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090Y1 -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 Google Patents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090Y1
KR200163090Y1 KR2019970005345U KR19970005345U KR200163090Y1 KR 200163090 Y1 KR200163090 Y1 KR 200163090Y1 KR 2019970005345 U KR2019970005345 U KR 2019970005345U KR 19970005345 U KR19970005345 U KR 19970005345U KR 200163090 Y1 KR200163090 Y1 KR 200163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nclosure
end cap
optical fi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152U (ko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05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0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접속함체를 조립 함에 있어서 광섬유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상에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결되어 체결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광섬유보호지지판(10)을 둘러싸는 외함(20)과, 외주연를 따라 삽입홈(32)이 형성된 원형판에 상기 광섬유보호지지판(10)에 광섬유를 안내하는 광케이블인입구(36)가 형성되고 상기 외함(20)의 양측단에 고정수단으로 결합된 엔드캡(30)으로 구성된 광접속함체에 있어서,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엔드캡(3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안착홈(42)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42)의 바닥면에 고정부재(47)가 부착된 받침대(40)로 구성되어 받침대의 안착홈에 엔드캡을 고정시켜 고정부재에 의해 엔드캡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광접속함체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본 고안은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접속함체의 조립 및 광섬유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섬유로 된 광화이버 즉, 광섬유가 매개체가 되며,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전자 자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않아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함으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지상, 지중에 매설되기도 하고, 대륙과 대륙, 육지와 섬을 연결하기 위해 해저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때, 광섬유가 설치되는 기점과 종점까지 연결됨 없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광섬유는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로 설치하게 됨으로 여러개의 광섬유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의 연결 부위에서 광신호의 손실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 심한 자연의 악조건 하에서도 그 연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광섬유의 매설길이가 길게 연결되기 때문에 장력이 발생되고, 또 광화이버의 특성상 수분에 취약한 약점이 있으므로 상술한 장력과 수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는데는 접속함체를 사용하게 된다.
광접속함체는 광섬유의 단부를 기밀하게 통과시키는 엔드캡(End Cap)과, 이 엔드캡을 기밀하게 둘러싸는 외함과, 함체의 내부에 광섬유를 이루는 다수가닥의 광화이버 연결용 접속 광섬유보호지지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드캡은 인장력에 강하도록 서로를 결속하는 클램핑바(Clamping Bar)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외함은 광섬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통의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절결되고 그 절결부에 실리콘 개스킷을 삽입하여 밀봉성을 증진하며, 광섬유의 접속시에는 내부를 개방하고, 접속완료 후에는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습기에 취약한 광섬유의 특성에 의해 외함을 기밀하게 결합하여 광섬유를 습기로부터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접속함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접속함체가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광접속함체는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광섬유보호지지판(10)과, 광섬유보호지지판(10)을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는 외함(20)과, 양측면에 광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인입구(36)가 형성된 엔드캡(30)으로 구성된다.
외함(20)은 길이 방향으로 절결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원통의 양측내경에는 엔드캡(30)의 홈에 끼워지는 밀폐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단부에는 "ㄷ"형으로 서로 반향되게 절곡된 플랜지(22)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22)의 접촉면에는 개스킷(24)이 끼워지도록 개스킷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22)의 단부에는 탄성부재(26) 및 지지철심(28)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 플랜지(22)에는 외함(20a)을 밀폐시킬 때 플랜지(22)를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26)와 지지철심(28)이 개재된다.
탄성부재(26)는 플랜지(2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22)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이고 그 반대측면은 배가 부른 형태를 갖는다. 즉, 양단부에서 중간부로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지지철심(28)은 플랜지(2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상으로 양단부에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랜지(22)의 외측면에 개재된 탄성부재(26)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플랜지(22)를 기밀하게 밀착시킨다.
체결수단은 지지철심(28)의 양단부가 두께가 얇아져 부드럽게 활곡된 인장편(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장편(29)의 외측면에 나사구멍(29a)이 형성된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장편(29)의 브래킷에는 나사구멍(29a)에 삽입되어 나사조임력에 의해 브래킷을 당겨 조이는 볼트(40) 및 너트(42)가 구비된다.
엔드캡(30)은 외주연으로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으로는 광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인입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엔드캡(30)은 광케이블의 장력을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클램핑바(34)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광접속함체의 외함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함(20a)의 양측 플랜지(22) 외측면에 탄성부재(26)를 각각 밀착시킨 후 그 외부로 지지철심(28)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대향된 지지철심(28)의 양측단 인장편(29)에 형성된 브래킷의 나사구멍(29a)에 볼트(40)를 삽입시킨 다음 너트(42)를 체결한다. 너트(42)의 체결에 의해 브래킷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지는데, 이 작용에 의해 인장편(29)은 당겨지게 되고 이어서 양측 지지철심(28)은 인장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이 인장력은 탄성부재(26)의 곡면을 따라 활곡되어 있는 지지철심(28)을 직선으로 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6)를 가압하여 플랜지(22)의 양단을 조이게 된다. 이때, 플랜지(22)를 조이는 힘은 지지철심(28)의 양단부가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되지만 탄성부재(26)의 중간부위가 배가부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발생된 인장력이 탄성부재(26)의 중간부위를 가장 큰힘으로 누르게 된다. 이는 결국 플랜지(22)를 가압하는 힘이 균등하게 작용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됨으로 플랜지(22)는 전체적으로 기밀하게 밀착된다. 이와 더불어 플랜지(22)의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24)이 지지철심(28)에 의해 개스킷홈(23)에서 압착됨에 따라 플랜지(22)는 더욱더 기밀하게 밀착된다.
그러나, 클램핑바에 의해 연결된 엔드캡(30)의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를 광섬유보호지지판 속에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광접속은 광케이블코어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접속에 따른 정밀성이 요구되지만 광케이블의 코어의 접속시 엔드캡이 회전되면 접속불량을 야기하거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광접속함체의 유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목적은 광접속함체를 조립하거나 광접속함체 내부에서 광케이블를 접속시킬 때 엔드캡을 고정시키는 받침대를 형성하여 광접속함체 조립 및 광케이블 접속잡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 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조립받침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조립시에 엔드캡이 받침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광섬유보호지지판 20 : 외함
22 : 플랜지 24 : 개스킷
26 : 탄성부재 28 : 결합밴드
40 : 볼트 42 : 너트
30 : 엔드캡 32 : 삽입홈
34 : 클램핑바 36 : 케이블인입구
40 : 받침대 42 : 안착홈
44 : 가이드 46 : 고정홈
47 : 고정부재 48 : 고정돌기
49 : 체결홈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수단은 원통형상으로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결되어 체결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광케이블를 접속시키는 광섬유보호지지판을 둘러싸는 외함과, 외주연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원형판에 상기 광섬유보호지지판으로 광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인입구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의 양측단에 고정수단으로 결합된 엔드캡으로 구성된 광접속함체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의 원주면이 재취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미끄럼방지용 고정부재가 부착된 받침대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조립시에 엔드캡을 고정시키는 받침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받침대(40)는 직육면체형태로 상면에서 함몰된 안착홈(42)가 형성되고, 그 안착홈(42)를 횡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두 개의 몸체부로 구성된 상태이다. 두 개의 몸체부로 분리된 면에는 안착홈(42)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고정돌기(48)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결홈(4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다른 받침대(40)의 절결된 면에는 상술된 고정돌기(48)와 체결홈(49)에 서로 교차되게 고정돌기(48)와 체결홈(4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받침대(40)은 이등분하지 않고 일체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두 개로 분리된 받침대(40)를 고정돌기(48)와 체결홈(49)에 결합시키면 안착홈(42)의 바닥면에는 도 1에 도시된 엔드캡(30)의 삽입홈(32)에 삽입되는 넓이와 높이를 지니고, 엔드캡(3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가이드(4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44)의 양측에는 가이드의 고정홈(46)이 형성된다. 그 고정홈(46)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일정두께의 고정부재(47)가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조립할 때 엔드캡이 받침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광접속함체의 조립과정에서 두 개로 분리된 조립 받침대(40)는 고정돌기(48)를 체결홈(49)에 일체로 결합시켜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엔드캡(30)의 삽입홈(32)을 받침대(40)의 가이드(44)위에 재치시킨다. 이때 가이드(44)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46)에 엔드캡(30)의 외주연부가 고정되어 고정부재(47)와의 마찰력에 의해 엔드캡(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된 설명으로 광접속함체는 양측의 엔드캡(30)을 고정시킨 후에 광섬유보호지지판(10)의 양측 광케이블을 접속시킨 후에 외함(20)을 도 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40)에 엔드캡(30)을 고정시키고 광케이블을 접속시킬 때 광섬유보호지지판이 고정되어 광케이블의 접속작업시에 정밀성을 부여할 수 있고, 그 작업이 편리하며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40)를 다수개로 분리함에 따라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원통형상에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결되어 체결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광케이블을 접속시키는 광섬유보호지지판(10)을 둘러싼 외함(20)과, 외주연을 따라 삽입홈(32)이 형성된 원형판에 상기 광섬유보호지지판(10)에 광케이블을 안내하는 광케이블인입구(36)가 형성되고 상기 외함(20)의 양측단에 고정수단으로 결합된 엔드캡(30)으로 구성된 광접속함체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30)의 원주면이 재치되는 안착홈(42)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42)의 바닥면에 고정부재(47)가 부착된 받침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42)에는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엔드캡(30)의 삽입홈(32)에 삽입되는 가이드(44)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44)의 양측에는 고무재질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를 두 개의 몸체부로 구성하되, 서로 접하는 면에 고정돌기(48)와 체결홈(49)를 한쌍으로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의 조립받침대.
KR2019970005345U 1997-03-21 1997-03-21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KR200163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345U KR200163090Y1 (ko) 1997-03-21 1997-03-21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345U KR200163090Y1 (ko) 1997-03-21 1997-03-21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152U KR19980061152U (ko) 1998-11-05
KR200163090Y1 true KR200163090Y1 (ko) 1999-12-15

Family

ID=1949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345U KR200163090Y1 (ko) 1997-03-21 1997-03-21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0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152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9959B2 (en)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US4295005A (en) Cable splice closure
US4538021A (en) Cable closure having asymmetrical end plate assembly
US11677223B2 (en) Cable grounding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RU21643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ростков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KR100684024B1 (ko) 케이블 클로저 및 케이블의 밀폐 방법
US3769443A (en) Buried-type splice case
US4548465A (en) Panel seal and support structure for fiber optic cable
US20060127026A1 (en) Fiber access terminal
WO1998036301A1 (en) In-line fiber optic splice protection device
JPH0522210B2 (ko)
EP3881112A2 (en)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 modular adapter support array
US20220196949A1 (en) Cable seal and attachment assembly
KR20230117047A (ko) 고전압 커넥터용 케이블 어셈블리 및 고전압 커넥터
US4306760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0163090Y1 (ko)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US5204933A (en) Sleeve coupling for a branching or connecting point of cables
US4804252A (en) Housing for a fiber optic component
KR200161877Y1 (ko) 말이형 광접속함체의 외함
US4834489A (en) Housing for a fiber optic component
US5519171A (en) Wire splice enclosure
JP257417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部構造体
KR19980052841U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US5232376A (en) High-voltage connector assembly
CN218567697U (zh) 一种具有良好密封性能与抗震性能可重复开启的光缆接续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