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931A -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931A
KR20230146931A KR1020220045960A KR20220045960A KR20230146931A KR 20230146931 A KR20230146931 A KR 20230146931A KR 1020220045960 A KR1020220045960 A KR 1020220045960A KR 20220045960 A KR20220045960 A KR 20220045960A KR 20230146931 A KR20230146931 A KR 2023014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pressing member
seal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지
Original Assignee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931A/ko
Priority to PCT/KR2023/004040 priority patent/WO2023200145A1/ko
Publication of KR2023014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여장판들이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이 지지되며 케이블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장착부가 구비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각 장착부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감싸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고정부를 가진 실링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Mechanical seal Dome type Fiber optic closure}
본 발명은 광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부의 실링과 케이블의 고정구조가 개선된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 케이블은 다수의 광케이블 클러스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광케이블 클러스터는 다수의 광섬유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무한한 길이로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된 길이로 제조되어 드럼에 권취되며, 광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광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을 연결하거나 광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 접속함이 이용된다. 이러한 광 케이블 접속함은 가입자 선로, 중앙국, 중계국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며, 다수의 시스템 또는 수요 세대와의 연결을 위하여 광케이블의 분배, 연결을 위한 광케이블의 고정, 접속 또는 여장 정리 등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광 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의 연결을 위해 광 케이블이 접속함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데, 광 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으로부터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광케이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실외 또는 지하공간에 설치 시 수분이 접속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밀수단이 구비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1-0062328호(2021.05.31.)에는 광접속함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광접속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광케이블이 개재되는 실링부재; 상기 실링부재의 장착부 내에서의 단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실링부재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판을 구비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233344호에는 케이블 접속부 밀봉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밀봉장치는 케이블 접속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일 일단에 결합될 수 있는 밀봉판에 의해 내측요소를 이동시켜 밀봉링이 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속함은 케이블과의 밀봉력을 높일 수 있으나 접속함에 대한 케이블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4-0025789호에는 중간분기용 접속함체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접속함체는 몸체의 일측 인입부에서 분기되는 중간 분기용 광케이블을 열수축 방법이 아닌 긴밀히 압착시키는 글랜드(gland) 타입으로 클램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EP 특허 제 2136118호에는 광섬유용 컨테이너를 통과하는 광 케이블을 밀봉하기 위한 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EP 공개특허 제 2136118호에는 벽을 통해 도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1-00623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2333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4-0025789호 EP 특허 제 21361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에 형성되어 광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장착부에 설치되는 실링부재의 형상변형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의 고정력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링유닛들을 구비한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여장판을 이용한 연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실링을 위해 광 케이블과의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 케이블의 직경변화에 따라 호환성 있게 적용하여 수밀성 및 광케이블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실링유닛을 구비한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유닛의 제1,2가압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광 케이블을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광 케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케이블이 베이스부재의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계식 돔형 접속함은 광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여장판들이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이 지지되며 케이블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장착부가 구비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각 장착부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감싸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고정부를 가진 실링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장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결합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1케이블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2단위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압부재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2결합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2케이블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3,4단위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제 2가압부재와,
상기 제1,2가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2케이블삽입구와 대응되는 케이블파지구가 형성된 실링부재와,
상기 제 1,2가압부재를 상호 실링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실링부재가 형상변형됨으로써 케이블의 외주면과 고정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 1단위가압부재에 상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제 1돌기지지부와 상기 제1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결합돌기와, 제 2단위가압부재에 하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제 2돌기지지부와 상기 제2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 3단위가압부재에 상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제 3돌기지지부와 상기 제3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결합돌기와, 제 4단위가압부재에 하면으로부터 인입형성 된 제 4돌기지지부와 상기 제4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결합돌기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제1가압부재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인장선을 고정하는 인장선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선고정부는 상기 제 1가압부재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된 케이블지지브라켓과, 상기 케이블지지브라켓의 지지부에 삽입부와 케이블의 인장선가 삽입되는 인장선파지부재와, 상기 인장선파지부재에 나결합되어 지지부와 인장선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는 장착부에 장착된 실링부재와 대응되는 내주면에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유닛이탈방지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이탈방지부는 상기 장착부 주위의 베이스부재에 나사결합되며 헤드부의 일부가 상기 제 2가압부재의 하면 가장자리에 하면에 밀착되어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세트스크류들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베이스부재와 실링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싱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케이블고정부에 의해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실링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이탈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장착부에 결합된 실링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의 장착부의 결합된 실링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10)은 베이스부재(20)와 상기 베이스부재(20)와 결합되며 광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여장판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40)와,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장착부(21)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광케이블(200)과 장착부(21)의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유닛(6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접속함(10)을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부재(20)는 상면측에 광케이블(200)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을 연결하기 위한 여장판(11)들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광케이블(20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복수개의 장착부(21)들이 구비되다. 상기 장착부(21)는 베이스부재(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열 설치되는데, 단면이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장착부(21)들의 사이에는 리브들이 형성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베이스부재(20)와 결합되어 여장판(11)이 설치된 지지프레임(12)를 감싸 밀폐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40)와 베이스부재(20)의 결합은 결합부위에 패킹을 개재한 상태에서 토글 클램프 또는 세트스크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외주면에는 접속함을 현가를 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유닛(60)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장착부(21)들에 각각 장착되어 연결을 위한 광케이블(200)을 지지함과 아울러, 광케이블(200)이 커버(40)와 베이스부재(2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으로의 유입 및 유출 시 광 케이블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 사이에 수밀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실링유닛(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200)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된 장착부(21)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21)의 중공부(21a)에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2가압부재(60)(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2가압부재(60)(1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2가압부재(60)(100)에 의해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해 형상변형이 이루어져 광케이블(200)의 외주면과 장착부(21)의 중공부(21a)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80)와, 상기 제 1,2가압부재(60)(100)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밀착시켜 실링부재(80)를 변형시키기 위한 체결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실링유닛(50)의 상기 제1가압부재(60)는 결합상태 유지하기 위한 제 1결합부(70)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1케이블 삽입구(61)를 형성하는 제1,2단위가압부재(63)(64)를 포함한다. 결합이 이루어진 제1,2단위가압부재(63)(64)의 외형은 장착부(21)의 단면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블삽입구(61)는 제 1,2단위가압부재(63)(64)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 장착부(21)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2단위가압부재(63)(64)의 결합 시 원형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케이블삽입구(61)의 직경은 접속함을 통하여 연결되는 광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2단위가압부재(63)(64)에 형성된 상기 제1케이블사입구(61)의 직경의 크기와 갯수는 제1,2단위가압부재(63)(64)의 제1결합부(70)와 체결부(110)에 간접되지 않은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70)는 상기 제 1단위가압부재(63)에 상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제 1돌기지지부(71)와 상기 제1단위가압부재(63)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결합돌기(73)와, 제 2단위가압부재(64)에 상면으로부터 인입형성 된 제 2돌기지지부(75)와 상기 제2단위가압부재(63)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결합돌기(77)를 구비한다.
상기 제 1단위가압부재(63)에 형성된 제1돌기지지부(71)는 제1단위가압부재(6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제1지지공(7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공(71a)로부터 상기 제 2단위가압부재(64)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공(71a)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제 1가이드부(71b)가 형성되어 일루어진다. 그리고 제1결합돌기(73)는 후술하는 제 2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1연장부(73a)와 상기 제1연장부(73a)의 단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 2지지공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1걸림부(73b)를 구비한다. 제1걸림부(73b)에는 후술하는 제2지지공과 연통되는 제1 관통공(73c)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단위가압부재(64)에 형성된 제2돌기지지부(75)는 제 1돌기지지부(7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2걸림돌기(77)는 제 1걸림돌기(7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제 2단위가압부재(64)에 형성된 제2돌기지지부(75)는 제2단위가압부재(64)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제2지지공(75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공(75a)으로부터 상기 제 1결합부재(63)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공(75a)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제 2가이드부(75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결합돌기(77)는 상기 제 1가이드부(71b)와 결합되는 제2연장부(77a)와 상기 제2연장부(77a)의 단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 1지지공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77b)를 구비한다. 제2걸림부(77b)에는 상기 제1지지공(71a)과 연통되는 제2 관통공(77c)가 형성된다.
상기 제 2가압부재(100)는 상기 제 1가압부재(6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데, 하면측에 후술하는 보조케이블고정부(1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실링유닛의 제 2가압부재(100)는 결합상태 유지하기 위한 제 2결합부(90)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2케이블 삽입구(101)을 형성하는 제3,4단위가압부재(103)(1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단위가압부재(103)(104)에 의해 형성되는 제2케이블 삽입구(101)는 제 1가압부재(60)에 형성된 제1케입블삽입구(61)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90)는 상기 제 3단위가압부재(103)에 상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제 3돌기지지부(91)와 상기 제3단위가압부재(103)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결합돌기(93)와, 제 4단위가압부재(104)에 하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제 4돌기지지부(95)와 상기 제4단위가압부재(104)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결합돌기(97)를 구비한다.
상기 제 3단위가압부재(103)에 형성된 제3돌기지지부(91)는 제3단위가압부재(10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제3지지공(91a)가 형성되고, 상기 제3지지공(91a)로부터 상기 제 4단위가압부재(104)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지지공(91a)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제 3가이드부(9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결합돌기(93)는 후술하는 제 2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3연장부(93a)와 상기 제3연장부(93a)의 단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 4지지공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3걸림부(93b)를 구비한다. 제3걸림부(93b)에는 후술하는 제4지지공와 연통되는 제3 관통공(93c)가 형성된다.
상기 제 4단위가압부재(104)에 형성된 제4돌기지지부(95)는 제 3돌기지지부(9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4걸림돌기(97)는 제 3걸림돌기(7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제 4단위가압부재(104)에 형성된 제4돌기지지부(95)는 제4단위가압부재(104)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제4지지공(95a)가 형성되고, 상기 제4지지공(95a)로부터 상기 제 3단위결합부재(103)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지지공(95a)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제 4가이드부(95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4결합돌기(97)는 상기 제 4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4연장부(97a)와 상기 제4연장부(97a)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 3지지공에 결합되는 제4걸림부(97b)를 구비한다. 제4걸림부(97b)에는 상기 제3지지공(91a)과 연통되는 제4 관통공(97c)이 형성된다. 상기 제 3,4지지공(91a)(95a)과 상기 제3,4걸림부(93b)(97b)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더브테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가압부재(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조 케이블고정부(120)는 상기 실링유닛(50)의 제 2케이블사입구(101)를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광케이블(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 3단위가압부재(103)의 하면과 제 4단위가압부재(104)의 하면중 적어도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다수개의 제1고정공(111)들이 형성된 제1보조케이블고정편(112)들을 구비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1보조케이블고정편(112)은 제 2케이블삽입구(10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케이블고정부(120)는 제1보조케이블고정편(112)에 형성된 제 1,2고정공(111)에 삽입되어 제 2케이블 사입구를 통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광케이블(200)을 고정하기 위한 밴드(10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실링유닛의 실링부재(80)는 상기 제1가압부재(60)과 제 2가압부재(9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2가압부재(60)(90)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변형되어 장착부(21)의 내주면과 이에 지지된 광케이블(200)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실링부재(80)는 상기 제1,2케이블 삽입부(61)(101)들과 대응되는 케이블파지공(81)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가압부재(60)(100)에 각각 형성된 제1,3지지공(71a)(91a), 제2,4지지공(75a)(95a)와 대응되는 제 1,2결합공(85)(8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80)는 제1,2가압부재(60)(100)에 의해 가압 시 상기 장착부(21)의 내주면과 케이블파지공(81)에 삽입된 광케이블(2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실링부재(80)는 이에 형성된 케이블파지공(81)에 원활하게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8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80)는 탄성변형 가능한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링부재(80)는 실리콘,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착부(21) 내의 단면 형상 또는 제 1,2가압부재(61)(7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200)의 직경이 제1,2케이블파지공(8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실링을 위한 광케이블(2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보조케이블파지공(87)들이 형성된 보조실링부재(88)가 상기 제1,2케이블파지공(81)(82)에 각각 결합 된 상태에서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케이블파지공(87)은 보조실링부재(88)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제1가압부재(60)와 제 2가압부재(100)에 결합되어 이들을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부재(80)가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가압부재(60)(100)와 실링부재(80)를 관통하여 체결볼트(121)(122)들과, 상기 체결볼트(121)(122)들과 각각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123)를 구비한다.
일측의 체결볼트(121)는 제 3지지공(91a)과 이에 삽입된 제4걸림부(97b)의 제4관통공(97c), 실링부재(80)의 제1결합공(85) 및 제1지지공(71a)과 이에 결합된 제 2걸림부(77b)의 제 2관통공(77c)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123)의 일측과 나사결합되고, 타측의 체결볼트(122)는 제 4지지공(95a)에 결합된 제 3결합부의 제3관통공(93c)과 제 2결합공(86) 및 제2지지공(95a)에 결합된 제1걸림부(73b)의 제 1관통공(73c) 및 제 2지지지지공(75a)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124)의 타측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2가압부재(60)(100)를 각각 실링부재(80)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한편, 장착부(21)의 내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진 실링유닛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출턱(2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가압부재(71)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실링유닛(50)이 장착부(21)로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 제한 돌출턱(107)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21)에 설치된 베이스부재(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21)에 삽입된 실링유닛(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유닛이탈방지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이탈방지부(130)는 상기 장착부(21) 주위의 베이스부재(20)에 나사결합되며 헤드부(131)의 하면 일측이 제 2가압부재(100)의 돌출턱(107)의 하면일측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132)들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실링유닛(50)의 상면측에는 베이스부재(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광케이블(200)을 인장선(210)를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고정부(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150)는 상기 제1가압부재(60)의 상면에 고정되는 케이블지지브라켓(151)이 설치되고, 이 케이블지지브라켓(151)에는 편상의 결합지지부(152)들이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각 결합지지부(152)에는 인장선삽입부(153)가 형성된 인장선파지부재(154)가 삽입되고, 상기 인장선파지부재(154)에는 상기 인장선파지부재(15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인장선파지부재(154)에 삽입된 결합지지부(154)와 광케이블(200)의 인장선(21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55)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지지브라켓(151)의 기부는 제 1,2가압부재(60) 및 실링부재(80)을 결합하는 체결볼트(121)(122)의 단부에 체결부재(123)와 같이 삽입된 후 체결부재(12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케이블지지브라켓(151)의 기부는 체결부재(12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브라켓(151)에는 상기 체결볼트(121)(122)의 단부가 돌출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실링부재(80)의 가압한계를 표시하는 실링부재변형한계표시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표시부재변형한계표시부(140)는 실링부재(80)의 변형력에 의한 수밀력을 고려하여 상한치와 하한치를 표시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지지프레임(12)의 하부측 즉, 베이스부재(20)의 상면측과 인접되는 지지프레임(12)에 설치될 수 있도 있다. 이 경우 케이블고정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측에는 상기 실링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광 케이블(2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광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양측에는 광케이블(200)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클립을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클립고정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베이스부재(20)의 장착부(21)들에 결합된 실링유닛(50)에 의해 지지되는 광케이블(200)들의 광심선들이 프레임(12)에 지지된 연장판(11)들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10)은 베이스부재(20)와 커버(40)가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어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장착부(21)에 광케이블(200)을 지지한 상태로 삽입되는 실링유닛(50)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과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200)은 실링유닛(50)에 설치되는 케이블고정부(150)와 보조케이블고정부(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광케이블(200)에 작용하는 견인 외력에 의해 광케이블(200)이 접속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여장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광심선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10)의 베이부재(20)에 형성된 장착부(21)와 결합되어 광케이블(200)의 인입 및 인출에 따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유닛(50)은 제 1,2단위가압부재(63)(64)가 결합된 제1가압부재(60)과 제 3,4단위가압부재(103)(104)가 결합된 제 2가압부재(100)와 이들에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부재(80)가 체결부(120)에 의해 가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제2가압부재(100)의 제2케이블삽입구(101)들과 실링부재(80)의 제 1,2케이블파지공(81) 및 제 1케이블삽입구(61)을 통하여 연결을 위한 광케이블(200) 삽입한다.
상기 광케이블(200)의 삽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가압부재(60)과 실링부재(80)과 제 2가압부재(100)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가압부재(60)와 제 2가압부재(90)는 제 1,2단위가압부재(63)(64)와, 제 3,4단위가압부재(103)(104)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가압부재(60)를 이루는 제1,2단위가압부재(63)(64)의 결합은 상기 제1돌기부(67)가 제 2돌기지지부(75)와 결합되고, 제 2돌기부(77)가 제 1돌기지지부(71)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2돌기부(67)(77)의 단부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2돌기지지부(71)(75)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결합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가압부재(100)를 이루는 제3,4단위가압부재(103)(104)의 결합은 상기 제3돌기부(97)이 제 4돌기지지부(95)에 결합되고, 제 4돌기부(97)가 제 3돌기지지부(91)과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2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진 실링유닛(50)들을 각각의 장착부(21)에 삽입한다. 이때에 상기 삽입제한돌출턱(107)이 베이스부재(20)의 장착부(21)의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21)에 실링유닛(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체결부(120)의 체결볼트(121)(122)를 죔으로써 상기 제1,2가압부재(60)(90)를 각각 상기 실링부재(80) 측으로 이동하여 실링부재(80)를 가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는 실링부재(80)는 변형되면서 외주면이 상기 장착부(21)의 내주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실링부재(80)의 제 1,2케이블파지공(81)(82)의 내주면은 제1,2케이블파지공(81)(82)에 삽입된 광케이블(20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장착부(21)의 내주면과 상기 광케이블(200)의 외주면과 실링부재(80)의 밀착력은 체결부(120)에 의한 제1,2가압부재(61)(71)의 이송압력을 크게하면 할수록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링유닛(50)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블고정부(15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200)의 인장선를 고정한다. 상기 광케이블고정부(150)에 의한 광케이블(200)의 인장선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지지브라켓(151)의 결합지지부(152)에 결합된 인장선파지부재(153)에 광케이블(200)의 인장선(210)를 삽입하고, 상기 인장선파지부재(153)에 나사결합 고정부재(154)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실링유닛(50)의 제 2가압부재(10)의 하면에 형성된 보조케이블고정부(110)의 제1,2보조케이블고정편(112)에 형성된 제1,2고정공과 밴드(105)를 이용하여 광케이블(200)의 하부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200)에 외부로부터 외력에 의해 광케이블(200)이 당겨지게 되면, 실링유닛(50)에 설치된 케이블고정부(150)과 보조케이블고정부(110)에 의해 광케이블(200)이 실링유닛(50)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유닛(50)의 실링부재(80)는 변형되면 장착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출부(21b)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광케이블의 이탈과 실링유닛(50)의 이탈이 방지된다.
특히 베이스부재(20)와 나사결합되는 실링유닛이탈방지부(130)의 세트스크류(132)의 헤드부(131)의 일부가 장착부(21)에 삽입된 실링유닛(50)의 제2가압부재(100)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장착부(21)로부터 실링유닛(50)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돔형 집속함의 다른 실시에에 있어서, 광케이블(200)의 직경이 실링유닛(80)에 형성된 제1,2케이블파지공(81)(82)들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보조실링부재(88)의 보조케이블파지공(87)들에 광케이블(200)들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보조실링부재(88)를 제1,2케이블파지공(81)(82)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가압부재(61)(71)를 체결부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실링부재(80)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하면,상기 실링부재(80)가 변형되면서, 이의 외주면에 장착부(2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실링부재(80)의 제1,2케이블파지공(81) 부위가 상기 보조실링부재(88)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실링부재(88)의 보조케이블파지공(87)의 내주면측은 상기 광케이블(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링유닛(50)은 다양한 직경 즉, 제1,2케이블파지공(81)(8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광케이블을 파지 및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내부의 구획된 공간으로의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에 따른 기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케입블에 장력에 의해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광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여장판들이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이 지지되며 케이블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장착부가 구비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감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각 장착부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감싸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고정부를 가진 실링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장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결합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1케이블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2단위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압부재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2결합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2케이블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3,4단위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제 2가압부재와,
    상기 제1,2가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2케이블삽입구와 대응되는 케이블파지구가 형성된 실링부재와,
    상기 제 1,2가압부재를 상호 실링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실링부재가 형상변형됨으로써 케이블의 외주면과 고정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 1단위가압부재에 상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제 1돌기지지부와 상기 제1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결합돌기와, 제 2단위가압부재에 하면으로부터 인입형성 된 제 2돌기지지부와 상기 제2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 3단위가압부재에 상면으로부터 인입형성 된 제 3돌기지지부와 상기 제3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결합돌기와, 제 4단위가압부재에 하면으로부터 인입형성 된 제 4돌기지지부와 상기 제4단위가압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결합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위가압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지지부는 제1단위가압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제1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공로부터 상기 제 2단위가압부재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공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제 1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돌기는 제1단위가압부재로부터 상기 제2단위가압부재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단위가압부재에 형성된 제2돌기지지부는 제2단위가압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제2지지공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공로부터 상기 제 1위결합부재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공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제 2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돌기 상기 제 1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 2관통공이 형성된 제2걸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제1가압부재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인장선를 고정하는 인장선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선고정부는 상기 제 1가압부재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된 케이블지지브라켓과, 상기 케이블지지브라켓의 지지부에 삽입부와 케이블의 인장선이 삽입되는 인장선파지부재와, 상기 인장선파지부재에 나결합되어 지지부와 인장선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제 3단위가압부재와 제 4단위가압부재의 적어도 일측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케이블고정부와, 상기 제1케이블고정부에 지지된 케이블을 제1케이블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구비한 보조케이블파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는 장착부에 삽입된 실링부재와 대응되는 내주면에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유닛이탈방지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이탈방지부는 상기 장착부 주위의 베이스부재에 나사결합되며 헤드부의 일부가 상기 제 2가압부재의 하면 가장자리에 하면에 밀착되어 실링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세트스크류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케이블지지공과 대응되도록 케이블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파지공이 개방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함.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파지공에는 실링을 위한 광케이블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보조케이블파지공들이 형성된 보조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가압 시 보조실링부재와 광케이블이 가압됨으로써 수밀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가 돌출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실링부재의 가압한계를 표시하는 실링부재변형한계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함.



KR1020220045960A 2022-04-13 2022-04-13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KR20230146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960A KR20230146931A (ko) 2022-04-13 2022-04-13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PCT/KR2023/004040 WO2023200145A1 (ko) 2022-04-13 2023-03-27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960A KR20230146931A (ko) 2022-04-13 2022-04-13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931A true KR20230146931A (ko) 2023-10-20

Family

ID=8832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960A KR20230146931A (ko) 2022-04-13 2022-04-13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6931A (ko)
WO (1) WO202320014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344B1 (ko) 1990-09-13 1999-12-01 쟈끌린 오끌랑 쿠케 케이블 접속부 밀봉 장치
EP2136118A1 (en) 2008-06-16 2009-12-23 Optotec S.p.A. Device for sealing cables through containers for optical fibres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device
KR20140025789A (ko)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중간 분기용 광접속함체
KR20210062328A (ko) 2019-11-21 2021-05-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접속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308B2 (en) * 2001-02-12 2003-08-19 E20 Communications, Inc. Fiber-optic modules with shielded housing/covers having mixed finger types
KR20130041648A (ko) * 2011-10-17 2013-04-25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케이블 인입관 구조
JP5880041B2 (ja) * 2011-12-28 2016-03-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KR101929586B1 (ko) * 2012-03-12 2019-03-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접속함
KR102211791B1 (ko) * 2020-06-10 2021-02-03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통신구용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344B1 (ko) 1990-09-13 1999-12-01 쟈끌린 오끌랑 쿠케 케이블 접속부 밀봉 장치
EP2136118A1 (en) 2008-06-16 2009-12-23 Optotec S.p.A. Device for sealing cables through containers for optical fibres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device
KR20140025789A (ko)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중간 분기용 광접속함체
KR20210062328A (ko) 2019-11-21 2021-05-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145A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0436B2 (en) Connection module for cable seal gel block
AU659959B2 (en)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US11422328B2 (en) Adapter tube for a cable fixation and sealing system
CA2143201C (en) Sealing member
EP1929341B1 (en) Fiber optic universal bracket apparatus and methods
KR19980703282A (ko) 돔형의 광섬유용 폐쇄체
EP2136118B1 (en) Device for sealing cables through containers for optical fibres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device
US11867872B2 (en) Cable fixation devices and arrangements with improved installation and space utilization at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MX2012002912A (es) Caja terminal para cables opticos.
MX2011011841A (es) Una caja de empalmes de cable que utiliza diferentes maneras para realizar la impermeabilización del cable principal.
KR20230146931A (ko) 기계식 돔형 광 케이블 접속함
CA3159108A1 (en) Terminal system assemblies with breakout/adapter modules
US11852883B2 (en) Cable clamp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KR102350854B1 (ko) 단자함
GB2298053A (en) An optical fibre management system
US20230045054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JPH035690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部構造体
KR200163090Y1 (ko)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IE74148B1 (en) An optical fibre management system
KR20040014644A (ko) 광케이블용 접속함
ITMI941972A1 (it) Coprigiunto universale per cavi per telecomunicazio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