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97B1 -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97B1
KR101058397B1 KR1020090077540A KR20090077540A KR101058397B1 KR 101058397 B1 KR101058397 B1 KR 101058397B1 KR 1020090077540 A KR1020090077540 A KR 1020090077540A KR 20090077540 A KR20090077540 A KR 20090077540A KR 101058397 B1 KR101058397 B1 KR 10105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insertion groove
optical cable
junction box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924A (ko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65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함 본체와 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 테두리 부분에 가스켓 삽입홈이 있는 하부 함체와, 상기 하부 함체에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함체와, 상기 가스켓 삽입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과, 상기 상부 함체에 설치되어 이들 함체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클램프 레버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체에 형성된 가스켓 삽입홈의 바닥면에 가스켓 접속돌기를 형성하고 테두리 가스켓에는 상기 가스켓 접속돌기의 높이 보다 깊은 돌기 삽입홈을 형성하여 돌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가스켓 접속돌기의 끝단과 돌기 삽입홈의 끝단 사이에 공간부가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상부함체의 저면에는 누름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함체의 결합시 공간부가 변형되면서 테두리 가스켓이 팽창되어 돌기 삽입홈의 내벽면이 가스켓 접속돌기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이다.
광케이블 접속함, 접속함 씰링, 가스켓

Description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Seal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함 본체와 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은 다수의 광케이블 클러스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광케이블 클러스터는 다수의 광섬유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무한정 긴 길이로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2Km 정도의 길이로 제조되어 드럼에 감겨지며, 따라서 광케이블을 먼 거리까지 설치하기 위해서는 중간 중간에서 이를 연결하여야 한다.
이렇게 광케이블을 중간에서 연결하기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이 사용된다.
또한 광케이블 접속함은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됨은 물론 광케이블의 설치 경로 상에서 광케이블을 구성하고 있는 광케이블 클러스터 또는 광섬유를 나누어 분기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은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며, 통상 지하로 매설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접속함 내부로 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 구조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1에는 종래에 사용되어 온 광케이블 접속함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광케이블 접속함은 크게 나누어 광케이블이 인입되어 접속되는 부분이 되는 하부 함체(1)와, 상기 하부 함체(1)에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필요시 개방이 가능한 상부함체(2)와, 상기 하부 함체(1)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트레이(3)와, 상기 하부 함체(1)와 상부 함체(2)의 접속부분 및 광케이블 인입부분에 설치되어 접속함 내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주는 씰링기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 함체(2)와 상부 함체(2)는 복수개의 고정볼트(4)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3)에는 광섬유 클러스터의 인입 통로가 되는 인입홈과 다수의 직선형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슬롯에는 광섬유 클러스터가 연결 접속된 부분인 어댑터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하부 함체(1)의 양측에는 광케이블(10)을 하부 함체(1)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복수의 인입구(6)가 형성되어 있고 각 인입구(6)의 내측 부분에는 물이나 습기가 입입구(6)를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입구 가스켓(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함체(1)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 가스켓 삽입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입구 가스켓(7)에는 가스켓 삽입홈(5)과 통하여지는 연결홈(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켓 삽입홈(5)과 연결홈(8)을 통해 테두리 가스켓(9)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가스켓(9)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력성이 양호한 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하부 함체(1)의 상방에 상부 함체(2)를 덮은 상태에서 각 고정볼트(4)를 조여주면 상부 함체(2)의 테두리 부분이 하부 함체(1)의 테두리 부분에 밀착하면서 고정되며, 이때 하부 함체(1)의 가스켓 삽입홈(5)에 삽입된 테두리 가스켓(9)은 고정볼트(4)를 조이는 힘에 의해 팽창하면서 각 함체(1)(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가스켓을 팽창시켜 하부 함체와 상부 함체 사이의 접속면을 씰링하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함과는 달리 고정 클램프에 의해 함체 사이의 접속면을 씰링하도록 된 광케이블 접속함이 알려져 있다.
도 2는 이러한 구조로 된 광케이블 접속함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일부 단면도로서, 하부 함체(11)의 상면 테두리 전체 둘레에 걸쳐 가스켓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이 홈에 테두리 가스켓(14)이 삽입되어 있고 상부 함체(12)에는 이 상부 함체(12)를 하부 함체(11)에 결합하거나 하부 함체(11)로 부터 분리하기 위한 클램프 레버(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레버(15)는 상부 함체(12)를 하부 함체(11)에 결합할 때 상부 함체(12)가 소정의 압력을 가진 상태로 하부 함체(11)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스켓 삽입홈(13)에 테두리 가스켓(14)을 삽입한 후 클램프 레버(15)를 하부 함체(11)에 걸어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함체(12)의 저면 테두리 부분이 테두리 가스켓(14)에 접속함과 함께 클램프 레버(15)의 클램핑력에 의해 테두리 가스켓(14)이 압축되어 씰링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클램프 레버(15)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함체(12)가 개방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타입의 광케이블 접속함에서 하부 함체(11)의 광케이블 인입구부분의 씰링은 함체 접속부분의 씰링과는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은 상부 함체(2)를 열거나 닫을 때마다 여러개의 고정볼트(4)을 풀고 조여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 함체(1)에 형성된 복수개의 인입구(6) 부분에 각각 별개의 인입구 가스켓(7)이 설치되는 구조이어서 각 인입구 가스켓(7)과 하부 함체(1) 사이에 경계 접속면이 많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경계 접속면은 씰링효과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은 상부 함체(12)에 설치된 클램프 레버(15)를 회전시켜 주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상부 함체(12)를 하부 함체(11)에 결합하거나 또는 하부 함체(11)로 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부 함체(12)의 결합 및 분리시 마다 여러개의 고정볼트를 풀거나 조여야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에 비해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클램프 레버(15)에 의해 상부 함체(12)를 하부 함체(11) 측으로 당겨 밀착시키는 구조의 광케이블 접속함은 클램프 레버(15)의 클램핑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부 함체(12)가 하부 함체(11)에 결합되었을 때 상부 함체(12)가 테두리 가스켓(14)을 누르는 힘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원하는 만큼의 양호한 씰링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 레버를 이용하여 상부 함체를 하부 함체에 결합시키는 타입의 광케이블 접속함에서 가스켓 삽입홈과 가스켓의 형상를 개선하여 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면 테두리 부분에 가스켓 삽입홈이 있는 하부 함체와, 상기 하부 함체에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함체와, 상기 가스켓 삽입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과, 상기 상부 함체에 설치되어 이들 함체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클램프 레버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체에 형성된 가스켓 삽입홈의 바닥면에 가스켓 접속돌기를 형성하고 테두리 가스켓에는 상기 가스켓 접속돌기의 높이 보다 깊은 돌기 삽입홈을 형성하여 돌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가스켓 접속돌기의 끝단과 돌기 삽입홈의 끝단 사이에 공간부가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상부함체의 저면에는 누름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함체의 결합시 공간부가 변형되면서 테두리 가스켓이 팽창되어 돌기 삽입홈의 내벽면이 가스켓 접속돌기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돌기 삽입홈의 폭은 가스켓 접속돌기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돌기 삽입홈의 끝부분에 버섯 머리모양의 확대공간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은 클램프 레버에 의해 상부 함체를 하부 함체에 결합하는 타입의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를 개선하여 이들 함체 사이의 씰링이 두 곳에서 이중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클램프 레버의 클램핑력 만으로도 광케이블 접속함을 효과적으로 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를 나타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결합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 결합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이 인입되어 접속되는 부분이 되는 하부 함체(31)와, 상기 하부 함체(31)에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필요시 개방이 가능한 상부함체(32)와, 상기 상부 함체(32)에 설치되어 상부 함체(32)를 하부 함체(31)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클램프 레버(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부 함체(31)의 상면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지는 가스켓 삽입 홈(33)이 테두리를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가스켓 삽입홈(33)에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력성 재질의 테두리 가스켓(34)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함체(32)의 저면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누름돌기(32a)가 테두리를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누름돌기(32a)는 상부 함체(32)를 하부 함체(31)에 결합할 때 테두리 가스켓(34)의 상면 중앙부분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돌기(32a)는 그 선단부가 반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누름돌기(32a)의 선단 부분이 테두리 가스켓(34)에 유연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함체(31)에 형성된 가스켓 삽입홈(33)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된 가스켓 접속돌기(33a)가 가스켓 삽입홈(3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상단부는 반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 삽입홈(33)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34)의 저면에는 상기 가스켓 접속돌기(33a)에 대응하는 돌기 삽입홈(34a)이 형성되어 가스켓 삽입홈(33)에 테두리 가스켓(34)을 삽입하면 가스켓 접속돌기(33a)가 돌기 삽입홈(34a)으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가스켓 삽입홈(34a)의 폭은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테두리 가스켓(34)을 가스켓 삽입홈(33)에 삽입할 때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외표면은 돌기 삽입홈(34a)의 내벽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상기 돌기 삽입홈(34a)의 깊이는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높이 보다 깊게 형성되어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끝단부와 돌기 삽입홈(34a)의 끝단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삽입홈(34a)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홈의 입구부분 부터 끝단부 까지 동일한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고, 이와는 달리 도 6 및도 7과 같이 테두리 가스켓(34)의 신축성 향상을 위해 돌기 삽입홈(34a)의 끝부분에 버섯 머리모양의 확대공간부(34b)가 있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부 함체(32)를 하부 함체(31)에 결합할 때 테두리 가스켓(34)이 형상변형을 일으키면서 가스켓 삽입홈(33)의 내벽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돌기 삽입홈(34a)의 내벽면이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두 곳에서 씰링이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부 함체(31) 위에 상부 함체(32)를 얹으면 도 5와 같이 상부 함체(32)에 형성된 누름돌기(32a)가 테두리 가스켓(34)의 상면에 접속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 레버(35)에 의해 상부 함체(32)와 하부 함체(31)를 결합하면 상부 함체(32)에 형성된 누름돌기(32a)가 클램프 레버(35)의 클램핑력에 의해 테두리 가스켓(33)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두리 가스켓(33)을 누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돌기(32a)가 테두리 가스켓(33)의 상면에 접속한 상태에서 테두리 가스켓(33)이 계속 눌러지면 그 힘에 의해 테두리 가스켓(33)이 압축력을 받으면서 누름돌기(32a)가 테두리 가스켓(34) 내로 삽입되고 테두리 가스켓(34)의 측면 및 저면은 외측방향으로 팽창하는 힘을 받게된다.
따라서 테두리 가스켓(34)의 측면 및 저면부분이 가스켓 삽입홈(33)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며, 이때 도 6과 같이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끝단과 돌기 삽입홈(34a)의 끝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변형을 일으켜 찌그러지면서 돌기 삽입홈(34a)의 내벽면 부분을 가스켓 접속돌기(33a) 방향으로 더욱 팽창시키게 되므로 테두리 가스켓(34)은 강한 힘으로 가스켓 접속돌기(33a)에 밀착되어 이 부분에서도 씰링이 이루어진다.
즉, 상부 함체(32)를 하부함체(31)에 결합하면 클램프 레버(35)의 클램핑력에 의해 테두리 가스켓(34)이 팽창하면서 상부 함체(32)와 하부 함체(3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렇게 테두리 가스켓(34)이 팽창할 때 테두리 가스켓(34)의 측면이 가스켓 삽입홈(33)의 내벽면에 밀칙하여 이 부분에서 1차적으로 씰링이 이루어지고, 한편으로는 돌기 삽입홈(34a) 부분의 내측벽이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외표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2차적인 씰링이 이루어지므로 결국 두 곳에서 씰링이 이루어져 씰링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도 6 및 도 7과 같이 테두리 가스켓(34)에 형성되는 돌기 삽입홈(34a)에 버섯 머리모양의 확대공간부(34b)를 형성하는 경우 돌기 삽입홈(34a) 부분의 신축성이 더욱 좋아져 테두리 가스켓(34)이 팽창하는 힘을 받을 때 돌기 삽입홈(34a)의 내벽면을 가스켓 접속돌기(33a)의 외표면에 보다 강력한 힘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씰링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씰링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냄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구조를 나타낸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가스켓 결합부분의 단면도로서
도 4는 상부 함체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도
도 5는 상부 함체가 결합된 상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가스켓 결합부분의 단면도로서
도 6은 상부 함체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도
도 7은 상부 함체가 결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하부 함체 32 : 상부 함체
32a : 누름돌기 33 : 가스켓 삽입홈
33a : 가스켓 접속돌기 34 : 테두리 가스켓
34a : 돌기 삽입홈 34b : 확대공간부

Claims (2)

  1. 상면 테두리 부분에 가스켓 삽입홈이 있는 하부 함체와, 상기 하부 함체에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함체와, 상기 가스켓 삽입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과, 상기 상부 함체에 설치되어 이들 함체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클램프 레버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체에 형성된 가스켓 삽입홈의 바닥면에 가스켓 접속돌기를 형성하고 테두리 가스켓에는 상기 가스켓 접속돌기의 높이 보다 깊은 돌기 삽입홈을 형성하여 돌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가스켓 접속돌기의 끝단과 돌기 삽입홈의 끝단 사이에 공간부가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상부함체의 저면에는 누름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함체의 결합시 공간부가 변형되면서 테두리 가스켓이 팽창되어 돌기 삽입홈의 내벽면이 가스켓 접속돌기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삽입홈의 폭은 가스켓 접속돌기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돌기 삽입홈의 끝부분에 버섯 머리모양의 확대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의 씰링 구조.
KR1020090077540A 2009-08-21 2009-08-21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KR10105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40A KR101058397B1 (ko) 2009-08-21 2009-08-21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40A KR101058397B1 (ko) 2009-08-21 2009-08-21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24A KR20110019924A (ko) 2011-03-02
KR101058397B1 true KR101058397B1 (ko) 2011-08-24

Family

ID=4392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540A KR101058397B1 (ko) 2009-08-21 2009-08-21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098B1 (ko) * 2020-12-28 2021-03-26 이형준 부분방전 측정용 스마트 함체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221B1 (ko) 2012-10-15 2016-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밀폐케이스
KR200477972Y1 (ko) * 2014-01-14 2015-08-13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마이크로 덕트 함체
CN107910833A (zh) * 2017-12-13 2018-04-13 江苏奥吉瑞斯新能源有限公司 一种密封性好的空压机接线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098B1 (ko) * 2020-12-28 2021-03-26 이형준 부분방전 측정용 스마트 함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24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397B1 (ko) 광케이블용 접속함의 씰링 구조
US7709735B2 (en) Lift cover and gasket assembly
US9022804B2 (en) Waterproof plug
CN1097328C (zh) 电连接器的防护盖
US7578708B2 (en) Socke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2008130462A (ja)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KR100846552B1 (ko) 다양한 프레임에 적용 가능한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압축 유닛
KR101101356B1 (ko) 수배전기기 케이스 커버 및 수배전 설비시스템
JP2009016150A (ja) グロメットの防水構造、グロメット、コネクタ、ゴム栓
KR20020006594A (ko) 방수 커넥터
JP4761990B2 (ja) 防水コネクタ
CN102640364A (zh) 密封垫接头、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5985935B2 (ja) 管接続具、当該管接続具の固定構造及び止水部材
WO2016000519A1 (zh) 射频模块防水结构及具有该射频模块防水结构的射频模块
KR101080373B1 (ko) 광케이블 접속함의 광케이블 인입구 씰링구조
EP3075036B1 (en) Adapter for sealing cover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s
WO2011128813A1 (en) Optical fiber cable junction box
EP0928506B1 (en) Sealing member for waterproof connector
JP5467883B2 (ja) 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ケース
KR101442234B1 (ko) 광케이블 접속함
KR20033252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JP2005339836A (ja) 防水コネクタ
JP2016127640A (ja) 密封箱および密封構造
CN110459910B (zh) 电子装置
KR20090036893A (ko) 방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