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27Y1 -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527Y1
KR200332527Y1 KR20-2003-0024070U KR20030024070U KR200332527Y1 KR 200332527 Y1 KR200332527 Y1 KR 200332527Y1 KR 20030024070 U KR20030024070 U KR 20030024070U KR 200332527 Y1 KR200332527 Y1 KR 200332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gasket
inlet
ed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20-2003-0024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65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입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광케이블 단자함의 인입구(52)에는 광케이블의 끝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광케이블(20)과 인입구(52)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인입구 가스켓(57)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의 본체(51) 테두리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5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인입구 가스켓(57)의 상부에는 본체(51)에 형성된 삽입홈(53)과 연속하여 홈을 이루도록 연결홈(57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3)과 연결홈(57b)에는 요홈(58a)이 형성된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5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본체(51)와 커버(55) 조립시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요홈(58a)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자함 커버(55)의 테두리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가압부(56)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seal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box}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광케이블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제작될 때 그 길이가 통상 일정한 길이(약 2km)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그 설치 길이에 따라 중간 중간을 연결해야 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연결한다. 또한, 광케이블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광케이블을 분지(分枝)할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한다.
한편, 광케이블 설치업자는 향후 일정한 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수요가 증대될 것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광케이블 매설량과 기타의 광케이블 접속단자 등의 제반시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의 접속단자에 관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광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속단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고, 도 3b는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장치를 보호하는 단자함(1)과, 상기 단자함의 양측에 설치되어 인입된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5)와, 상기 단자함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트레이(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함의 틈새와 인입구에는 씰링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1)은 지하 매설시 일정한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함은 내부에 여러 가지 장치가 설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13)와, 상기 본체와 커버를 조립하는 고정볼트(14)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는 광케이블(20)을 연결하는 개수에 따라 인입구(12)와 내부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고정장치(15)는 광케이블(20)의 끝단부를 고정하도록 인입구(12)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장치(15)는 광케이블(20)에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광케이블이 빠지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광케이블(20)에는 다수개의 적층된 광섬유 클러스터(미도시) 그룹이 광케이블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의 그룹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 광섬유 클러스터(미도시)는 소정 개수의 광섬유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섬유 클러스터는 단자함(1) 내부에 1회정도 감긴 후에 트레이(30)로 인입된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형 트레이(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하나가 설치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개가 적층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30)의 후단부에는 힌지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트레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30)에는 광섬유 클러스터를 감을 수 있음과 아울러 원형으로 감긴 광섬유 클러스터가 안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는 광섬유 클러스터가 인입되도록 인입홈(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소정 부분에는 직선홈 형상의 슬롯(33)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각 슬롯(33)에는 광섬유 클러스터가 접속된 부분인 어뎁터부(미도시)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함(1) 본체(11)에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고정장치(15)에 고정시키고, 상기 트레이(30)에 접속된 광섬유 클러스터의 어뎁터부를 트레이의 슬롯(33)에 고정시킨 다음에는, 상기 고정볼트(14)를 조여 단자함 본체(11)와커버(13)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단자함(1)에는 씰링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단자함이 지하에 매설될 때에 습기나 물기가 접속단자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씰링 구조는 상기 단자함 본체(11)와 커버(13) 사이의 틈새와 상기 광케이블(20)과 인입구(12)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씰링 구조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함의 본체(11)와 커버 양측에는 광케이블(2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인입구(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1) 본체(11)의 인입구(12) 내측에는 광케이블(20) 고정장치(15)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 본체(11)의 인입구(12) 외측에는 인입구 가스켓(41)이 설치된다. 이러한 인입구 가스켓은 합성수지, 고무재질 또는 씰리콘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인입구 가스켓(41)은 인입구(12)에 꽉 끼일 수 있도록 인입구(1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입구(12)와 인입구 가스켓(41)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인입구 가스켓은 인입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입구 가스켓(41)에는 광케이블(20)이 삽입되도록 원형홀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홀은 삽입될 광케이블(2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의 끝단부를 인입구 가스켓(41)에 끼워 넣으면, 상기 광케이블의 외주면과 인입구 가스켓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입구 가스켓(41)이 인입구(12)에 설치된 상태를 보면, 도 2와 같이 인입구 가스켓(41)의 일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자함 본체(11)의 테두리 상단에는 인입구(12)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에는 테두리 가스켓(42)이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 본체(11)와 커버(13)를 조립할 경우, 도 3a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커버(13)를 위치시킨 후에 상기 커버를 하방(화살표 방향)으로 조립한다. 이어, 상기 단자함 커버 양측에 형성된 고정볼트(14)를 조이면,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가 도 3b와 같이 테두리 가스켓(42)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단자함 본체(11)와 커버 사이의 틈새가 씰링된다.
그러나,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단자함 본체의 양측에는 인입구 가스켓이 거의 절반정도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 본체 테두리의 전후방측에는 도 2와 같이 긴 테두리 가스켓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 테두리의 양측에는 인입구 가스켓 사이사이에 짧은 테두리 가스켓을 삽입해야 한다. 결국,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끝단과 인입구 가스켓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씰링 성능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테두리 가스켓은 도 3a와 같이 삽입홈의 깊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므로, 상기 본체와 커버를 조립함에 따라 테두리 가스켓에 고정부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테두리 가스켓이 찌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와 커버의 틈새로 테두리 가스켓의 찌그러진 부분이 밀려나오므로, 상기 밀려나온 부분에 의해 본체와 커버 사이에는 도 6b와 같이 소정의 틈새(t)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씰링 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단자함 본체와 커버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키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광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
도 2는 도 1의 접속단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
도 3b는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씰링 구조가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a는 도 4의 씰링 구조에서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
도 6b는 도 4의 씰링 구조에서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된 이후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 단자함 15a : 고정장치
51 : 본체 52 : 인입구
53 : 삽입홈 54 : 피난홈
55 : 커버 56 : 가압부
57 : 인입구 가스켓 57a : 상면부
57b : 연결홈 58 : 테두리 가스켓
58a : 요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광케이블을 연결 혹은 분지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인입구에는 광케이블의 끝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광케이블과 인입구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인입구 가스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본체 테두리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인입구 가스켓의 상부에는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과 연속하여 홈을 이루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홈에는 요홈이 형성된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커버 조립시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자함 커버의 테두리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가압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삽입홈에는 상기 본체와 커버 조립시 상기 가압부에 의해 테두리 가스켓이 가압될 때에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찌그러져 밀린 소정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홈을 따라 피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설명함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에 관해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씰링 구조가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4의 씰링 구조에서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의 씰링 구조에서 단자함 본체의 테두리 가스켓에 커버가 조립된 이후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에는 인입구 가스켓(57)과 테두리 가스켓(58)이 설치되어 단자함(1a) 내부를 씰링한다.
즉, 상기 단자함 본체(51)의 양측에는 다수개씩의 인입구(5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각 인입구(52)에는 인입구 가스켓(57)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인입구의 틈새를 긴밀하게 씰링한다.
상기 인입구 가스켓(57)에는 광케이블(20)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구 가스켓(57)은 인입구(52)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접속단자의 테두리와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인입구 가스켓(57)의 상면부(57a)가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구 가스켓(57)은 인입구(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인입구(52)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 가스켓(57)의 홀은 광케이블(2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입구 가스켓(57)과 광케이블(20) 및 인입구(52)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인입구 가스켓(57)은 고무재질,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단자함의 본체(51) 상단 테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삽입홈(53)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53)은 본체 테두리의 양측에 형성된 인입구(52)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인입구 가스켓(57)의 상부에는 본체(51)에 형성된 삽입홈(53)과 거의 동일한 깊이의 연결홈(57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 본체(51) 테두리의 삽입홈(53)과 인입구 가스켓(57)의 연결홈(57b)은 상기 본체 테두리를 따라 연속된 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삽입홈(53)과 연결홈(57b)에는 요홈(58a)이 형성된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58)이 삽입 설치된다. 물론,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외측면은 상기 삽입홈(53)과 연결홈(57b)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테두리 가스켓은 고무 재질, 합성수지 또는 씰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함 커버(55)의 테두리 하단에는 도 6a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가압부(56)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56)는 본체(51)와 커버(55) 조립시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요홈(58a)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요홈의 폭(a)은 가압부의 폭(a')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요홈(58a)에가압부(56)가 삽입될 때에 요홈과 가압부 사이의 긴밀성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요홈(58a)은 단자함(1a) 커버(55)의 고정부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51)의 삽입홈(53)에는 삽입홈(53)을 따라 피난홈(5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난홈(54)은 삽입홈(53)의 하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피난홈(54)은 삽입홈(53)의 양측면 혹은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상기 접속단자의 본체(51)와 커버(55) 조립시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피난홈(54)이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소정 부분을 피난시켜주므로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일부분이 틈새로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입구 가스켓(57)의 연결홈(57b)과 삽입홈(53)은 도 5와 같이 본체(51)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인 홈을 이루므로, 상기 연결홈(57b)과 삽입홈(53)에는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58)이 설치된다.
이러한 테두리 가스켓(58)이 본체(51) 테두리의 삽입홈(53)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보면,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은 도 6a와 같이 삽입홈(53)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테두리의 상단면 보다 약간 높게 올라오게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상부에 커버(55)를 위치시키고 하부로 가압시키면,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의 요홈(58a)에 커버의 가압부(56)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요홈(58a)은 가압부(56)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56)가 요홈(58a)에 도 6a와 같이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56)가 테두리 가스켓(68)을 3방향(하방향 과 좌우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테두리 가스켓이 3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테두리 가스켓과 가압부 사이의 틈새는 보다 긴밀하게 씰링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가압부(56)가 테두리 가스켓의 요홈(58a)에 삽입된 상태를 보면, 상기 가압부(56)와 요홈(58a) 사이의 접촉면이 대략 "∪"자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 내부의 씰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요홈(58a)은 커버의 가압부(56)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므로, 상기 가압부(56)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은 압축된다. 이렇게 테두리 가스켓(58)이 압축되면,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된 테두리 가스켓(58)은 도 6b와 같이 삽입홀에 별도로 형성된 피난홈(54)으로 피난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 가스켓(58)이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로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인입구 가스켓의 상부를 평평하게 형성함과 아울러 인입구 가스켓의 상부에 연결홀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연속적인 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본체 테두리에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단자함의 본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를 보다 긴밀하게 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둘째, 상기 본체의 삽입홈에 테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피난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테두리 가스켓이 압축되더라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로 테두리 가스켓의 소정 부분이 삐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를 보다 긴밀하게 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셋째, 상기 테두리 가스켓에 형성된 요홈에는 상기 커버에 돌출 형성된 가압부가 삽입되므로,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를 보다 긴밀하게 씰링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테두리 가스켓을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의 설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광케이블을 연결 혹은 분지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인입구에는 광케이블의 끝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광케이블과 인입구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인입구 가스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본체 테두리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인입구 가스켓의 상부에는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과 연속하여 홈을 이루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홈에는 요홈이 형성된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커버 조립시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자함 커버의 테두리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가압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삽입홈에는 상기 본체와 커버 조립시 상기 가압부에 의해 테두리 가스켓이 가압될 때에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찌그러져 밀린 소정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홈을 따라 피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20-2003-0024070U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200332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070U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070U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527Y1 true KR200332527Y1 (ko) 2003-11-05

Family

ID=4941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070U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07-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5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397B1 (ko) 2009-08-21 2011-08-24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KR101442234B1 (ko) * 2012-12-24 2014-09-2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
KR101808551B1 (ko) * 2010-10-28 2017-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 및 그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의 설치 방법
KR20220030450A (ko) 2020-09-01 2022-03-11 (주)유명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397B1 (ko) 2009-08-21 2011-08-24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KR101808551B1 (ko) * 2010-10-28 2017-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 및 그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의 설치 방법
KR101442234B1 (ko) * 2012-12-24 2014-09-23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
KR20220030450A (ko) 2020-09-01 2022-03-11 (주)유명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328C (zh) 电连接器的防护盖
US4623753A (en) Watertight junction box
US5586909A (en) Sealing structure for a panel-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9466913B2 (en) Car charging connector
WO2011162926A2 (en) Sealing member for an enclosure
US10199984B2 (en) Housing for solar panel electric connection
JP2000353567A (ja) 防水コネクタ
KR100846552B1 (ko) 다양한 프레임에 적용 가능한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압축 유닛
US7040916B2 (en) Plug housing with improved cable sealing
KR950002117A (ko) 전기절연 변위 커넥터
KR20033252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US7056137B1 (en)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a sealing element
CN113096990B (zh) 移动终端侧键结构和终端
WO2016000519A1 (zh) 射频模块防水结构及具有该射频模块防水结构的射频模块
KR101058397B1 (ko)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KR101080373B1 (ko) 광케이블 접속함의 광케이블 인입구 씰링구조
JPH07220802A (ja) シールドケーブル用のコネクタ
US20160301361A1 (en) Housing for Solar Panel Electric Connection
EP2565988B1 (en) Sealing arrangement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WO1986001350A1 (en) Rain tight junction box
US6668110B2 (en) Optical switch having improved sealing structure
JPH05275868A (ja) 電気装置用筐体
WO2013088839A1 (ja) ガスケット
EP3680988B1 (en) Electric apparatus with electric connection and prote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