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586B1 - 광접속함 - Google Patents

광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586B1
KR101929586B1 KR1020120093676A KR20120093676A KR101929586B1 KR 101929586 B1 KR101929586 B1 KR 101929586B1 KR 1020120093676 A KR1020120093676 A KR 1020120093676A KR 20120093676 A KR20120093676 A KR 20120093676A KR 101929586 B1 KR101929586 B1 KR 10192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base
cable
protrus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247A (ko
Inventor
김상엽
정협재
윤명륜
문태선
최은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665,137 priority Critical patent/US8774586B2/en
Publication of KR2013010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Abstract

본 발명은 피딩 케이블을 인입하여 광처리모듈에서 처리한 후 아웃 케이블로 인출하며 그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경유 케이블을 경유시키며, 각각의 케이블이 장착상태 또는 장착과정에서의 수밀성, 작업성 및 가격 경쟁력이 향상된 광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접속함{Fiber Optics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광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수밀성, 작업성 및 가격 경쟁력이 향상된 광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접속함은 가입자 선로, 중앙국, 중계국 등에 설치되어, 다수의 시스템 또는 수요 세대와의 연결을 위하여 광케이블을 분배, 접속 또는 여장 정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광통신 공급자가 제공하는 광케이블은 각각의 수요처로 인입되고 각각의 수요처로 분배되거나 접속되고 특정 지점에서 이러한 분배 또는 접속이 불필요한 경우 여장이 정리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광접속함은 설치 장소에 따라 수밀성이 중요한 성능 지표일 수 있다. 실외 또는 지하공간 등에 설치되는 경우, 빗물 또는 하수 등이 광접속함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밀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등을 적용하여 수밀성을 확보하거나, 수밀성 확보를 위한 전용 부품을 광접속함에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전자의 경우 광접속함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화기를 핸들링하여야 하므로 안전사고 등의 문제와 작업의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전용 부품을 별도로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전용 부품의 고비용이 광접속함의 가격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광접속함은 광통신 수요자의 변경 또는 추가 등의 이유로 지속적으로 광케이블의 분배작업, 접속작업 또는 여장 정리작업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접속함은 작업자의 작업시 작업 편의성, 효율성 및 가격 경쟁력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광접속함을 조립하는 경우에 조립시간 및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광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광접속함을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경우에 작업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광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접속함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접속함 내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고, 광접속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광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커버,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입구,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출구 및 상기 커버의 수용공간을 경유하는 경유 케이블이 지나는 한 쌍의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피딩 케이블을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하여 상기 아웃 케이블로 전환시키는 적어도 1개의 광처리모듈, 상기 광처리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에 상기 실링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의 체결보스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광접속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각각 피딩 케이블 및 아웃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보스 내부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는 외측 직경이 가변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구간은 실링부재 전체구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구간은 실링부재의 외측면 경사가 증가 후 감소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의 각도는 0도 초과 6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는 상기 한 쌍의 관통구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구획되는 경계선은 상기 한 쌍의 관통구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선과 상기 중심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관통구의 반경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에 상기 인입구 및 인출구를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관통구에는 상기 경유 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관통구를 실링하기 위한 가스킷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구획되는 경계선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한 쌍의 관통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돌출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의 적어도 한 쪽에는 실링을 위한 밀폐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는 광처리모듈이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는 상기 경유 케이블을 정리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호 조립 및 체결된 상태에서 베이스의 하면 경계영역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부에서 다른 베이스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돌기 및 다른 하나의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돌기를 걸림 구속하는 걸림돌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돌기는 선단이 분지된 T자형 돌기이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연장돌기의 선단과 걸림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돌기는 한 쌍이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두 세트가 상기 연장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 중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는 그 두께 방향 상부와 하부에 상기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에 구비될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 인입구 또는 인출구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에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에 체결되며, 내측의 수용공간에 인입된 케이블을 스플라이싱 또는 스플리팅하는 적어도 1개의 광처리모듈이 수용되는 커버 및,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를 실링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이 경사진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체결보스 내측의 관통홀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장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에 의하면, 인입구 및 인출구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보스가 베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광접속함을 조립하는 경우에 조립시간 및 공정의 단축에 의해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에 의하면, 인입구 및 인출구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보스가 베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인입구 및 인출구 등을 실링함과 동시에 체결을 위한 구조물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에 의하면, 베이스가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관통구를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경계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하여, 광접속함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관통구에서 경유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에 의하면, 인입구 및 인출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관통구를 실링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킷 및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 사이를 실링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베이스를 커버에 조립하는 경우에 베이스를 통하여 광접속함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은 수밀성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밀폐부재 등에 의한 베이스부 사이의 벌어짐을 베이스부 저면에 구비되는 구속수단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접속함의 수밀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은 베이스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에 구비되는 가스킷 등이 경유 케이블을 장착하여도 경유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삐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제외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서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서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베이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베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베이스의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분리된 경우에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각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베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서 실링부재 및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의 다른 실시예의 베이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에 의해 광선로(optical line)를 가입자까지 전송하는 기술은 FTTH(fiber to the home), FTTO(fiber to the office), FTTN(fiber to the neighborhood)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되어 있다.
이중에서 FTTH를 구현하는 기술도 다양하게 개발이 되었는데, 예를 들어 수동형 광 가입자망(PON, passive optical network)을 살펴보면 중앙기지국(CO, central office)의 광선로 터미널(optical line terminal)에서 광선로가 연장되어 가입자측으로 향하게 되며, 광선로가 가입자측의 광 네트워크 유니트(optical network unit) 또는 광 네트워크 터미널(optical network terminal)등에 연결된다.
그런데, 중앙기지국에서 나오는 광선로의 숫자와 가입자를 비교해보면 광선로의 숫자에 비하여 가입자측의 숫자가 훨씬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중앙기지국에서 연장되는 광선로를 가입자의 숫자에 맞게 분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광접속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기지국의 광선로 터미널은 특정 파장의 신호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러한 다수의 광원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여러 파장의 신호광을 다중화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광접속함은 광선로 터미널에서 제공되는 다중화된 신호광을 각 파장별로 스플리팅(splitting) 또는 스플라이싱(splicing)하여 가입자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10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접속함(1000)은 커버(200)와 커버(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100)를 구비한다.
커버(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커버(200)는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200)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강도보강 리브(2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외주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하여 수직방향 리브(220) 및 수평방향 리브(23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는 커버(200)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커버(2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재에 의해 커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커버(200)를 비롯하여 수용공간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광접속함(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커버(200)가 제외된 상태의 광접속함(1000)을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접속함(1000)은 인입되는 피딩 케이블을 스플리팅(splitting) 또는 스플라이싱(splicing)하여 아웃 케이블로 전환하여 인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커버(200),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입구,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출구 및 상기 커버의 수용공간을 경유하는 경유 케이블이 지나는 한 쌍의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100),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피딩 케이블을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하여 상기 아웃 케이블로 전환시키는 적어도 1개의 광처리모듈(300), 상기 광처리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400),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후술함) 및,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에 상기 실링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의 체결보스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후술함)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피딩 케이블은 중앙기지국에서 제공되는 광케이블일 수 있으며, 아웃 케이블은 광접속함에 의해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된 케이블일 수 있다.
커버(200)의 수용공간에는 피딩 케이블(미도시)을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하여 아웃 케이블로 전환시키는 적어도 1개의 광처리모듈(300)을 구비하게 된다. 광처리모듈(300)은 하나만 구비되거나 또는 피딩 케이블의 개수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처리모듈(300)을 복수 개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용공간 내부가 협소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처리모듈(300)을 적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처리모듈(3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복수 개의 광처리모듈(300)이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00)은 베이스(100)에 체결되어 지지되며, 광처리모듈(300)이 체결되는 체결부(42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광처리모듈(300)은 상기 체결부(420)에 각각이 폴딩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에 적층된 광처리모듈(300)부터 폴딩시켜 특정 광처리모듈(300)의 광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2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체결부(4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광처리모듈(300)은 그 단부에서 소정의 단차를 이루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2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면, 그 경사진 테두리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테두리에 체결홀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체결홀을 장공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장공 형태의 체결홀은 각각의 광처리모듈(300)의 회전 또는 전개 후 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광접속함(1000)에는 하나의 케이블을 형성하는 내부의 복수 개의 광케이블 중 일부의 광케이블은 광접속함 내부의 광처리모듈에서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 처리되고, 나머지 광케이블은 광접속함(1000) 내부의 수용공간을 단지 경유한 후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피복재에 의하여 피복된 하나의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중 일부의 광케이블만 해당 광접속함에서 처리되고 나머지 광케이블은 광처리 없이 광접속함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나의 케이블을 구성하는 일부의 광케이블만 광처리되고, 대부분의 광케이블이 광접속함의 수용공간을 단지 경유할 수 있으며, 광접속함의 수용공간을 경유하는 케이블을 경유 케이블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케이블 중 광처리모듈에서 처리되지 않은 경유 케이블은 단순히 광접속함(1000)을 경유하여 타 광접속함 광분배함 또는 수요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유 케이블(10)은 일부의 광케이블이 광접속함 내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광처리모듈에서 처리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광케이블은 광처리모듈 배면의 수납부(410)에서 수납된 뒤 광접속함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접속함(1000)의 내부 공간은 협소하므로 수납부(410)를 구비하는 경우에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경유 케이블(10)을 정리하여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1000)은 전술한 광처리모듈(3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0)에 수납부(4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수납부(410)는 지지프레임(400)의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지지프레임(400)의 전면에는 전술한 체결부(420)를 구비하여 광처리모듈(300)을 지지하게 되며, 지지프레임(400)의 배면에 홀더(412)를 구비하여 경유 케이블(10)을 권선하여 수납하게 된다.
상기 홀더(412)는 지지프레임(400)의 배면에 적어도 한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유 케이블(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하고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따라서, 광접속함(1000)의 내부로 인입된 경유 케이블(10)은 홀더(412)에 의해 수납되어 정리된 후, 다시 광접속함(1000)의 외부로 인출되어 타 광접속함 광분배함 또는 수요자 등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인입구 및 인출구 근방(172, 176, 174, 178, 도 4 및 5 참조), 즉 베이스(100) 영역에 가이드부(18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80)는 인입구 및 인출구를 통하여 베이스(100)를 경유하는 피딩 케이블 및 아웃 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 기능은 각각의 가이드부(180)에 장착되는 케이블 홀더(181)에 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80) 및 상기 케이블 홀더(181)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도 3에서는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피딩 케이블과 피딩 케이블로부터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된 아웃 케이블 및 상기 광처리모듈과의 연결관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다.
도 4는 도 2에서 상부의 지지프레임(400) 및 광처리모듈(300)을 제외한 베이스(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상부의 지지프레임(400) 및 광처리모듈(300)을 제외한 베이스(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커버(2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나아가, 베이스(100)는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172, 176)와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구(174, 178)와 경유 케이블(10)이 지나는 한 쌍의 관통구(130)를 구비한다. 즉, 피딩 케이블, 아웃 케이블 및 경유 케이블(10)은 베이스(100)를 통하여 광접속함(1000)의 내부로 인입되며, 마찬가지로 베이스(10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172, 176)는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어 장착되는 장소로 설명되며, 상기 인출구(174, 178)는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는 장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이스에 인입구 없이 인출구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경유 케이블(10)을 구성하는 광케이블들에 의하여 별도의 피딩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딩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한 상기 인입구(172, 176)는 인출구로 역할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유 케이블만 유일하게 피딩을 위한 광케이블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구를 제외한 172, 176, 174, 178 도면부호로 표시되는 개방구는 모두 인출구로서 역할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 피딩 케이블을 인입하는 인입구와 아웃 케이블을 인출하는 인출구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의 대략 중앙부에 한 쌍의 관통구(130)가 구비될 수 있다. 관통구(1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경유 케이블(10)이 인입되는 인입관통구(130a, 도 6 참조) 및 경유 케이블(10)이 인출되는 인출관통구(130b, 도 6 참조)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172, 176) 및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구(174, 178)는 한 쌍의 관통구(1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100)의 중앙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는 각각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지만, 광접속함(1000)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는 두 개씩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00)의 중앙부를 따라 한 쌍의 관통구(130)가 배치되며, 상기 관통구(130)의 양측에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가 각각 한 개씩 구비된다.
한편, 베이스(100)는 하나의 단일 부재로 구비될 수 있지만 단일 부재로 구비되는 경우에 베이스(100)를 제작하는 경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광접속함(1000)의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에 베이스(100)를 경유하는 케이블의 관리를 위해서 베이스(100)가 서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1 체결공(137) 및 제2 체결공(136)을 통해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공(137) 및 제2 체결공(136)에서 볼트 등으로 체결된 베이스는 상기 커버(200)와 체결부재(115)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가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구비하여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분리되는 경우에 베이스(100)를 경유하는 케이블 등이 베이스(100)에서 이탈되면 작업자가 베이스(100)를 다시 조립하는 경우에 케이블을 다시 베이스(100)에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특히,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의 경계선을 따라 관통구(130)가 배치되면,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분리되는 경우에 분리과정에서 관통구(130) 내측에 배치된 경유 케이블(10)이 베이스(100)에서 이탈된다.
결국,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조립하는 경우에 경유 케이블(10)을 관통구(130)에 다시 고정하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1000)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바,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베이스(100)의 저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구비한다. 이 경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b)의 어느 한쪽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0)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a)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경유하는 경유 케이블이 최단 경로로 굴곡없이 지지프레임 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관통구 (130a, 130b)는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부(또는 중심영역)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의 경계선(A)는 베이스(100)의 관통구(130a, 130b)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C)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소정 이격거리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경계선과 상기 중심선 사이의 소정의 이격거리(d)는 상기 관통구의 반경(r)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부(또는 중심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입구(172, 176) 및 상기 인출구(174, 178)는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서로 분리하는 경우에도 경유 케이블(10)이 관통구(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의 어느 한 쪽에 모두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가 제1 베이스부(110a)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베이스부(110b)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서로 구획되는 경계선(A)은 상기 관통구(13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구획되는 경계선(A)은 관통구(130a, 130b)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C)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중심선(C)과 연결선(A) 사이의 상기 경계선과 상기 중심선 사이의 소정의 이격거리(d)는 상기 관통구의 반경(r) 이상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서로 분리하여도 관통구(130a, 130b)에 고정되는 경유 케이블(10)은 관통구(130a, 130b)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100)의 어느 한 쪽에 모두 구비되지 않고,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10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에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는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즉, 베이스(100)의 대략 중심부에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1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는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의 어느 한 쪽에 구비되므로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분리하는 경우에 피딩 케이블 및 아웃 케이블이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00)에는 지지프레임(400)이 연결되는 돌출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광처리모듈(3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0)은 베이스(100)의 돌출부(16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나아가, 전술한 관통구(130)는 돌출부(16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돌출부(160)가 대략 베이스(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돌출부(160)에 한 쌍의 관통구(130)가 구비된다. 관통구(130)를 돌출부(160)에 구비하게 되면 돌출부(160)의 높이만큼 관통구(130)를 경유하는 경유 케이블(10)을 지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유 케이블(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접속함(1000)의 내부에서 수납부(410)에 수납되는데, 경유 케이블(10)이 베이스(100)를 지나는 경우에 수납부(410)를 향하도록 방향성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베이스(100)의 돌출부(160)를 지나게 되면 돌출부(160)의 높이만큼 경유 케이블(10)을 고정하게 되며, 나아가 경유 케이블(10)이 상부의 수납부를 향하도록 방향성을 갖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경유 케이블(10)을 수납부(410)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 인접한 베이스(100) 영역에 가이드부(180, 도 2 또는 도 3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 인접하여 베이스(100)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 접하여 베이스(100)에 구비된다.
가이드부(180)는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를 통하여 베이스(100)를 경유하는 피딩 케이블 및 아웃 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베이스(100)를 지나는 피딩 케이블은 상부의 광처리모듈(300)로 연결되므로 상부를 향하여 방향성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가이드부(180)는 인입구(172, 176)를 통해 인입된 피딩 케이블이 상부의 광처리모듈(300)을 향하여 방향성을 가지도록 피딩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처리모듈(300)에서 하부의 베이스(100)를 향하는 아웃 케이블도 가이드부(180)에 의해 고정되어 인출구(174, 178)를 향하여 방향성을 갖게 되어 작업자 등이 보다 용이하게 아웃 케이블을 인출구(174, 178)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80)에는 케이블 홀더(181, 도 2 또는 도 3 참조)가 각각 장착되어 각각의 가이드부(180)에 의하여 안내되는 케이블을 홀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홀더(181)에는 별도의 케이블 고정부재 등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홀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가 서로 연결되는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구비하는 경우에 돌출부(160)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b)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00)가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로 분리되는 경우에 돌출부(160)는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b)가 분리된 경우에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b)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돌출부(160)는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를 구비하며, 제1 돌출부(112)는 제1 베이스부(110a)에 구비되고 제2 돌출부(113)는 제2 베이스부(110b)에 구비된다. 한편,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공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12)에 제1 체결공(137)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체결공(137)에 대응하여 제2 돌출부(113)에 제2 체결공(13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공(137) 및 제2 체결공(136)에 체결되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공(137) 및 제2 체결공(136)을 통해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체결하여 나아가 광접속함(1000)의 내부로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광접속함(1000) 내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관통구(130)에는 경유 케이블(10)이 관통하하며, 각각의 상기 관통구를 실링하기 위한 가스킷(133a, 133b)을 구비할 수 있다. 광접속함(1000)은 내부에 광처리모듈(300)을 비롯하여 각종 전자부품을 포함하게 되며 전자부품은 수분에 취약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광접속함(1000)을 조립하는 경우에도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견고히 조립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종 개구부 등에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베이스(100)에 구비되는 관통구(130)도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관통구(130)를 통해 경유 케이블(10)만 삽입되며 수분 침투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가스킷(133a, 133b)은 한 쌍의 관통구(13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경유 케이블(10)이 지나는 통로를 제공하며, 나아가 관통구(130)를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킷(133a, 133b)은 관통구(130)의 내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경유 케이블(10)이 관통하는 관통홀(134a, 134b)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134a, 134b)의 직경은 경유 케이블(10)과 동일하거나 경유 케이블(10)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킷(133a, 133b)과 경유 케이블(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스킷(133a, 133b)과 관통구(130) 사이의 공간 및 관통홀(134a, 134b)의 내부에는 방수구리스 등을 도포하여 상기 공간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스킷(133a, 133b)이 관통구(1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스킷(133a, 133b)은 제1 베이스부(110a) 및 제2 베이스부(110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스킷(133a, 133b)을 관통구(130)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서로 연결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킷(133a, 133b)의 일측은 제1 돌출부(112)에 구비된 관통구(130)에 의해 지지되며 가스킷(133a, 133b)의 타측은 제2 돌출부(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구획되는 경계선(A)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스켓(133a, 133b)은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를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 사이를 통해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1000)은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의 적어도 한 쪽에 실링을 위한 밀폐부재(135)를 구비할 수 있다.
후술하는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40)와 구별을 위하여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의 적어도 한 쪽에 구비되는 실링재를 밀폐부재(135)로 명명한다.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는 서로 마주보는 대응면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면에 밀폐부재(135)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킷(133a, 133b) 및 방수구리스에 의해 관통구(130)를 실링하고 밀폐부재(135)에 의해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 사이를 실링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172, 176)와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구(174, 178)를 구비한다. 따라서,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를 실링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실링수단은 인입구(172, 176)와 인출구(174, 178)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40) 및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 실링부재(140)가 개재된 상태로 체결되는 체결부재(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를 실링하는 수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베이스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체결부재(150a, 150b, 150c, 150d) 및 실링부재(140a, 140b, 140c, 140d)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100)의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는 체결부재(150)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를 구비한다.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는 외부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베이스(100)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는 내부에 실링부재(140)가 삽입되도록 관통홀(121)을 구비한다.
한편,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는 각각의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에서 상기 커버(200)의 수용공간의 반대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는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21)은 각각의 상기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에 구비되므로 상기 인입구(172, 176) 및 상기 관통홀(121)는 연통된 하나의 홀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인입구(172, 176) 및 인출구(174, 178)를 실링하기 위하여 체결부재(150) 및 실링부재(140)를 구비하는 경우에 체결부재(15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체결보스가 베이스와 별도로 구비되면 베이스에 체결보스를 정렬하고 체결보스에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특히, 체결보스가 베이스의 내부에서 인입구 또는 인출구를 관통하여 베이스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타입의 경우에 체결보스와 케이블 및 실링부재를 연결하는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기밀성 또는 실링성능이 보장된 분리가능한 체결보스는 가격이 높고, 본 발명의 체결보스에 비해 기밀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인입구 및 인출구 등을 실링함과 동시에 체결을 위한 체결보스 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체결보스를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조립작업의 효율을 올리기 위하여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가 베이스(100)에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관통홀(121)을 통해 실링부재(140)를 삽입하고 체결부재(150)를 체결하여 조립과정을 용이하게 마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140)는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관통홀(121)의 내부로 삽입되고 체결부재(150)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에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부재(150)와 체결보스의 체결력에 의해 실링부재(14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추후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피딩 케이블 또는 아웃 케이블을 인입구(172, 176) 또는 인출구(174, 178)에서 분리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재(140)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관통홀(12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실링부재(140)의 분리가 곤란할 수 있다. 특히, 체결부재(150)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체결력에 의해 실링부재(14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므로 실링부재(140)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관통홀(12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실링부재(140)를 다시 꺼내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재(140)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관통홀(121)의 내부로 소정길이만큼 삽입되며, 상기 길이 이상은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의 케이블 실링을 위하여 인입구 또는 인출구의 체결보스에 장착되는 실링부재는 외측 직경이 가변되는 경사구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의 일부영역은 각각의 체결보스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므로, 그 삽입깊이를 제한하거나,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과정에서 실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링부재(140)가 외측 직경이 가변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면에 경사면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를 실링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이 경사진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체결보스 내측의 관통홀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장착되는 구성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실링부재(14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40(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측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실링부재(140(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력적인 재질로 구성된다. 실링부재(140(1))의 형상을 살펴보면, 실링부재(140(1))는 내부에 피딩 케이블 또는 아웃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147(1))을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관통홀(147(1))을 두 개 도시하였지만, 관통홀(147(1))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통홀(147(1))을 한 개만 구비하거나 또는 셋 이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케이블의 직경 및 가닥의 숫자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실링부재는 상기 경사구간은 실링부재 전체영역일 수 있다.
실링부재(140(1))는 그 단면을 살펴볼 때 측면이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θ1)에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실링부재(140(1))는 그 단면의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경사진 형상은 실링부재(140(1))의 상부에 비하여 하부의 직경이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1))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실링부재(140(1))의 경사진 측면에 의해 실링부재(140(1))가 소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140(1))가 소정 깊이 이상으로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θ1)는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θ1)는 체결부재(150)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체결력에 의해 실링부재(140(1))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실링부재(140(1))가 미리 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에 삽입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각도(θ1)가 0도 초과 60도 이하(60도 이하의 경사면)를 이루는 경우에 실링부재(140(1))의 측면 경사에 의해 실링부재(140(1))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력 인가시 실링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θ1)는 대략 5도 내지 30도를 이룰 수 있다.
그런데, 실링부재(140(1))는 체결부재(150)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체결력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경사진 형상을 지닌다고 하여도 상기 체결력에 의해 실링부재(140(1))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40(1))가 소정 깊이 이상으로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40(2))를 도시한다.
도 13을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40(2))는 그 외주부를 따라 단차부(143(2))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실링부재(140(2))의 측면을 살펴보면,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영역(141(2)),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143(2)) 및 체결부재(150)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체결력이 전달되는 제2 영역(145(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깊이를 제한함과 삽입깊이의 한계가 명확하게 한정되지 않아서 발생될 수 있는 체결과정에서의 체결보스의 파손 또는 실링부재의 삽입과정에서의 지나친 삽입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의 외측직경이 가변되는 경사구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경사구간 즉, 실링부재의 외측면 중 경사면은 실링부재의 외측면과 수직선 사이의 경사 각도가 증가 후 감소되는 단차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43(2))가 생략되어도 실링효과가 향상되고, 실링부재의 삽입깊이가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으나, 체결부재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체결력의 인가시 측면에 경사구간을 포함하더라도 삽입깊이가 지나치게 커지거나 체결보스를 파손할 위험성이 있다.
단차부(143(2))는 실링부재(140(2))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며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길이(L)가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길이(L) 만큼 상단에서 이격되어 실링부재(140(2))에 구비된다.
또한, 단차부(143(2))는 수직선(B)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2)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각도(θ2)는 체결부재(150)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체결력에 의해 실링부재(140(2))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실링부재(140(2))의 단차부(143(2))에 의해 실링부재(140(2))가 단차부(143(2)) 이상으로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로 삽입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단차부(143(2))의 각도가 0도 초과 60도 이하를 이루는 경우에 단차부(143(2))에 의해 실링부재(140(2))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θ2)는 대략 5도 내지 30도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140(2))는 단차부(143(2))를 경계로 하여 제1 영역(141(2))과 제2 영역(145(2))의 경사도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141(2))은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삽입되는 영역으로 체결보스(120a, 120b, 120c, 120d)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수직선에 대하여 대략 0도 초과 6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영역(145(2))은 상기 제1 영역(141(2))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더 큰 각도 혹은 더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40(2))는 하나의 관통홀(147(2))을 도시하나, 관통홀(147(2))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단차부를 갖는 실링부재의 각각의 구간별 각도의 범위는 중첩되는 구간이 있을 수 있으나, 위에서 제안된 각도 범위 중 단차부(143(2))의 경사각도가 제1 영역(141(2)) 또는 제2 영역(145(2))의 경사각도 보다는 크게 단차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영역(141(2)) 및 제2 영역(145(2))의 경사각도는 각각 필요에 따라 제안된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40(3))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 13과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40(3))는 피딩 케이블 또는 아웃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147(3))을 둘 이상, 예를 들어 세 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직경 및 가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실링부재(140(3))의 측면이 제1 영역(141(3)), 단차부(143(3)) 및 제2 영역(145(3))을 포함하며, 단차부(143(3))가 이루는 각도(θ3)에 대해서는 도 13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접속함(1000)에 따르면 인입구 및 인출구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보스가 베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광접속함을 조립하는 경우에 조립시간 및 공정의 단축에 의해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가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관통구를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연결선에서 이격되어 구비하여, 유지보수를 위하여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관통구에서 경유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인입구 및 인출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관통구를 실링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킷 및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 사이를 실링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베이스를 커버에 조립하는 경우에 베이스를 통하여 광접속함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의 다른 실시예의 베이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a, 110b)는 조립된 상태에서 볼트(도면부호 미도시) 등에 의하여 돌출부(160, 도 4, 5, 8, 9 참조)에서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4, 5,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a, 110b)의 돌출부(160)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공(137) 및 제2 체결공(136)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조립된 베이스(100)와 체결부재(115) 등을 통해 체결 및 조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a, 110b)의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공(137) 및 제2 체결공(136)을 통해 볼트 등으로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a, 110b)를 조립하는 경우,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에 가해지는 체결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저면 중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a, 110b)의 경계 영역은 벌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의 적어도 한 쪽에 실링을 위한 밀폐부재(1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체결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110a, 110b)는 체결공(137, 136)과 멀어지는 부분, 즉 베이스(100)의 저면 경계 부분이 그 내부에 개재된 밀폐부재 등에 의하여 벌어지도록 압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3)의 체결에 의한 베이스 저면의 벌어짐 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15에 도시된 광접속함의 베이스(100)는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는 상호 조립 및 체결된 상태에서 베이스의 하면 경계영역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수단(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수단(111)은 상기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의 돌출부(112, 113)의 체결시 베이스(100)의 하면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즉, 조립과정에서 상기 구속수단(111)은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된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의 하면 경계 영역이 이격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상기 구속수단(111)은 상기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부에서 다른 베이스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돌기(111b) 및 다른 하나의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돌기(111b)를 걸림 구속하는 걸림돌기(111a)일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베이스(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수단(111)을 구성하는 연장돌기(111b)는 관통구(130)가 형성되지 않은 제2 베이스부(110b)의 저면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110a) 방향으로 연장됨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돌기(111b)는 선단이 분지된 T자형 돌기이며, 상기 걸림돌기(111a)는 상기 연장돌기(111b)의 선단과 걸림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돌기(111b)는 한 쌍이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111a)는 두 세트가 상기 연장돌기(111b)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의 체결을 위하여 조립시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에 구비된 연장돌기(111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a)에 구비된 걸림돌기(111a)에 상단이 걸림되어 베이스부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돌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베이스부(110b)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위치는 제1 베이스부(110a)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돌기(111b)는 한 쌍이 이격된 위치에 제2 베이스부(110b)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각 하나의 연장돌기가 각각의 베이스부의 대칭된 위치에 구비되고, 각각의 연장돌기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다른 베이스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속수단은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또는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수단(111)은 베이스의 조립 및 체결시 그 사이에 개재되는 밀폐부재(135)의 내부압에 의한 베이스 저면 경계 영역의 벌어짐을 차단하기 위하여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경계영역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은 수밀성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밀폐부재 등에 의한 베이스부(110a, 110b) 사이의 벌어짐을 베이스부 저면에 구비되는 구속수단(111)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접속함의 수밀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은 상기 베이스(100) 중심영역에 구비되는 한 쌍의 관통구(130)에 구비되는 가스켓(133a, 133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114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a)와 제2 베이스부(110b)가 구획되는 경계선(A)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스켓(133a, 133b)은 상기 한 쌍의 관통구(130a, 130b)를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단부(114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10b) 중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제1 베이스부(110a)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114b)는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 상부와 하부에 상기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에 구비될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구(130a, 130b)는 경유 케이블이 가스켓에 의하여 압착되어 수밀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상기 가스켓(133a, 133b)은 경유 케이블의 장착시 압축 및 변형되어 관통구의 상부와 하부로 이탈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 상부와 하부에 상기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부를 형성하여 부드러운 재질의 가스켓(133a, 133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은 베이스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에 구비되는 가스킷 등이 경유 케이블을 장착하여도 경유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삐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2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커버;
    피딩 케이블이 인입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입구, 아웃 케이블이 인출되고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인출구 및 상기 커버의 수용공간을 경유하는 경유 케이블이 지나는 한 쌍의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피딩 케이블을 스플리팅 또는 스플라이싱하여 상기 아웃 케이블로 전환시키는 적어도 1개의 광처리모듈;
    상기 광처리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에 상기 실링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의 체결보스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각각 피딩 케이블 및 아웃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보스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외측 직경이 가변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은 실링부재 전체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은 실링부재의 외측면 경사가 증가 후 감소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각도는 0도 초과 6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는 상기 한 쌍의 관통구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크기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구획되는 경계선은 상기 한 쌍의 관통구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과 상기 중심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관통구의 반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에 상기 인입구 및 인출구를 각각 한 쌍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구에는 상기 경유 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관통구를 실링하기 위한 가스킷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구획되는 경계선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스킷은 상기 한 쌍의 관통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분리 가능한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의 적어도 한 쪽에는 실링을 위한 밀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는 광처리모듈이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는 상기 경유 케이블을 정리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호 조립 및 체결된 상태에서 베이스의 하면 경계영역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부에서 다른 베이스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돌기 및 다른 하나의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돌기를 걸림 구속하는 걸림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돌기는 선단이 분지된 'T'자형 돌기이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연장돌기의 선단과 걸림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돌기는 한 쌍이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두 세트가 상기 연장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 중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는 그 두께 방향 상부와 하부에 상기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에 구비될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25. 복수 개의 케이블 인입구 또는 인출구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에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에 체결되며, 내측의 수용공간에 인입된 케이블을 스플라이싱 또는 스플리팅하는 적어도 1개의 광처리모듈이 수용되는 커버; 및,
    상기 인입구 및 상기 인출구를 실링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이 경사진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체결보스 내측의 관통홀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장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는 조립되어 상기 커버의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는 경유 케이블이 지나는 한 쌍의 관통구 및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관통구는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
KR1020120093676A 2012-03-12 2012-08-27 광접속함 KR10192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65,137 US8774586B2 (en) 2012-03-12 2012-10-31 Fiber optics connection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4986 2012-03-12
KR1020120024986 2012-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247A KR20130105247A (ko) 2013-09-25
KR101929586B1 true KR101929586B1 (ko) 2019-03-14

Family

ID=4945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676A KR101929586B1 (ko) 2012-03-12 2012-08-27 광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6286A1 (en) * 2021-09-29 2023-04-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aling arrangement for a cable entrance to an enclos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67089A1 (en) * 2020-09-11 2023-11-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rminal enclosure
CN113824082B (zh) * 2021-11-24 2022-01-25 华海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支持电切换功能的海底光缆分支器
CN114527545B (zh) * 2022-03-25 2023-12-08 武汉鲁班精艺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型分光器调整架
KR20230146931A (ko) * 2022-04-13 2023-10-20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5843A1 (en) * 2007-02-28 2008-08-28 Guy Castonguay 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US20090304341A1 (en) * 2008-06-05 2009-12-10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Sealing gland system
US20110217017A1 (en) * 2008-10-30 2011-09-08 Patrick Drouard Sealing en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099A (en) * 1995-04-26 1996-04-16 Antec Corp. Optical fiber closure with sealed cable entry por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5843A1 (en) * 2007-02-28 2008-08-28 Guy Castonguay 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US20090304341A1 (en) * 2008-06-05 2009-12-10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Sealing gland system
US20110217017A1 (en) * 2008-10-30 2011-09-08 Patrick Drouard Sealing enclo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6286A1 (en) * 2021-09-29 2023-04-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aling arrangement for a cable entrance to an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247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586B1 (ko) 광접속함
CN101836147B (zh) 波分复用模块
CN101669057B (zh) 带有保持连接电缆用的固定座的引入终端
CN102087392B (zh) 光纤分路器模块
RU2608084C2 (ru)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коробка с блоком сплайс-пластин
CN101398514B (zh) 用于信息插座的连接保持器
US7912336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module
US11460656B2 (en) Enclosure for use in a fiber optic distribution network
JP478629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成端盤
CN113261215A (zh) 具有防脱结构的电缆端子组件
JP4786293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110116048A (ko) 광섬유 조립체용 하우징
US8774586B2 (en) Fiber optics connection box
US20220269025A1 (en) Optical branching and termination box
US20220390675A1 (en) Optical termination and derivation box
CN106405767B (zh) 双层光缆接头盒
CN101539650A (zh) 光纤接入终端
KR20140121182A (ko)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KR10183733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US9618706B2 (en) Optical connector
KR20160003163U (ko)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KR20100032733A (ko) Fdf 광분배함
KR200449771Y1 (ko) 광단자함
US10816746B2 (en) Fiber tap optical cross connect terminal closure and terminal splice closure
KR20110009064U (ko)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