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540A -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 Google Patents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0540A KR20230040540A KR1020210123797A KR20210123797A KR20230040540A KR 20230040540 A KR20230040540 A KR 20230040540A KR 1020210123797 A KR1020210123797 A KR 1020210123797A KR 20210123797 A KR20210123797 A KR 20210123797A KR 20230040540 A KR20230040540 A KR 202300405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junction box
- cable
- optical junction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15 distribution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26 fusion spli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02B6/4454—Cassettes with spli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이 중에서 광접속함체 고정대는 광접속함체의 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편부와, 광케이블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하도록 지지편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거치편부와, 케이블 클램프가 탈부착되도록 거치편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광접속함체 고정대는 광접속함체의 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편부와, 광케이블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하도록 지지편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거치편부와, 케이블 클램프가 탈부착되도록 거치편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기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 방식보다 전송속도 및 전송된 신호의 품질에 있어 훨씬 우수하므로, 통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광섬유는 석영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유전체를 가늘고 길게 뽑아 제작되므로, 재질의 특성상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섬유의 외면을 완충성 커버 등으로 피복하여 케이블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광접속함체는 외부 광선로와 가입자 전송장치 간의 연결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입된 광섬유의 일부가 광어댑터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되면, 광케이블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그런데 종래 광접속함체의 경우,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고정하는 케이블 클램프 및 인정선 고정대가 함체의 내부에 별개로 조립됨에 따라, 이들 부품의 조립공정 및 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케이블 클램프를 부착하기 위해서,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풀어 고정대 슬롯에 넣은 후 볼트를 고정해야 하거나, 케이블 클램프를 함체에서 분리할 때, 볼트를 풀어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분리해야 하고, 케이블 클램프를 함체에 재조립할 때, 볼트를 이용하여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함체에 재조립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케이블 클램프의 볼트가 고장나는 경우,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풀 수가 없어서, 광케이블을 함체에 고정시킬 수 없게 되므로, 광접속함체를 통째로 교체하거나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잘라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광케이블의 인장선 고정 및 광케이블의 클램핑 작업이 하나의 부품을 통해 가능한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접속함체의 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편부; 광케이블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거치편부; 및 케이블 클램프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거치편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거치편부의 상면에 거치될 때, 상기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지지편부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편부와 상기 거치편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걸림홈부에 장착될 때,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끼워지도록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의 높이는 상기 광케이블의 외피와 상기 인장선 간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부의 단부에는 상기 거치편부에 대한 상기 걸림홈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부의 단부에서 상기 거치편부의 측부 가장자리 연장라인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인입구를 가지며,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제공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장착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구속하기 위한 케이블 클램프; 및 상기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고정되도록 상기 인장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장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는 상기 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편부; 상기 광케이블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거치편부; 및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거치편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는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거치편부의 상면에 거치될 때, 상기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지지편부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편부와 상기 거치편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걸림홈부에 장착될 때,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끼워지도록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케이블 클램프가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통합되어 고정 가능하므로, 광케이블의 인장선 고정 및 광케이블의 클램핑 작업이 하나의 부품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결국, 부품의 조립공정 및 교체작업이 단순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분리할 필요 없이, 케이블 고정을 위한 케이블 클램프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작업공정 및 조립공정이 구현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광케이블 및 케이블 클램프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광케이블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광케이블 및 케이블 클램프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광케이블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10)는, 함체(100), 광접속함체 고정대(200), 케이블 클램프(300) 및 고정편(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체(100)는 광케이블(20)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01)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함체(100)는 내부로 삽입된 서로 다른 두 광케이블(2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수용공간(101)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케이블(20)은 인장선(21)과, 인장선(21)을 두르도록 복수 개의 광심선으로 구성되는 루즈튜브 케이블 유닛과, 루즈튜브 케이블 유닛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0)에는 광케이블(20)이 삽입되는 인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함체(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광케이블(20)은 함체(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된 인입구(110)를 통해 함체(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접속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3개의 광케이블(20)이 고정가능하도록 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함체(100) 내에 인입 가능한 광케이블(20)의 수량에 맞추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길이를 더 길게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고정대에는 4개 이상의 광케이블이 고정가능하도록 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함체(100)에는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리브(120)와,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리브(130) 및 제2 결합리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리브(130) 및 제2 결합리브(140)에는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자 형태의 광접속함체 고정대(200)가 함체(100)에 조립될 때, 제1 결합리브(130)에는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제2 고정홀(212)에 매칭되는 제1 결합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ㄷ"자 형태의 광접속함체 고정대(200)가 함체(100)에 조립될 때, 제2 결합리브(140)에는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제3 고정홀(213)에 매칭되는 제2 결합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함체(100)의 수용공간(101)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함체(10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는 케이블 클램프(300)를 통해, 광케이블(20)이 거치될 수 있다.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고정편(400)을 통해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전체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대형 광접속함체(10)에 사용 가능한 대형 크기일 수 있다.
이러한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지지편부(210), 거치편부(220), 걸림홈부(230) 및 단차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편부(210)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편부(210)에는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이 고정편(400)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편부(210)에는 복수 개의 제1 고정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고정홀(211)은 지지편부(2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편부(210)에는 하나의 고정편(400)과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제1 고정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한 쌍의 제1 고정홀(211) 사이에는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이 위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고정홀(211)에는 고정편(400)과의 조립을 위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편(400)은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의해 지지편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편부(210)의 양단부에는 함체(100)와의 고정을 위한 제2 고정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12)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함체(100)에 고정가능하므로,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함체(100)에 조립될 수 있다.
지지편부(210)의 측부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거치편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한 쌍의 제1 고정홀(211)이 위치되는 지지편부(210)의 측부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거치편부(220)가 단차부(240)를 매개로 지지편부(2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거치편부(220)는 광케이블(20)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거치편부(220)의 상면과 지지편부(210)의 상면은 단차부(240)에 의해 소정의 높이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소정의 높이차이는,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을 거치편부(22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차이일 수 있다. 거치편부(220)의 단부에는 걸림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부(230)는 거치편부(220)의 선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부(230)에는 케이블 클램프(300)가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가능한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를 걸림홈부(23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걸림홈부(230)는 케이블 클램프(300)의 폭, 보다 자세하게는 케이블 클램프(3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홈부(230)의 폭이 케이블 클램프(3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 케이블 클램프(300)를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조립하는 경우, 케이블 클램프(300)를 걸림홈부(230)에 끼워 고정할 수 있고, 케이블 클램프(300)를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케이블 클램프(300)를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300)의 스틸밴드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 클램프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케이블 클램프(300)가 걸림홈부(230)에 조립된 상태로 이동 시, 광접속함체(10)가 흔들려도 케이블 클램프(300)는 걸림홈부(230)에서 이탈되지 아니할 수 있다.
걸림홈부(230)의 단부에는 걸림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31)는 거치편부(220)에 대한 걸림홈부(23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걸림돌기(231)는 걸림홈부(230)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케이블 클램프(300)를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걸림홈부(230)에 착탈할 때, 케이블 클램프(300)를 걸림홈부(230)에 넣고 빼는 등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300)가 고정대(20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해주기도 한다.
이때, 걸림돌기(231)는 걸림홈부(230)의 단부에서 거치편부(220)의 측부 가장자리 연장라인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231)가 거치편부(220)의 측부 가장자리 연장라인보다 더 길게 연장되면, 케이블 클램프(300) 부착 시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단차부(240)는 지지편부(210)와 거치편부(220)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단차부(240)는 지지편부(210)와 거치편부(220) 사이에 일정 높이차이가 발생되도록 연결함으로써, 광케이블(20)이 거치편부(220)의 상면에 거치될 때,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이 지지편부(210)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차부(240)의 높이(H)는 광케이블(20)의 외피와 인장선(21) 간 거리에 대응되는 높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부(240)는 광케이블(20)의 외피와 인장선(21) 간 거리에 대응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광케이블(20)이 거치편부(220)의 상면에 거치될 때,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은 지지편부(210)의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접속될 수 있고,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이 휘어지지 않고 거치편부(220)의 상면에서 일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는 광케이블(20)을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구속하기 위한 클램핑 부품일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는 광케이블(20)를 감쌀 수 있는 스틸밴드와, 스틸밴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편(400)은 인장선(21)을 사이에 두고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10)를 통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410)는 고정편(400)을 관통하여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제1 고정홀(211)에 고정됨으로써, 고정편(400)을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경우, 지지편부(210)의 단부는 지지편부(210)의 폭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광접속함체(10)보다는 크기가 작은 중형 광접속함체(10)에 사용 가능한 중형 크기일 수 있다.
이때, 연장되는 지지편부(210)의 단부에는 제3 고정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홀(213)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함체(100)에 고정가능하므로,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는 함체(100)에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접속함체(10)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를 함체(100)에 조립하기 위해, 먼저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걸림홈부(230)에 케이블 클램프(300)를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제2 고정홀(212)을 함체(100)의 제1 결합홀(131)에 매칭시킨 상태에서, 제2 고정홀(212)을 관통시킨 볼트를 제1 결합홀(131)에 고정시킴으로써, 광접속함체 고정대(200)를 함체(100)에 조립한다.
그리고 광케이블(20)의 연결을 위해, 연결하고자 하는 광케이블(20)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에서, 일정 길이만큼 외피를 절단한다. 외피가 광케이블(20)의 끝단에서 절단하여 벗겨지면, 광케이블(20)의 끝단에서는 인장선(21)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인장선(21)이 노출된 광케이블(20)의 단부를 함체(100)의 인입구(110)로 삽입하여,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고정한다. 이때, 광케이블(20)을 케이블 클램프(30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을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지지편부(210) 상에 위치시킨다.
광케이블(20)의 인장선(21)이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지지편부(210) 상에 위치되면, 인장선(21)을 사이에 두고 고정편(400)을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10)를 통해 고정편(400)을 광접속함체 고정대(200)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클램프가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통합되어 고정 가능하므로, 광케이블의 인장선 고정 및 광케이블의 클램핑 작업이 하나의 부품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품의 조립공정 및 교체작업의 단순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블 클램프의 스틸밴드를 분리할 필요 없이, 케이블 고정을 위한 케이블 클램프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작업공정 및 조립공정이 구현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광접속함체
20 :광케이블 21 :인장선
100 :함체
110 :인입구 120 :지지리브
130 :제1 결합리브 131 :제1 결합홀
140 :제2 결합리브 141 :제2 결합홀
200 :광접속함체 고정대 210 :지지편부
211 :제1 고정홀 212 :제2 고정홀
220 :거치편부 230 :걸림홈부
231 :걸림돌기 240 :단차부
300 :케이블 클램프
400 :고정편 410 :고정볼트
20 :광케이블 21 :인장선
100 :함체
110 :인입구 120 :지지리브
130 :제1 결합리브 131 :제1 결합홀
140 :제2 결합리브 141 :제2 결합홀
200 :광접속함체 고정대 210 :지지편부
211 :제1 고정홀 212 :제2 고정홀
220 :거치편부 230 :걸림홈부
231 :걸림돌기 240 :단차부
300 :케이블 클램프
400 :고정편 410 :고정볼트
Claims (9)
- 광접속함체의 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편부;
광케이블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거치편부; 및
케이블 클램프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거치편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거치편부의 상면에 거치될 때, 상기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지지편부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편부와 상기 거치편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걸림홈부에 장착될 때,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끼워지도록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높이는
상기 광케이블의 외피와 상기 인장선 간 거리에 대응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의 단부에는
상기 거치편부에 대한 상기 걸림홈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부의 단부에서 상기 거치편부의 측부 가장자리 연장라인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인입구를 가지며,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제공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장착되는 광접속함체 고정대;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구속하기 위한 케이블 클램프; 및
상기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고정되도록 상기 인장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에 장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는
상기 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편부;
상기 광케이블이 거치가능한 상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거치편부; 및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거치편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접속함체 고정대는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거치편부의 상면에 거치될 때, 상기 광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지지편부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편부와 상기 거치편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걸림홈부에 장착될 때,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끼워지도록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광접속함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797A KR102641861B1 (ko) | 2021-09-16 | 2021-09-16 |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797A KR102641861B1 (ko) | 2021-09-16 | 2021-09-16 |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0540A true KR20230040540A (ko) | 2023-03-23 |
KR102641861B1 KR102641861B1 (ko) | 2024-02-29 |
Family
ID=8579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797A KR102641861B1 (ko) | 2021-09-16 | 2021-09-16 |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186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1019A (ko) | 1999-06-01 | 2001-01-05 | 이정태 | 광접속함체 |
KR200350838Y1 (ko) * | 2004-02-10 | 2004-05-17 | 명성네트콤 (주) |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
KR101141766B1 (ko) * | 2010-11-04 | 2012-05-03 |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케이블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장치 |
-
2021
- 2021-09-16 KR KR1020210123797A patent/KR102641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1019A (ko) | 1999-06-01 | 2001-01-05 | 이정태 | 광접속함체 |
KR200350838Y1 (ko) * | 2004-02-10 | 2004-05-17 | 명성네트콤 (주) | 광케이블 분기 접속 고정구 |
KR101141766B1 (ko) * | 2010-11-04 | 2012-05-03 |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케이블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1861B1 (ko) | 2024-0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49581B1 (en) | Fibre optic assembly including rear connectors | |
US8573855B2 (en) | Fanout cable assembly and method | |
JP4340783B2 (ja) | 光ファイバのオーガナイザ | |
JP3994666B2 (ja) | 光モジュールコネクタ用アダプタ、光モジュール生産物、および光モジュール搭載基板生産物 | |
JP2019200386A (ja) | 光コネクタケーブル及び金属部材 | |
KR20230040540A (ko) |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 |
EP1589361A1 (en) | An optical module for housing an optical component | |
US10209474B2 (en) | Fiber arrangement member and optical wiring unit | |
JP2005189438A (ja) | 光端末装置 | |
JP4726459B2 (ja) | 光受信機の光ファイバ余長収納構造 | |
US10663687B1 (en) | Fiber optic pigtail assembly | |
US10353150B2 (en) | Optical fiber bulkhead splice assemblies for optical transceiver modules | |
JP4115906B2 (ja) | 光成端箱 | |
JP4889592B2 (ja) | 光ケーブル機器筐体の光ケーブル収容部 | |
KR200281262Y1 (ko) | 2심이상의 다심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부의 고정 및 장착장치 | |
JP2008176108A (ja) | アウトレット | |
CN212905589U (zh) | 一种qsfp28 cwdm4光模块 | |
KR101662188B1 (ko) | 광단자함 | |
EP2124080A1 (en) | Optical wiring system | |
JP5653661B2 (ja) | 光線路の収容構造 | |
JP4597872B2 (ja) | 光接続箱 | |
JP6340491B1 (ja) | 整線部材および光配線ユニット | |
JP2004053989A (ja) | 光ファイバ収納部品および光ファイバ収納ユニット | |
KR100424278B1 (ko) | 양면구조 트레이 | |
WO2023200812A1 (en) | Adapter configured to permit a heat shrink splice holder portion of a fiber splice cassette to hold a mechanical crimp splice prot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