)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EP3631548A1 (en) Mechanical cable entry port
CN102792204A (zh) 具有可取出的光纤管理托盘的终端箱
US20130209052A1 (en) Adapter Retaining Systems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US20120301084A1 (en) Cable assemblies having lab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033252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JPH09236709A (ja) 光分岐モジュール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JP3866645B2 (ja) アウトレット
US20110116756A1 (en) Optical component organiser
US20230261451A1 (en) Management device for hybrid cable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JP4104513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EP2783247B1 (en) Enclosure-less fiber optic terminals
KR200329335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