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450A -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 Google Patents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450A
KR20220030450A KR1020200110956A KR20200110956A KR20220030450A KR 20220030450 A KR20220030450 A KR 20220030450A KR 1020200110956 A KR1020200110956 A KR 1020200110956A KR 20200110956 A KR20200110956 A KR 20200110956A KR 20220030450 A KR20220030450 A KR 20220030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blocking
inflow
main body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689B1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명 filed Critical (주)유명
Priority to KR102020011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6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 또는 노출되게 설치되거나 가로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에 설치되는 전기 단자함의 전선 인입구로 빗물 또는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며 더욱이,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형태로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침투수의 차단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여 단자함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투수로부터 가장 취약한 전선의 인입부분을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침투수의 차단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수 있어 빗물이나 습기로부터 단자함 내부의 전기장치를 보호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Electrical terminal box to block inflow of permeate}
본 발명은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 또는 노출되게 설치되거나 가로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에 설치되는 전기 단자함의 전선 인입구로 빗물 또는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며 더욱이,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형태로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침투수의 차단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여 단자함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투수로부터 가장 취약한 전선의 인입부분을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침투수의 차단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수 있어 빗물이나 습기로부터 단자함 내부의 전기장치를 보호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 다양한 목적의 단자함들이 벽면내부로 매설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가로등과 같은 외부 시설물에도 전선의 입입을 위한 단자함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단자함은 내부에 다수의 단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태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함에는 외부에서 다양한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이 인입되는데, 상기 인입되는 전선을 통하여 단자함 내부로 빗물이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단자함의 전선이 유입되는 부분에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s)를 설치하고 내부로 전선을 통과시키는 구성을 통하여 단자함 내부로 빗물이나 습기와 같은 침투수의 침투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침투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함의 일측에 케이블 그랜드를 설치하는 경우 단자함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 단자함의 외부로 돌출되는 케이블 그랜드에 의하여 단자함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자함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식인 경우 단자함의 외부로 케이블 그랜드가 노출됨으로서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하나의 케이블 그랜드를 이용하여 단자함 내부로 인입하는 경우 전선과 전선 사이 틈새로 빗물이나 습기가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그랜드에 하나의 전선만을 연결하는 경우 다수의 케이블 그랜드를 필요로 하며, 케이블 그랜드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단자함의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단자함의 내부로 습기 또는 빗물이 침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로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9-0004184호(공개일 : 2009년 05월 07일)가로등 단자함은, 덮개를 여닫는 통상의 단자함의 어느 한 측벽에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부를 형성하는 장공이 뚫리는 단자함과, 밀폐부를 돌출 형성하고 전선이 통과되는 압축공과 연결되는 탄성관을 일체로 구성하는 밀폐부재와, 측벽부와 전면판이 구비되고 탄성관이 노출되는 노출장공을 뚫은 체결부재를 단자함에 체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로등 단자함은 밀폐부재에 형성된 복수 개의 탄성관으로 전선을 끼움하는 과정에서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탄성관에 의하여 인입된 전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특징은 있으나 상기 밀폐부재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밀폐부재 및 체결부재의 제조에 따른 전체적인 단자함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전선을 밀폐부재에 인입한 상태에서 체결부재의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180920호(등록일: 2012년 09월 03일)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은, 전면에 힌지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와, 메인차단기와 보조차단기 및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를 매개로 내부에 설치되는 장착판을 갖추고서, 벽체에 설치되는 함체와, 함체에 설치되며 도어부와 상호 밀착되어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폐재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함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관체와,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을 갖추고서, 관체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와, 관체의 결합홈과 관체커버의 결합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와, 전선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추고서, 관체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와, 전선안착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에 안착된 전선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와,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을 갖추고서, 관체커버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와, 커버인출봉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를 갖춘 보호관과, 함체에 설치되며, 도어부의 개폐에 의해 조명등으로의 전력공급이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 및 스위치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빛을 방출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은 단자함의 일측에 관체와 관체커버로 이루어진 보호관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서 앞서 케이블 그랜드의 사용에 의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된 단자함 제작비용의 상승, 단자함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계속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32527호(등록일: 2003년 10월 29일)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구조는, 광케이블을 연결 혹은 분지시키기 위해 광케이블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인입구에는 광케이블의 끝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광케이블과 인입구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인입구 가스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본체 테두리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인입구 가스켓의 상부에는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과 연속하여 홈을 이루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홈에는 요홈이 형성된 일체형 테두리 가스켓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커버 조립시 상기 테두리 가스켓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자함 커버의 테두리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가압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접속단자 씰링구조 역시 본체의 내부에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완전 차페할 수 없어 광케이블의 주변을 통하여 접속단자 내부로 빗물이나 습기의 침투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184호(공개일: 2009년 05월 07일) "가로등 단자함" 등록특허공보 제10-1180920호(등록일: 2012년 09월 03일)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527호(등록일: 2003년 10월 29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 또는 노출되게 설치되거나 가로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에 설치되는 전기 단자함의 전선 인입구로 빗물 또는 습기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단자함 내부에 설치된 전기장치의 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각각 개별적으로 가압하여 인입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빗물이나 습기에 의한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인입되는 전선을 각각 가압하는 형태에 의하여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전선도 별도의 보조구성 없이 전선표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어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전선의 밀폐를 위하여 단자함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케이블 그랜드와 같은 보조구성이 불필요하여 단자함의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걸림이나 단자함의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더라도 미관의 저해됨이 없이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은 내부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수용부와 상부에 밀착돌출부와 복수 개의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전선이 인입되는 측면에 개방홈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방홈에 끼움되며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전선이 끼움되는 복수 개의 인입공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차단부재 및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부를 밀폐하며 하부 일측에 상기 차단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돌출판과 상기 본체의 암나사공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트결합공 및 상기 밀착돌출부가 밀착되는 패킹이 일체로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본체의 개방홈에 끼움된 차단부재의 상부를 덮개의 돌출판이 가압하여 인입공에 끼움된 전선을 가압하여 밀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전선이 끼움되는 복수 개의 인입공과 측면에 "ㄷ"형태의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홈을 중심으로 전방면이 후방면보다 1.5배 넓게 형성되어 본체의 개방홈에 차단부재가 결합시 넓은 형태의 전방면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조립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습기등에 의한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의 하부 가장자리에 "ㄷ"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더와, 상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ㄷ" 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면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이더가 밀착면의 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덮개와 본체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공은 복수 개의 인입공이 서로 다른 지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은 일반적인 형태의 전기 단자함의 전선이 인입되는 부분에 개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홈에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를 끼움하여 단자함을 구성하며 덮개가 단자함과 결합시 차단부재를 가압하여 차단부재가 변형되며 인입공으로 인입된 전선의 표면을 가압하여 빗물이나 습기에 의한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단자함 내부에 설치된 전기장치의 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전선 인입공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여러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지름의 전선이 단자함 내부로 인입되더라도 각각 독립적인 밀폐를 통하여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지름의 여러 가닥의 전선이 인입되더라도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완벽하게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전선의 인입을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 그랜드와 같은 보조 장치가 불필요하여 단자함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단자함의 외부로 돌출됨을 방지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단자함을 설치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노출식으로 단자함을 설치시에도 미관에 저하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중 차단부재의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차단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의 단자함과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및 A-A선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의 단자함과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및 B-B선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중 차단부재의 부분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에 차단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이하, '단자함'이라 함.)(100)은 크게 내부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수용부(11)를 갖는 함체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차단부재(2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를 밀폐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수용부(11)와 상부에 내측으로 차 후 설명할 덮개(30)의 가이더(31)가 밀착되는 밀착면(12)과 밀착돌출부(13) 및 암나사공(14)이 형성되고, 전선이 인입되는 측면에 개방홈(15)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재(20)는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전선이 끼움되는 복수 개의 인입공(21)과 측면에 상기 개방홈(15)에 끼움되는 "ㄷ"형태의 결합홈(2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는 결합홈(22)을 중심으로 전방면(23)이 후방면(24)보다 1.5배 넓게 형성되어 본체(10)의 개방홈(15)에 차단부재(20)가 결합시 넓은 형태의 전방면(23)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습기등에 의한 침투수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입공(21)은 차단부재(20)의 내측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인입공(21)은 여러 개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여러 개의 전선을 각각 독립적으로 밀폐할 수 있어 종래 케이블 그랜드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추가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가닥의 전선을 인입시에도 각각 별도의 인입공(21)에서 가압되어 밀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본체(10) 내부로 빗물이나 습기등의 침투수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는 결합홈(22)의 상부가 밀폐되어 있어 본체(10)의 개방홈(15)의 가장자리에 차단부재(20)의 결합홈(22)이 끼움되면 차단부재(20)의 상부가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차 후 덮개(30)가 본체(1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차단부재(20)의 돌출된 부분이 하부로 눌려 가압되며 인입공(21)에 끼움된 전선(200)을 가압하여 밀폐한다.
상기 덮개(30)는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부(11)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ㄷ" 형태로 돌출형성되며 본체(10)의 밀착면(12)에 일면이 밀착되어 덮개(30)가 본체(10)와 정확한 위치게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더(31)와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20)의 상부롤 가압하는 돌출판(32)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암나사공(14)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트결합공(3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31)와 돌출판(32)의 일측에는 상기 밀착돌출부(13)가 밀착되는 패킹(3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의 단자함과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및 A-A선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의 단자함과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체(10)의 개방홈(15)에 차단부재(20)를 결합하면 차단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22)에 개방홈(15)의 양측이 슬라이딩 형태로 끼움됨과 동시에 결합홈(22)의 상부가 밀폐됨으로서 차단부재(20)의 상부 일부분이 본체(1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에 차단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차단부재(20)에 형성된 인입공(21)에 전선(200)을 관통시켜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전자기기(미도시)와 연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전자기기와 연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덮개(30)를 본체(10)와 결합하여 내부 수용부(11)를 밀폐하는데, 1차적으로 상기 덮개(30)에 "ㄷ"형태로 형성된 가이더(31)가 본체(10)의 밀착면(12)에 밀착된 상태로 본체(10)에 밀착됨으로서 본체(10)에 결합되는 덮개(30)가 비틀어짐이 물리적으로 방지되어 정확한 위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밀착돌출부(13)가 덮개(30)에 형성된 패킹(34)에 밀착 눌림되어 빗물이나 습기가 본체(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20)는 상부가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덮개(3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판(32)이 차단부재(20)의 돌출된 상부를 가압하며 하강하는데, 이때, 돌출판(32)의 가압에 의하여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가 눌림되며 각각의 인입공(21)이 눌림되며 인입된 전선(200)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인입공(21)을 통한 빗물이나 습기와 같은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며 차단부재(20)가 눌림되며 양측으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전선(200)의 밀착범위가 넓게 이루어짐으로서 인입공(21)의 수밀유지가 극대화되며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20)가 눌림된 상태가 덮개(30)의 볼트결합공(33)을 관통하여 본체(10)의 암나사공(14)에 나사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4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수용부(11) 전체에 수밀유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은 일반적인 형태의 전기 단자함의 전선이 인입되는 부분에 개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홈에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를 끼움하여 단자함을 구성하며 덮개가 단자함과 결합시 차단부재를 가압하여 차단부재가 변형되며 인입공으로 인입된 전선의 표면을 가압하여 빗물이나 습기에 의한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단자함 내부에 설치된 전기장치의 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전선 인입공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여러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지름의 전선이 단자함 내부로 인입되더라도 각각 독립적인 밀폐를 통하여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지름의 여러 가닥의 전선이 인입되더라도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완벽하게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전선의 인입을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 그랜드와 같은 보조 장치가 불필요하여 단자함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단자함의 외부로 돌출됨을 방지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단자함을 설치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노출식으로 단자함을 설치시에도 미관에 저하없이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수용부
12 : 밀착면 13 : 밀착돌출부
14 : 암나사공 15 : 개방홈
20 : 차단부재 21 : 인입공
22 : 결합공 23 : 전방면
24 : 후방면
30 : 덮개 31 : 가이더
32 : 돌출판 33 : 볼트결합공
34 : 패킹 40 : 체결볼트

Claims (4)

  1. 내부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수용부(11)와 상부에 밀착돌출부(13)와 복수 개의 암나사공(14)이 형성되고, 전선이 인입되는 측면에 개방홈(15)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개방홈(15)에 끼움되며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전선이 끼움되는 복수 개의 인입공(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차단부재(20);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부(11)를 밀폐하며 하부 일측에 상기 차단부재(20)의 상부를 가압하는 돌출판(32)과 상기 본체(10)의 암나사공(14)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트결합공(33) 및 상기 밀착돌출부(13)가 밀착되는 패킹(34)이 일체로 형성된 덮개(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개방홈(15)에 끼움된 차단부재(20)의 상부를 덮개(30)의 돌출판(32)이 가압하여 인입공(21)에 끼움된 전선을 가압하여 밀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전선이 끼움되는 복수 개의 인입공(21)과 측면에 "ㄷ"형태의 결합홈(22)이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홈(22)을 중심으로 전방면(23)이 후방면(24)보다 1.5배 넓게 형성되어 본체(10)의 개방홈(15)에 차단부재(20)가 결합시 넓은 형태의 전방면(23)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조립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습기등에 의한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의 하부 가장자리에 "ㄷ"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더(31)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가장자리에 "ㄷ" 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면(12)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이더(31)가 밀착면(12)의 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덮개(30)와 본체(10)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21)은 복수 개의 인입공(21)이 서로 다른 지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KR1020200110956A 2020-09-01 2020-09-01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KR10239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956A KR102397689B1 (ko) 2020-09-01 2020-09-01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956A KR102397689B1 (ko) 2020-09-01 2020-09-01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50A true KR20220030450A (ko) 2022-03-11
KR102397689B1 KR102397689B1 (ko) 2022-05-16

Family

ID=8081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956A KR102397689B1 (ko) 2020-09-01 2020-09-01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68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20090004184U (ko)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포밍 가로등 단자함
KR20100130728A (ko) * 2009-06-04 2010-12-14 김기복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61333B1 (ko) * 2011-04-15 2012-07-02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중 케이블의 지상 인출개소에 사용되는 케이블 그랜드
KR101180920B1 (ko)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JP2020039194A (ja) * 2018-09-03 2020-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1478067A (zh) * 2020-04-16 2020-07-31 上海万仓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防护效果的接线端子盒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27Y1 (ko)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선일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씰링 구조
KR20090004184U (ko)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포밍 가로등 단자함
KR20100130728A (ko) * 2009-06-04 2010-12-14 김기복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61333B1 (ko) * 2011-04-15 2012-07-02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중 케이블의 지상 인출개소에 사용되는 케이블 그랜드
KR101180920B1 (ko)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JP2020039194A (ja) * 2018-09-03 2020-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1478067A (zh) * 2020-04-16 2020-07-31 上海万仓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防护效果的接线端子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689B1 (ko)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9304C (en) Rainproof recessed outlet box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US20130099644A1 (en) Housing for optical elements
KR200445393Y1 (ko) 드레인구조를 갖는 복합 케이블 그랜드
US6624990B1 (en) Underwater light junction box having a GFCI
EP0723101B1 (en) Splashproof enclosure for electronic faucet
KR20100061404A (ko) 수배전기기 케이스 커버 및 수배전 설비시스템
KR100863715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102397689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US20090159332A1 (en) Cable seal assembly
EP1512811A2 (en) Pole access door
KR20090004184U (ko) 가로등 단자함
EP0189441A1 (en) RAINPROOF CONNECTION BOX.
KR200287656Y1 (ko) 단자대
KR102496990B1 (ko) 방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 전기의 옥외 단자함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780B1 (ko) 노출형 스크류타입 콘센트
KR200496066Y1 (ko) 방수기능이 향상된 통합식 개폐기함
KR200444591Y1 (ko)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CN220873354U (zh) 一种免维护高效油浸式变压器
CN210579388U (zh) 天线支架结构及路灯控制箱
KR101330988B1 (ko) 공동주택의 전기설비용 배전반 고정대
AU2009100862B4 (en) A sealed electrical plug and assembly
KR20100008257U (ko) 수밀기능을 갖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2314159B1 (ko)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