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96Y1 -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96Y1
KR200380996Y1 KR20-2005-0002235U KR20050002235U KR200380996Y1 KR 200380996 Y1 KR200380996 Y1 KR 200380996Y1 KR 20050002235 U KR20050002235 U KR 20050002235U KR 200380996 Y1 KR200380996 Y1 KR 200380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ray
optical cable
section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20-2005-0002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감기는 트레이가 갑자기 닫혀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광섬유가 감기는 적어도 2개의 트레이가 단자함에 적층됨과 아울러 회전가능 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트레이는 힌지부(300)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300)는 힌지홀이 형성된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보스는 N각형 단면의 힌지홀을 가지고(N≥5), 상기 힌지축은 힌지홀보다 작은 크기의 M각형 단면을 가지며(M≥3), 상기 힌지축은 외력이 가해지면 360/N 도씩 순차적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외력이 해제되면 회전된 위치에 그대로 정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structure for coupling optical cable terminal box and tray}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근래에 들어서면서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광케이블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제작될 때 그 길이가 통상 일정한 길이(약 2km)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중간 중간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에서 필요한 만큼의 광케이블을 분지(分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케이블 설치업자는 향후 일정한 기간 동안에 소정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수요가 증대될 것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광케이블 매설량과 기타의 광케이블 접속단자 등의 제반시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의 접속단자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자함과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힌지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양측에 소정 개수의 광케이블(60)의 끝단부를 연결하거나 광케이블의 소정 부분을 다른 방향으로 분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단자는, 내부에 광케이블이 감기돋록 요입부를 갖는 단자함(10)과, 상기 단자함의 양측에 설치되어 인입된 광케이블(60)의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광케이블 고정장치(20)와, 상기 단자함(10)의 요입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광케이블(60)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트레이(40)와, 상기 단자함의 상단을 덮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10)과 커버(50)는 고정볼트(51)로서 단자함에 체결됨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10)과 커버(50)의 틈새는 테두리 상단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 씰링부재(30)에 의해 긴밀하게 밀봉된다. 상기 단자함(10)은 지하 매설시 일정한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단자함은 용량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광케이블 인입구(11)와 요입부 크기로 결정된다.
상기 씰링부재(30)는 습기나 물이 단자함(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실리콘이나 고무처럼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함(10)의 요입부에 설치된 각 트레이(40)는 적층상태로서 가장 하층의 트레이는 단자함(10)에 직접 힌지결합되고, 나머지 트레이는 바로 아래층에 있는 다른 트레이에 힌지결합되는데, 이하 트레이의 의 결합 구조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트레이(40)에는 광섬유 클러스터(62)를 유선형으로 감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선형으로 감긴 광섬유 클러스터 또는 광섬유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40)의 양측에는 광섬유 클러스터(62)가 인입되도록 인입홈(42)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의 소정 부분에는 직선홈 형상의 슬롯(4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각 슬롯(43)에는 광섬유 클러스터(62)가 접속된 부분인 어뎁터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클러스터는 단자함 내부인 요입부에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긴 다음에 상기 트레이의 인입홈(11)으로 인입되고, 이어 상기 트레이에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긴 다음에 상기 슬롯(43)에 끼워진다.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20)는 광케이블(60)의 끝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자함의 인입구(11)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광케이블 고정장치(20)는 광케이블(40)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광케이블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광케입블의 원주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광케이블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에는 밀봉부재(32)가 설치된다. 이러한 밀봉부재(32)는 플랙시블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광케이블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는 인입구를 밀봉함과 아울러 광케이블(60)과 밀봉부재(32)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봉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힌지부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자함(10)에는 다수개의 트레이(40)가 적층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하나로 단일화 될 수도 있지만, 광케이블의 접속 용량이 커짐에 따라 다수개가 적층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단자함(10)의 일측 테두리에는 힌지홀을 가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힌지보스(15)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40)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힌지보스(15)에 결합되도록 힌지축(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트레이(40)에는 상단과 하단에 힌지보스(15)와 힌지축(4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힌지보스의 힌지홀과 힌지축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각 트레이들은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힌지홀과 힌지축이 원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작업중에 트레이를 개방시키면서 놓치거나 트레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갑자기 닫히는 경우, 상기 트레이에 감긴 광섬유가 끊어지는 등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광섬유는 전단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트레이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둘째, 상기 힌지축과 힌지축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이 단자함의 내측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트레이는 완전히 개방되더라도 90도 정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개방된 트레이가 닫히지 않도록 잡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된 트레이가 90도 이상으로 개방되었다 하더라도, 작업도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트레이를 닫히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광섬유가 손상된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서 광케이블을 교체하거나 광섬유를 다시 접속해야 하므로, 설치 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레이가 갑자기 닫힘에 따라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 접속 및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 설치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형태에 따르면, 광섬유가 감기는 적어도 2개의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단자함에 회전가능 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트레이는 힌지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는 힌지홀이 형성된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보스는 N각형 단면의 힌지홀을 가지고(N≥5), 상기 힌지축은 힌지홀보다 작은 크기의 M각형 단면을 가지며(M≥3), 상기 힌지축은 외력이 가해지면 360/N 도씩 순차적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외력이 해제되면 회전된 위치에 그대로 정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홀과 힌지축은 동일 각형 단면(N=M)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홀은 N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은 N각형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이 작은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힌지홀과 힌지축은 정다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트레이가 갑자기 닫힘에 따라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섬유 접속 및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광케이블 설치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힌지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힌지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힌지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힌지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트레이를 개방시킬 때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5의 트레이를 개방시킬 때의 힌지부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광섬유가 감기는 적어도 2개의 트레이(200)가 단자함(100)에 적층되게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200)들은 회전가능 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단자함에는 단지 하나의 트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의 설치 개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용량 및 광섬유의 가닥 수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각 트레이(200)는 힌지부(300)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 트레이(200)는 상호간에 힌지부(300)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상기 단자함과 맨 아래에 배치되는 트레이 역시 힌지부(30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300)는 힌지홀(310a)이 형성된 힌지보스(310)와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320)으로 구성된다. 예컨데, 상기 단자함(100)에는 힌지홀(310a)을 가지는 힌지보스(310)가 형성되고, 상기 각 트레이(200)의 하단에는 힌지축(320)이 형성되며, 상기 각 트레이의 상단에는 힌지보스(310)가 각각 형성된다. 물론, 상기 단자함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각 트레이의 하단에는 힌지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각 트레이의 상단에는 힌지축이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보스(310)는 N각형 단면의 힌지홀(310a)을 가지고(N≥5), 상기 힌지축(320)은 힌지홀(310a)보다 작은 크기의 M각형 단면을 가지며(M≥3), 상기 힌지축(320)은 외력이 가해지면 360/N 도씩 순차적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외력이 해제되면 회전된 위치에 그대로 정지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힌지홀(310a)과 힌지축(320)은 동일 각형 단면(N=M)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홀(310a)은 N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320)은 N각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이 작은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힌지홀(310a)과 힌지축(320)은 정다면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힌지보스(310)의 힌지홀(310a)은 6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320) 역시 6각형 단면을 가진다. 이때, 상기 힌지축(320)은 힌지홀(310a)에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보스(310)는 힌지축(320)의 모서리가 회전될 때에 약간 소성 변형될 수 있는 부재를 적용한다. 또한, 상기 힌지홀(310a)과 힌지축(320)은 정육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6각형 단면 구조의 경우, 상기 힌지축(320)은 360/6 도씩 회전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힌지보스(311)의 힌지홀(311a)은 8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321) 역시 8각형 단면을 가진다. 이때, 상기 힌지축(321)은 힌지홀(311a)에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보스(311)는 힌지축(321)의 모서리가 회전될 때에 약간 소성 변형될 수 있는 부재를 적용한다. 이때, 8각형 단면 구조는 상술한 6각형 단면 구조에 비해 상기 힌지축이 회전되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됨과 아울러 소성 변형량도 작아진다. 따라서, 8각형 단면구조는 6각형 단면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보다 부드럽게 되고, 회전 토크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힌지홀(311a)과 힌지축(321)은 정팔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8각 단면 구조의 경우, 상기 회전축은 360/8 도씩 회전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힌지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힌지보스(312)의 힌지홀(312a)은 8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322)은 4각형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힌지홀(312a)이 N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힌지축(322)이 N/2각형 단면을 가지는 일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8각형 단면 구조들에 비해, 회전 각도는 동일하지만 회전 토크는 현저하게 상승된다. 이때, 상기 힌지홀(312a)은 정팔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322)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면 구조는 회전축이 360/8 도씩 회전된다.
상술한 힌지보스와 힌지축은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즉, 상기 힌지보스의 힌지홀이 N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은 N-1각형, N-2, N-3 등의 각형을 가질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힌지홀은 정다면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힌지축은 정다면체일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힌지보스와 힌지축의 구조는 회전 각도와 회전 토크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힌지홀의 각형 단면에 따라 상기 힌지축의 1회 회전씩의 각도가 결정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과 트레이의 결합 구조에 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므로, 도 6에 개시된 일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감는 등 광케이블 접속 및 연결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소정 개수의 트레이(200) 또는 모든 트레이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힌지축(320)의 각 모서리는 도 11과 같이 힌지홀(310a)의 인접한 면을 따라 접촉되면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320)의 각 모서리가 힌지홀(310a)의 인접한 면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상기 힌지보스(310)는 약간 소성변형되면서 상기 힌지축(320)의 회전을 허락한다. 이어, 상기 회전축의 각 모서리가 힌지홀(310a)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면, 상기 힌지축(320)은 힌지보스(310)의 조입 압력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6각형 단면 구조의 경우는 60도씩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힌지홀과 힌지축이 다각형 단면을 가지므로, 작업중에 트레이를 개방시키면서 놓치거나 트레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에 감긴 광섬유가 끊어 지는 등 손상될 수 있는 개연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각 트레이는 개방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개방된 트레이를 잡자 않고 광케이블 접속 또는 분지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작업도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트레이를 건드리더라도, 상기 트레이는 소정 각도만 회전되거나 또는 완전히 닫히지는 않는다. 따라서, 트레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광섬유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섬유의 손상에 의한 광케이블의 교체 또는 재접속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케이블의 설치 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자함과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힌지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힌지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힌지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5의 힌지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5의 힌지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5의 트레이를 개방시킬 때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5의 트레이를 개방시킬 때의 힌지부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함 200 : 트레이
300 : 힌지부 310,311,312 : 힌지보스
310a,311a,312a : 힌지홀 320,321,322 : 힌지축

Claims (4)

  1. 광섬유가 감기는 적어도 2개의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단자함에 회전가능 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트레이는 힌지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는 힌지홀이 형성된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축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보스는 N각형 단면의 힌지홀을 가지고(N≥5), 상기 힌지축은 힌지홀보다 작은 크기의 M각형 단면을 가지며(M≥3), 상기 힌지축은 외력이 가해지면 360/N 도씩 순차적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외력이 해제되면 회전된 위치에 그대로 정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과 힌지축은 동일 각형 단면(N=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은 N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축은 N각형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이 작은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과 힌지축은 정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KR20-2005-0002235U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KR200380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235U KR200380996Y1 (ko)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235U KR200380996Y1 (ko)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96Y1 true KR200380996Y1 (ko) 2005-04-08

Family

ID=4368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235U KR200380996Y1 (ko) 2005-01-25 2005-01-25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96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705A3 (en) * 2010-03-11 2012-04-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enclosure with internal cable spool assembly
KR101239896B1 (ko) * 2011-10-17 2013-03-11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
FR3013127A1 (fr) * 2013-11-08 2015-05-15 Decelect Cassette de raccordement de cables de fibres optiques
US9261663B2 (en) 2010-06-18 2016-02-16 Adc 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Fiber optic distribution terminal and method of deploying fiber distribution cable
WO2019209813A1 (en) 2018-04-23 2019-10-31 Commscope Technologies Llc Pivot interlock for a fiber management tray
WO2020150392A1 (en) * 2019-01-15 2020-07-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Tray hinge system
WO2020205572A1 (en) * 2019-03-29 2020-10-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ray hinge interface system
US11506853B2 (en) * 2018-07-09 2022-11-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management system for fiber optic trays
US11516327B2 (en) 2018-05-01 2022-11-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Tray tower with position indexing tray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417B2 (en) 2010-03-11 2016-08-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enclosure with internal cable spool assembly
US9658420B2 (en) 2010-03-11 2017-05-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enclosure with internal cable spool assembly
WO2011112705A3 (en) * 2010-03-11 2012-04-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enclosure with internal cable spool assembly
US9063316B2 (en) 2010-03-11 2015-06-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enclosure with internal cable spool assembly
US9563031B2 (en) 2010-06-18 2017-02-07 Adc Telecommunications (Shanghai) Distribution Co., Ltd. Fiber optic enclosure with internal cable spool
US9261663B2 (en) 2010-06-18 2016-02-16 Adc 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Fiber optic distribution terminal and method of deploying fiber distribution cable
KR101239896B1 (ko) * 2011-10-17 2013-03-11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
FR3013127A1 (fr) * 2013-11-08 2015-05-15 Decelect Cassette de raccordement de cables de fibres optiques
WO2019209813A1 (en) 2018-04-23 2019-10-31 Commscope Technologies Llc Pivot interlock for a fiber management tray
US11275226B2 (en) 2018-04-23 2022-03-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Pivot interlock for a fiber management tray
US11516327B2 (en) 2018-05-01 2022-11-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Tray tower with position indexing trays
US11506853B2 (en) * 2018-07-09 2022-11-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management system for fiber optic trays
WO2020150392A1 (en) * 2019-01-15 2020-07-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Tray hinge system
WO2020205572A1 (en) * 2019-03-29 2020-10-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ray hinge interfa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0996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결합 구조
ES2643990T3 (es) Multipuerto de fibra óptica
RU2421859C1 (ru) Кабельный бокс и органайзер для линий связи и сплайсов
CN101263409B (zh) 用于通信线路和接头的护套及管理器
US7141738B2 (en) Re-enterable splice enclosure
US20130081849A1 (en) Sealing member for an enclosure
KR20090074782A (ko) 재진입가능 스플라이스 폐쇄구
CN100592122C (zh) 用于通信线路和接头的护套
US7556523B2 (en) Wall outlet
GB2469350A (en) Cover module of electronic device and its method of use
WO2012007905A1 (en) Optical fiber splice closure with split cover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KR101239896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
EP2579078B1 (en) Splice cassette for optical fibers comprising a strain relief device for optical fibre bundles
KR102211791B1 (ko) 건축물 지하통신구용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구조
JP4155379B2 (ja) 融着接続トレイのロック機構
US6089392A (en) Door retention device mechanism for a building entrance protector
KR200435288Y1 (ko) 세대 및 동 단자용 광분배함
KR20033252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트레이
US11320617B2 (en) Connection box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ables
EP4270698A1 (en) Cable threading component and sealing box
JP4289469B2 (ja) 筐体用パッキン
JP4044681B2 (ja) 心線接続余長収納ケース
JP2004061984A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収納箱及び信号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