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841U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2841U KR19980052841U KR2019960066021U KR19960066021U KR19980052841U KR 19980052841 U KR19980052841 U KR 19980052841U KR 2019960066021 U KR2019960066021 U KR 2019960066021U KR 19960066021 U KR19960066021 U KR 19960066021U KR 19980052841 U KR19980052841 U KR 1998005284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flange
- optical cable
- longitudinal direction
- coupling ban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함체의 내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외부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단순한 구조 및 조작으로 접속함체를 밀폐시키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원판 형상 엔드캡(12)이 양측에 위치하고 그 둘레를 감싸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광케이블의 접속함체 외함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원통형상으로 된 외함(30)의 절결단부 양단에 서로 반향된 ㄷ형상의 플랜지(32)를 구비하되, 상기 양측 플랜지(32)의 대향면에 개스킷홈(33) 및 개스킷홈(33)에 개재되는 개스킷(34)을 갖고; 상기 양측 플랜지(32)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재되되 플랜지(32)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이고 그 반대측면은 양단에서 중간부위로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로된 복수개의 탄성부재(40)와; 상기 탄성부재(40)가 개재된 양측 플랜지(32)에 밀착되고 양측단부에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32)를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결합밴드(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함체의 내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외부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단순한 구조 및 조작으로 접속함체를 밀폐시키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섬유로 된 광화이버 즉, 광케이블이 매개체가 되며,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전자 자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않아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함으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지상, 지중에 매설되기도 하고, 대륙과 대륙, 육지와 섬을 연결하기 위해 해저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때, 광케이블이 설치되는 기점과 종점까지 연결됨 없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로 설치하게 됨으로 여러개의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광케이블의 연결부위에서는 되도록 광신호의 손실없도록 해야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 심한 자연의 악조건하에서도 그 연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광케이블의 매설길이가 길게 연결되기 때문에 엄청난 장력이 발생되고, 또 광화이버의 특성상 수분에 취약한 약점이 있으므로 상술한 장력과 수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해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는데는 접속함체를 사용하게 된다.
접속함체는 양측에 위치하여 광케이블의 단부를 기밀하게 통과시키는 엔드캡(End Cap)과, 이 엔드캡을 기밀하게 둘러싸는 외함과, 함체의 내부에 광케이블을 이루는 다수가닥의 광화이버 연결용 접속 콘넥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드캡은 인장력에 강하도록 서로를 결속하는 복수개의 컨넥팅바(Connecting Bars)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외함은 광화이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통의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절결되고 그 절결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광화이버의 접속시에는 내부를 개방하고, 접속완료 후에는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습기에 취약한 광화이버의 특성에 의해 외함을 결합시킬 때 기밀하게 결합되도록하여 광화이버를 습기로부터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속함체의 외함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종래의 접속함체는 도 1a,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을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두가지의 구조가 일반화되어 있다. 즉, 도 1a에서와 같이 외함(20a)의 플랜지(22a)를 중심부쪽으로 넓어지게 형성하고, 양단이 플랜지(22a)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클립(24a)을 플랜지(22a)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밀착시킨 후 결속구(26)로 고정시키는 구조와, 도 2a에서와 같이 플랜지(22b)로 다수개의 볼트(24b)를 체결하여 외함(20b)을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참조번호 12는 접속함체의 양측에 위치하여 광케이블이 통과되는 광케이블 구멍(14)을 구비한 엔드캡이다.
그러나 클립(24a)으로 외함(20a)의 플랜지(22a)를 밀착시키는 구조는 클립(24a)을 억지끼움식으로 끼울 때 엄청난 힘이 필요함으로 도구를 이용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볼트(24b)를 플랜지(22b)에 체결하여 밀착시키는 구조는 다수개의 볼트(24b)를 체결하는 작업을 다수회 반복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함체의 외부를 이루는 외함의 밀폐수단을 단순한 밴딩구조로하고 결합작업이 볼트체결에 의해 빠르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외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속함체의 외함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체의 외함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체의 외함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엔드캡 14 : 광케이블 구멍
16 : 홈 30 : 외함
31 : 밀패돌기 32 : 플랜지
33 : 개스킷홈 34 : 개스킷
37 : 걸림돌기 40 : 탄성부재
50 : 결합밴드 52 : 인장편
54 : 브래킷 56 : 나사구멍
60 : 볼트 62 : 너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함체의 양측에 컨넥팅바로 연결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엔드캡의 둘레를 감싸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외함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원통형상으로 된 외함의 절결단부 양단에 서로 반향된 ㄷ형상의 플랜지를 구비하되, 상기 양측 플랜지의 대향면에 개스킷홈 및 개스킷홈에 개재되는 개스킷을 갖고;
상기 양측 플랜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재되되 플랜지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이고 그 반대측면은 양단에서 중간부위로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로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된 양측 플랜지에 밀착되고 양측단부에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를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결합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체의 외함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양측에 원판형상으로 된 엔드캡(12)과, 이 엔드캡(12)의 둘레를 감싸는 외함(30)과, 외함(30)의 내부에 내설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광케이블의 광화이버를 컨넥팅 시키는 광컨넥터로 구성된다.
상술한 엔드캡(12)은 외주연으로 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으로는 광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엔드캡(12)은 광케이블의 장력을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컨넥팅바(17)로 연결된다.
또한, 외함(30)은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원통의 양측내경에는 엔드캡(12)의 홈(16)에 끼워지는 밀패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단부에는 각각 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2)는 ㄷ형으로 서로 반향되게 절곡되어 있으며, 플랜지(32)의 접촉면에는 참조번호 34의 개스킷이 끼워지도록 개스킷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32)의 단부에는 후술될 탄성부재(40) 및 결합밴드(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 플랜지(32)에는 외함(30)을 밀패시킬 때 플랜지(32)를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40)와 결합밴드(50)가 개재된다. 탄성부재(40)는 플랜지(3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32)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이고 그 반대측면은 배가 부른 형태를 갖는다. 즉, 양단부에서 중간부로 두께가 점점 두꺼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결합밴드(50)는 플랜지(3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상으로 양단부에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랜지(32)의 외측면에 개재된 탄성부재(4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플랜지(32)를 기밀하게 밀착시킨다.
체결수단은 결합밴드(50)의 양단부가 두께가 얇아져 부드럽게 활곡된 인장편(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장편(52)의 외측면에 나사구멍(56)이 형성된 브래킷(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장편(52)의 브래킷(54)에는 나사구멍(56)에 삽입되어 나사조임력에 의해 브래킷(56)을 당겨 조이는 볼트(60) 및 너트(6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함(30)의 양측 플랜지(32) 외측면에 탄성부재(40)를 각각 밀착시킨 후 그 외부로 결합밴드(50)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대향된 결합밴드(50)의 양측단 인장편(52)에 형성된 브래킷(54)의 나사구멍(56)에 도 3에서와 같이 볼트(60)를 삽입시킨 다음 너트(62)를 체결한다. 너트(62)의 체결에 의해 브래킷(54)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지는데, 이 작용에 의해 인장편(52)은 당겨지게 되고 이어서 양측 결합밴드(50)는 인장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이 인장력은 탄성부재(40)의 곡면을 따라 활곡되어 있는 결합밴드(50)를 직선으로 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40)를 가압하여 플랜지(32)의 양단을 조이게 된다. 이때, 플랜지(32)를 조이는 힘은 결합밴드(50)의 양단부가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되지만 도 4에서와 같이 탄성부재(40)의 중간부위가 배가부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발생된 인장력이 탄성부재(40)의 중간부위를 가장 큰힘으로 누르게 된다. 이는 결국 플랜지(40)를 가압하는 힘이 균등하게 작용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됨으로 플랜지(32)는 전체적으로 기밀하게 밀착 된다. 이와 더불어 플랜지(40)의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31)이 결합밴드(50)에 의해 개스킷홈(33)에서 압착됨에 따라 플랜지(32)는 더욱더 기밀하게 밀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함(30)의 플랜지(32)에 중간부위가 양단보다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된 탄성부재(40)를 개재하고, 그 외부를 결합밴드(50)로 가압하되 결합밴드(50)의 양단에 형성된 브래킷(56)에 나사(60)를 체결하는 간단한 구조 및 단순한 조작에 의해 외함(30)을 기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 원판 형상 엔드캡(12)이 양측에 위치하고 그 둘레를 감싸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광케이블의 접속함체 외함에 있어서,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원통형상으로 된 외함(30)의 절결단부 양단에 서로 반향된 ㄷ형상의 플랜지(32)를 구비하되, 상기 양측 플랜지(32)의 대향면에 개스킷홈(33) 및 개스킷홈(33)에 개재되는 개스킷(34)을 갖고;상기 양측 플랜지(32)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재되되 플랜지(32)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이고 그 반대측면은 양단에서 중간부위로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로된 복수개의 탄성부재(40)와;상기 탄성부재(40)가 개재된 양측 플랜지(32)에 밀착되고 양측단부에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32)를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결합밴드(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수단은 결합밴드(50)의 양단부가 두께가 얇아져 부드럽게 활곡된 인장편(52)과, 상기 인장편(52)의 외측면에 나사구멍(56)이 형성된 브래킷(54)과, 상기 브래킷(54)의 나사구멍(56)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력에 의해 결합밴드(50)를 조여 플랜지(32)를 밀착 결합시키는 볼트(60) 및 너트(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플랜지(32)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40) 및 결합밴드(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37)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6021U KR19980052841U (ko) | 1996-12-31 | 1996-12-31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6021U KR19980052841U (ko) | 1996-12-31 | 1996-12-31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2841U true KR19980052841U (ko) | 1998-10-07 |
Family
ID=5400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6021U KR19980052841U (ko) | 1996-12-31 | 1996-12-31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52841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2935B1 (ko) * | 2006-11-27 | 2008-03-1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수밀성이 향상된 코핀 박스 |
KR200466484Y1 (ko) * | 2008-08-04 | 2013-04-17 | 홍성표 | 광접속함체용 메인 개스킷 |
CN115882311A (zh) * | 2022-12-30 | 2023-03-31 | 江苏南瑞银龙电缆有限公司 | 一种电缆生产用快速对接装置 |
-
1996
- 1996-12-31 KR KR2019960066021U patent/KR1998005284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2935B1 (ko) * | 2006-11-27 | 2008-03-1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수밀성이 향상된 코핀 박스 |
KR200466484Y1 (ko) * | 2008-08-04 | 2013-04-17 | 홍성표 | 광접속함체용 메인 개스킷 |
CN115882311A (zh) * | 2022-12-30 | 2023-03-31 | 江苏南瑞银龙电缆有限公司 | 一种电缆生产用快速对接装置 |
CN115882311B (zh) * | 2022-12-30 | 2023-10-03 | 江苏南瑞银龙电缆有限公司 | 一种电缆生产用快速对接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9362B1 (ko) | 케이블 클로우저(cable closure) 및 그의 조립방법 | |
AU659959B2 (en) |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 |
US6222977B1 (en) | Optical cable introduc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troducing and connecting an optical cable | |
KR20010074636A (ko) | 시일 | |
US4548465A (en) | Panel seal and support structure for fiber optic cable | |
US4538021A (en) | Cable closure having asymmetrical end plate assembly | |
US3769443A (en) | Buried-type splice case | |
US5431583A (en) | Weather sealed male splice adaptor | |
US3728467A (en) | Buried-type splice case | |
US5178559A (en) | Stress relief backshell assembly | |
US5783778A (en) | Cable sealing and locking device | |
CA2363685A1 (en) | Sensor array cable and fabrication method | |
US5510576A (en) | Telecommunications cable enclosure | |
KR19980052841U (ko)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함 | |
US4237335A (en) | Multiple joint box utilizing a thermoplastic clamping sleeve principle | |
KR101883953B1 (ko) | 너트 풀림 방지 고정용 클램프 | |
US4381425A (en) | Universal joint box for telecommunication or power cables | |
KR200256956Y1 (ko) | 파형관용 접속장치 | |
CN110542953A (zh) | 一种光纤连接器的密封系统 | |
KR20000076339A (ko) | 케이블 접속 폐쇄장치용 외부 접지 절연 커넥터 | |
KR200161877Y1 (ko) | 말이형 광접속함체의 외함 | |
US6173103B1 (en) | Split open dead end | |
US5519171A (en) | Wire splice enclosure | |
KR200163090Y1 (ko) | 광접속함체의 조립 받침대 | |
KR200154990Y1 (ko) | 광케이블 접속함체 외함의 쐐기형 결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