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838Y1 -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838Y1
KR200350838Y1 KR20-2004-0003273U KR20040003273U KR200350838Y1 KR 200350838 Y1 KR200350838 Y1 KR 200350838Y1 KR 20040003273 U KR20040003273 U KR 20040003273U KR 200350838 Y1 KR200350838 Y1 KR 200350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ain body
band
branch connectio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범석
Original Assignee
명성네트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네트콤 (주) filed Critical 명성네트콤 (주)
Priority to KR20-2004-0003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8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단자함 내부에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한 접속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는 판상의 몸체(61) 일측에 직경 조절 가능하게 조임구(62a)가 부착된 밴드(62)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62)의 타측 단부에 광케이블(70)의 내부 코어(core)(73) 또는 코어(73)를 감싸고 있는 클러스터(72)가 압착 고정되는 슬롯(63)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61)의 중앙부에 통공(64)이 구비되어 상기 통공(64) 내주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절곡된 접속핀(65)이 형성되고 그 일측과 상기 밴드(62) 양측부에 본체(61)의 내측 벽면에 거치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나사체결홈(66)이 구비된 구조이다.
본 고안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는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한 접속 고정구가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 외부에서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 후 본체의 내측 벽면에 장착 고정됨으로써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A optical cable fixed body}
본 고안은 광케이블 단자함 내부에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한 접속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각함체의 단자함 본체 내부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단부가 본체의 내부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광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와 광케이블 단부의 광섬유 클러스터를 분기시키기 위한 슬롯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써, 본체의 내측 벽면에서 탈착 가능한 별도의 접속 고정구를 통해 광케이블의 분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자함 본체 내부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게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어 최근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광케이블의 관련 기술 개발도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설치 길이에 따라 중간 중간을 연결해야 하는 데, 이때 상기 광케이블은 별도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필요한 부분만큼 분기가 이루어질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분기 접속 고정구는 분기 접속 단자함의 본체 내부 벽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접속 분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단점이 있는 바, 아래 도시된 도1에 의거하여 종래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가 장착된 단자함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1)는 접속단자함 본체(2)의 상,하면에 구비된 광케이블 인입공(3)과 인접한 본체 벽면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중앙 통공(4a)(5a)이 구비된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4)(5)가 고정 장착된 구조이다.
상기 종래 접속 고정구(4)(5)는 상부 고정구(4)와 하부 고정구(5)로 분리되어 각각 중앙부에 관통공(4a)(5a)이 형성된 구조로써, 본체(2)의 인입공(3)을 통해 출입되는 광케이블의 단부와 그 단부에서 연장된 광케이블 클러스터가 각각 상부 고정구(4)와 하부 고정구(5)의 관통공(4a)(5a)을 통해 고정되면서 분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 고정구(4)(5)는 접속 단자함의 출고시 본체(2)의 내측 벽면상에 상,하부 고정구(4)(5)가 부착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 작업시 본체(2) 내부에서 분기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으로써 협소한 작업 공간 때문에 원할한 고정구 결합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속 고정구(4)(5)는 상부 고정구(4)에 구비된 관통공(4a)의 직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인입공(3)을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이 상기 관통공(4a)에 의해서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광케이블의 직경이 상부 고정구(4)의 관통공(4a)에 비해 클 경우에는 상부 고정구(4)를 분리하여 다른 고정구로 대체시켜야만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이 수행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분기 접속 고정구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각함체의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본체 내측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판형의 몸체 일단부에 광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밴드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 클러스터가 결합되는 슬롯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써,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한 접속 고정구가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 외부에서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 후 본체의 내측 벽면에 장착 고정되게 하고 광케이블의 접속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분기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가 제공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가 장착된 단자함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가 장착된 접속 단자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접속고정구 61. 몸체
62. 밴드 63. 슬롯
65. 접속핀 66. 나사체결홈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판상의 몸체 일단부에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직경이 조절되는 밴드가 장착되고 상기 밴드 장착부의 타측 단부에는 피복이 제거된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클러스터가 결합되는 슬롯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밴드의 양측부와 상부 일측에는 접속 고정구를 몸체의 내부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체결홈이 구비된 접속 고정구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는 피복이 제거되어 그 단부의 광섬유와 클러스터가 노출된 광케이블 단부가 직경 조절 가능한 밴드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 전방으로 연장된 클러스터와 광섬유는 몸체 일단부에서 상향 연장 형성된 슬롯상에 압착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접속 고정구는 본체의 인입공을 통해 출입되는 광케이블의 단부를 접속 단자함 본체 외측으로 충분하게 관통시킨 후에 광케이블 단부가 접속 고정구에 분기 접속된 상태로 본체의 내측 벽면에 장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시 공간의 제약 없이 분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 정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의 측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고정구가 장착된 접속 단자함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기 접속 고정구(60)는 본체(20)의 상,하부 인입공(22)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 일단부의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결합되어 본체(20)의 내부 양측 벽면상에 볼트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견고하게 장착되는 구조이다.
상기 광케이블 접속고정구(60)는 판상의 몸체(61) 일측에 직경 조절 가능하게 조임구(62a)가 부착된 밴드(62)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62)의 타측 단부에 광케이블(70)의 내부 코어(core)(73) 또는 코어(73)를 감싸고 있는 클러스터(72)가 압착 고정되는 슬롯(63)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61)의 중앙부에 통공(64)이 구비되어 상기 통공(64) 내주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절곡된 접속핀(65)이 형성되고 그 일측과 상기 밴드(62) 양측부에 본체(61)의 내측 벽면에 거치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나사체결홈(66)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접속고정구(60)는 사각 판상의 몸체(61) 일단부측에서 지지구(67)가 경사지게 상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구(67)의 연장 단부에는 볼트등의 고정수단(63a)에 의해서 조임 압착되는 슬롯(63)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61)의 지지구(67) 연장측의 타측 단부에는 양측부에 나사체결홈(66)이 절개 형성되고 일측 나사체결홈(66)을 통해서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임구(62a)가 결합된 밴드(62)가 장착되며, 상기 밴드(62)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광케이블(70)이 삽입 장착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70)은 최외층에 피복된 합성수지 재질 재킷(71)이 제거된 상태로 밴드(62)의 직경 조절에 의해서 장착 고정되고 상기 재킷(71)이 제거된 클러스터(72)와 클러스터(72) 내부의 코어(73)는 그 전방의 슬롯(63)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수단(63a)의 조임에 의해서 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70)의 직경에 따라 조임구(62a)를 통해 밴드(62)의 직경이 조절됨과 아울러 상기 광케이블(70)의 직경에 따라 그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클러스터(72)와 코어(73)의 수평 연장 높이가 달라지게 되는 데, 상기 클러스터(72)와 코어(73)의 높이에 따라 슬롯(63)의 높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67)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접속고정구(60)의 몸체(61) 중앙부의 사각통공(64) 일측 내주면에서 상향 연장된 접속핀(65)는 광케이블(70)의 최외층에 피복된 재킷(71)과 그 내부의 클러스터(72) 사이에 삽입되어 광케이블(70)의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핀(65)은 광케이블(70)이 밴드 내주면에 밀착되며 삽입 고정될 때 동시에 최외층 재킷(71)과 클러스터(72) 사이로 삽입되면서 분기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상향 절곡되어 연장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몸체(61)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개된 나사체결홈(66)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체결홈(66)이 분기 접속단자함(10)의 본체(20) 내측 벽면에 가고정된 볼트등의 고정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의 조임에 의한 몸체(61)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는 사각함체의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본체 내측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판형의 몸체 일단부에 광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그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조임구가 구비된 밴드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 클러스터가 결합되는 슬롯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써,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한 접속 고정구가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 외부에서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 후 본체의 내측 벽면에 장착 고정됨으로써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광케이블의 분기 접속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20)의 상,하부 인입공(22)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 일단부의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결합되어 본체(20)의 내부 양측 벽면상에 볼트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장착되는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저구에 있어서, 판상의 몸체(61) 일측에 직경 조절 가능하게 조임구(62a)가 부착된 밴드(62)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62)의 타측 단부에 광케이블(70)의 내부 코어(core)(73) 또는 코어(73)를 감싸고 있는 클러스터(72)가 압착 고정되는 슬롯(63)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61)의 중앙부에 통공(64)이 구비되어 상기 통공(64) 내주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절곡된 접속핀(65)이 형성되고 그 일측과 상기 밴드(62) 양측부에 본체(61)의 내측 벽면에 거치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나사체결홈(66)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61)는 일측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지지구(67)가 탄성 유동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 단부측에 볼트등의 고정수단(63a)에 의해서 조임 압착이 이루어지는 슬롯(63)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KR20-2004-0003273U 2004-02-10 2004-02-10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KR200350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273U KR200350838Y1 (ko) 2004-02-10 2004-02-10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273U KR200350838Y1 (ko) 2004-02-10 2004-02-10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838Y1 true KR200350838Y1 (ko) 2004-05-17

Family

ID=4943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273U KR200350838Y1 (ko) 2004-02-10 2004-02-10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83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357U (ko) * 2010-09-26 2012-04-0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케이블 홀더 및 접속 어셈블리
KR101141766B1 (ko) 2010-11-04 2012-05-0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케이블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장치
KR101808551B1 (ko) 2010-10-28 2017-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 및 그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의 설치 방법
CN115066640A (zh) * 2020-02-28 2022-09-16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缆把持装置
KR20230040540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357U (ko) * 2010-09-26 2012-04-0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케이블 홀더 및 접속 어셈블리
KR200482178Y1 (ko) * 2010-09-26 2016-12-2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케이블 홀더 및 접속 어셈블리
KR101808551B1 (ko) 2010-10-28 2017-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 및 그 광케이블 중간 접속함체의 설치 방법
KR101141766B1 (ko) 2010-11-04 2012-05-0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케이블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장치
CN115066640A (zh) * 2020-02-28 2022-09-16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缆把持装置
KR20230040540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KR102641861B1 (ko) * 2021-09-16 2024-02-29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2773B2 (en) Wall grommet for power connection
US782978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7276661B2 (en) Electrical box extension
US6840800B2 (en) Deflecting securement anchor for electrical fixtures
CA2349749A1 (en) Quick connect light fixture
US5368506A (en) Electric street light terminal block assembly
KR200350838Y1 (ko)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WO2010052677A1 (en) Optical fiber fixing device, optical fiber fixing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fixing optical fiber
US1143554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a splice enclosure, and a splice enclosure with a cable management system
KR100584843B1 (ko)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6586672B2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s
JP4862174B2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329335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JP510032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固定具
KR0124707Y1 (ko) 전기,통신용 노출박스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0249751Y1 (ko) 전화선로 접속용 단자판
CN220137459U (zh) 一种连接稳固且便于装拆的光纤盒
KR200259338Y1 (ko) 단자대 지지홀더
KR200172411Y1 (ko) 전화선연결용 단자판
KR100879998B1 (ko) 케이블 고정형 광 분배함
AU2018100619A4 (en)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