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98Y1 -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98Y1
KR200380998Y1 KR20-2005-0002237U KR20050002237U KR200380998Y1 KR 200380998 Y1 KR200380998 Y1 KR 200380998Y1 KR 20050002237 U KR20050002237 U KR 20050002237U KR 200380998 Y1 KR200380998 Y1 KR 200380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cable
tray
slo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20-2005-0002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9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comprising arrays of active devices and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단자함에 배치되어 광섬유가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트레이 몸체(110)에 배치되고, 광섬유 접속부(115)가 끼워지도록 직선홈 형상의 슬롯(121)이 다수개 형성된 슬롯 패널(120)과,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부를 개폐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에 끼워진 광섬유 접속부들이 슬롯(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structure fixing optical cable adapter in trays of optical cable terminal}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근래에 들어서면서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광케이블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제작될 때 그 길이가 통상 일정한 길이(약 2km)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중간 중간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에서 필요한 만큼의 광케이블을 분지(分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케이블 설치업자는 향후 일정한 기간 동안에 소정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수요가 증대될 것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광케이블 매설량과 기타의 광케이블 접속단자 등의 제반시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트레이를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광케이블(60)의 끝단부를 연결하거나 광케이블의 소정 부분을 다른 방향으로 분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내부에 광케이블이 감기도록 요입부를 갖는 단자함(10)과, 상기 단자함의 양측에 설치되어 인입된 광케이블(6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광케이블 고정장치(20)와, 상기 단자함의 요입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트레이(40)와, 상기 단자함의 상단을 덮도록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50)는 고정볼트(51)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과 커버의 틈새는 상기 단자함의 테두리 상단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 씰링부재(12)에 의해 긴밀하게 밀봉된다. 상기 단자함(10)은 지하 매설시 일정한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단자함은 용량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광케이블 인입구(11)와 내부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20)는 광케이블(60)의 끝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자함의 인입구(11)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20)는 광케이블(40)에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광케이블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에는 밀봉부재(13)가 설치된다. 이러한 밀봉부재는 플랙시블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는 인입구를 밀봉함과 아울러 광케이블과 밀봉부재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봉한다.
상기 씰링부재(12)는 습기나 물이 단자함(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단자함(10)의 요입부에 설치된 각 트레이는 적층된 상태로서 가장 하층의 트레이는 단??에 직접 힌지결합되고, 너머지 트레이는 바로 아래층에 있는 다른 트레이에 힌지결합되는데, 이하 트레이의 결합 구조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에는 광섬유 클러스터를 유선형으로 감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선형으로 감긴 광섬유 클러스터 또는 광섬유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의 소정 부분에는 직선홈 형상의 다수의 슬롯(31)들을 갖는 슬롯 패널(30)이 배치된다. 상기 슬롯 패널(30)의 각 슬롯(31)에는 광섬유 접속부(65)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광섬유 접속부는 접속된 부분이 튜브에 끼워져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각 슬롯(31)을 형성하는 각 리브의 상단에는 후크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각 후크부(33)에는 고정부재(32)가 개별적으로 끼워진다.
상술한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20)에 외피가 벗겨진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고정시킨다. 단자함(10)에 인입된 광섬유 클러스터(62)는 단자함 내부에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긴 다음에 상기 트레이의 인입홈(11)으로 인입되고, 이 광섬유 클러스터(62)의 광섬유들은 상기 트레이에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긴 다음에 광섬유 접속공법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각 광섬유 접속부(65)는 해당 슬롯에 끼워지고, 상기 각 슬롯(31)의 상측에는 고정부재(32)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상기 각 광섬유 접속부(65)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트레이는 각 슬롯에 고정부재를 개별적으로 끼워서 각각의 광섬유 접속부를 고정시키고, 또한, 각각의 고정부재를 슬롯들로부터 개별적으로 빼낸 후 광섬유 접속부를 빼내야 한다. 따라서, 광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복잡해지고 설치 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슬롯들에는 고정부재가 개별적으로 끼워지므로, 상기 광섬유 접속부들 중 불안정하게 고정되는 광섬유 접속부가 발생될 수 있는 개연성이 현저히 증가되고,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광케이블의 설치 작업을 단순하게 하고 설치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 접속부들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고정 상태를 가시적으로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형태에 따르면, 단자함에 배치되어 광섬유가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트레이 몸체에 배치되고, 광섬유 접속부가 끼워지도록 직선홈 형상의 슬롯이 다수개 형성된 슬롯 패널; 그리고,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부를 개폐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에 끼워진 광섬유 접속부들이 슬롯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의 일면인 슬롯 패널측에는 쿠션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에는 슬롯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광케이블의 설치 작업을 단순하게 하고 설치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광섬유 접속부들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며, 고정 상태를 가시적으로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단자함에는 하나의 트레이(100)가 설치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트레이가 적층되게 설치된다. 트레이(100)는 단자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또한, 트레이(100)에는 광섬유들이 유선형으로 감길 수 있는 구조들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100)는, 단자함에 배치되어 광섬유가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트레이 몸체(110)에 배치되고, 광섬유 접속부(115 : 도 6 참조)가 끼워지도록 직선홈 형상의 슬롯(121)이 다수개 형성된 슬롯 패널(120)과,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부를 개폐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121)에 끼워진 광섬유 접속부(115)들이 슬롯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 몸체(110)의 양측에는 광케이블 클러스터(62)가 인입되도록 인입홈(1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111)은 트레이 몸체(110)에 인입되는 광케이블 클러스터(62)의 개수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 인입홈(111)에는 광케이블 클러스터(62)가 꽉 끼이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110)의 대략 중심부에는 슬롯 패널(120)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삽입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 패널(120)의 하면에는 삽입홀(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2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슬롯 패널(120)은 트레이 몸체(110)의 폭방향의 소정 영역에만 배치되거나 폭방향의 전 영역에 걸처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슬롯 패널(120)은 광섬유를 감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는 슬롯 패널(120)의 소정 영역 또는 전 영역을 덮을 수 있게 배치된다. 따라서, 광케이블 작업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에 의해 다수개의 슬롯(121)들을 한꺼번에 개폐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슬롯 패널(120)에 2개의 이탈방지용 커버가 설치되었으나, 하나의 슬롯 패널에 하나의 이탈방지용 커버를 설치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에는 손가락의 끝단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의 일측에는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용 리브(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는 연결부(134 : 도 6 참조)에 의해 상기 슬롯 패널(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134)는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보다 얇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슬롯 패널과 이탈방지용 커버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의 일면인 슬롯 패널(120) 측에는 쿠션부재(14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쿠션부재(140)는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닫았을 때에 상기 각 슬롯(121)의 상측을 폐쇄시킴과 아울러 각 광섬유 접속부(115)의 상단을 살짝 눌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40)는 광섬유 접속부(115)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광섬유 접속부(115)는 광섬유 접속 공법에 의해 접속된 부분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에는 슬롯 패널(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크부(123,133)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슬롯 패널(120)의 일측 테두리에는 후크홈(123)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에는 상기 후크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13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롯 패널에는 후크를,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에는 후크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후크부는 이탈방지용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인 후크와 후크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롯 패널(120)의 타측 테두리에 연결부(13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지만, 슬롯 패널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트레이에 광섬유를 고정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이 몸체(110)의 인입홈(111)에 광케이블 클러스터(62)를 인입시키고, 상기 광섬유 클러스터(62)의 광섬유를 트레이 몸체(110)에 적어도 1회 이상 유선형으로 감는다.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도 7과 같이 개방시킨다. 이때,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개방시키기만 하면 다수개의 슬롯(121)이 개방되게 된다. 이어, 소정의 광섬유에 튜브를 끼운 다음 광섬유 접속 공법으로 접속시킨 상기 광섬유 접속부(115)를 소정의 슬롯(121)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필요한 개수만큼의 광섬유 접속부(115)들을 해당 슬롯(121)들에 삽입시킨 후 도 5와 같이 이탈방지용 커버(130)를 닫으면 다수개의 슬롯(121)들이 한꺼번에 폐쇄되는데, 이때, 상기 쿠션부재(140)는 도 6과 같이 각 슬롯(121)에 해당되는 부분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 접속부(115)를 살짝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부재(140)에 의해 광섬유 접속부(115)가 안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에 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는 다수개의 슬롯들을 한꺼번에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광케이블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가 슬롯 패널에 정상적으로 닫혔는 지를 가시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도중에 트레이에 충격이 가더라도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가 열릴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광섬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트레이를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트레이를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트레이의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트레이 110 : 트레이 몸체
111 : 인입홈 120 : 슬롯 패널
121 : 슬롯 122 : 리브
123 : 후크홈 130 : 이탈방지용 커버
131 :
132 : 개폐용 리브 140 : 쿠션부재

Claims (3)

  1. 상기 단자함에 배치어 광섬유가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트레이 몸체에 배치되고, 광섬유 접속부가 끼워지도록 직선홈 형상의 슬롯이 다수개 형성된 슬롯 패널; 그리고,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부를 개폐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에 끼워진 광섬유 접속부들이 슬롯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의 일면인 슬롯 패널측에는 쿠션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커버에는 슬롯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KR20-2005-0002237U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KR200380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237U KR200380998Y1 (ko)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237U KR200380998Y1 (ko)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98Y1 true KR200380998Y1 (ko) 2005-04-08

Family

ID=4368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237U KR200380998Y1 (ko)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89Y1 (ko) * 2010-01-08 2011-10-26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KR20180107599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단자함
CN109239859A (zh) * 2018-10-30 2019-01-18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89Y1 (ko) * 2010-01-08 2011-10-26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KR20180107599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단자함
KR101953836B1 (ko) * 2017-03-22 2019-03-0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단자함
CN109239859A (zh) * 2018-10-30 2019-01-18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CN109239859B (zh) * 2018-10-30 2024-05-10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124A (en) Grommet for a fiber optic enclosure
EP1363375B1 (en) Wire harness protector
US9513451B2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EP1929347B1 (en) Enclosure for telecommunication lines and splices
US6540547B2 (en) Cable harness plug having a securing device for the cable harness
KR200380996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JP2012070610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2005151701A (ja) プロテクタ
KR20060107748A (ko) 벽 아웃렛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GB2312758A (en) Fiber optic management system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EP4325266A2 (en) Organizer assemblies for fiber optic closures
WO1997041474A1 (en) Grommet for a fiber optic enclosure
JP5178628B2 (ja) 光接続箱の配線保持構造
JP2008009091A (ja) 光受信機
JP3756703B2 (ja) 光コネクタ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33252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KR20033252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100384420B1 (ko) 저심선용 광케이블 접속함체
JPH1090525A (ja) 光ファイバの分岐接続装置
KR100767086B1 (ko)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ES2960323T3 (es) Elemento de sellado y caja de conexiones con dicho elemento de sell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