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29B1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29B1
KR102112329B1 KR1020180104644A KR20180104644A KR102112329B1 KR 102112329 B1 KR102112329 B1 KR 102112329B1 KR 1020180104644 A KR1020180104644 A KR 1020180104644A KR 20180104644 A KR20180104644 A KR 20180104644A KR 102112329 B1 KR102112329 B1 KR 10211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ver
optical connector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553A (ko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이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로 filed Critical 이상로
Priority to KR102018010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리셉터클(Receptacle)의 내부로 커넥터 플러그와 함께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부에 배치되며, 외력을 받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원력을 가져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상기 제1 커버부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힘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력을 받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며, 외곽에 홈을 구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를 이용해 제2 커버부의 홈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돌출부가 결합됨에 있어, 회전하며 결합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 커넥터, 특히, 볼 타입의 푸시-풀(Push-Pull)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현을 위한 광학적 LINK에 필수적인 광학 정렬 접속자재로 전송기, 광계측기, 광통신, ATV등 광의 분배망의 광 전송로 간 상호 연결하는 광부품이다. 광 커넥터는 광섬유를 플러그 내의 페룰(Ferrule)에 정렬시킨 후 플러그를 리셉터클(Receptacle)에 삽입함으로써 광선로를 접속시키고 연장시킨다.
광 커넥터는 광 송수신 장비와 광 전송로 간 연결, 광 분배함과 광 케이블 간 연결, 광 분배함과 광 장비 간 연결, 광 장비와 광 단말 간 연결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 커넥터 중 간단한 구성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볼타입 푸시-풀(Push-Pull) 광 커넥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리셉터클 내 볼이 커넥터를 고정하며, 커넥터 사용자가 커넥터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리한 용법과 간단한 구조로 인해 볼타입 푸시-풀 광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타입 푸시-풀 광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졌다. 리셉터클, 특히, 외부로 노출된 리셉터클에 장착된 광 커넥터에 외력이 광 커넥터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종래의 볼타입 푸시-풀 광 커넥터는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었다. 문제는 광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지는 않을만한 크기의 외력이 광 커넥터로 작용하는 경우에 있다. 광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지는 않을만한 크기의 외력이 광 커넥터로 작용하는 경우, 광(光)적으로는 광 커넥터와 리셉터클이 탈착되었음에도 물리적으로는 광 커넥터가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육안으로는 탈착된 커넥터를 확인하기가 굉장히 어려워, 일일이 모든 광 커넥터의 상태를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로부터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탈착을 방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리셉터클(Receptacle)의 내부로 커넥터 플러그와 함께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부에 배치되며, 외력을 받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원력을 가져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상기 제1 커버부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힘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력을 받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며, 외곽에 홈을 구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를 이용해 제2 커버부의 홈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돌출부가 결합됨에 있어, 회전하며 결합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커버링은 상기 홈과 상기 돌출부가 온전히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홈은 결합되는 돌출부가 상기 제1 커버부가 이동하는 일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홈은 ‘ㄴ’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리셉터클(Receptacle)의 내부로 커넥터 플러그와 함께 삽입되며, 상기 리셉터클에 형성된 제1 홈으로 결합되는 돌출부 및 기 설정된 방향의 곡선형태로 외측면에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홈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제2 홈에서 진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외력을 받아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홈으로 진입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원력을 가져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상기 제1 커버부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힘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력을 받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 커넥터가 리셉터클로 장착되는 경우, 리셉터클로부터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광 커넥터의 탈착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 하부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과 제2 커버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팅 시스템(100)은 리셉터클(Receptacle, 110) 및 광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10)은 리셉터클(110)을 구비하는 장치(미도시)와 광 커넥터(120)를 연결하며, 연결된 광 커넥터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리셉터클(110)은 볼을 포함하여 볼을 광 커넥터(120)의 골(Furrow)에 장착하며, 삽입된 광 커넥터(120)를 고정시킨다. 리셉터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광 커넥터(120)는 리셉터클(110)로 삽입되며, 리셉터클(110)을 구비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장치와 광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광 커넥터(120)는 내부에 광 케이블을 포함하여 광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며, 광 케이블을 외력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 광 케이블이나 기타 구성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 및 광 커넥터(120)의 착탈을 위해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제공하는 구성 등을 광 케이블의 외부에 포함한다.
광 커넥터(120)는 푸시-풀(Push-Pull) 커넥터로서,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아 리셉터클(110)로 삽입되거나,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된다. 광 커넥터(120)의 구조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110)은 중공(中空, 210), 오목부(220) 및 볼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10)은 내부로 광 커넥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210)을 포함한다. 중공(210)은 광 커넥터(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중공으로 광 커넥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오목부(220)는 리셉터클(110)의 하우징 내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만큼 패인 부분에 해당한다. 오목부(220)는 기 설정된 깊이만큼 패여있으며, 오목부(220)로 오목부(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광 커넥터(120)의 구성이 결합된다. 광 커넥터(120)의 해당 구성이 오목부(220)와 결합됨으로써, 오목부(220)는 리셉터클(110)에 삽입된 광 커넥터(12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22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110)로 온전히 삽입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특히, 옥외에서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110)에 결합되는 경우라면 더욱 전술한 상황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110)은 오목부(220)를 구비한다.
볼 고정부(230)는 하우징 내측면으로 돌출된 볼 모양의 구조로서, 광 커넥터(120) 내 골과 결합되어 광 커넥터(120)를 고정시킨다. 볼 고정부(230)는 광 커넥터(120)의 골과 결합됨으로써, 리셉터클(110) 내로 삽입된 광 커넥터(120)가 전방(광 커넥터가 리셉터클과 가까워지는 방향, 푸시 동작) 또는 후방(광 커넥터가 리셉터클과 멀어지는 방향, 풀 동작)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광 커넥터(120)를 고정시킨다.
리셉터클(110) 내로 온전히 삽입된 광 커넥터(120)는 오목부(220) 및 볼 고정부(230)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120)는 외부에 플러그(310), 삽입부(320), 제1 커버부(330), 커버링(340), 제2 커버부(350), 제1 고정 프레임(360) 및 부트(Boot, 370)를 포함한다.
삽입부(320)는 리셉터클(110)의 중공(210)으로 삽입되어, 플러그(310)가 리셉터클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320)는 중공(210)보다 작은 반경을 구비함으로써, 리셉터클(110)의 중공(2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320)는 내부에 플러그(310) 및 기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플러그(3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채로 리셉터클(110)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32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320)는 중공(610), 돌출부(620), 골(630), 단차(640) 및 연결부(650)를 포함한다.
삽입부(320)는 내부에 플러그(310) 및 플러그(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610)을 구비한다.
돌출부(620)는 삽입부(320)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리셉터클(110)의 오목부(220)와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620)는 삽입부(320)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오목부(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면적과 형상은 오목부(220)의 그것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320)가 리셉터클(110)의 중공(210)으로 삽입될 경우, 돌출부(620)는 리셉터클(110)의 오목부(220)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620)가 오목부(220)로 결합됨으로써,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110)에 삽입된 후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골(630)은 리셉터클(110)의 볼 고정부(23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삽입부(320) 하우징의 외측면에 일정한 곡률로 패인 부분에 해당한다. 리셉터클(110)의 볼 고정부(230)가 골(630)과 결합되는 경우, 광 커넥터(120)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후방으로 작용하지 않는 한, 골(630)은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단차(640)는 삽입부(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리셉터클(110)과 가까운 측 삽입부(320)의 끝단에 형성된다. 단차(640)는 삽입부(320)의 내부로 돌출되어, 플러그(310),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후술할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과 맞닿음으로써, 해당 구성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너무 많이 플러그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셉터클이나 플러그에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차(640)는 플러그 또는 플러그(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일정 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연결부(650)는 삽입부(320)의 후방에서 다른 구성(후술할 제1 하우징(4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다른 구성과 삽입부(320)를 연결한다. 삽입부(320)가 연결부(650)를 이용해 다른 구성과 연결됨으로써, 광 케이블(120)이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고정되어 삽입부(320)나 다른 구성의 구조나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버부(330)는 삽입부(320)의 외부에 배치되며,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이동하며, 광 커넥터(120)를 이동시킨다.
제1 커버부(330)는 삽입부(320)의 외부에 배치된다. 다만, 제1 커버부(330)가 삽입부(320)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삽입부(320)가 리셉터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의 하우징이 제1 커버부(330)와 삽입부(32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커버부(330)는 삽입부(320)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특히, 옥외에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로 연결되는 경우, 삽입부(320)나 플러그 등이 비, 눈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버부(330)는 (광 커넥터 사용자 등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이동한다. 제1 커버부(330)는 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주로, 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이동한다. 외력에 의해 제1 커버부(33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다른 구성(후술할 제1 탄성부재(430))으로 외력을 전달함으로써, 다른 구성이 광 커넥터(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전달한다. 볼 고정부(230)가 골(630)을 벗어날 정도의 외력이 제1 커버부(330)로 작용하는 경우, 광 커넥터(120)는 후방으로 이동하되, 볼 고정부(230)가 골(630)을 벗어날 정도에 미치지 못하는 외력이 제1 커버부(330)로 작용하는 경우, 광 커넥터(120)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와 결합되어, 제1 커버부(33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와 결합된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와 결합함에 있어, 회전하며 결합된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와 회전하며 결합하기 때문에,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와 결합되는 경우, 커버 링(340)은 결합 이전의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와 온전히 결합되어 결합 이전의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커버 링(340)은 제1 커버부(330)와 접촉하게 된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와 회전하며 결합되었기 때문에, 회전한 방향으로 힘이 다시 작용하지 않는 한 전방 또는 후방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에 온전히 결합되는 경우, 커버 링(340)은 제1 커버부(330)와 접촉하여 제1 커버부(33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광 커넥터 사용자 등이 의도적으로 제1 커버부(3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커버 링(340)과 제2 커버부(350)의 결합을 해제한 후 이동시키면 된다. 다만, 광 커넥터 사용자 등의 의도와 무관하게, 제1 커버부(3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제1 커버부(330)로 작용할 수 있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했듯이, 광 커넥터(120)를 리셉터클(11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아닌 광적으로만 분리할 수 있는 정도 크기의 외력이 제1 커버부(330)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커넥터(120)는 광적으로는 리셉터클(110)과 분리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는 리셉터클(110)과 분리되어 있지 않아 광 커넥터 사용자나 관리자가 많은 불편을 겪었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와 결합되어 제1 커버부(330)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특히, 전술한 상황과 같이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이 제1 커버부(330)로 작용함으로써,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110)로부터 광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링(340)의 상세한 구조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링(340)은 중공(1310) 및 돌출부(1320)를 포함한다.
커버 링(340)은 제2 커버부(35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1310)을 구비하여, 커버 링(340)의 중공(1310) 내에 제2 커버부(350)가 삽입되어 제2 커버부(3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1320)는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제2 커버부(350)에 형성되어 있는 홈과 결합하여,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커버부(350)는 제1 커버부(3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고정 프레임(360) 및 광 커넥터의 내부 구성(후술할 제2 하우징(450))과 연결되며, 외력을 받는 경우 연결된 구성들로 전달함으로써 광 커넥터(120)를 이동시킨다.
제2 커버부(350)는 제1 커버부(330)의 후방에 배치된다. 다만, 제2 커버부(350)는 제1 커버부(3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커버부(350)는 제1 커버부(330)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와 온전히 결합될 때, 커버 링(340)이 제1 커버부(330)와 맞닿을 수 있다.
제2 커버부(350)는 제1 고정 프레임(360) 및 광 커넥터의 내부 구성과 연결되어, 외력을 받아 연결된 구성들로 전달함으로써 광 커넥터(120)를 이동시킨다. 제2 커버부(350)가 사용자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는 경우, 힘을 자신과 연결된 내부 구성으로 전달한다. 반대로, 제2 커버부(350)가 광 커넥터의 내부 구성(후술할 제1 탄성부재(430))로부터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 경우, 힘을 자신과 연결된 제1 고정 프레임(360)으로 전달한다.
제2 커버부(35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도 14에, 제2 커버부(350)와 커버 링(340)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 1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350)는 중공(1410) 및 홈(1420)을 포함한다.
제2 커버부(350)는 광 케이블(380) 및 광 케이블(380)을 지지하는 구성 등을 내부에 포함하기 위한 중공(1410)을 구비한다.
제2 커버부(350)는 커버 링(340)의 돌출부(1320)와 결합될 홈(1420)을 구비한다. 홈(1420)은 돌출부(1320)가 결합될 경우,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특히, 돌출부(1320)가 결합됨에 있어, 홈(1420)은 전방 또는 후방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일 예로서 홈(14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홈(1420)이 'ㄴ'자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돌출부(1320)는 전방으로 진입한 후, 전방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온전히 홈(14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을 홈(1420)이 구비할 경우, 커버 링(34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홈(1420)에 온전히 돌출부(1320)가 결합될 경우, 돌출부(1320)가 홈(142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기 위해서는 수직인 방향(회전한 방향)으로 다시 회전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3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제1 커버부(330)에 작용하더라도, 이러한 외력에 의해 커버 링(34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홈(1420)이 전술한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홈(1420)에 결합되는 커버 링(340)이 제1 커버부(3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과 제2 커버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아직 돌출부(1320)가 홈(1420)에 회전되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에 온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커버 링(340)은 제1 커버부(330)와 맞닿지 않는다.
반면, 도 15(b)는 돌출부(1320)가 홈(1420)에 회전되어 결합됨으로써, 커버 링(340)이 제2 커버부(350)에 온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커버 링(340)은 제1 커버부(330)와 맞닿게 되며, 제1 커버부(330)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더라도 커버 링(340)에 의해 이동이 방지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 프레임(360)은 광 케이블(380) 및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구성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고정 프레임(360)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프레임(360)은 중공(1210), 연결부(1220) 및 단차(123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프레임(360)은 내부에 광 케이블(380) 및 광 케이블이나 다른 구성을 고정하는 구성(후술할 제2 하우징(450), 제2 고정 프레임(440) 및 케이블 지지부(470))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1210)을 구비하여, 중공(1210) 내로 내부에 광 케이블(380) 및 광 케이블이나 다른 구성을 고정하는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220)는 광 커넥터의 내부 구성(후술할 제2 하우징(450)의 연결부)과 결합되어, 제1 고정 프레임(360)과 내부 구성을 긴밀히 연결한다. 연결부(1220)는 양자(제1 고정 프레임(360)과 제2 하우징(450))를 긴밀히 연결함으로써, 양자가 서로에게 고정되어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제2 커버부(350)로부터 전달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호(제1 고정 프레임(360)과 제2 하우징(450))에게 전달한다.
단차(1230)는 제1 고정 프레임(360)의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광 케이블의 내부 구성(후술할 케이블 지지부(470))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지지부(470)가 단차(1230)에 의해 전·후방으로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부트(370)는 광 케이블(380)의 외주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광 케이블(380)의 훼손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120)는 내부에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 제1 하우징(420), 제1 탄성부재(430), 제2 탄성부재(435), 제2 고정 프레임(440), 제2 하우징(450), 케이블 보호부(460), 케이블 지지부(470), 오-링(480) 및 지지부재(490)를 포함한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및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은 내부에 플러그(310)를 고정시킨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및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각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은 플러그 고정부(710), 돌출부(720) 및 결합부(740)를 포함한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의 후방을 거쳐 하단으로는 플러그(310)와 연결되는 광 케이블(380)이 배치되며,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내부에 플러그(310)가 배치됨으로써, 플러그(310)의 상단과 광 케이블(380)은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에 의해 온전히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고정부(710)는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본체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플러그 고정부(710)와 삽입부(320) 사이에 플러그(310)의 끝단이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큼 떨어진 위치까지만 돌출된다. 즉, 플러그 고정부(710)와 삽입부(32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해당 공간으로 플러그(310)의 끝단이 배치됨으로써, 플러그(310)가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720)는 제1 하우징(420) 또는 제2 고정 프레임(440)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720)의 전방 쪽 일 측면이 제1 하우징(420)과 접촉함으로써, 제1 하우징(420)으로부터 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전달받는다. 이에 따라,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돌출부(720)의 후방 쪽 일 측면이 제2 고정 프레임(440)과 접촉함으로써,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과 제2 고정 프레임(440) 상호 간에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고정 프레임(440)으로부터 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전달 받는다. 이에 따라,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은 후방 쪽 끝단에 반원형 구멍(730)을 갖는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전방으로 플러그(310)가 고정되나, 광 케이블(380)이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의 후방에서부터 하단을 거치며 플러그(310)로 연결된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은 후방 쪽 끝단에 반원형 구멍(730)을 가짐으로써, 반원형 구멍(730)으로 광 케이블(380)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플러그(3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740)는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의 결합부와 결합되어,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및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이 상호간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양 프레임(410, 415)이 결합됨으로써, 플러그(310) 및 플러그(310)와 연결된 광 케이블(38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은 플러그 고정부(810) 및 결합부(83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의 후방을 거쳐 상단으로는 플러그(310)와 연결되는 광 케이블(380)이 배치되며, 플러그(310)는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플러그(310)의 하단과 광 케이블(380)은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에 의해 온전히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고정부(810)는 삽입부(320)의 단차(640)와 접촉하여,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도 후방 쪽 끝단에 반원형 구멍(820)을 갖는다.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은 후방 쪽 끝단에 반원형 구멍(820)을 가짐으로써, 반원형 구멍(820)으로 광 케이블(380)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플러그(3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830)는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의 결합부(740)와 결합되어,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및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415)이 상호간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740)와 결합부(830)는 각각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현되어, 어느 하나의 결합부가 다른 하나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420)은 내부에 광 케이블(380) 및 플러그 상·하부 고정 프레임(410, 415)이 포함될 공간을 구비하며, 삽입부(320) 및 제2 하우징(450)과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한다. 제1 하우징(4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420)은 중공(910), 삽입부 연결부(920), 커버부 고정부(930), 제2 하우징 연결부(940) 및 돌출부(95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420)은 내부에 광 케이블(380) 및 플러그 상·하부 고정 프레임(410, 415)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910)을 구비하여, 중공(910) 내로 내부에 광 케이블(380) 및 플러그 상·하부 고정 프레임(410, 415)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하우징(420)은 삽입부(320)의 연결부(6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 연결부(920)를 구비하여, 삽입부 연결부(920) 내에 삽입부(320)의 연결부(6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320)의 연결부(650)가 삽입됨으로써, 삽입부(320)와 제1 하우징(420)이 상호간 긴밀이 연결되어 임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부 고정부(930)는 제1 커버부(330)와 접촉하여, 제1 커버부(330)가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커버부 고정부(930)는 제1 하우징(4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제1 커버부(3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연결부(940)는 제2 하우징(450)의 연결부와 결합되어, 제1 하우징(420)과 제2 하우징(450)을 긴밀히 연결한다. 제2 하우징 연결부(940)에 의해 제1 하우징(420)과 제2 하우징(450)이 긴밀히 연결됨으로써, 제1 하우징(420)과 제2 하우징(450)이 상호간에 임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제2 하우징(45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제1 하우징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950)는 제1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되어,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의 돌출부(720)와 접촉한다. 돌출부(950)는 돌출부(720)와 접촉함으로써, 제1 하우징(420)이 일정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하우징(420)이 제2 하우징(450)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950)는 돌출부(720)와 접촉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외력을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으로 전달한다.
다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430)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제1 커버부(330)가 받은 외력을 다양한 구성으로 전달한다. 제1 탄성부재(430)는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탄성을 가져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면 어떠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편의상,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430, 435)를 스프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탄성부재(430)는 제1 커버부(330)의 내부, 특히, 제1 커버부(330)와 지지부재(49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커버부(330)에 의해 발생한 복원력을 지지부재(490)로 전달한다
제1 커버부(330)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탄성부재(430)는 제1 커버부(330)에 의해 힘을 받으며, 그에 따른 복원력을 제1 커버부(330)와 지지부재(490)에 가한다. 복원력에 의해 제1 커버부(330)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지지부재(490)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490)는 후방을 작용하는 힘을 지지부재(490)와 연결된 다른 구성(제2 커버부(350), 제1 고정 프레임(360), 제2 하우징(450), 제1 하우징(420) 등)으로 전달하여, 광 커넥터(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탄성부재(435)는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과 제2 고정 프레임(440)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으로 전달한다. 제2 탄성부재(435)는 주로 제2 고정 프레임(440)으로부터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으며, 그에 따른 복원력을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으로 전달한다.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은 제2 탄성부재(435)로부터 전방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받음으로써, 플러그(310)가 리셉터클(1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이 온전히 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440)은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 및 제2 하우징(450)과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며,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410)과 케이블 보호부(460)를 고정한다. 제2 고정 프레임(4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프레임(440)은 중공(1010), 돌출부(1020), 홈(1030) 및 케이블 고정판(1040)을 포함한다.
제2 고정 프레임(440)은 내부에 광 케이블(380) 및 케이블 보호부(460)를 포함할 수 있는 중공(1010)을 구비한다.
제2 고정 프레임(440)은 하우징의 외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020)를 포함한다. 돌출부(1020)의 전방에는 제2 탄성부재(435)가 배치되며, 돌출부(1020)는 제2 탄성부재(435)가 제2 고정 프레임(440)에 의해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제2 탄성부재(435)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1020)의 후방은 제2 하우징(450)의 단차와 접촉하여, 제2 하우징(450)을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2 하우징(450)으로부터 전달받는다.
홈(1030)은 돌출부(1020)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오-링(480)이 홈(1030)에 배치된다. 홈(1030)은 오-링(480)이 배치될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가진다.
케이블 고정판(1040)은 광 케이블(380)은 통과할 수 있으나 케이블 보호부(460)는 통과할 수 없는 구멍을 가져, 광 케이블(380)을 통과시켜 광 케이블(380)이 플러그(3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케이블 보호부(460)는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한다. 케이블 고정판(1040)이 케이블 보호부(460)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광 케이블(380)이 일정 수준 이상 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450)은 제1 하우징(420), 제2 고정 프레임(440), 제2 커버부(350) 및 제1 고정 프레임(360)과 연결되어 각각을 고정하며, 제2 커버부(350)에서 작용하는 힘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한다. 제2 하우징(4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450)은 중공(1110), 제1 연결부(1120), 제2 연결부(1130), 제1 단차(1140) 및 제2 단차(1150)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450)은 내부에 제2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는 중공(1110)을 구비한다.
제1 연결부(1120)는 제1 하우징(420)의 제2 하우징 연결부(94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하우징(450)과 제1 하우징(420)은 연결되며, 상호간을 고정한다. 또한, 제2 하우징(450)과 제1 하우징(420)이 연결됨으로서, 제2 하우징(45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1 하우징(4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130)는 제1 고정 프레임(360)의 연결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하우징(450)과 제1 고정 프레임(360)은 연결되며, 상호간을 고정한다. 또한, 제2 하우징(450)과 제1 하우징(420)이 연결됨으로서, 제2 하우징(45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1 하우징(4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차(1140)는 제2 하우징(45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커버부(350)의 후방에 위치한 단차와 접촉한다. 제2 하우징(450)의 외측면에 제1 단차(1140)가 형성되어 있어, 제2 커버부(350)의 단차가 제2 연결부(1130)에 연결된 제1 고정 프레임(360)과 제2 하우징(450)의 사이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버부(350)가 제1 단차(1140)에 의해 전·후방으로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차(1140)는 제2 커버부(350)와 접촉함으로써, 제2 하우징(45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2 커버부(350)로부터 전달받는다. 제2 커버부(350)가 사용자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 경우, 제2 커버부(350)의 단차와 접촉하는 제1 단차(1140)로 힘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힘은 각 연결부(1120, 1130)에 연결된 제1 하우징(420)이나 제1 고정 프레임(360)으로 전달된다. 한편, 제2 커버부(350)이 제1 탄성부재(430)에 의해 후방으로 작용하는 힘(복원력)을 받는 경우, 제2 커버부(350)는 제2 연결부(1130)에 연결된 제1 고정 프레임(360)과 제2 하우징(450)의 사이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450)으로 힘을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힘은 제1 연결부(1120)에 연결된 제1 하우징(420)으로 전달된다.
제2 단차(1150)는 제2 하우징(4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고정 프레임(440)의 돌출부(1020)와 접촉한다. 제2 고정 프레임(440)은 제2 하우징(450)의 전방에서 중공(1110)으로 인입된다. 제2 고정 프레임(440)이 일정 거리 이상 인입될 경우, 제2 단차(1150)가 제2 하우징(4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제2 고정 프레임(440)의 돌출부(1020)와 제2 단차(1150)가 접촉한다. 제2 단차(1150)는 돌출부(1020)와 접촉하여 제2 고정 프레임(440)이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고정 프레임(440) 및 그와 연결된 다른 구성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케이블 보호부(460)는 제2 고정 프레임(440)과 광 케이블(380)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블로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광 케이블(380)을 보호한다.
케이블 지지부(470)는 내부에 케이블을 포함하여 광 케이블(380)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며, 제2 고정 프레임(440) 및 제1 고정 프레임(360)과 연결되어 각 고정 프레임(440, 360)을 고정한다.
케이블 지지부(470)의 일 측면은 제2 고정 프레임(440)과 연결되어, 제2 고정 프레임(44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케이블 지지부(47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케이블 지지부(470)와 제2 고정 프레임(440)이 접촉함으로써, 상호간에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지지부(470) 내부에 포함된 광 케이블(380)도 마찬가지로, 일정 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지지부(470)의 다른 일 측면은 제1 고정 프레임(360)과 연결되어, 케이블 지지부(47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지지부(470) 내부에 포함된 광 케이블(380)도 마찬가지로, 일정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오-링(480)은 각 구성들이 결합되며 생성되는 간극을 막고, 방수 재질로 구현되어 간극 사이로 물과 같은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480)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490)는 제1 탄성부재(430)를 지지하며, 제2 커버부(350)와 연결되어 제2 커버부(350)를 고정한다.
지지부재(490)는 제1 커버부(330)의 내부에서, 제1 탄성부재(430)와 제2 커버부(350)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부재(490)는 제1 탄성부재(430)와 제2 커버부(350) 사이에서 제1 탄성부재(430)를 지지하여, 제1 탄성부재(43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반대로 제1 탄성부재(430)도 복원력을 가하여 지지부재(490)가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부재(490)는 제1 탄성부재(430)와 제2 커버부(350) 사이에서 제2 커버부(350)와 연결되어, 제1 탄성부재(430)가 후방으로 가하는 복원력을 제2 커버부(350)로 전달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팅 시스템(1900)은 리셉터클(1910)과 광 커넥터(192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910)과 광 커넥터(19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110)과 광 커넥터(120)와는 달리, 볼을 이용하여 삽입된 광 커넥터(120)가 리셉터클(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요넷(Bayonet) 타입으로 삽입된 광 커넥터(1920)가 리셉터클(1910)에 고정된다. 바요넷 타입이란 일 부품 내 일정한 경로로 형성된 홈을 따라 다른 부품의 돌출부가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방식이다.
리셉터클(1910)은 리셉터클(110)과 동일한 역할을 하되, 광 커넥터(1920)를 고정하기 위해 외측면에 홈을 구비한다. 리셉터클(1910)은 홈을 구비함으로써, 광 커넥터(1920)의 돌출부가 홈을 따라 진행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리셉터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리셉터클(1910)은 중공(1610) 및 홈(162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910)은 내부로 광 커넥터(19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1610)을 포함한다. 중공(1610)은 광 커넥터(19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중공으로 광 커넥터(19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리셉터클(1910)의 외측면에 후술할 광 커넥터(1920) 내 삽입부(1700)의 돌출부와 결합될 홈(1620)을 구비한다. 홈(1620)은 'ㄱ'자 모양과 같이 광 커넥터(1920)가 삽입된 후, 삽입되는 방향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야아만 온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홈(1620)은 후술할 삽입부(1700)의 돌출부가 진입하는 방향에 빗면(1625)를 포함한다. 홈(1620)은 삽입부(1700)의 돌출부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빗면(1625)을 포함함으로써, 삽입부(1700)의 돌출부가 보다 원활히 홈(1620)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광 커넥터(1920) 역시, 광 커넥터(120)와 동일한 역할을 하되, 광 커넥터(1920) 내 삽입부(1700)와 제1 커버부(1800)가 광 커넥터(120)의 그것과 상이하다. 이에 따라, 외력에 따라 리셉터클(1910) 내로 삽입되거나 리셉터클(1910)로부터 탈착되는 광 커넥터(1920)의 동작이 광 커넥터(120)의 해당 동작과 상이해진다. 광커넥터(1920)의 삽입부(1700)와 제1 커버부(18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각 도 17 및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삽입부(1700)는 중공(1710), 돌출부(1720), 홈(1730) 및 결합부(1740)를 포함한다.
삽입부(1700)는 내부에 플러그(310) 및 플러그(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1710)을 구비한다.
돌출부(1720)는 삽입부(170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돌출된 구성으로, 리셉터클(1910)의 홈(1620)으로 진입하여 광 커넥터(1920)를 리셉터클(1910)에 고정시킨다. 돌출부(1720)는 삽입부(170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돌출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삽입부(1700)의 표면에 삽입부(1700)를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양 구멍에 별도의 핀이나 단단한 물체를 끼움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홈(1730)은 삽입부(17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성으로, 광 커넥터(1920)의 제1 커버부(1800) 내 돌출부와 결합한다. 홈(1730)은 리셉터클(1910)의 홈(1620)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1800) 내 돌출부가 홈(1730)으로 진입하는 경우, 홈(1730)을 따라 진행하게 되어 홈(1730)의 형태에 따라 삽입부(1700)를 형성된 홈(173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왼쪽으로 휘어진 곡선형태로 형성된 홈(1730)으로 제1 커버부(1800) 내 돌출부가 진입하는 경우, 돌출부는 홈(1730)을 따라 진행하며 삽입부(1700)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킨다. 제1 커버부(1800)가 외력을 받아 직선운동(푸시-풀)하는 경우, 홈(1730)은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곡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커버부(1800)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회전운동에 의해, 외부에서 광 커넥터(1920, 구체적으로는 삽입부(17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리셉터클(1910)의 홈(1620)으로 진입한 돌출부(1720)는 리셉터클(1910)의 홈(1620)에 온전히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1740)는 삽입부(1700) 내측면의 일부분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삽입부(1700)가 후단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등)과 결합되는데 있어, 결합은 용이하게 되나 탈착이 손쉽게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커버부(1800)는 중공(1810) 및 돌출부(1820)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1800)는 내부에 삽입부(1700) 등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1810)을 구비한다.
돌출부(1820)는 제1 커버부(180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돌출된 구성으로, 삽입부(1700)의 홈(1730)으로 진입하여 외력을 삽입부(1700)로 전달한다. 돌출부(1820)는 외력을 받아 단지 광 커넥터(19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다만, 돌출부(1820)는 홈(1730)에 진입한 후 외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홈(1730)은 홈(1730)의 형상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홈(1730)이 제1 커버부(1800)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삽입부(1700, 구체적으로 돌출부(1720))는 리셉터클(1910, 구체적으로 홈(1620))에 결합된다.
종래에는 플러그를 먼저 리셉터클(1910) 내로 삽입한 후, 이후, 다시 광 커넥터(1920)를 리셉터클(1910)로 진입시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1920)는 삽입부(1700)와 제1 커버부(1800)의 구성에 의해 1회의 푸시-풀 동작으로 광 커넥터(1920) 내 플러그를 리셉터클(1910) 내로 삽입함과 동시에, 광 커넥터(1920)를 리셉터클(19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1920)의 나머지 구성(예를 들어, 커버링, 제2 커버부, 고정 프레임 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120)와 동일하여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900: 광 커넥팅 시스템
110,1910: 리셉터클
120, 1920: 광 커넥터
210, 610, 910, 1010, 1110, 1210, 1310, 1410, 1610, 1710, 1810: 중공
220: 오목부
230: 볼 고정부
310: 플러그
320, 1700: 삽입부
330, 1800: 제1 커버부
340: 커버 링
350: 제2 커버부
360: 제1 고정 프레임
370: 부트
380: 광 케이블
410: 플러그 상부 고정 프레임
415: 플러그 하부 고정 프레임
420: 제1 하우징
430: 제1 탄성부재
435: 제2 탄성부재
440: 제2 고정 프레임
450: 제2 하우징
460: 케이블 보호부
470: 케이블 지지부
480: 오-링
490: 지지부재
620, 720, 950, 1020, 1320, 1720, 1820: 돌출부
630: 골
640, 1230: 단차
650, 1220: 연결부
710, 810: 플러그 고정부
730, 820: 반원형 구멍
740, 830: 결합부
920: 삽입부 연결부
930: 커버부 고정부
940: 제2 하우징 연결부
1030, 1420, 1620, 1730: 홈
1040: 케이블 고정판
1120: 제1 연결부
1130: 제2 연결부
1140: 제1 단차
1150: 제2 단차
1625: 빗면

Claims (6)

  1. 리셉터클(Receptacle)에 형성된 볼 고정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볼 타입 푸시-풀 광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내부로 커넥터 플러그와 함께 삽입되며, 상기 볼 고정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골을 포함하여 상기 리셉터클과의 분리를 방지하는 삽입부;
    상기 리셉터클의 하우징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부에 상기 삽입부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며, 외력을 받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원력을 가져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상기 제1 커버부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힘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력을 받아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며, 외곽에 홈을 구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를 이용해 제2 커버부의 홈과 결합하며, 상기 제2 커버부와 온전히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커버부와의 결합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제1 커버부가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ㄴ자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과 결합함에 있어 진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온전히 상기 홈과 결합하거나 상기 홈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갖는 오목부와 결합되어 광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후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삽입부는 일 끝단에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 플러그의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플러그 또는 상기 리셉터클의 파손 우려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04644A 2018-09-03 2018-09-03 광 커넥터 KR10211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44A KR102112329B1 (ko) 2018-09-03 2018-09-03 광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44A KR102112329B1 (ko) 2018-09-03 2018-09-03 광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53A KR20200026553A (ko) 2020-03-11
KR102112329B1 true KR102112329B1 (ko) 2020-05-18

Family

ID=6981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644A KR102112329B1 (ko) 2018-09-03 2018-09-03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263A (ko) * 2020-10-15 2022-04-25 (주)포스텍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184B1 (ko) * 2020-06-24 2022-12-26 주식회사 제이티 베이요넷 기능을 갖는 옥외용 푸쉬풀 광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488A (en) * 1996-10-31 1997-09-02 Alden; Peter H. Quick connect coupling system for rapidly joining connectors and/or other elongated bodies
JP5080600B2 (ja) * 2010-02-26 2012-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内蔵プラ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263A (ko) * 2020-10-15 2022-04-25 (주)포스텍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KR102516239B1 (ko) 2020-10-15 2023-03-31 (주)포스텍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53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798B (zh) Fiber optic connectors, fiber optic adapters and fiber optic connectors
US8506173B2 (en) Multi-fiber fiber optic receptacle and plug assembly
US7824113B2 (en) Small form factor pluggable (SFP) optical transceiver module and method
US7244066B2 (en) Fiber optic receptacle and plug assembly including alignment sleeve insert
CA2576507C (en) Fiber optic receptacle and plug assemblies with alignment and keying features
US11592626B2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boot-integrated release and related assemblies
US20180031775A1 (en) Indoor hybrid connectivity system for providing both electrical power and fiber optic service
CN106575020A (zh) 可插拔连接器
JP2020522005A (ja) プッシュプルタブを備えた極性調節可能な光ファイバ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080131055A1 (en) Keyed push-pull type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CN106959491B (zh) 线缆连接器
KR102112329B1 (ko) 광 커넥터
US7448810B2 (en) Dustproof transceiver
JP2017530521A (ja) コネクタケーシング用の保護キャップ
EP3955397B1 (en) Plug connector
CN105278050A (zh) 低轮廓光学收发器连接器插座
CA2205209C (en) An optical fibre connector device and system with a mechanism for disengaging a through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TW201500790A (zh) 具有位移蓋體及迎接插座的光學式插頭
US11460645B2 (en) Optical connector device
KR102481184B1 (ko) 베이요넷 기능을 갖는 옥외용 푸쉬풀 광 커넥터
KR101774013B1 (ko) 광어댑터
AU726349B2 (en) An optical fibre device
KR20040026979A (ko) 광전송시스템의 광어댑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