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239B1 -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239B1
KR102516239B1 KR1020200133254A KR20200133254A KR102516239B1 KR 102516239 B1 KR102516239 B1 KR 102516239B1 KR 1020200133254 A KR1020200133254 A KR 1020200133254A KR 20200133254 A KR20200133254 A KR 20200133254A KR 102516239 B1 KR102516239 B1 KR 10251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errule
coupling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0263A (ko
Inventor
이수영
황선우
김중택
민주희
서재식
어우림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텍 filed Critical (주)포스텍
Priority to KR102020013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2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고용량 PLTC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방진 및 방수기능을 가지며, 5G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용량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PLTC OPTICAL CONNECTOR USED FOR 5G BASED INTERFACE}
본 발명은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고용량 PLTC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방진 및 방수기능을 가지며, 5G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용량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접속은 광섬유가 삽입된 광커넥터를 광어댑터에 결합하며, 이러한 광커넥터는 광케이블간 또는 광케이블과 광전송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최근 기존의 4세대 이동통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 가량 빠르며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인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이 개발 및 상용화되면서 빠른 정보전달을 위한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광커넥터와 같은 5G용 부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광커넥터의 경우 종래에는 광케이블과 광전송장치를 연결하는데에만 사용되어 주로 옥내에 구비되었으나 현재에는 광케이블화가 가속됨에 따라 광선로망이 복합적이고 다양해저 광선로망의 분배 등을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실외에도 설치되고 있어 수분침투 등의 문제로 인한 고장발생이 우려되므로 방수 기능을 보유한 광커넥터가 필요한 실정이며, 상술된 바와 같이 5G기반 인터페이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용량 데이터가 송수신가능한 고용량의 광커넥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0860호 (2011.03.0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옥외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방진 및 방수기능을 가지며, 5G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용량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PTLC 광커넥터에 내장된 광섬유가 케이블 및 하우징 내부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될 구성과 고정된 위치에서 결합 및 연결되어 삽입손실 및 반사손실을 최소화하며, 광섬유와 연결된 페룰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PTLC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PTLC 광커넥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이 쉽게 조립 및 체결이 가능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서로 기밀하게 체결되어 외부 충격에도 분리되지 않고, 기밀성이 향상된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PTLC 광커넥터에 있어서,
일면이 외부 연결단자와 밀착되어 연결되는 하우징; 일면에 페룰이 구비되며, 일단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룰프레임; 상기 페룰프레임이 내장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의 타단과 결합되는 몰드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의 결합된 부분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간의 결합된 틈새를 마감하는 외부너트; 상기 몰드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한 쌍의 광섬유가 내장되는 중앙케이블; 및 상기 몰드프레임과 상기 중앙케이블의 결합된 위치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몰드프레임과 상기 중앙케이블간의 결합된 틈새를 마감하는 실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은 상기 페룰프레임이 관통되는 브라켓 끼움홈; 상기 브레킷 끼움홈 내측에 상기 페룰이 내삽되는 페룰지지관; 상기 브라켓 끼움홈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제1 볼트결합홀;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상기 하우징 내측 중앙측으로 돌출형성된 끼움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페룰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페룰지지관 형상으로 함몰되며, 내측 중앙에 상기 페룰이 구비되는 페룰용 브라켓; 상기 페룰용 브라켓의 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광섬유와 결합되는 한 쌍의 광섬유 연결구; 및 상기 페룰용 브라켓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페룰용 브라켓에 이격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결착구;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페룰용 브라켓이 내삽되는 브라켓 인입홈; 상기 제1 볼트결합홀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관통형성된 제2 볼트결합홀; 일면 가장자리에 상기 끼움턱 하면 형상으로 함몰된 하우징 걸림턱; 상기 결합프레임의 외측면에 다수개로 돌출형성된 너트 체결돌기; 상기 너트 체결돌기 하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결착톱니; 및 상기 결착톱니 하단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구 형상으로 함몰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실링프레임의 일단에 내삽되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너트의 내측에는, 상기 너트 체결돌기의 높이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체결홈; 및 상기 외부너트에 내장된 상기 결착톱니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결착톱니가 내삽되는 톱니인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톱니인입홈 내측에는 상기 결착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회전톱니;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외부너트를 관통하여 내장된 상기 회전톱니와 맞물리며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너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구;가 구성되며, 상기 외부너트 내측으로 상기 결합프레임이 인입되어 상기 톱니인입홈 내측으로 상기 결착톱니가 내삽되면 사용자는 상기 회전조절구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톱니를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톱니는 맞물린 상기 결착톱니를 회전시켜 상기 외부너트 내부에서 상기 결합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옥외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방진 및 방수기능을 가지며, 5G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용량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PTLC 광커넥터에 내장된 광섬유가 케이블 및 하우징 내부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될 구성과 고정된 위치에서 결합 및 연결되어 삽입손실 및 반사손실을 최소화하며, 광섬유와 연결된 페룰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PTLC 광커넥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이 쉽게 조립 및 체결이 가능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서로 기밀하게 체결되어 외부 충격에도 분리되지 않고, 기밀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하우징이 위치한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평면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저면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하우징이 위치한 측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평면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저면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PTLC 광커넥터(1)는 하우징(100), 페룰프레임(200), 결합프레임(300), 외부너트(400), 몰드프레임(500), 실링프레임(600) 및 중앙케이블(700)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PTLC 광커넥터(1)가 광단자함 등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밀착되어 커넥팅되는 곳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되 일면은 상기 연결단자와 밀착되며, 타단은 결합프레임(300)의 일면과 결합고정되어진다.
하우징(100)의 일면에는 연결단자와 밀착될 페룰(220) 및 페룰용 브라켓(210)이 구비되는 브라켓 끼움홈(110)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 끼움홈(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페룰프레임(200)이 끼워지면 상기 페룰프레임(200)의 결착구(240)의 일부가 내삽되는 제1 결착구 인입홈(111)이 브라켓 끼움홈(110) 내측에서 결착구(240)가 위치한 측으로 함몰되어 끼움결합된다.
또한, 각 브라켓 끼움홈(110) 내측에는 페룰(220)이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될 페룰지지관(120)이 구비된다.
페룰지지관(120)은 하우징(100)의 타면, 즉 결합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면으로 페룰프레임(200)이 끼워지면 페룰(220)이 페룰지지관(120) 내측으로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브라켓 끼움홈(110)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을 광단자함에 구비된 연결단자에 밀착하여 결합할 경우 지정된 위치로 페룰(220)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연결단자와 커넥팅될 수 있다.
이러한 페룰지지관(120)은 페룰용 브라켓(210) 일면에 형성된 지지관끼움홈(211)에 내삽되어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페룰지지관(120) 중앙에 형성된 홀로 페룰(220)이 내삽되어 페룰프레임(200)이 하우징(100) 내측에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브라켓 끼움홈(110)을 중심으로 하우징(100)의 일면의 양측단에는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볼트결합홀(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볼트결합홀(130)은 결합프레임(300)과 하우징(100) 결합시 결합프레임(300)의 일면에 수직하여 함몰형성된 제2 볼트결합홀(320)과 동일 수직선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및 2 볼트결합홀(130,320)은 내부가 연통되며, 연통된 내측으로 체결볼트(B)가 내장되어 상기 체결볼트(B)를 통해 결합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페룰프레임(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타단 내측에는 결합프레임(300)의 하우징 걸림턱(330) 상단에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된 끼움턱(140)이 형성된다(도 5 참조).
따라서, 하우징(100)의 타면과 결합프레임(300)의 일면이 밀착되면 제1 및 2 볼트결합홀(130,320)의 내부가 연통되어 체결볼트(B)에 의해 결합되고, 밀착되기 전 하우징(100) 내측에 형성된 끼움턱(140) 하면이 결합프레임(300)의 하우징 걸림턱(330)의 상면에 걸려 끼워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페룰프레임(200)은 일단에 페룰(220)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광섬유(800)와 연결되어 페룰(220)과 광섬유(8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페룰프레임(200)은 한 쌍의 페룰용 브라켓(210)이 구비되며, 페룰용 브라켓(210)은 육면체를 가지고, 일면에는 상술된 페룰지지관(120)이 내삽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 함몰형성된 지지관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지지관 끼움홈(211) 내측 중앙에 페룰(220)이 구비된다.
페룰용 브라켓(210)의 타단에는 광섬유(800)와 연결되는 광섬유 연결구(230)가 돌출형성되며, 광섬유 연결구(230)는 중앙케이블(700) 내 한 쌍의 광섬유(800)와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800)와 페룰(220)이 연결된다.
이때, 페룰용 브라켓(210)의 외부 일측에는 결착구(240)가 형성되며, 결착구(240)는 의 일단은 페룰용 브라켓(210)의 외측면에 결합고정되며, 결착구(240)의 타단은 페룰용 브라켓(210)의 외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결착구(240)의 타측, 즉 광섬유 연결구(230)측으로 갈수록 페룰용 브라켓(210)과의 이격되는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결착구(240)의 타단은 페룰용 브라켓(210)과의 이격된 공간측으로 가압하여 이격공간을 좁힐 수 있고, 탄성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외부에 가압되는 힘이 없을 경우 결착구(240)의 타단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결착구(240)는 일단은 하우징(100)의 제1 결착구 인입홈(111) 내측으로 구비되며, 페룰용 브라켓(210)과 이격된 타단은 결합프레임(300)의 제2 결착구 인입홈(311) 내측으로 내삽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2 결착구 인입홈(311)은 결착구(240)의 타단이 페룰용 브라켓(210)과 밀착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사용자는 페룰프레임(200)을 결합프레임(300)에 내삽결합시킬 때 결착구(240)의 타단을 가압하여 페룰용 브라켓(210)의 외측면과 밀착한 상태로 제2 결착구 인입홈(311)에 내삽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외력이 없는 경우 제2 결착구 인입홈(311) 내측면에 결착구(240) 외측면이 밀착되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프레임(300)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페룰프레임(200)을 내장하고, 일면이 하우징(100)의 타면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고정된다.
이러한 결합프레임(300)의 일면에는 페룰프레임(200)이 내삽되는 브라켓 인입홈(310)이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브라켓 인입홈(310)의 내측에는 내장될 페룰프레임(200)의 결착구(240)가 위치한 곳에 제2 결착구 인입홈(311)이 함몰형성되어 제2 결착구 인입홈(311)과 브라켓 인입홈(310)의 내부가 연통된다.
또한, 브라켓 인입홈(310)이 구비된 일면에는 제1 결착구 인입홈(111)과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한 제2 볼트결합홀(320)이 함몰형성되어 결합프레임(300) 일면에 하우징(100) 타면이 밀착되면 제1 및 2 볼트결합홀(130,320)의 내부가 연통되어 사용자는 하우징(100)의 일면으로 체결볼트(B)를 내삽하여 하우징(100)과 결합프레임(300)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프레임(300)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턱(14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하우징 걸림턱(33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걸림턱(330)의 상면에는 끼움턱(140)의 하면이 밀착되어 하우징(100)과 결합프레임(300)의 결합부분이 기밀하게 결합되며, 조립시 하우징(100)과 결합프레임(300)의 밀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300)의 외측면에는 외부너트(400)의 내측과 결합되는 너트 체결돌기(340)가 외측면에 수직하여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너트 체결돌기(340)는 외부너트(40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41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이러한 너트 체결돌기(340)는 외부너트(400)의 내측에 함몰형성된 체결홈(410) 내부에 끼워져 결합고정된다.
또한, 너트 체결돌기(340)의 하단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결착톱니(350)가 결합프레임(3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결착톱니(350)는 외부너트(400)의 내부가 함몰된 톱니인입홈(420)이 형성되며, 이때 톱니인입홈(420)의 상측에는 체결홈(410)이 구비된다.
톱니인입홈(420)의 내측에는 결착톱니(35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에 다수개의 톱니가 톱니인입홈(420)의 내측 중앙측으로 돌출형성되며, 톱니인입홈(420)의 내측으로 결착톱니(350)가 구비되어 톱니인입홈(420) 내측의 톱니와 맞물려 결합프레임(300)이 외부너트(400)와 결합된다.
또한, 결합프레임(300)의 타면에는 몰드프레임(500)의 내측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360)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구(360)는 외부너트(400)의 타면측으로 인입되는 몰드프레임(500)의 일면에 내삽되며, 내삽시 몰드프레임(50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결합고정될 수 있다.
외부너트(400)는 너트 형상을 가지며,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프레임(300)의 타단 일부와 몰드프레임(500)의 일단 일부가 내삽되어 외부너트(400) 내측에서 결합고정된다.
외부너트(400)의 내측 중앙에는 외측방향으로 체결홈(410)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체결홈(410) 내측으로 너트 체결돌기(340)가 인입되고, 체결홈(410)의 하측으로는 톱니인입홈(420)이 형성되어 상기 톱니인입홈(420) 내측으로 결착톱니(350)가 인입되어 외부너트(400)에 결합프레임(300)이 결합고정된다.
또한, 외부너트(400) 내측으로 인입된 결합프레임(300)의 체결구(360)로 몰드프레임(500)의 일단이 끼워져 나사결합된다.
한편, 외부너트(400)의 톱니인입홈(420) 내측으로 결착톱니(350)가 구비되어 끼움결합되면 결합프레임(300)이 외부너트(400) 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로 결합프레임(300)을 밀착하여 결합하지 않은 경우 외부너트(400) 내에서 쉽게 결합프레임(300)을 회전시키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결합프레임(300) 내 브라켓 인입홈(310) 및 제2 볼트결합홀(320)의 위치가 상측에 구비될 하우징(100)의 브라켓 끼움홈(110) 및 제1 볼트결합홀(13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페룰프레임(200)이 용이하게 하우징(100) 및 결합프레임(300)에 내삽되기 어려우며, 이는 외부의 연결단자와 결합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외부너트(400)의 다른 실시예로 톱니인입홈(420)의 내측에 결착톱니(350)와 기어결합되는 회전톱니(430)가 내장된다.
이러한 회전톱니(430)는 외부너트(400)의 내부로 인입시 결합프레임(300)의 결착톱니(350)와 맞물려 결합되며, 외부너트(400)의 외측 중 회전톱니(430)의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구비되며, 외부너트(4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일단이 회전톱니(430)와 맞물리며, 타단은 외부너트(400)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구(4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너트(400) 내부로 결합프레임(300)이 인입되면서 결착톱니(350)가 톱니인입홈(420)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결착톱니(350)의 톱니가 상기 톱니인입홈(420)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톱니(4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게 되며, 외부너트(400)에 내장된 결합프레임(30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회전조절구(431)를 조작하여 회전톱니(43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결착톱니(350)를 회전시켜 결합프레임(30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외부너트(400) 내부에서 결합프레임(300)이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회전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몰드프레임(50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결합프레임(300)의 체결구(360)의 외경 및 길이와 대응되는 내경 및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점차 직경이 감소하여 중앙케이블(700)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케이블(70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몰드프레임(500)의 일단 내측에는 체결구(360)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몰드프레임(500)의 일단에 함몰형성된 측으로 체결구(360)가 내삽되어 나사결합되어 결합프레임(300)과 몰드프레임(500)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실링프레임(600)은 몰드프레임(500)과, 상기 몰드프레임(500) 내측으로 인입되어 페룰프레임(200)과 연결되는 중앙케이블(70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링프레임(6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링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복원력을 가져 중앙케이블(700)이 초기위치를 이동하거나 휘는 등의 움직임이 보이더라도 실링프레임(600)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실링프레임(600) 일단 내경은 몰드프레임(500)의 끼움구(510)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실링프레임(600) 일단 내측으로 끼움구(510)가 인입되고, 실링프레임(600)의 일단 내측면은 상기 끼움구(510)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며, 끼움구(510)의 외측면과 실링프레임(600)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 등을 추가로 도포하여 견고하고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실링프레임(600)의 일단은 끼움구(510)의 길이와 대응되게 연장되어 상기 실링프레임(600) 내측으로 끼움구(510)가 인입시 외부에서 끼움구(510)가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프레임(600)이 완전히 감싸도록 구비된다.
실링프레임(600)의 타단 내경은 중앙케이블(7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프레임(600) 타단으로 인입된 중앙케이블(700)의 외측면은 실링프레임(600)의 타단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고정된다.
따라서 실링프레임(600)을 통해 끼움구(510)를 관통하여 몰드프레임(500) 내측으로 인입되는 중앙케이블(700)과 몰드프레임(500)간의 틈새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몰드프레임(500)과 중앙케이블(700)이 기밀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틈새로 외부 빗물,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PTLC 광커넥터(1)의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중앙케이블(700)은 외부 피복 내부에 한 쌍의 광섬유(800)가 구비되며, 중앙케이블(700) 내부를 거쳐 페룰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광섬유(800)의 일단은 상기 페룰프레임(200) 내 한 쌍의 페룰(220)과 각각 연결되고, 광섬유(800)의 타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커넥터(C)가 적용된다.
이때, 통상의 커넥터(C)와 광섬유(800)간의 연결된 위치에는 광섬유(800)의 외부 피복과 실링튜브(810)가 상호간에 실링되도록 접착제 등으로 접합처리되어 구비된다.
한편, 몰드프레임(500) 내측으로 유입된 중앙케이블(700)은 내장된 광섬유(800)가 상기 중앙프레임(700)에서 분리된 상태로 배출되어 각각 페룰프레임(200)에 결합된다.
그러나 몰드프레임(500) 내에서 분리된 광섬유(800)가 동일한 거리의 직선으로 페룰프레임(200)과 결합되지 않으면 하나의 중앙케이블(700)에서 분리배출된 광섬유(800)의 길이가 다르게 결합됨으로써 중앙케이블(700)이 외부에 직선형태로 구비되지 못하고 짧은 광섬유(800)가 구비되는 측으로 굽어져 결합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PTLC 광커넥터(1)에는 광섬유가이드구(90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광섬유가이드구(900)는 페룰프레임(200)의 타단과 몰드프레임(500)의 일단을 연결하며, 내측에 중앙케이블(700)에서 분리된 한 쌍의 광섬유(800)가 각각 직선으로 페룰프레임(200)의 광섬유 연결구(230)와 연결된다.
이러한 광섬유가이드구(90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되,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광섬유가이드구(900)의 하면 내측에는 중앙케이블(700)과 맞닿으며 한 쌍의 광섬유(800)가 관통되는 광섬유홀더(910)가 구비된다.
광섬유홀더(910)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광섬유(80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한 쌍의 홀더공(911)이 구비되며, 광섬유홀더(910) 하측에 구비되는 중앙케이블(700)에서 양측으로 광섬유(800)가 분리배출되면 홀더공(911)을 거쳐 상측에 위치한 페룰프레임(200)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광섬유홀더(910)는 광섬유가이드구(900) 하단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광섬유(800)의 위치가 외력 등으로 인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섬유(800)가 동일한 길이로 중앙케이블(700)로부터 분리되어 페룰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또한, 홀더공(911)의 내경은 광섬유(8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공(911)을 관통한 광섬유(800)가 홀더공(911) 내측에 끼움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광섬유가이드구(900)의 외측 상단은 외측면에서 수직돌출된 돌출턱(920)이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턱(920)은 결합프레임(300) 중 결착톱니(350)의 내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300) 내측면에 돌출턱(920)이 끼움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가이드구(900)는 결합프레임(300) 내측에 결합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결합프레임(300) 회전시 함께 회전되어 광섬유(800)의 위치 또한 함께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PTLC 광커넥터(1)는 중앙케이블(700)과 연결되는 페룰프레임(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광섬유(800) 및 페룰(22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격, 진동 등의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페룰프레임(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너트(400)가 결합프레임(300) 및 몰드프레임(500)의 외측 결합부분을 마감하고, 외부 이물질이 상기 결합프레임(300) 및 몰드프레임(500)간의 결합된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너트(400) 내 톱니인입홈(420) 내측으로 결착톱니(350)가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결합프레임(300)이 PTLC 광커넥터(1) 내부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광섬유(800)가 지정된 위치에서 페룰(220)과 연결되어 상기 PTLC 광커넥터(1)와 결합될 연결단자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구성이 기밀하게 연결되고, 각 구성의 결합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틈새는 마감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PTLC 광커넥터(1)는 IP67 또는 IP68 등급의 방수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제작하여 향상된 기밀성을 얻어 옥외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TLC 광커넥터(1)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이 쉽게 조립 및 체결이 가능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서로 기밀하게 체결되어 외부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PTLC 광커넥터
100. 하우징
200. 페룰프레임
300. 결합프레임
400. 외부너트
500. 몰드프레임
600. 실링프레임
700. 중앙프레임
800. 광섬유
900. 광섬유가이드구
B. 체결볼트
C. 커넥터

Claims (3)

  1. PTLC 광커넥터에 있어서,
    일면이 외부 연결단자와 밀착되어 연결되는 하우징;
    일면에 페룰이 구비되며, 일단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룰프레임;
    상기 페룰프레임이 내장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의 타단과 결합되는 몰드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의 결합된 부분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간의 결합된 틈새를 마감하는 외부너트;
    상기 몰드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한 쌍의 광섬유가 내장되는 중앙케이블; 및
    상기 몰드프레임과 상기 중앙케이블의 결합된 위치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몰드프레임과 상기 중앙케이블간의 결합된 틈새를 마감하는 실링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페룰프레임이 관통되는 브라켓 끼움홈;
    상기 브라켓 끼움홈 내측에 상기 페룰이 내삽되는 페룰지지관;
    상기 브라켓 끼움홈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제1 볼트결합홀;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상기 하우징 내측 중앙측으로 돌출형성된 끼움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페룰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페룰지지관 형상으로 함몰되며, 내측 중앙에 상기 페룰이 구비되는 페룰용 브라켓;
    상기 페룰용 브라켓의 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광섬유와 결합되는 한 쌍의 광섬유 연결구; 및
    상기 페룰용 브라켓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페룰용 브라켓에 이격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결착구;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페룰용 브라켓이 내삽되는 브라켓 인입홈;
    상기 제1 볼트결합홀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관통형성된 제2 볼트결합홀;
    일면 가장자리에 상기 끼움턱 하면 형상으로 함몰된 하우징 걸림턱;
    상기 결합프레임의 외측면에 다수개로 돌출형성된 너트 체결돌기;
    상기 너트 체결돌기 하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결착톱니; 및
    상기 결착톱니 하단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구 형상으로 함몰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실링프레임의 일단에 내삽되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너트의 내측에는,
    상기 너트 체결돌기의 높이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체결홈; 및
    상기 외부너트에 내장된 상기 결착톱니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결착톱니가 내삽되는 톱니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인입홈 내측에는 상기 결착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회전톱니;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외부너트를 관통하여 내장된 상기 회전톱니와 맞물리며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너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구;가 구성되며,
    상기 외부너트 내측으로 상기 결합프레임이 인입되어 상기 톱니인입홈 내측으로 상기 결착톱니가 내삽되면 사용자는 상기 회전조절구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톱니를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톱니는 맞물린 상기 결착톱니를 회전시켜 상기 외부너트 내부에서 상기 결합프레임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KR1020200133254A 2020-10-15 2020-10-15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KR10251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54A KR102516239B1 (ko) 2020-10-15 2020-10-15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54A KR102516239B1 (ko) 2020-10-15 2020-10-15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263A KR20220050263A (ko) 2022-04-25
KR102516239B1 true KR102516239B1 (ko) 2023-03-31

Family

ID=8145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54A KR102516239B1 (ko) 2020-10-15 2020-10-15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2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52B1 (ko) 2010-02-26 2012-02-22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커넥터 내장 플러그
KR101330648B1 (ko) * 2013-05-22 2013-11-18 주식회사 케이오티 다심 mt 페룰을 이용한 옥외용 광커넥터 어셈블리
US20170153394A1 (en) * 2015-11-30 2017-06-01 Amphenol Fiber Opt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112329B1 (ko) 2018-09-03 2020-05-18 이상로 광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4683B1 (en) * 1999-09-13 2001-05-22 Stratos Lightwave, Inc. Field repairable hermaphroditic connector
US8403570B2 (en) * 2008-04-10 2013-03-26 Amphenol Corporation Plural fiber optic interconnect
KR101020860B1 (ko) 2009-07-21 2011-03-09 나노솔루션주식회사 광섬유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52B1 (ko) 2010-02-26 2012-02-22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커넥터 내장 플러그
KR101330648B1 (ko) * 2013-05-22 2013-11-18 주식회사 케이오티 다심 mt 페룰을 이용한 옥외용 광커넥터 어셈블리
US20170153394A1 (en) * 2015-11-30 2017-06-01 Amphenol Fiber Opt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112329B1 (ko) 2018-09-03 2020-05-18 이상로 광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263A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579B2 (en) Connection device with a cable gland having housing parts enabling relative movement therebetween
JP5669135B2 (ja) コネクタ用エンクロージャ組立体、ストレインリリーフ部材、及び封止方法
JP4343857B2 (ja) 光学プラグコネクタのプラグケーシングおよびプラグケーシングを受容するプラグコネクタ用カプセル
US11579374B2 (en) Hybrid ingress protected connector and adapter assembly
JP2010244056A (ja) 相互接続システム
CN107430249A (zh) 插头侧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系统
JPH10508418A (ja) 電気コネクタ用保護カバー
US1132724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prefabricated optical fiber, adapter, fiber termination box,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assembly
US20240111100A1 (en) Connector, adapter, connector assembly, and communications device
JP4197588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コンセントおよびプラグを含む組立体
KR102516239B1 (ko)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KR10104195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7434047B2 (ja) 光コネクタ内蔵プラグ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内蔵プラグ
JP6200184B2 (ja) 防塵キャップ
US20070140623A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fitting
AU2321701A (en) A plug part for a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JP6877432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
JP2009086562A (ja) 光電変換回路内蔵型コネクタ
JP2016200631A (ja) 防水プラグ及びレセプタクル
RU2782170C1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коннектор, пред-изготовленное оптическое волокно, адаптер, блок терминации волокна и узел оптоволок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KR100951651B1 (ko) 광 컨넥터와 광섬유 케이블 그립장치
KR20150001393U (ko) 광케이블 커넥터 홀더
KR200248543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 및 커넥터
JP2007192871A (ja) 光コネクタ
JP4121487B2 (ja) 光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