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234B1 - 광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234B1
KR101442234B1 KR1020120152416A KR20120152416A KR101442234B1 KR 101442234 B1 KR101442234 B1 KR 101442234B1 KR 1020120152416 A KR1020120152416 A KR 1020120152416A KR 20120152416 A KR20120152416 A KR 20120152416A KR 101442234 B1 KR101442234 B1 KR 10144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ain body
packing member
hol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441A (ko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2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 또는 분기시킬 수 있도록 된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된 하부본체와, 하부 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부 본체와, 하부본체와 상부 본체의 대향되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과, 하부 본체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형성되되 인입구 보다 확장된 폭을 갖는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면에 테두리 가스켓이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된 중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인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면에는 광케이블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패킹부재와, 패킹부재의 타측면에 패킹부재의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분과, 삽입부분으로부터 패킹부재의 타측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간섭가이드 부분을 갖는 누름 가이드 부재와, 누름가이드부재의 노출된 간섭가이드부분을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간섭하여 패킹부재의 관통홀의 수축에 의해 관통홀에 삽입된 광케이블을 밀착상태로 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가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함에 의하면, 신축가능한 소재로 된 패킹부재에 삽입된 누름가이드부재를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가압상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광케이블에 대한 수축력을 더욱 강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함{optical cable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실링을 위한 패킹구조가 개선된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제조업체에서 제작될 때 그 길이가 통상 약 2km 정도의 일정한 길이로 한정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 그 설치 길이가 제조업체에서 공급되는 광케이블의 길이보다 긴 경우 광케이블 상호간을 중간에서 연결해야 한다. 이때, 광케이블 상호간은 접속함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연결한다. 또한, 광케이블을 필요한 만큼의 개수로 분기할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함을 이용한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함에 대해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신안 제20-0332527호 등 다양한 구조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런데, 개발된 광케이블 접속함의 광케이블을 인입구에서 씰링되게 지지하기 위한 신축부재를 조립시 내부공간을 밀폐되게 상호 상하방향에서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상하 압박력으로만 수축되게 할 경우 씰링력이 분산되어 견실한 씰링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케이블을 감싸는 패킹부재의 수축력을 더욱 강하게 유지시켜 실링력을 높일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 또는 분기시킬 수 있도록 된 광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 또는 분기시킬 수 있도록 광케이블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 내로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되는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대향되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과; 상기 하부 본체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인입구 보다 확장된 폭을 갖는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면에 상기 테두리 가스켓이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된 중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타측면에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분과, 상기 삽입부분으로부터 상기 패킹부재의 타측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간섭가이드 부분을 갖는 누름 가이드 부재와; 상기 누름가이드부재의 노출된 상기 간섭가이드부분을 상기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간섭하여 상기 패킹부재의 상기 관통홀의 수축에 의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광케이블을 밀착상태로 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가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공간 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누름가이드부재의 노출된 상기 간섭가이드부분을 상기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압박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의 상기 타측면에는 상기 중계 삽입홈 보다 낮은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가이드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가이드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분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분의 폭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되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돌기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돌기로 되어 있고, 상기 간섭가이드부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된 제1 및 제2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섭가이드 부분의 저면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하방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지지리브가 상기 간섭 가이드 부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의 타측면에서 상기 하부본체 내부로 더 연장되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통과홀을 갖되 상기 하부본체 내부로 연장될 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상기 패킹부재에 형성된 보조 튜브부분;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에 의하면, 신축가능한 소재로 된 패킹부재에 삽입된 누름가이드부재를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가압상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광케이블에 대한 수축력을 더욱 강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킹부재가 하부 본체에 삽입되는 부분을 부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패킹부재와 누름가이드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패킹부재에 누름가이드 부재가 삽입되어 하부 본체의 장착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누름가이드부재를 제1 및 제2 지지돌기를 통해 결합하여 패킹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누름가이드부재를 제1 및 제2 지지돌기를 통해 결합한 상태를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커버가 열린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킹부재가 하부 본체에 삽입되는 부분을 부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패킹부재와 누름가이드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100)은 하부 본체(110), 상부 본체(120), 테두리 가스켓(130), 패킹부재(150), 누름 가이드부재(170)를 구비한다.
하부 본체(110)는 광케이블(200)을 상호 연결 또는 분기시키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측벽(111)이 형성되어 대략 사각형태의 내부공간(114)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본체(110)의 측벽(111) 중 대향되는 양측면(111a)에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광케이블(200)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114)내로 인입되는 인입구(112)가 내부공간(114)과 연통되게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내부공간(114)은 후술되는 상부 본체(120), 테두리 가스켓(130) 및 패킹부재(150)와 결합되어 폐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부 본체(110)의 인입구(112) 상에는 인입구(112)의 내부 공간(114)으로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후술되는 패킹부재(150)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인입구(112)에 연통되게 형성되되 인입구(112) 보다 확장된 폭을 갖으며 패킹부재(15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본체(110)의 내부공간(114) 내에는 광섬유를 감을 수 있도록 된 트레이(미도시)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본체(110)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하나씩 'U'자 형태의 인입구(112)가 마련되고, 나머지는 원형 홀 형태로 형성되어 깔대기 모양의 가스켓을 결합할 수 있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080373호에 개시된 씰링구조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본체(120)는 하부 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 본체(110)의 내부 공간(114)을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본체(120)와 하부본체(110)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상하방향에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상부 본체(120)는 하부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하부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고, 록킹부재에 의해 하부본체(110)에 록킹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220)가 하부본체(210)에 대해 힌지핀(23)에 의해 회동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본체(220)의 힌지핀(23) 맞은 편쪽에는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부(11)가 마련된다. 결합부(11)는 후술할 클램프(30)가 상부본체(220)와 결합시 상부본체(220)를 덮는 부위이다. 결합부(11)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리브(13)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본체(220)의 결합부(11)에는 후술할 잠금돌기(75)가 걸리는 걸림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걸림부(15)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클램프(30)는 하부본체(210)에 설치되어 상부본체(220)를 하부본체(210)에 밀착시켜 하부본체(2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클램프(30)는 다수의 링크(31)와, 커버(35)로 되어 있다.
링크(31)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설치된다. 각 링크(31)의 일측은 하부본체(210)의 전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커버(35)와 힌지결합된다.
커버(35)는 상부본체(220)에 마련된 결합부(11)에 결합된다. 결합부(11)에 결합된 커버(35)는 결합부(11)를 덮는다. 커버(35)의 일단부에는 결합부(11)에 형성된 제 1걸림턱(17)에 걸리는 제 2걸림턱(37)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31)와 연결된 커버(35)는 덮개의 결합부(1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잠금수단은 클램프(30)의 커버(35)를 덮개(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잠금수단으로 적용된 록킹부는 커버(3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헤드(61)를 회전에 의해 상부본체(220)에 마련된 걸림부(15)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될 수 있도록 헤드 저면에 헤드(61)와 일체로 결합된 베이스부재(70)에 마련된 걸림돌기(75)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1내지 도 3으로 돌아가서 설명한다.
테두리 가스켓(130)은 하부본체(110)와 상부 본체(120)의 상호 대향되며 대향되는 가장자리 영역 즉, 하부 본체(110)의 상면(111c) 및 상부 본체(120)의 저면에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116)에 삽입될 수 있게 사각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 가스켓(130)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패킹부재(150)는 인입구(112)의 장착홈(115)의 형상에 대응되게 전면이 'U'자 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본체(110)의 장착홈(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테두리 가스켓(130)의 삽입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된 중계 삽입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부재(150)의 인입구(112)에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일측면(153a)에는 광케이블(200)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15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54)은 광케이블(200)의 진입을 원할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측의 내경이 크고 입구측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멀어지는 위치의 내경이 좁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부재(150)는 신축가능한 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패킹부재(150)의 타측면(153b)에는 중계 삽입홈(152) 보다 낮은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패킹부재(150)의 내부를 향해 인입된 제1 및 제2 결합홈(155)(156)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부재(150)의 타측면(153b)에는 하부 본체(110)의 장착홈(115)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 본체(110) 내부공간(114)의 중앙을 향해 더 연장되되 관통홀(154)과 연통되는 통과홀을 갖되 하부본체(110) 내부로 연장될 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보조 튜브부분(158)이 패킹부재(150)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튜브부분(158)은 광케이블(200)을 고정장치 예를 들면 예를들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9335호에 개시된 고정장치 또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090909호에 개시된 밴드 형태의 고정장치로 고정할 때 광케이블(200) 또는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를 보호되게 지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누름 가이드 부재(170)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결합홈(155)(156)에 삽입되어 패킹부재(15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 제1 및 제2 결합홈(155)(156)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부분(171)(172)과 제1 및 제2 삽입부분(171)(172)을 상호 연결하면서 제1 및 제2 삽입부분(171)(172)의 폭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되 두 개의 제1 및 제2 고정홀(175)(176)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삽입부분(171)(172)으로부터 패킹부재(150)의 타측면(153b)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간섭가이드 부분(17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간섭가이드 부분(173)에는 제1 및 제2 고정홀(175)(176) 보다 이격폭이 좁은 위치에서 상호 이격되어 간섭가이드 부분(173)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지지리브(177)(17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지지리브(177)(178)는 후술되는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에 간섭가이드 부분(173)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지지돌기(177)(178)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간섭가이드 부분(173)의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와의 결합과정에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리브(177)(178)는 간섭 가이드 부분(173)을 'ㄷ'자 형태로 절개한 후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 가이드 부재(170)는 휨이 억제되는 경질의 소재 또는 금속 소재를 도시된 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는 누름가이드부재(170)의 노출된 간섭가이드부분(173)을 하부본체(110)의 하방으로 간섭하여 패킹부재(150)의 관통홀(154)의 수축에 의해 관통홀(154)에 삽입된 광케이블(200)을 밀착상태로 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가압부로서 적용되었다.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는 하부 본체(110)의 내부공간(114) 내에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누름가이드부재(170)의 노출된 간섭가이드부분(173)을 하부본체(110)의 하방으로 압박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의 높이는 누름가이드부재(170)가 삽입된 패킹부재(150)가 장착홈(1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누름가이드부재(170)의 높이 보다 낮은 위치가 되게 형성되고 누름 가이드 부재(170)가 패킹부재(150)에 장착된 상태로 하부본체(110)의 장착홈(115)에 장착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결합부재로 적용된 스크류(185)를 이용하여 패킹부재(150)를 누름가이드부재(170)를 통해 제1 및 제2지지돌기(181)(182)를 통해 결합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누름 가이드부재(170)를 하부 본체(110)의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에 이격간격이 좁하지도록 밀착되게 스크류(185)로 조이면 누름가이드부재(170)가 패킹부재(150)를 하방으로 수축시키게 되고, 이과정에서 패킹부재(150)의 관통홀(154)의 수축에 의해 관통홀(154)에 삽입된 광케이블(200)을 밀착상태로 실링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가이드부재(170)의 제1 및 제2 지지리브(177)(178)가 제1 및 제2 지지돌기(181)(182)의 대향되는 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됨으로써 스크류(185) 결합과정에서 누름 가이드부재(170)의 휨을 억제시킨다.
110: 하부 본체 120: 상부 본체
130: 테두리 가스켓 150: 패킹부재
170: 누름 가이드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 또는 분기시킬 수 있도록 된 광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 또는 분기시킬 수 있도록 광케이블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 내로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결합되는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대향되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가스켓과;
    상기 하부 본체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인입구 보다 확장된 폭을 갖는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면에 상기 테두리 가스켓이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된 중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타측면에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분과, 상기 삽입부분으로부터 상기 패킹부재의 타측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간섭가이드 부분을 갖는 누름 가이드 부재와;
    상기 누름가이드부재의 노출된 상기 간섭가이드부분을 상기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간섭하여 상기 패킹부재의 상기 관통홀의 수축에 의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광케이블을 밀착상태로 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공간 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누름가이드부재의 노출된 상기 간섭가이드부분을 상기 하부본체의 하방으로 압박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부재의 상기 타측면에는 상기 중계 삽입홈 보다 낮은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가이드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가이드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분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분의 폭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되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돌기로 되어 있고, 상기 간섭가이드부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된 제1 및 제2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섭가이드 부분의 저면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하방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지지리브가 상기 간섭 가이드 부분의 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5. 삭제
KR1020120152416A 2012-12-24 2012-12-24 광케이블 접속함 KR10144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416A KR101442234B1 (ko) 2012-12-24 2012-12-24 광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416A KR101442234B1 (ko) 2012-12-24 2012-12-24 광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441A KR20140082441A (ko) 2014-07-02
KR101442234B1 true KR101442234B1 (ko) 2014-09-23

Family

ID=5173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416A KR101442234B1 (ko) 2012-12-24 2012-12-24 광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8260B (zh) * 2017-10-17 2019-09-03 安徽电信器材贸易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光纤接线装置
KR102071425B1 (ko) * 2018-07-27 2020-03-02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 함체용 패킹
EP4211506A1 (en) * 2020-09-11 2023-07-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rminal enclos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27Y1 (ko) *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200380997Y1 (ko) 2005-01-25 2005-04-08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100964278B1 (ko) * 2007-11-07 2010-06-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27Y1 (ko) *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200380997Y1 (ko) 2005-01-25 2005-04-08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100964278B1 (ko) * 2007-11-07 2010-06-16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441A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2955A (ja) ケーブル用壁貫通部およびキット 本発明は、ケーブル用壁貫通部およびケーブル用壁貫通部のキットに関する。
JP6612535B2 (ja) ケーブルを保護するため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ハウジングをコルゲートチューブ上に結合するためのファスナ、およ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をハウジングに封止するための封止要素
KR101442234B1 (ko) 광케이블 접속함
CN103797651A (zh) 具有腔室块和触头位置固定器的连接器组件
GB2490769A (en) Corrugated tube protector for junction box
EP3048016B1 (en) Sealed header assembly
CN114521311A (zh) 电气插头连接器
KR20200077919A (ko)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EP2807708B1 (en) 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PL193944B1 (pl) Osłona przewodów, zwłaszcza kabli
KR101929586B1 (ko) 광접속함
KR200256956Y1 (ko) 파형관용 접속장치
EP3376606A1 (en) Cable harness plug
US20160195687A1 (en) Sealing block with stackable sealing elements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KR200439270Y1 (ko) 그로멧
KR100839921B1 (ko) 케이블 컨넥터 커버
KR101090909B1 (ko) 광케이블 접속함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101520926B1 (ko) 커넥터조립체
KR101370419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함체체결장치
KR20033252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ES2960323T3 (es) Elemento de sellado y caja de conexiones con dicho elemento de sellado
JP6247890B2 (ja) クロージャカバー、クロージャカバーの設置方法
KR100957489B1 (ko) 케이블 엔트리
KR102516239B1 (ko)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