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63U -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63U
KR20160003163U KR2020150001559U KR20150001559U KR20160003163U KR 20160003163 U KR20160003163 U KR 20160003163U KR 2020150001559 U KR2020150001559 U KR 2020150001559U KR 20150001559 U KR20150001559 U KR 20150001559U KR 20160003163 U KR20160003163 U KR 201600031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optical
circumferential surface
grip par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2020150001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163U/ko
Priority to PCT/KR2015/013579 priority patent/WO2016143986A1/ko
Publication of KR20160003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 G02B6/3612Wiring methods or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케이블 인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그립파트와 제2 그립파트와 제3 그립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선단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까지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파트의 내주면과 상기 제3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반경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체의 코어까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파트와 상기 제2 그립파트 사이까지 연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광섬유용 플러그를 제공하여, 부트부에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광케이블의 결합성을 높이 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Optical plug and Opt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캡이 나사 체결됨에 따라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부트부를 포함하는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화국에서 대형 건물의 통신실까지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통신기술을 FTTO(Fiber To The Office)라 한다.
최근에는 광케이블로 댁내의 가입자 장치까지 연결하여 방송, 통신 등을 포함한 각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FTTH(Fiber To The Home) 시스템이 개발되어 신축 아파트는 물론 일반 주택에까지 설치되고 있다.
FTTH 시스템을 설치하는 작업은 아파트의 통신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광 단자함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를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광 단자함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실측하고, 실측된 거리보다 수 미터(m) 정도 긴 광케이블을 광 단자함에서 댁내의 가입자 장치까지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광케이블의 양 끝단에 광커넥터를 연결하고, 광커넥터 각각을 광 단자함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 각각에 연결한다.
이때, 광케이블과 광 단자함 또는 광케이블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를 연결하는 데에 있어서, LC, ST, FC 및 SC 광커넥터 등의 광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LC, ST, FC 및 SC 광커넥터 등과 같은 대부분의 광커넥터는 현장 설치에 적합하지 않고, 현장에서 광섬유들을 접속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3982호(2013.11.13.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은 광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문헌의 광커넥터는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2개의 파트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러한 스토퍼는 캡이 장착되면 변형되어 사이에 위치한 광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나.
그러나 이러한 스토퍼 구성을 포함하는 광커넥터는 광케이블이 아래로 빠지거나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안정성 및 편의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10-2013-0123982호(2013.11.13.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트부에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의 편의성 및 광케이블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는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페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케이블 인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그립파트와 제2 그립파트와 제3 그립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선단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까지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파트의 내주면과 상기 제3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반경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체의 코어까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파트와 상기 제2 그립파트 사이까지 연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광섬유용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의 양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의 양 측벽은 반경방향으로 외향할수록 수평거리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선단을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고안은, 페룰을 포함하는 광접속부와, 상기 광접속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케이블 인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그립파트와 제2 그립파트와 제3 그립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선단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까지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파트의 내주면과 상기 제3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반경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체의 코어까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파트와 상기 제2 그립파트 사이까지 연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플러그와,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부트부 및 상기 부트부에 체결되는 스크류캡을 포함하는 광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그립파트로 이루어지고, 3개의 그립파트 중 하부에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그립파트를 구비함으로써, 부트부에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광케이블의 결합성을 높이 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광섬유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부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광섬유 플러그의 측단면도,
도 5는 3개의 그립파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광케이블의 지지하는 그립파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광섬유용 플러그(10)와, 광접속부(20)와, 하우징(30)과, 스크류캡(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용 플러그(10)의 내부에는 광접속부(20)가 위치하며, 광섬유용 플러그(10)의 선단에는 부트부(30)가 결합하고, 광섬유용 플러그(10)의 후단에는 스크류캡(40)이 결합될 수 있다. 부트부(30)는 광섬유용 플러그(10)를 내측에 수용하여 광섬유용 플러그(10) 내부에 포함된 광접속부(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광섬유용 플러그(10)는 수용부(210)와 부트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10)와 부트부(22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수용부(210)는 내부에 광접속부(2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몸체(2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접속부는(20)는 광섬유용 플러그(10) 내부에 삽입되어 페룰의 광섬유와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접부속부는(20)는 광접속 하우징(21)과, 광접속 하우징 덮개(22)와, 광접속 하우징 홀더(23)로 구성될 수 있다. 광접속 하우징(21)은 전방측에 페룰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페룰 삽입부(21a)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삽입되는 광섬유 삽입부(21b)가 형성된다.
도 2는 광섬유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트부(220)는 몸체(221)와 제1 그립파트(222)와, 제2 그립파트(223)와, 제3 그립파트(22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21)는 수용부(21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몸체(221)는 스크류캡(40)가 나사 체결된다.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는 몸체(221)에 외팔보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는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는 스크류캡(40)에 몸체(221)에 나사체결됨에 따라 오므라들어 삽입된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의 외측면은 스크류캡(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부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광섬유 플러그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3개의 그립파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광케이블의 지지하는 그립파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몸체(221)에는 수용부(10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케이블 인입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는 정면에 보았을 때, 케이블 인입구(21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용 플러그(1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인입구(211)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CL)을 기준으로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는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그립파트(222)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는 제1 그립파트(22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그립파트(222)는 기준선(CL)에 폭 중심이 위치하도록, 정면에서 바라볼 때 케이블 인입구(21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때문에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립파트(222)는 광케이블(C)을 지지하여 케이블 인입구(211)에 연결되는 광케이블이 자중으로 인하여 밑으로 쳐지거나 광섬유용 플러그(1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그립파트(222)는 내주면에 광케이블의 하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부(225)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25)는 광케이블의 하면을 지지하는 곳으로, 제1 그립파트(222)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서 케이블 인입구(211)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25)는 케이블 인입구(211)에서 제1 그립파트(222)의 끝단까지 하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광섬유용 플러그(10)에 삽입된 광케이블을 케이블 인입구(211)까지 정렬하여 안내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의 내주면에는 각각 단턱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226)는 광케이블의 피복부 또는 클래드층과 맞닿아 광케이블이 코어 부분만 케이블 인입구(2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그립파트(222)의 좌측 상방에는 제2 그립파트(223)가 배치되며, 제1 그립파트(222)의 우측 상방에는 제2 그립파트(2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립파트(223)와 제3 그립파트(224) 사이는 슬롯(23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슬롯(230)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몸체(221)의 코어까지 절개 형성되어 몸체(221)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다. 이러한 슬롯(230)은 제2 그립파트(223)와 제3 그립파트(224)의 이격 공간과 연결되어 각형 광케이블을 삽입되었을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키고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슬롯(230)은 제1 그립파트(222)의 가이드부(225)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슬롯(230)의 양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롯(230)의 양 측벽 사이의 수평거리(W)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캡(40)을 부트부(220)에 회전 체결시키면, 제1 그립파트(222), 제2 그립파트(223) 및 제3 그립파트(224)가 오므라들어 광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1 그립파트(222)의 가이드부(225)는 광케이블의 하단을 지지하여 케이블 인입구(211)로 안내함으로써, 광케이블 연결 시,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파트(222)을 기준으로 좌측 상방과 우측 상방에 제2 그립파트(223)와 제1 그립파트(222)가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광섬유용 플러그(10)로 진입하는 광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광섬유용 플러그
20: 광접속부
30: 하우징
40: 스크류캡
210: 수용부
220: 부트부
221: 몸체
222: 제1 그립파트
223: 제2 그립파트
224: 제3 그립파트
225: 가이드부
230: 슬롯

Claims (6)

  1. 페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케이블 인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그립파트와 제2 그립파트와 제3 그립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선단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까지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파트의 내주면과 상기 제3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반경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체의 코어까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파트와 상기 제2 그립파트 사이까지 연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광섬유용 플러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양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광섬유용 플러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양 측벽은 반경방향으로 외향할수록 수평거리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광섬유용 플러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향 배치되는 광섬유용 플러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선단을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광섬유용 플러그.
  6. 페룰을 포함하는 광접속부;
    상기 광접속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케이블 인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그립파트와 제2 그립파트와 제3 그립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선단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까지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파트의 내주면과 상기 제3 그립파트의 내주면은 반경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체의 코어까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립파트와 상기 제2 그립파트 사이까지 연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플러그;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하우징;및
    상기 부트부에 체결되는 스크류캡
    을 포함하는 광커넥터.
KR2020150001559U 2015-03-12 2015-03-12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KR2016000316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59U KR20160003163U (ko) 2015-03-12 2015-03-12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PCT/KR2015/013579 WO2016143986A1 (ko) 2015-03-12 2015-12-11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59U KR20160003163U (ko) 2015-03-12 2015-03-12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63U true KR20160003163U (ko) 2016-09-21

Family

ID=5687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59U KR20160003163U (ko) 2015-03-12 2015-03-12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3163U (ko)
WO (1) WO20161439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04A (ko) * 2019-07-23 2021-02-02 (주)파이버폭스 광섬유 및 열수축 슬리브 보호유닛
KR20210036041A (ko) * 2019-09-25 2021-04-02 유씨엘 주식회사 옥외용 현장조립 방수 광커넥터 플러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982A (ko) 2012-05-04 2013-11-13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72B1 (ko) * 1998-09-09 2005-11-22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현상방법 및 현상장치
KR101061157B1 (ko) * 2008-12-30 2011-08-31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101248591B1 (ko) * 2011-10-24 2013-03-28 주식회사 옵텔콤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컨넥터
CN202563124U (zh) * 2012-02-09 2012-11-2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
KR101492611B1 (ko) * 2014-02-10 2015-02-1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982A (ko) 2012-05-04 2013-11-13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04A (ko) * 2019-07-23 2021-02-02 (주)파이버폭스 광섬유 및 열수축 슬리브 보호유닛
KR20210036041A (ko) * 2019-09-25 2021-04-02 유씨엘 주식회사 옥외용 현장조립 방수 광커넥터 플러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60715A3 (ko) * 2019-09-25 2021-05-20 유씨엘 주식회사 옥외용 현장조립 방수 광커넥터 플러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07493A (zh) * 2019-09-25 2022-03-18 尤喜尔株式会社 户外用现场组装防水光连接器插头及其制造方法
GB2600051A (en) * 2019-09-25 2022-04-20 Ucl Co Ltd Waterproof optical connector plug for outdoor field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GB2600051B (en) * 2019-09-25 2023-07-05 Ucl Co Ltd Optical connector plug for outdoor waterproof onsit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4207493B (zh) * 2019-09-25 2023-07-14 尤喜尔株式会社 户外用现场组装防水光连接器插头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3986A1 (ko)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1280B2 (en) Ruggedized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s and assemblies
US8746987B2 (en) Field assembled optical connector
EP2674800B1 (en) Access Terminal Box
CN101398514B (zh) 用于信息插座的连接保持器
CN101285915B (zh) 信息插座
WO2008118603A3 (en) Drop terminal with anchor block for retaining a stub cable
CN103185924A (zh) 防水光纤连接器及其光纤插头和光纤适配器
KR20130050908A (ko) 유리섬유 케이블용 연결함
US11131820B2 (en) Epoxy transitions for optical fiber modules
KR100645503B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KR20160003163U (ko)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EP3460552B1 (en) Behind-the-wall fiber spool module
KR20100121177A (ko) 광단자함
KR100796211B1 (ko) 광분배함을 포함하는 세대단자함 구조
KR101739028B1 (ko) 광커넥터
KR200423984Y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KR20180129442A (ko) 소형 세대용 광분배함
US20180100981A1 (en) Deploying optical fibers within a multi-dwelling unit
KR100829714B1 (ko) 광선로종단장치
CN204945447U (zh) 引入光缆分纤盒
KR101820427B1 (ko) 광커넥터
CN207882488U (zh) 一种lc热熔快速连接器
KR200478253Y1 (ko) 광커넥터
US20220091348A1 (en) Dustcap with built-in cleaner
JP4597872B2 (ja) 光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